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697B1 -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 Google Patents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697B1
KR101433697B1 KR1020130024017A KR20130024017A KR101433697B1 KR 101433697 B1 KR101433697 B1 KR 101433697B1 KR 1020130024017 A KR1020130024017 A KR 1020130024017A KR 20130024017 A KR20130024017 A KR 20130024017A KR 101433697 B1 KR101433697 B1 KR 10143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display
engag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호
장영호
권성은
유채희
박준호
이윤영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3002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or orientation or public in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프레임유닛과;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빛을 발광하는 모듈부; 및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모듈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모듈부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유닛과 모듈부 및 표시부와 같은 구성이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설치 및 분해, 재설치가 용이하고, 노후, 파손된 부분만의 교체가 쉽게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HANGER TYPE SIGN FOR PUBLCI FACILITIES}
본 발명은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시설에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물에는 여러 형태의 표지물이 설치된다. 공공시설물의 표지물은 공공시설물의 위치 또는 그 입,출구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도로변에 설치되거나, 공공시설물의 내부(주로, 계단이나 복도 등의 통로)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
이러한 표지물은 그 공공시설물의 입,출구가 내부 시설의 위치 및 그에 관련된 정보 등을 이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 문자 및 도형, 기호 등의 형태로 표시하며, 바닥에 세워지거나, 천장, 벽 등에 부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122호(2001년 2월 26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지하철 역사내의 방향표지판)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은: 프레임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빛을 발광하는 모듈부;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모듈부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모듈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결합부재는,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제2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모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열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시키는 표시부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결합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표시부결합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와 접촉되며 상기 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에 밀착시키는 밀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따르면, 프레임유닛과 모듈부 및 표시부와 같은 구성이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설치 및 분해, 재설치가 용이하고, 노후, 파손된 부분만의 교체가 쉽게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완충부재를 통해 표시부의 흠집 또는 파손 발생을 억제하는 완충력과 표시부와 프레임유닛 간의 밀착도를 높이는 밀착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가 파손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유닛의 마감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상해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결합부재의 제1위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결합부재의 제2위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은 프레임유닛(100)과, 모듈부(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유닛(1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을 외부에서 지지하는 외부 골격에 해당된다. 이러한 프레임유닛(100)은 프레임부재(110)와 프레임결합부재(12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10)는 모듈부(200)에 결합된다. 모듈부(200)는 표시부(300)를 향해 조명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200)는 사각 형상의 라이트패널(Light pannel)인 것으로 예시된다. 라이트패널의 구성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유닛(100)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는 모듈부(200)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모듈부(200)의 각 측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각각의 프레임부재(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1)와 지지부(1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듈부(200)의 폭 방향 길이(w) 또는 높이 방향 길이(h)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11)는 그 외측면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의 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의 외관을 형성한다.
지지부(113)는 모듈부(2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도록 베이스부(11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부(113)는 베이스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프레임부재(110) 전체의 단면 형상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부(111)의 양 측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격 배치된 지지부(113) 사이에는 삽입홈(112)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112)에는 모듈부(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된다.
아울러, 프레임부재(110)는 결합홀부(114) 및 관통부(115)를 더 포함한다. 결합홀부(114)와 관통부(115)는 각 지지부(113)에 프레임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 중, 결합홀부(114)는 후술할 프레임결합부재(120)가 끼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부(111)와 인접된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부(115)는 지지부(113)의 단부에 인접된 부분에 형성되며, 모듈부(200)와 연결되는 배선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4) 및 관통부(115)는, 모듈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듈부(2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결합홀부(114) 및 관통부(115)와 같이 모듈부(200)와 인접된 위치에서 프레임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조에 의해 프레임부재(11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프레임부재(110)의 내부로 전달된 열은,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베이스부(111)를 통해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11)의 외측면에는 방열돌기부(117)가 베이스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방열돌기부(117)는 베이스부(111)의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모듈부(200)로부터 프레임부재(110)로 전달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결합홀부(114) 및 관통부(115)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구조와 방열돌기부(117)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 구조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110)는, 모듈부(200)로부터 프레임부재(110)로 방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의 방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결합부재(120)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결합부재(120)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의 각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21)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의 단부와 결합되며, 제2결합부(121)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와 결합된다.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는, 각각 프레임부재(110)에 형성된 결합홀부(114)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레임부재(11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결합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인접된 두 프레임부재(110)는, 프레임결합부재(120)를 매개로 각 일단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결합부재(120)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결합부재(1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두 프레임부재(110)를 서로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프레임결합부재(120)는, 제1결합부(121)가 그 길이 방향이 폭 방향(w)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와 결합되고, 제2결합부(121)가 그 길이 방향이 높이 방향(h)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프레임유닛(100)은 연결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지지부(13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프레임부재(110)와 결합되어 프레임부재(110)를 지지한다.
아울러, 프레임부재(110)에는 돌출부(105)가 구비된다. 돌출부(105)는 모듈부(200)와 마주보는 베이스부(11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프레임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지지부(13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프레임부재(110)의 각 돌출부(105)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결합부(131)와, 한 쌍의 지지결합부(131)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결합부(131)는 "ㄷ"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105)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연결부(133)는 모듈부(200)를 감싸면서 돌출부(105)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지지부(130)는, 그 길이 방향이 폭 방향(w)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두 프레임부재(110)를 서로 연결하며 지지함으로써, 프레임부재(110)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한편, 모듈부(200)를 함께 지지하여 모듈부(200)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상하 방향을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처럼 연결지지부(130)는 프레임부재(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프레임유닛(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300)는 프레임유닛(100)에 결합되어 모듈부(20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표시부(300)는 모듈부(200)의 전방 측과 후방 측, 양측에 모듈부(20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모듈부(200)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00)에는,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이 표시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각 표시부(300)에는 지하철의 출입구 번호와 각 출입구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각 출입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가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표시되는 문자, 기호, 도형 등은 투명 또는 색체가 가미된 반투명 등의 형태로 표현되어 모듈부(200)에서 전달되는 빛에 의해 식별이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300)는 먼지 등으로 인한 표면의 오염이 억제되도록 방염아크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프레임유닛(100)은 표시부결합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결합부재(140)는 표시부(300)가 지지부(113)에 지지되도록 프레임부재(110)에 결합되어 표시부(300)를 프레임부재(110)에 결합시킨다.
또한, 프레임부재(110)는 표시부결합부재(140)가 결합되는 착탈결합부(119)를 더 포함한다. 착탈결합부(119)는 지지부(113)로부터 지지부(11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표시부결합부재(1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결합부재(140)의 일측과 타측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부결합부재(140)의 일측은 착탈결합부(119)에 걸리는 형태로 착탈결합부(11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표시부결합부재(140)는 프레임부재(110) 상에 고정된다. 이처럼 프레임부재(110) 상에 고정된 표시부결합부재(140)는, 그 타측이 표시부(300)를 지지부(113) 측으로 지지함으로써, 표시부(300)를 프레임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아울러, 프레임유닛(100)은 표시부결합부재(140)와 지지부(113)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완충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밀착완충부재(150)는 지지부(113)와 마주보는 표시부결합부재(14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표시부(300)와 접촉되며 표시부(300)를 지지부(113)에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완충부재(15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밀착완충부재(150)는, 표시부(300)와 표시부결합부재(140)간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표시부(300)에 흠집이 발생되거니 표시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표시부(300)와 프레임유닛(100) 간의 밀착도를 높여 표시부(3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프레임결합부재(120)는 마감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125)는 프레임결합부재(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인접된 두 표시부결합부재(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다. 즉 마감부(1205)는, 프레임결합부재(120)에 의해 결합되는 두 프레임부재(110)의 결합 부분과, 이 두 프레임부재(110)에 각각 결합된 표시부결합부재(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마감부(125)는 프레임부재(110)와 프레임결합부재(120) 및 표시부결합부재(140) 사이가 단절된 부분 없이 동일면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프레임유닛(100)의 마감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마감부(125)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프레임유닛(100)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유닛(100) 및 이를 구비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이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뿐 아니라,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상해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은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은 지하철 역사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하철의 출입구 번호와 각 출입구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각 출입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되는 각종 문자, 기호, 도형 등은 투명 또는 색채가 가미된 반투명 등의 형태로 표시부(300)에 표현되고, 이는 모듈부(200)에서 전달되는 빛에 의해 높은 시인성을 갖도록 표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모듈부(200) 및 표시부(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공공시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은 공공시설 내부의 벽 또는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이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의 설치는 프레임유닛(10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이 천장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은 프레임유닛(100)과 결합되는 부분이 프레임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은 복수 개의 체결부재(부호생략)에 의해 프레임부재(110)에 체결되어 프레임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는 진동으로 인한 풀림이 억제되도록 방진볼트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모듈부(200) 및 표시부(300)는, 프레임유닛(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설치 대상물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유닛(100)에 따르면,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가 모듈부(200)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모듈부(200)의 각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모듈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는 프레임결합부재(120)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표시부(300)는 표시부결합부재(140)에 의해 프레임부재(110) 상에 지지되며, 표시부결합부재(140)는 프레임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표시부(300)를 지지함으로써, 표시부(300)가 프레임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300)는 밀착완충부재(150)를 매개로 프레임부재(110)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밀착완충부재(150)는 표시부(300)의 흠집 또는 파손 발생을 억제하는 완충력과 표시부(300)와 프레임유닛(100) 간의 밀착도를 높이는 밀착력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부(300)가 파손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프레임유닛(100)은 마감부(125)를 구비하는 프레임결합부재(120)를 이용하여 프레임유닛(100)의 마감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이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뿐 아니라,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상해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그 뿐 아니라,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은, 프레임유닛(100)과 모듈부(200) 및 표시부(300)와 같은 구성이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설치 및 분해, 재설치가 용이하고, 노후, 파손된 부분만의 교체가 쉽게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결합부재의 제1위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결합부재의 제2위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a)은 프레임유닛(100a)과 모듈부(200a) 및 표시부(30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200a) 및 표시부(30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부(200; 도 2 참조) 및 표시부(300; 도 2 참조)와 비교하여 구성 및 기능은 유사하고 폭 방향(w) 길이와 높이 방향(h)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만이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프레임유닛(100a)은 폭 방향(w)과 길이 방향(h)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프레임유닛(100a)은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그 길이가 폭 방향(w)과 높이 방향(h)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유닛(100a)이 폭 방향(w)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 길이 방향이 모듈부(200a)의 폭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110)는 복수 개가 폭 방향(w)을 따라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연결되는 프레임부재(110)의 개수는 그 연결된 총 길이가 모듈부(200a)의 폭 방향(w) 길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프레임부재(110) 간의 연결은 프레임결합부재(120a)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결합부재(120a)에 따르면, 제2결합부(123)가 제1위치(a) 및 제2위치(b)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위치(a)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직선을 이루는 방향인 것으로, 제2위치(b)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ㄱ" 형상을 이루는 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결합부재(120a)는 제1결합부(121)와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폭 방향(w))과 같은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재(110)가 연결되는 제1위치(a)에 제2결합부(123)가 위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구비된 프레임결합부재(120a)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를 같은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프레임유닛(100a) 전체의 폭 방향(w) 또는 높이 방향(h) 길이가 연결된 프레임부재(110)의 개수에 비례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결합부재(120a)는 제1결합부(121)와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재(11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폭 방향(w))과 다른 방향(예를 들어 높이 방향(h))으로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재(110)가 연결되는 제2위치(b)에 제2결합부(123)가 위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결합부(123)의 위치 변화는,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3) 간의 힌지 결합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3)는 제1결합부(121)에 제1위치(a) 및 제2위치(b)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방향(a) 및 제2위치(b)로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결합부재(120a)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a)은, 모듈부(200a)와 표시부(300a)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프레임유닛(100a)의 크기 및 형상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a)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프레임결합부재(120a)의 형상을 조절하고, 이와 같이 형상이 조절된 프레임결합부재(120a)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를 동일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프레임유닛(100a)의 크기 및 형상을 쉽고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a)에 따르면, 프레임부재(110)나 프레임결합부재(120a) 등과 같은 부품을 모듈부(200a)와 표시부(300a)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a)은, 한 두 종류의 적은 종류로 제조되는 부품만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크기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부품 호환성이 높아 제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들고,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400b)은, 프레임유닛(100b)과, 모듈부(200)와, 표시부(300) 및 도광부(35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유닛(100b)에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b)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110b)는 모듈부(200)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모듈부(200)의 각 측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각각의 프레임부재(110b)는 베이스부(111)와 지지부(113b)를 포함한다.
지지부(113b)는 모듈부(2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b)이 형성되도록 베이스부(11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부(113b)는 베이스부(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프레임부재(110b) 전체의 단면 형상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부(111)의 양 측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격 배치된 지지부(113b) 사이에는 삽입홈(112b)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112b)에는 모듈부(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된다.
아울러, 프레임부재(110b)는 결합홀부(114b) 및 관통부(115b)를 더 포함한다. 결합홀부(114b)와 관통부(115b)는 각 지지부(113b)에 프레임부재(1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 중, 결합홀부(114b)는 베이스부(111)와 돌출부(105) 및 지지부(113b)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으로서, 이러한 결합홀부(114b)에는 프레임결합부재(120)가 끼움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홀부(114b)는 프레임결합부재(120)가 끼움 결합된 부분 외의 나머지 공간을 통해 모듈부(200)와 연결되는 배선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관통부(115b)는 지지부(113b)의 내측에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부(115b) 역시 모듈부(200)와 연결되는 배선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프레임부재(110b)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4b) 및 관통부(115b)는, 모듈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도광부(350b)는 모듈부(200)와 표시부(300) 사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부(350b)는 모듈부(200)와 인접한 내측면이 지지부(113b)에 의해 지지되고 표시부(300)와 인접한 외측면이 표시부(300)를 매개로 표시부결합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프레임유닛(100b)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도광부(350b)는 표시부(300)의 배후 측에 설치되어 모듈부(200)에서 전달되는 빛을 표시부(300)의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함으로써, 표시부(300)에 전달되는 빛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빛이 표시부(300)를 통해 더욱 밝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 100,100a,100b : 프레임유닛
105 : 돌출부 110,110b : 프레임부재
111 : 베이스부 112,112b : 삽입홈
113,113b : 지지부 114,114b : 결합홀부
115,115b : 관통부 117 : 방열돌기부
119 : 착탈결합부 120,120a : 프레임결합부재
121 : 제1결합부 123 : 제2결합부
125 : 마감부 130 : 연결지지부
131 : 지지결합부 133 : 연결지지부
140 : 표시부결합부재 150 : 밀착완충부재
200,200a : 모듈부 300,300a : 표시부
350b : 도광부
400,400a,400b :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Claims (10)

  1.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며, 빛을 발광하는 모듈부;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모듈부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모듈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프레임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결합부재는,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제2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모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열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시키는 표시부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결합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표시부결합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와 접촉되며 상기 표시부를 상기 지지부에 밀착시키는 밀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KR1020130024017A 2013-03-06 2013-03-06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KR10143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17A KR101433697B1 (ko) 2013-03-06 2013-03-06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17A KR101433697B1 (ko) 2013-03-06 2013-03-06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697B1 true KR101433697B1 (ko) 2014-08-27

Family

ID=5175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17A KR101433697B1 (ko) 2013-03-06 2013-03-06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75U (ko)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에이엘 안내용 사인구조
KR101645344B1 (ko) 2015-09-22 2016-08-1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집광 조명식 안내사인
KR20160003636U (ko) 2015-04-09 2016-10-20 주식회사 에이엘 광고용 조립식 사인구조
KR20190121063A (ko)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에이엘 안내유도사인
KR102059976B1 (ko) * 2019-05-17 2019-12-27 전연호 주차 유도 전광판용 지지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주차 유도 전광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39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광도 양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39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광도 양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75U (ko)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에이엘 안내용 사인구조
KR20160003636U (ko) 2015-04-09 2016-10-20 주식회사 에이엘 광고용 조립식 사인구조
KR101645344B1 (ko) 2015-09-22 2016-08-1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집광 조명식 안내사인
KR20190121063A (ko)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에이엘 안내유도사인
KR102059976B1 (ko) * 2019-05-17 2019-12-27 전연호 주차 유도 전광판용 지지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주차 유도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697B1 (ko) 공공시설 안내용 달대형 사인
KR101149059B1 (ko) Led전광판
KR100862938B1 (ko) 접이식 멀티 엘이디 전광판
KR100800446B1 (ko) 간판 부착장치
KR100948976B1 (ko) 엘이디 전광판
KR102021717B1 (ko) 광고의 교환이 용이하고 광고면으로 시선이 유도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킨 접이식 입간판
KR100997744B1 (ko) 광고용 조립식 간판
KR20140120728A (ko) 사방으로 광고가 이루어지면서 광고의 교환이 용이한 광고틀
KR20080077879A (ko)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1398954B1 (ko) 초경량 광고판
CN104249958A (zh) 电梯的指示灯
KR200444709Y1 (ko) 문자부착용 간판구조
KR101418251B1 (ko) 문자 부착용 광고프레임
KR20180078750A (ko) 양면형 광고간판
KR101031918B1 (ko) 액자형 조립식 간판 프레임
KR101454744B1 (ko) 시인성이 뛰어난 광고 간판
KR101339709B1 (ko) 알루미늄 다용도 프레임
KR101688745B1 (ko) 이엘 발광체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KR20170085013A (ko) 광고용 간판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간판 어셈블리
KR101488895B1 (ko) 조명광고판
CN102261144A (zh) 一种可发光龙骨结构
KR100819897B1 (ko) 엘이디 전광판의 프레임 후크 구조
KR100655089B1 (ko) 간판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80058662A (ko) 시민게시판
JP2001042800A (ja) 壁面直付照明看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