KR101433764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764B1
KR101433764B1 KR1020130043848A KR20130043848A KR101433764B1 KR 101433764 B1 KR101433764 B1 KR 101433764B1 KR 1020130043848 A KR1020130043848 A KR 1020130043848A KR 20130043848 A KR20130043848 A KR 20130043848A KR 101433764 B1 KR101433764 B1 KR 10143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transfer
conductive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257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5Spark suppressors associated with the commu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4Circuit arrangements for improvement of commutation, e.g. by use of unidirectionally conduct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자력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고 회전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전달부와, 전달부의 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전달부와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모터의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성을 개선하면서 마모와 스파크 발생을 억제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모터는 고정자로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회전자로 코일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직류모터는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자력의 반발 및 흡인력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한다.
회전자의 회전축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자에 장착된 정류자에는 브러쉬가 접촉된다.
이때, 정류자는 브러쉬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서, 정류자는 코일에 전류를 공급한다.
최근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휠을 구동시키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는 장기간 사용을 위해 안정적인 토크를 제공하면서도 마모나 스파크 발생이 억제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40569호(2003.05.23 공개, 발명의 명칭 : 전기자동차용 직류모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직류모터는 브러쉬가 정류자와 접촉되므로, 회전자가 회전됨에 따라 브러쉬의 마모가 발생하고, 마모된 부분의 절연 파괴로 스파크가 발생하여 자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직류모터는 브러쉬와 정류자가 점접촉을 하므로, 전류 공급과정에서 전류가 외부로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성을 개선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모터는 자력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의 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전달부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코일이 감기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달케이스; 상기 전달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달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전달공간을 형성하는 전달절연판; 상기 전달공간에 내장되는 전달전도부; 및 상기 회전부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달전도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전달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케이스;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공급공간을 형성하는 공급절연판; 상기 공급공간에 내장되는 공급전도부; 상기 공급전도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공급케이블; 및 상기 공급케이블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케이블에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절연판과 상기 공급절연판은 원통 형상을 하고, 상기 전달절연판과 상기 공급절연판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전달절연판의 내측에 상기 공급절연판의 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공급전도부와 상기 전달전도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전도부와 상기 공급전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물질의 유체와, 전도성 페이스트 및 전도성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공급부의 단부를 감싸는 커버링; 및 상기 커버링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달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회전부에 연결된 전달부와 공급부가 면접촉되므로, 전달부가 회전되더라도 전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전달부와 공급부의 구획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전도성 유체가 전류를 전달함으로써, 모터 제어가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전달부의 전달절연판 내측으로 공급부의 공급절연관판 밀착되어 타 공간으로의 유체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구획된 공간으로 개별적인 전류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연결부가 전달부와 공급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달부와 공급부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회전부와 전달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달부와 공급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회전부와 전달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달부와 공급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에는 고정부(10), 회전부(20), 전달부(30), 공급부(40), 연결부(50) 및 지지부(60)가 구비된다.
고정부(10)는 모터용 케이스에 내장된다. 이러한 고정부(10)는 모터용 케이스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자력을 형성하도록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부(20)는 고정부(10)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자력에 의해 회전된다.
전달부(30)는 회전부(2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달부(30)는 공급부(4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회전부(20)로 전달한다.
공급부(40)는 전달부(30)의 일단부에 근접 배치된다. 이러한 공급부(40)는 회전부(20)가 회전되도록 전달부(30)에 전류를 공급한다.
연결부(50)는 전달부(30)와 공급부(4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50)에 의해 전달부(30)와 공급부(40)는 인접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부(60)는 회전부(2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회전부(2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60)는 모터용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 형상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에는 회전자(21) 및 회전축(22)이 구비된다.
회전자(21)는 고정부(10)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자(21)에는 코일이 감긴다.
회전축(22)은 회전자(2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22)은 지지부(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전달부(30)는 회전자(2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30)에는 전달케이스(31), 전달절연판(32), 전달전도부(33) 및 전달케이블(34)이 구비된다.
전달케이스(31)는 회전자(21)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전달케이스(31)는 일단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한다. 이때 전달케이스(31)의 타단부는 회전자(21)에 결합되므로, 회전자(21)가 회전되면 전달케이스(31)도 회전된다.
전달절연판(32)은 전달케이스(31)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달절연판(32)은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달케이스(31)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전달공간(3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달절연판(32)은 전달케이스(31)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격벽에 결합된다.
전달전도부(33)는 전달공간(38)에 내장된다. 이러한 전달전도부(33)는 전도성 물질의 유체나, 합성수지와 같은 바인더 성분에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의 분말을 분산시켜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카본 블랙, 흑연,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의 분말로 이루어진 전도성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전도부(33)가 전도성 물질의 유체, 예를 들면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전달전도부(33)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전도성 유체, 전도성 페이스트 및 전도성 분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전달케이블(34)은 회전자(21)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전달전도부(33)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한다.
만일, 전달전도부(33)가 복수의 전달공간(38)에 각각 저장되면, 전달공간(38)의 개수에 대응되는 전달케이블(34)의 타단부는 회전자(21)에 각각 연결되고, 각 전달케이블(34)의 일단부는 구획된 전달공간(38)에 선별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전달케이블(34)의 일단부는 전달케이스(31)의 격벽을 관통하여 각 전달공간(38)에 저장된 전달전도부(33)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40)에는 공급케이스(41), 공급절연판(42), 공급전도부(43), 공급케이블(44) 및 공급판(45)이 구비된다.
공급케이스(4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공급케이스(41)는 모터용 케이스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한다.
공급절연판(42)은 공급케이스(41)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공급절연판(42)은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공급케이스(41)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공급공간(4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공급절연판(42)은 공급케이스(4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격벽에 결합된다.
공급전도부(43)는 공급공간(48)에 내장된다. 이러한 공급전도부(43)는 전도성 물질의 유체나, 합성수지와 같은 바인더 성분에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의 분말을 분산시켜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카본 블랙, 흑연, 은, 구리, 니켈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의 분말로 이루어진 전도성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전도부(43)가 전도성 물질의 유체, 예를 들면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공급전도부(43)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도성 분말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전도성 유체, 전도성 페이스트 및 전도성 분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급케이블(44)은 공급전도부(43)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공급판(45)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한다. 공급판(45)은 복수개의 공급케이블(44)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에 해당된다.
만일, 공급전도부(43)가 복수의 공급공간(48)에 각각 저장되면, 공급공간(48)의 개수에 대응되는 공급케이블(44)의 일단부는 공급판(45)에 각각 연결되고, 각 공급케이블(44)의 타단부는 구획된 공급공간(48)에 선별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공급케이블(44)의 타단부는 공급케이스(41)의 격벽을 관통하여 각 공급공간(48)에 저장된 공급전도부(43)와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절연판(32)과 공급절연판(42)은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하고 이들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러한 전달절연판(32)의 단부는 전달케이스(31)의 격벽 내측면에 결합되고, 공급절연판(42)의 단부는 공급케이스(41)의 격벽 내측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전달케이스(31) 내부에는 지름이 다른 제1전달절연판(321)과, 제1전달절연판(321)을 감싸는 제2전달절연판(322)이 배치된다.
제1전달절연판(321) 내부에는 제1전달공간(381)이 형성되고, 제1전달절연판(321)과 제2전달절연판(322) 사이에는 제2전달공간(382)이 형성되며, 제2전달절연판(322)과 전달케이스(31) 사이에는 제3전달공간(383)이 형성된다.
제1전달공간(381)에는 제1전달전도부(331)가 저장되고, 제2전달공간(382)에는 제2전달전도부(332)가 저장되며, 제3전달공간(383)에는 제3전달전도부(333)가 저장된다.
제1전달케이블(341)은 일단부가 제1전달전도부(3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자(21)에 연결된다. 제2전달케이블(342)은 일단부가 제2전달전도부(3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자(21)에 연결된다. 제3전달케이블(343)은 일단부가 제3전달전도부(33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자(21)에 연결된다.
공급케이스(41) 내부에는 지름이 다른 제1공급절연판(421)과, 제1공급절연판(421)을 감싸는 제2공급절연판(422)이 배치된다.
제1공급절연판(421) 내부에는 제1공급공간(481)이 형성되고, 제1공급절연판(421)과 제2공급절연판(422) 사이에는 제2공급공간(482)이 형성되며, 제2공급절연판(422)과 공급케이스(41) 사이에는 제3공급공간(483)이 형성된다.
제1공급공간(481)에는 제1공급전도부(431)가 저장되고, 제2공급공간(482)에는 제2공급전도부(432)가 저장되며, 제3공급공간(483)에는 제3공급전도부(433)가 저장된다.
제1공급케이블(441)은 일단부가 공급판(4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공급전도부(431)에 연결된다. 제2공급케이블(442)은 일단부가 공급판(4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공급전도부(432)에 연결된다. 제3공급케이블(443)은 일단부가 공급판(4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공급전도부(433)에 연결된다.
한편, 전달절연판(32)의 내측에 공급절연판(42)의 단부가 밀착되어 공급전도부(43)와 전달전도부(33)는 틈새로 누설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공간간의 혼합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제1전달절연판(321) 내측면에 제1공급절연판(421)이 밀착되어 제1전달전도부(331)와 제1공급전도부(431)가 혼합된다. 그리고, 제2전달절연판(322) 내측면에 제2공급절연판(422)이 밀착되어 제2전달전도부(332)와 제2공급전도부(432)가 혼합된다.
따라서, 공급판(45)에 의해 제1공급케이블(441)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1공급전도부(431) 및 제1전달전도부(331)를 통해 제1전달케이블(341)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공급판(45)에 의해 제2공급케이블(442)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2공급전도부(432) 및 제2전달전도부(332)를 통해 제2전달케이블(342)로 전류가 흐른다.
또한, 공급판(45)에 의해 제3공급케이블(443)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3공급전도부(433) 및 제3전달전도부(333)를 통해 제3전달케이블(343)로 전류가 흐른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에는 커버링(51) 및 삽입돌기(52)가 구비된다.
커버링(51)은 전달부(30)와 공급부(40)의 단부를 감싸도록 폭을 갖는 링 형상을 한다. 이러한 커버링(51)은 공급부(40)의 공급케이스(41) 타단부에 결합되고, 전달부(30)의 전달케이스(31) 일단부에 밀착되어 전달전도부(33) 또는 공급전도부(43)의 누설을 방지한다.
삽입돌기(52)는 커버링(5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돌기(52)는 전달케이스(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전달홈(311)에 삽입된다. 이때, 전달부(30)가 원활하게 회전될 때 연결부(50)와의 마찰이 억제되도록, 삽입돌기(52)의 단부 또는 전달홈(311)에는 베어링(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22)이 지지부(60)에 지지되고, 전달부(30)와 공급부(40)가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부(50)가 전달부(30)와 공급부(4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때, 전달부(30)의 전달공간(38)과 공급부(40)의 공급공간(48)이 서로 대응되도록 설계되어, 제1전달공간(381)과 제1공급공간(481)이 서로 연통되고, 제2전달공간(382)과 제2공급공간(482)이 서로 연통되며, 제3전달공간(383)과 제3공급공간(483)이 서로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1전달전도부(331)와 제1공급전도부(431)가 혼합되어 제1전달공간(381)과 제1공급공간(481)으로 전류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2전달전도부(332)와 제2공급전도부(432)가 혼합되어 제2전달공간(382)과 제2공급공간(482)으로 전류를 전달한다. 또한, 제3전달전도부(333)와 제3공급전도부(433)가 혼합되어 제3전달공간(383)과 제3공급공간(483)으로 전류를 전달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공급판(45)이 제1공급케이블(441)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전달전도부(331)와 제1공급전도부(431)에 의해 제1전달케이블(341)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공급판(45)이 제2공급케이블(44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2전달전도부(332)와 제2공급전도부(432)에 의해 제2전달케이블(342)로 전류가 흐른다.
또한, 공급판(45)이 제3공급케이블(443)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3전달전도부(333)와 제3공급전도부(433)에 의해 제3전달케이블(343)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회전부(20)가 회전되더더라도 전달부(30)와 공급부(40)는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하여 전류가 회전부(20)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전도성 물질인 금속성 유체가 전류를 이동시켜 전류공급과정에서 마모나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20 : 회전부
21 : 회전자 22 : 회전축
30 : 전달부 31 : 전달케이스
32 : 전달절연판 33 : 전달전도부
34 : 전달케이블 38 : 전달공간
40 : 공급부 41 : 공급케이스
42 : 공급절연판 43 : 공급전도부
44 : 공급케이블 45 : 공급판
48 : 공급공간 50 : 연결부
51 : 커버링 52 : 삽입돌기
60 : 지지부

Claims (7)

  1. 자력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의 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전달부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달케이스; 상기 전달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달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전달공간을 형성하는 전달절연판; 상기 전달공간에 내장되는 전달전도부; 및 상기 회전부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달전도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전달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케이스;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개의 공급공간을 형성하는 공급절연판;
    상기 공급공간에 내장되는 공급전도부;
    상기 공급전도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공급케이블; 및
    상기 공급케이블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케이블에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코일이 감기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절연판과 상기 공급절연판은 원통 형상을 하고,
    상기 전달절연판과 상기 공급절연판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전달절연판의 내측에 상기 공급절연판의 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공급전도부와 상기 전달전도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전도부와 상기 공급전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물질의 유체와, 전도성 페이스트 및 전도성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공급부의 단부를 감싸는 커버링; 및
    상기 커버링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달부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달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30043848A 2012-07-06 2013-04-19 모터 KR10143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92 2012-07-06
KR20120074192 2012-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57A KR20140007257A (ko) 2014-01-17
KR101433764B1 true KR101433764B1 (ko) 2014-10-02

Family

ID=5014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848A KR101433764B1 (ko) 2012-07-06 2013-04-19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7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64A (ja) * 1994-03-04 1995-09-19 Fujikura Ltd 相対回転部における通電装置
JPH07245163A (ja) * 1994-03-04 1995-09-19 Fujikura Ltd 相対回転部における通電装置
US5523638A (en) * 1994-10-11 1996-06-04 Albrecht; James W. Shaft mounted eddy current drive with rotary electrical connector
WO2001022558A2 (en) * 1999-09-17 2001-03-29 Damco Limited Electric mo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64A (ja) * 1994-03-04 1995-09-19 Fujikura Ltd 相対回転部における通電装置
JPH07245163A (ja) * 1994-03-04 1995-09-19 Fujikura Ltd 相対回転部における通電装置
US5523638A (en) * 1994-10-11 1996-06-04 Albrecht; James W. Shaft mounted eddy current drive with rotary electrical connector
WO2001022558A2 (en) * 1999-09-17 2001-03-29 Damco Limited Electric 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57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8756A (ko) Bldc모터
US20060043817A1 (en) DC brush motor
CN102891414B (zh) 换向器组件及有刷电机
KR101735924B1 (ko) 계자권선형 모터의 슬립링 및 브러시 구조
KR101433764B1 (ko) 모터
KR20210007094A (ko) 정류베어링과 이를 구성한 전기공급장치
KR101601928B1 (ko) 정류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직류모터
KR101360059B1 (ko) 전기 모터
KR101433763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KR101433760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KR101433765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CN110474493A (zh) 同步电励磁电机及其应用
CN102856757A (zh) 用于有刷电机的换向器
KR101433759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KR101410821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CN102545485A (zh) 有刷电机
KR101433762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KR101433761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CN215733802U (zh) 一种有刷电机
JP2011142760A (ja) 直流回転電機
KR101454019B1 (ko) 무접점 슬립링 모터
KR101601932B1 (ko) 정류베어링
CN100592606C (zh) 汽车电控机械式变速器用电机
KR101177270B1 (ko) 직류모터
KR20210007095A (ko) 볼 정류베어링이 구성된 전기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