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48B1 -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148B1
KR101433148B1 KR1020120136075A KR20120136075A KR101433148B1 KR 101433148 B1 KR101433148 B1 KR 101433148B1 KR 1020120136075 A KR1020120136075 A KR 1020120136075A KR 20120136075 A KR20120136075 A KR 20120136075A KR 101433148 B1 KR101433148 B1 KR 10143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temporary
user interface
tim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618A (ko
Inventor
권영범
권오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권영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Priority to KR102012013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48B1/ko
Priority to PCT/KR2013/010825 priority patent/WO2014084587A1/ko
Publication of KR2014007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입력수단이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개시하는 단계; (c) 드래깅된 원본 일정(S1)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영역에 위치한 임시 일정 저장소로 옮겨서 드롭(Drop)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드롭된 원본 일정(S1)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USER INTERFACE OF MOBILE DEVICE FOR REUSING SCHEDULE DATA}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정을 등록, 관리, 보기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문명사에서 달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역사는 달력을 통해 기록되었고, 그 기록을 통해서 인류의 지혜가 전해지고 과학이 발전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달력에 기초한 기억을 통해서 인간관계와 인간의 다양한 활동들이 가능했다. 인간의 관계와 활동이 더욱 복잡해진 오늘날 달력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 달력은 사용자가 널리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필수 소프트웨어로 통용되었다. 대부분의 전자장치에는 달력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달력은 개인화되었고 그것은 개인의 일정관리라는 개념으로 접근되었다.
소프트웨어는 단순히 연월일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하루의 일과와 시분까지 중시하는 프로그램은 단순한 달력이라기보다는 “일정관리 소프트웨어”로 인식되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일정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오피스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도 일정관리 소프트웨어를 모듈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모바일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일정을 등록하기가 매우 불편해서 많은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했다. 도 6은 종래의 일정등록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내었다. 먼저 사용자가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일정을 추가하는 아이콘 버튼을 터치하면(S10), 일정등록 사용자 화면으로 전환하게 된다(S20).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목을 입력하고(S30), 장소를 입력하며(S40), 시작일시(S50)와 종료일시(S60)를 입력한 다음에 일정등록 완료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일정을 등록하게 된다(S70).
도 6에서 S3 내지 S6의 입력 순서는 임의적이지만, 일정 등록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이 외에도 다른 입력 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정등록 프로세스 자체가 사용자에게는 번거롭고 불편하지만, 문제는 기존에 등록했던 일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일정을 재차 등록하는 경우이다. 동일한 일정등록임에도 도 6과 같은 일정 등록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반복해야 하는 것이다.
사람의 행위에는 반복적인 패턴이 있다. 반복적인 회의나 미팅, 반복적인 강의, 반복적인 약속, 반복적인 작업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직 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일정을 관리함에 있어서 일정의 반복적인 패턴으로 인해서 동일한 혹은 유사한 내용의 일정을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그런 일정의 재사용에 대한 어떠한 편의도 제공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인 패턴이 있는 일정에 대하여 일정등록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신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예컨대 기존에 등록했던 일정 혹은 재사용할 일정을, 입력이 불편한 모바일 상에서 매번 다시 등록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단번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했던 일정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있다. 이를 통해서 데스크톱 컴퓨터와 달리 휴대용 전자장치인 모바일 기기에서 늘 지적된 입력에 한계를 일정관리의 등록 부분에서 해결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a)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입력수단이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개시하는 단계;
(c) 드래깅된 원본 일정(S1)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영역에 위치한 임시 일정 저장소로 옮겨서 드롭(Drop)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드롭된 원본 일정(S1)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위치한 임시 일정(S2)을 드래깅하는 단계; 및
(f) 드래깅된 임시 일정(S2)을 상기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테이블의 특정 위치 위로 옮겨서 드롭하기만 하여 신규 일정(S3)을 등록하는 단계(-이때 원본 일정(S1)의 일정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S2)이 드롭될 때의 시간 테이블의 영역의 시작일시가 신규 일정(S3)의 시작일시가 되고, 신규 일정(S3)의 종료일시는 원본 일정(S1)의 시작일시와 종료일시의 차이만큼을 더한 값이 되도록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S2)의 드롭 위치가 시간 테이블의 영역이 아니라 날짜만을 지정하는 위치인 경우, 신규 일정(S3)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은 원본 일정(S1)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과 동일하도록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는 상기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아래쪽에 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드롭되는 것은 상기 원본 일정(S1)의 제목이며, 임시 일정 저장소는 제목영역의 배열로 드롭된 일정정보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일정 재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출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출력수단;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 모듈;
내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메모리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일정관리 리소스를 저장하고, 일정을 임시 보관하는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일정 테이블이 사용자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입력수단이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영역에 위치한 임시 일정 저장소로 옮겨서 드롭(Drop)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드롭된 원본 일정(S1)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위치한 임시 일정(S2)을 드래깅을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테이블의 특정 위치 위로 옮겨서 드롭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드롭된 임시 일정(S2)에 대한 일정정보를 신규 일정(S3)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일정을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 과정을 거친 일정 데이터들을 다시 입력하는 과정 없이 극히 용이하게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패턴을 갖는 일정에 있어서 일정입력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오퍼레이션은 사용자의 손쉬운 사용을 보장한다. 종래 반복적인 패턴의 일정 데이터에 대해서도 통상의 일정 데이터와 동일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본 발명에 의해서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재사용을 위해서 임시 일정 저장소(130)에 일정을 등록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임시 일정 저장소(130)에 등록된 일정을 재사용하는 사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일정 저장소(130)의 인터페이스 기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일정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예컨대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입력의 감지 등)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재사용을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에 외부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디폴트로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이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자적 구성을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수단(14)으로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입력기를 갖는다. 출력수단으로는 스피커(미도시)와 디스플레이(16)가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UI/UX, 응용 소프트웨어의 UI/UX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을 갖는다. 디스플레이(16)는 화면을 출력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이 이벤트를 감지하는 입력수단을 기능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1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10)에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11)이 위치하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관리에 필요한 리소스(13)가 저장된다. 또한 임시일정저장소(13)가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프로세서(15)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5)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각종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들(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역할을 담당한다.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1)가 실행되어 일정 테이블이 사용자 화면에 표시될 때, 입력수단(14)이 상기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1)의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영역에 위치한 임시 일정 저장소로 옮겨서 드롭(Drop)하면, 프로세서(15)는 드롭된 원본 일정(S1)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13)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또한 입력수단(14)이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13)에 위치한 임시 일정(S2)을 드래깅을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테이블의 특정 위치 위로 옮겨서 드롭하면, 프로세서(15)는 드롭된 임시 일정(S2)에 대한 일정정보를 신규 일정(S3)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일정을 재사용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첫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의 선택에 의해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 일정을 드래깅하고 드롭하여 재사용하는 입출력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먼저,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개시한다(S100). 입력수단이 원본 일정(S1)을 터치함으로써 일정 재사용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핑거 터치 또는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이 담당하게 된다.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고 드래깅 된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원본 일정(S1)을 임시 일정 저장소로 이동하여 드롭(Drop)하여 임시 일정(S2)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110). 그리고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이 터치이동을 감지하여 드롭 제스처를 해석하게 된다. 다음으로 입력수단이 임시 일정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임시 일정(S2)을 드래깅한다(S120). 그런 다음에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테이블의 특정 위치로 옮겨서 드롭한다(S130).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원본 일정(S1)을 선택된 특정 위치의 신규 일정(S3)으로 자동으로 등록한다(S140).
도 3은 도 1의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인 시나리오로 나타낸다.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정 테이블 영역(110)과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을 포함한다. 일정 테이블 영역(110) 위쪽의 타이틀 영역에는 일정의 연월을 표시한다.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는 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통상 사용자는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 표시되는 일정을 입력하거나 읽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다. 일정 테이블 영역(110)은 월단위 일정, 주단위 일정, 일단위 일정과 일정의 리스트(일정 검색결과 리스트를 포함한다)를 목록보기 화면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테이블 영역(110)과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일정등록을 위한 드래깅 및 드롭을 위한 터치 이벤트-터치이동-터치종료-제스처 감지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은 상기 일정 테이블 영역(110) 밑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균등한 변형 예에서는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을 상단의 타이틀 영역과 일정 테이블 영역(110) 사이에 위치하거나 타이틀 영역과 그 위치를 바꾸는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정 테이블 영역(110) 아래에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테이블 영역(110) 위에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을 팝업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서 배제되지 않고 균등범위에 속함을 첨언해 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게는 일정 테이블 영역(110)과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은 물리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일 이를 구별하지 아니하면 사용자에게 민감한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도 3을 도시되어 있는 바에 따라 그대로 설명한다. 도 3(a)에 보는 것처럼,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는 원본 일정들이 등록되어 있다. 일정 A(111)와 일정 X(115)는 원본 일정 중의 하나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X(115) 위를 터치하고 드래깅하여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의 빈 공간(134)으로 일정 X를 이동시키면서 도 3(b)와 같이 드롭한다. 그러면 임시 일정 저장소에 원본 일정 X(115)에 대응하는 임시 일정 X(135)가 위치하고, 해당 임시 일정이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도 3에 표현되어 있는 것처럼,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에 기등록되어 있는 다른 임시 일정들(131)은 한 칸씩 이동할 수 있으며, 가장 반대쪽 일정(113)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에 드롭되는 것은 원본 일정 X(115)의 제목이며,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은 제목 영역의 배열로 드롭된 일정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주단위 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으로 옮겨져 임시 일정으로 등록된 일정 X(137; 도 3(b)의 135과 같다. 도면에서 좌우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으므로 다른 도면부호로 표시하였으나 그 대응하는 원본 일정은 도 3(a)의 일정 X(115)로 같다)을 드래깅한 다음에 일정 테이블의 소망하는 위치로 옮겨서 도 4(b)처럼 드롭하기만 하면 신규 일정 X(117)이 일정 테이블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임시 일정 X(137)이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 드롭될 때의 시간 테이블의 영역의 시작 일시가 신규 일정 X(117)의 시작 일시가 되고, 신규 일정 X(117)의 종료 일시는 원본 일정 X(도 3의 115)의 시작일시와 종료일시의 차이만큼을 더한 값이 될 수 있다.
임시 일정(X)(137)의 드롭 위치가 시간 테이블의 영역이 아니라 날짜만을 지정하는 위치인 경우, 신규 일정X(117)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은 원본 일정 X(115)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과 동일하도록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도 5를 보자.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의 인터페이스 기능의 예를 나타낸다. 화살표 ①은 입력수단에 의한 터치 이동에 의해서 좌우로 임시 일정(131) 보기를 할 수 있다는 기능을, 화살표 ②와 화살표 ③은 임시 일정(131a)와 임시 일정(131b) 사이를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서의 일정 등록을 이미 일정 테이블 영역(110)에 등록되어 있는 원본 일정을 전술한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으로 드래깅 및 드롭 방식으로 이동시키고, 이렇게 하여 임시 일정 저장소 영역(130)에 등록된 임시 일정을 소망하는 일정 테이블 영역(110)의 특정 위치로 드래깅 및 드롭 방식으로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원래의 원본 일정이 신규 일정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처럼 여러 번 입력선택을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9)

  1.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이미 등록된 원본 일정(S1) 위에 드래깅(Dragging)을 개시하는 단계;
    (c) 상기 입력수단이 드래깅된 원본 일정(S1)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영역에 위치한 임시 일정 저장소로 옮겨서 드롭(Drop)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드롭된 원본 일정(S1)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대응하는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위치한 임시 일정(S2)을 드래깅하는 단계; 및
    (f) 드래깅된 임시 일정(S2)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정 테이블의 특정 위치 위로 옮겨서 드롭하기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신규 일정(S3)을 등록하는 단계(-이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원본 일정(S1)의 일정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된다);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는 복수의 원본 일정(S1)이 위치하여 있는,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임시 일정(S2)이 드롭될 때의 시간 테이블의 영역의 시작일시가 신규 일정(S3)의 시작일시가 되고, 신규 일정(S3)의 종료일시는 원본 일정(S1)의 시작일시와 종료일시의 차이만큼을 더한 값이 되도록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임시 일정(S2)의 드롭 위치가 시간 테이블의 영역이 아니라 날짜만을 지정하는 위치인 경우, 신규 일정(S3)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은 원본 일정(S1)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과 동일하도록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는 상기 일정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아래쪽에 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일정 저장소에 드롭되는 것은 상기 원본 일정(S1)의 제목이며, 임시 일정 저장소는 제목영역의 배열로 드롭된 일정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136075A 2012-11-28 2012-11-28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KR10143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75A KR101433148B1 (ko) 2012-11-28 2012-11-28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PCT/KR2013/010825 WO2014084587A1 (ko) 2012-11-28 2013-11-27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075A KR101433148B1 (ko) 2012-11-28 2012-11-28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18A KR20140073618A (ko) 2014-06-17
KR101433148B1 true KR101433148B1 (ko) 2014-08-26

Family

ID=5082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075A KR101433148B1 (ko) 2012-11-28 2012-11-28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3148B1 (ko)
WO (1) WO2014084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21A1 (ko) * 2014-11-13 2016-05-19 소프트씨드 주식회사 일정 생성 단말기 및 일정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07B1 (ko) * 2018-10-26 2020-12-24 이현철 일정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946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KR20060127538A (ko) * 2005-06-07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정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158186A1 (en) 2007-12-17 2009-06-18 Bonev Robert Drag and drop gla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361B1 (ko) * 2009-05-04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946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KR20060127538A (ko) * 2005-06-07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정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158186A1 (en) 2007-12-17 2009-06-18 Bonev Robert Drag and drop gla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21A1 (ko) * 2014-11-13 2016-05-19 소프트씨드 주식회사 일정 생성 단말기 및 일정 생성 방법
KR20160057213A (ko) * 2014-11-13 2016-05-23 소프트씨드 주식회사 일정 생성 단말기 및 일정 생성 방법
KR101667395B1 (ko) * 2014-11-13 2016-10-19 소프트씨드 주식회사 일정 생성 단말기 및 일정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587A1 (ko) 2014-06-05
KR20140073618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8520B2 (ja) 狭小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ためのロー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7818197B2 (en)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schedul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WI590078B (zh) 用於提供經擴充的通訊服務的動態導覽欄之方法及計算設備
US2012021614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grated application and task manager display
US2013022747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a graphic user interface
US8949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in portable terminal
US2014021536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KR102036057B1 (ko) 휴대 단말기의 스누즈 간격 설정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R10222374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컴퓨터 내의 캘린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및 내비게이트하는 방법
US20130250734A1 (en) Suspendable alarms
KR101434903B1 (ko) 캘린더 내 일정 입력을 위한 사용자 계획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EP28806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ribute-based scheduling
WO2023046130A1 (zh) 应用图标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369483A (zh) 用于显示通知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JP201220856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4062345A1 (en) Enhanced views and notifications of location and calendar information
KR101433148B1 (ko) 일정 재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US20150067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tasks based on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ime
US20090066650A1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for improved calendar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1433147B1 (ko) 빠른 일정 보기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40068504A (ko)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일정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시스템
KR101474360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스케줄러의 일정 등록을 위한 날짜 지정 방법
US20170032328A1 (en) Server, control method for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server
JP2015041204A (ja) 状態表示制御装置、状態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86425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