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834B1 -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834B1
KR101432834B1 KR1020087015929A KR20087015929A KR101432834B1 KR 101432834 B1 KR101432834 B1 KR 101432834B1 KR 1020087015929 A KR1020087015929 A KR 1020087015929A KR 20087015929 A KR20087015929 A KR 20087015929A KR 101432834 B1 KR101432834 B1 KR 10143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request
transmitted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538A (ko
Inventor
실베인 스퀘딘
세르지 파필론
올리비에르 마르티노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8007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사용자 통신 단말기(Ti)의 요청 시에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R1)를 통해 상호 작용 메뉴(interactive menus)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단말기(Ti, T')가 단방향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R1)에 의해 전송되는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하고 있을 때, (i) 양방향 백채널(a two-way backchannel)을 통해서,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의 일부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전용 기능이 통신 단말기(Ti)에서 기동되는 단계와, (ii) 상기 요청의 수신 시에,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기억 수단(BD)이 액세스되며, 상기 요청된 정보는 상호 작용 메뉴인 단계와, (iii) 상호 작용 메뉴는 최소한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단계와, (iv) 콘텐츠의 분배 동안,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는 네트워크(R1)의 상기 백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 단말기(Ti)에 전송되어, 상기 요청 단말기(Ti)가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MENUS ON DEMAND TO TERMINALS COUPL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콘텐츠 및 그들의 대응하는 상호 작용 메뉴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그들이 그들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고정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콘텐츠"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또는 오디오(라디오 또는 뮤지컬) 프로그램, 게임, 멀티미디어, 혹은 컴퓨터 파일(또는 "데이터")을 정의하는 대량의 데이터 세트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신 네트워크"는 소위 "단방향(one-way)" 통신 채널 상에서 무선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그 통신 채널에 연결된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백채널(backchannels)"이라고 알려져 있는 양방향 통신 채널 상에서 그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임의의 콘텐츠 전송 모드, 구체적으로, 유니캐스트 모드, 멀티캐스트 모드 또는 브로드캐스트 모드가 계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 크는 케이블(또는 광섬유) 또는 xDSL 라인과 같은 중속 또는 고속 양방향 데이터 전송 라인(medium- or high-speed two-way data transmission lines)을 포함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또는 이동(셀룰러) 전화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위성 중계기(satellite relays)를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유형의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메시지 및 요청을 그 통신 네트워크와 교환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이동(또는 셀룰러) 전화,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암호화된 비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용 디코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수신용 "셋톱 박스", 비디오 또는 음악 프로그램 수신 디바이스,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 혹은 차량(승용차, 트럭, 버스, 기차 및 유사 차량) 내의 내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몇몇 콘텐츠 분배업자는 클라이언트와 상호 작용하여, 콘텐츠와 관련된 가용 부가 정보 및/또는 특징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및/또는 그 콘텐츠에 관한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알 수 있기를 원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분배업자는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콘텐츠 데이터 내에 미리 조절된 시각에 상호 작용 서비스를 가능하게는 메뉴 형태로 제공하는 상호 작용 데이터를 통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신의 단말기로 수신된 콘텐츠를 시청(또는 청취)하는 클라이언트는, 조사에 응답하고, 전화 호출음 또는 영화나 음악을 다운로드하며, 혹은 초고속 재생(a slow-motion replay)을 시청하는 소정 순간에 나타나는 특정 메시지의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이 상호 작용 모드는 적어도 세 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첫 번째로, 그것은 콘텐츠가 방송되는 동안에 상호 작용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게 강요하여 불쾌감을 가져올 수 있다. 두 번째로, 그것은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상호 작용 서비스를 원하거나 필요로 할 때가 아닌 미리 조절된 시각에만 클라이언트가 상호 작용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세 번째로, 그것은 개인화된 서비스가 아니라 단지 평균적인 클라이언트의 프로파일에 대응하기로 되어 있는 상호 작용 서비스를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분배업자의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에 또는 클라이언트가 원할 때마다 상호작용 및 가능하다면 문맥 기반 메뉴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상황을 개선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시에 상호작용 메뉴를 제공하는 전용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콘텐츠가 단방향 채널 상에서 단말기에 의해 분배될 때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ⅰ) 통신 단말기에서 전용 특징을 기동하여(콘텐츠를 분배하는 통신 단말기와는 상이한 통신 단말기에서 전용 특징을 기동할 가능성이 있음),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네트워크에서 양방향 백채널(a two-way backchannel)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ⅱ) 이 요청이 수신될 때,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기억 수단에 액세스하는 단계,
(ⅲ) 최소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에 대한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ⅳ) 네트워크 백채널을 통해서 상기 생성된 상호작용 메뉴를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가 그것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수도 있는 다음과 같은 다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 단계(ⅰ)에서, 요청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는, 콘텐츠가 유니캐스트 모드에서 라이브로 요청 단말기(이러한 경우에는 분배용 단말기이기도 함)에 전송될 때마다, 단계(ⅱ)는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 단계(ⅰ)에서, 요청 단말기는 그것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콘텐츠가 유니캐스트 모드에서 라이브로 요청 단말기(이러한 경우에는 분배용 단말기이기도 함)에 전송될 때마다, 단계(ⅲ)는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 단계(ⅲ)에서, 제 2 메모리 수단은 (사용자 프로파일과 같은)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표시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제 2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 있고, 다음으로, 상호작용 메뉴는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 단계(ⅲ)에서, 상호 작용 메뉴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전송되었던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고려하여 제 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 요청 단말기(이후에는 분배용 단말기)에 라이브로 전송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시각 정보는 단계(ⅲ)에서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요청이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었던 시각이다.
= 일 변형예에서, 요청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가 이전에 요청 단말기(이러한 경우에는 분배용 단말기이기도 함)에 전송된 다음에 저장될 때마다, 시간 정보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작 이후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반면, 콘텐츠가 요청 단말기에 라이브로 전송될 때마다, 시간 정보는 요청이 생성되었던 순간이다.
- 적어도 몇몇 제 1 데이터는 개략적으로 라이브로 편집 및/또는 갱신될 수 있다.
- 요청 단말기의 스크린은 콘텐츠용 상호 작용 메뉴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 3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데이터는 콘텐츠 분배 시작 직전의 시구간 동안 또는 콘텐츠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시구간 동안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 본 발명의 방법은 단말기에서의 요청이 메뉴 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지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ⅴ) 및 전송된 메시지의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충족시키고 및/또는 전송된 네트워크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단계 (ⅵ)를 포함할 수도 있다.
- 단계 (ⅱ), (ⅲ) 및 (ⅳ)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발명은 또한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기술한다. 이 프로세싱 수단은 양방향 채널 상에서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수신하고 단말기에 의해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의 전송을 요청 단말기가 요청할 때마다, (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기억 수단에 액세스하고, 이어서 (ⅱ) 적어도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 접속 메뉴를 생성하며, (ⅲ) 네트워크 백채널을 통한 요청 단말기로의 상호 접속 메뉴 전송을 개시하고, 그에 의해서 요청 단말기가 상호 접속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호 접속 메뉴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수 있는 아래의 다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 라이브로 전송된 콘텐츠의 일부의 요청 단말기에 의한 분배를 위해,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수단은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요청은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 통신 디바이스의 처리 수단은 제 2 기억 수단에 액세스하여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표기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 제 2 데이터를 고려하면서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 요청 단말기가 라이브 및 피어-투-피어 모드로 콘텐츠를 분배하고 있을 때,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수단은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요청은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수단은 콘텐츠 방송에 대한 요청이 전송된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고려하면서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 요청 단말기가 라이브로 전송된 콘텐츠를 분배할 때,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수단은 시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정보는 요청이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시간이다. 일 변형예에서, 요청은 시간 정보의 일부를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메시지가 그것의 사용자에 의해 메뉴 내에서 선택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지정을 포함하는 경우,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수단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충족하고 및/또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수신된 메시지의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검사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콘텐츠 서버가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단말기의 요청 시에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하는 전용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이고 기능적으로 도시한다.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소용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정의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그러한 요청을 만드는 통신 단말기에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비제한적인 예시 목적으로, 통신 단말기로는 UMTS 네트워크(또는 그 변형 또는 등가물)와 같은 이동(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비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라디오 프로그램과 같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또는 셀룰러) 전화가 고려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통신 단말기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상, 본 발명은 모든 유형의 통신 단말기, 모든 유형의 네트워크 및 도입부에서 정의된 모든 유형의 콘텐츠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제로 분배된 컨텐츠의 유형과는 무관하며, 본 발명의 구현의 세부사항만이 콘텐츠 전송 모드에 의존한다.
단일 도면은 통신 단말기(Ti)(본 일례에서는 i=1 내지 3이지만 0이 아닌 임 의의 값을 취할 수도 있음)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R1)와, 가능하다면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MP3 재생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분배 단말기(T')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가 "단방향" 채널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R1)에 의해 전송된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할 때마다 분배 받은 단말기의 요청 시에 네트워크(R1)를 통해 이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를 이 네트워크(R1)의 클라이언트에게 속하며, 또한 분배용 단말기(T') 또는 분배용 단말기와는 다르지만 그것의 중간 환경에 위치하는 단말기인 통신 단말기(Ti)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콘텐츠는 반드시 네트워크(R1)의 운용자인 것은 아닌 콘텐츠 분배기에 속하는 콘텐츠 서버(SC)에 의해 전송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네 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 시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을 양방향 "백채널"을 통해서 네트워크(R1)에 전송하기 위해 단방향 채널 상에서 네트워크(R1)에 전송된 콘텐츠를 분배하는 단말기와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는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T1)에서의 전용 기능을 기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분배용 단말기(T')가 특정 시점에 분배된 일부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였고, 분배 단말기와 이웃하는 통신 단말기, 소위 요청 단말기가 분배용 단말기에 의해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요청을 생성하는 제 1 상황과, 통신 단말기가 특정 시점에 분배된 일부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였고,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요청을 생성하는 제 2 상황 모두에 본 발명이 적용됨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능하게는 콘텐츠 분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Ti)만이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요청 단말기라고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분배된 콘텐츠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또는 데이터와 같은) 오디오 및/또는 시각 정보일 수 있음이 인지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에서는, 분배된 콘텐츠가 시각적이고, 그 결과 콘텐츠가 통신 단말기(Ti)용 스크린(MA) 또는 분배용 단말기(T')용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에 의해 분배됨이 비제한적인 예시 목적으로 전제된다.
전용 기능은 콘텐츠가 요청 단말기(T1)의 스크린(MA) 또는 분배용 단말기(T')의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요청 단말기(T1)의 사용자의 개시 시 언제든지 기동될 수 있다.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라이브로, 즉 네트워크가 콘텐츠를 분배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지연되어, 즉 일단 네트워크(R1)에 의해 전송된 후 단말기(Ti 또는 T')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기동을 인에이블링하기 위해서, 요청 단말기(Ti)는 상호 작용 메뉴를 제공하도록 전용된 애플리케이션(AT)을 장착해야 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가능하다면 사용자의 요청 시에 또는 네트워크(R1)의 운영자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가 되거나, 또는 요청 단말기가 제조되고 있을 때에 미디어 판독기(이후에 그것의 일부를 형성함)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요청 단말기(Ti)의 키에 의해서 제어되거나 혹은 메뉴 또는 서브메뉴로부터 구성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되거나 혹은 음성 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이 기동되었을 때, 그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요청 단말기(Ti)의 스크린(MA) 또는 분배용 단말기(T')의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을 생성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가 지연된 후에, 즉 요청 단말기(Ti)에 전송되어 저장된 후에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혹은 다수의 콘텐츠의 일부가 브로드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 모드에서 한 번에 전송될 때마다 필수적이다. 그 밖의 모든 상황에서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분배된 콘텐츠의 식별자를 콘텐츠 분배자와 상담함으로써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단 하나의 옵션이 있다. 콘텐츠가 분배용 단말기(T')에 의해 분배될 때마다, 요청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에게 알려줘야 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또한 그것이 설치된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가 지연되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혹은 콘텐츠가 브로드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 모드에서 전송될 때마다 혹은 콘텐츠가 요청 단말기(Ti)에 의해서가 아니라 분배용 단말기(T')에 의해서 분배될 때마다 필수적이다. 그 밖의 모든 상황에서는, 그것의 백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요청을 전송하고 있는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네트워크(R1)와 상담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면 단 하나의 옵션이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가 전송된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요청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지칭될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서, 콘텐츠가 지연되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이 통합은 원격 디바이스가 요청 단말기(Ti)의 스크린(MA) 또는 분배용 단말기(T')의 스크린(MA') 상에서의 콘텐츠 분배 시작 이래로 경과된 시간을 결정할 수 없다면 이 통합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경우, 시간 정보의 일부는, 예를 들어 분배가 시작된 이래로 경과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밖의 모든 상황에서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부분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요청이 생성되었던 순간을 결정할 수 있다면, 단 한 가지 옵션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청은 네트워크(R1)에 연결(그러나 반드시 네트워크(R1)의 일부인 것은 아님)되고 어드레스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EC)에 의해서 처리된다. 이 통신 디바이스(EC)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한 가지 유형의 콘텐츠에 전용되거나 혹은 하나의 콘텐츠 분배자에게 전용되는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EC)가 설계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 가, 제 1 통신 디바이스가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전용되고, 제 2 통신 디바이스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콘텐츠와 관련된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전용되며, 제 3 통신 디바이스가 오디오 또는 라디오 프로그램 콘텐츠와 관련된 요청을 처리하는 데에 전용되는 것이 예견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EC)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요청 단말기(Ti)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이 그들의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단일 어드레스만을 가질 때, 부가 통신 디바이스(EG)가 포함되어, 모든 요청을 수집하고, 그들 모든 요청 각각을 처리해야 하는 통신 디바이스(EC)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들 요청을 분석할 수 있다.
제 2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EC)가 요청 단말기(Ti)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시작된다.
제 2 단계는 요청의 의도된 수신자인 통신 디바이스(EC)에 의해 처리되는 모든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기억 수단(BD)으로 액세스하여 요청 단말기(Ti)(또는 분배용 단말기(T')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모든 제 1 데이터를 그로부터 추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렇게 하기 위해,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EC)는 수신한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세싱 모듈(MT)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프로세싱 모듈(MT)은 수신된 요청에 의해 요청되고 있는 콘텐츠의 식별자를 결정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콘텐츠 식별자는 요청의 일부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싱 모듈(MT)은 콘텐츠 분배자와 상담함으로써 콘텐츠의 식별자를 결정해야 한다(이것은 요청 단말기가 또한 콘텐츠를 분배하는 단말기라면 가능하지 않다).
일단 프로세싱 모듈(MT)이 콘텐츠의 식별자를 갖는다면, 프로세싱 모듈(MT)은 제 1 기억 수단(BD)에 액세스하여 그로부터 식별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ME)을 로딩한다.
제 1 기억 수단(BD)이 반드시 통신 디바이스(EC)의 일부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인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단일 도면에 예시된 일례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것은 콘텐츠 분배자(들)에 의해 제공되고, 편집되며 갱신된 정보를 포함한다. 그 결과, 제 1 기억 수단(BD)은 콘텐츠 분배자의 디바이스 상에, 예를 들어 그것의 콘텐츠 서버(SC)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통신 디바이스(EC)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들 제 1 기억 수단(BD)은 임의의 형태, 특히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는, 심지어 멀리 동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되기만 한다면, 그들의 분배자에 대한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와 같은 스포츠 프로그램의 경우, 제 1 데이터는 경기자 및 코치에 관한 정보, 코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략, 또는 경기 중인 팀(또한 가능하게는 동일한 리그 또는 외부 리그 내의 다른 모든 팀에)에 관한 정보, 특히 그들의 각각의 기록, 해당 시즌 시작 이래로 각각의 경기 결과 및 그들의 다음 경기(들)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가 편집 및/또는 갱신될 수 있을 때마다, 그것은 막 재생된 이미지 시퀀스로 이루어져 초고속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가 뮤지컬일 때마다, 제 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작품이 콘텐츠 분배자에 의해 분배되고 있는 오케스트라, 가수 또는 악단에 관한 정보, 특히 그들의 취입 레코드 일람표(their discographies) 또는 그들의 다가오는 공연 일정 및 장소에 관한 정보, 혹은 그들의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유료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단 추출 모듈(ME)이 요청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모든 제 1 데이터를 추출했다면, 추출 모듈(ME)은 그것들을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단계를 구현하는 생성 모듈(MG)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제 3 단계는 적어도 (제 1 기억 수단(BD)으로부터 추출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메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 3 단계에서, 생성 모듈(MG)은 요청 단말기의 스크린(MA)(또는 이웃하는 분배용 단말기(T')의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요청을 전송했던 요청 단말기(Ti)용의 상호 작용 메뉴를 작성한다.
프로세싱 모듈(MT)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전송된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가질 때마다, 그것의 생성 모듈(MG)은 상호 작용 메뉴를 개선하거나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것은 요청 단말기(Ti)의 스크린(MA)(또는 이웃하는 분배용 단말기(T')의 스크린(MA')) 상에 막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일부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상호 작용 메뉴 내에 통합할 수 있다. 그 후, 상호 작용 메뉴는 문맥에 맞게 된다. 스포츠 프로그램의 전술한 일례에서는, 예를 들어 막 발생한 경기(또는 막 디스플레이된 경기)를 하나 이상의 상이한 각도에서 볼 수 있는 한 차례 이상의 초고속 재생이 메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정보의 일부는 요청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콘텐츠 분배기의 콘텐츠 서버(SC)와 동기화되는 클록을 이용하여 프로세싱 모듈(MT)에 의해 결정된다. 후자의 경우, 프로세싱 모듈은 요청을 수신했던 날짜 및 그 요청이 생성되었던 날짜를 식별한다.
당연히 시간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 2 데이터가 시간(또한 가능하게는 날짜)과 관련하여 저장되어야 한다.
프로세싱 모듈(MT)이 요청을 전송했던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자를 가질 때마다, 그것의 생성 모듈(MG)은 유리하게도 그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화된(또는 문맥에 맞는)상호 작용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제 2 데이터는 네트워크(R1)에 연결된 제 2 기억 수단(BP) 내에 저장된다. 그것은 예를 들어, 그들의 사용자 식별자와 관련하여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또는 일부)일 수 있다.
제 2 기억 수단(BP)이 반드시 통신 디바이스(EC)의 일부분일 필요는 없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특히 도면 내에 예시한 일례에서 특히 그러하다. 제 2 기억수단은 콘텐츠 분배자 또는 네트워크(R1)의 운영자가 제 2 기억수단의 클라이언트일 때(필수적인 것은 아님) 콘텐츠 분배자 또는 네트워크(R1)의 운영자에 의하여 제공되고, 편집되며, 갱신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 결과, 제 2 기억 수단(BP)은 (그것의 콘텐츠 서버(SC)와 같은) 콘텐츠 분배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통신 디바이스(EC)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2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들 제 2 기억 수단(BP)은 임의의 형태, 특히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데이터는, 심지어 멀리 동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와 관련되기만 한다면,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연령대, 성별, 프로그램 선호도, 취향, 관심 분야, 취미, 프로그램 시청 시간 슬롯, 및 일반적으로 말해서 사용자를 개인화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될 수 있다. 사용자에 관한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콘텐츠 분배자에 의해 특히 시청층 분석 또는 시청률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문맥에 맞는 상호 작용 메뉴의 일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시청(또는 청취)하고 있는 콘텐츠에 간접적으로 링크된 작용을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의도된 서브메뉴를 요구할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이 방법으로, 서브메뉴는 사용자와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 친구의 리스트 또는 사용자와 동일한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친구의 리스트 또는 친구와의 채팅창을 개방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커뮤니티 정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당연히,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프로파일(또는 제 2 데이 터)은 그것을 허용해야 하며, 친구의 식별자는 제 2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야 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EC)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코어 내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액세스하도록 위임받아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의 식별자는 요청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R1)와 상담함으로써 프로세싱 모듈(MT)에 의해 결정된다. 후자의 경우, 네트워크(R1)는 요청 통신 단말기(Ti)의 식별자를 알고 있는데, 이는 그것이 백채널 중 하나를 통해서 그것의 요청을 전송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그것이 상기 요청 단말기(Ti)의 것과 동일한 식별자일 때에는, 그로부터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유추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일단 프로세싱 모듈(MT)이 상호 작용 메뉴(문맥에 맞을 수 있음, 즉 개인화되거나 일시적으로 개선됨)를 갖는다면, 그것은 네트워크(R1)를 통해서 요청 단말기(Ti)에게 전송되고 있는 메시지의 형태로 그것을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 전송은 본 발명의 방법의 제 4 단계를 구성한다.
요청 단말기(Ti)가 이전에 요청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 백채널(즉, 동일한 채널)을 통해서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요청 단말기(Ti)는 전용 애플리케이션(AP)으로 그것을 전송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 메뉴를 추출하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상부에 오버레이하는 등에 의해서 그것을 스크린(AM)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그것의 요청 단말기(Ti)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명령한다.
그 후,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호작용 메뉴 내에서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방법은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이 요청 단말기(Ti)의 사용자에 의해 상호작용 메뉴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지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 메시지를 이전에 사용된 백채널을 통해서 상호 작용 메뉴에 전송했던 통신 디바이스(EC)에게 전송할 것을 상기 요청 단말기(Ti)에게 명령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로 이어진다.
통신 디바이스(EC)가 네트워크(R1)를 통해서 요청 단말기(Ti)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모듈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메시지로부터 콘텐츠를 추출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의 가능한 제 6 단계를 구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프로세싱 모듈(MT)은 사용자가 (상호 작용 메뉴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관한) 특정 요청을 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러했던 경우에는 그의 요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 동작은 뮤지컬 리코딩을 전송하거나 또는 판매 지불에 전용되는 등의 동작,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특정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서버와의 커넥션을 설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MT)은 또한 전송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메모리(도시하지 않았으며, 반드시 통신 디바이스(EC)의 일부일 필요는 없음) 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분배기가 시청층 분석 또는 시청률을 이행하거나 개선하는 데 유용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통신 디바이스(EC)의 프로세싱 모듈(MT)은 전자 회로, 소프트 웨어(또는 컴퓨터) 모듈, 또는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를 상호 작용에 익숙케 하기 위해서, 전용 애플리케이션(AP)은 그것의 단말기(Ti)의 스크린(MA) 상에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의 효용성을 나타내는 제 3 데이터를 오버레이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제 3 데이터는 스크린(MA)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직전의 시간 간격 동안 또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기간 동안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간격 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제 3 데이터는,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오디오 메시지 및/또는 로고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은 메뉴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에 덧붙일 필요가 없게 한다.
- 본 발명은 분배용 단말기(텔레비전 수상기, 가능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부를 시청하는 있는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가 동일한 분배용 단말기 상에서 상기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을 수 있는 다른 사람을 방해하지 않고서 상기 메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사용자가 상호 작용 메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 본 발명은 전송 모드로부터의 독립성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은 새로운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본 발명은 고정 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또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모두와 관련된다.
- 본 발명은 문맥에 맞는 정보(사용자 프로파일 및/또는 시간 관련 정보)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일례로서 제공되는 전술한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의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틀 내에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변형을 포괄한다.

Claims (18)

  1. 사용자 통신 단말기의 요청 시에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작용 메뉴(interactive menus)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단방향 채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되는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하고 있을 때,
    (i)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의 일부의 전송을 요구하는 요청을 양방향 백채널(a two-way backchannel)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용 기능이 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되는 단계와,
    (ii) 상기 요청의 수신 시에,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기억 수단이 액세스되는 단계와,
    (iii) 적어도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청된 정보인 상호 작용 메뉴가 생성되는 단계와,
    (iv) 상기 콘텐츠의 분배 동안,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는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백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상호 작용 메뉴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i)에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는 상기 분배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요청 내에 통합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하는 단말기와 동일하며,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로 전송된 콘텐츠가 라이브(live) 및 피어-투-피어 모드로 전송될 때,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단계(ii)에서 결정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단계(iii)에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결정되고, 제 2 메모리 수단(BP)이 액세스되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상호 작용 메뉴가 생성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단계(iii)에서, 상기 상호 작용 메뉴는 상기 요청이 상기 분배된 콘텐츠에 관하여 전송되었던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한 단말기이고,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로 전송된 콘텐츠의 일부가 라이브로 분배될 때, 상기 시간 정보의 일부는 단계(iii)에서 결정되되, 상기 정보는 상기 요청이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시간인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호 작용 메뉴를 제공함을 나타내는 제 3 데이터가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스크린(M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분배 시작 직전의 시구간 동안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분배되고 있는 시구간 동안에 적어도 선택된 시간 간격 동안에도 디스플레이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가 상기 메뉴 내에서 상기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지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v)와,
    상기 전송된 메시지의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요청을 충족시키거나 상기 전송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정보가 기록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단계(vi)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vi)는 상기 서버 내에서 수행되는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12. 삭제
  13.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양방향 채널 상에서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수신하고 단말기에 의해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호 작용 메뉴의 전송을 요청할 때,
    (i)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1 기억 수단에 액세스하고,
    (ii) 적어도 상기 분배된 콘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하며,
    (iii) 상기 요청 단말기가 상기 상호 작용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상호 작용 메뉴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상의 백채널을 통해서 상기 요청 단말기로 상기 상호 작용 메뉴의 전송을 개시하는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요청 단말기가 라이브 및 피어-투-피어 모드로 전송된 콘텐츠의 일부를 분배하고 있을 때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전송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제 2 기억 수단(BP)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표시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상기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요청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에 대해서 전송되었던 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의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작용 메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요청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메뉴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지정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충족시키거나 상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087015929A 2005-11-30 2006-11-27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KR101432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3645 2005-11-30
FR0553645A FR2894104B1 (fr) 2005-11-30 2005-11-30 Procede de fourniture sur demande de menus interactifs a des terminaux couples a un reseau de communication
PCT/FR2006/051235 WO2007063242A2 (fr) 2005-11-30 2006-11-27 Procede de fourniture sur demande de menus interactifs a des terminaux couples a un reseau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38A KR20080075538A (ko) 2008-08-18
KR101432834B1 true KR101432834B1 (ko) 2014-08-26

Family

ID=3691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929A KR101432834B1 (ko) 2005-11-30 2006-11-27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54947A1 (ko)
EP (1) EP1793605A1 (ko)
JP (1) JP5160439B2 (ko)
KR (1) KR101432834B1 (ko)
CN (1) CN101682732B (ko)
FR (1) FR2894104B1 (ko)
WO (1) WO20070632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356A (ja) * 2007-10-05 2009-04-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スクロール方法
KR100884765B1 (ko) 2007-12-06 2009-02-23 주식회사 드리머 서비스 제공 환경 분석 기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과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EP2073551B1 (en) * 2007-12-20 2011-03-02 Koninklijke KPN N.V.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TV signal
KR102294600B1 (ko) * 2015-04-07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607A (ja) * 2001-12-06 2003-06-20 Sony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
KR20050059268A (ko) * 2002-10-28 2005-06-17 노키아 코포레이션 근접하게 위치한 디바이스의 그래픽 표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2344B2 (en) * 1995-04-24 1999-11-04 Rovi Guid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remote product ordering
CA2374730C (en) * 1995-10-02 2012-04-03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5929850A (en) * 1996-07-01 1999-07-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having on-demand web-like navigational capabilities for displaying requested hyperlinked web-like still images associated with television content
US6208335B1 (en) * 1997-01-13 2001-03-27 Div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6426778B1 (en) * 1998-04-03 2002-07-30 Avid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mponents in motion video
TW516309B (en) * 1999-12-10 2003-01-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Features for use with advanced set-top applications o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US9503789B2 (en) * 2000-08-03 2016-11-22 Cox Communications, Inc. Customized user interface generation in a video on demand environment
EP2293564A1 (en) * 2000-10-11 2011-03-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on-demand media
US20020162117A1 (en) * 2001-04-26 2002-10-31 Martin Pears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synchronized interactive content interrelated to broadcast content
US7966631B2 (en) * 2001-08-08 2011-06-21 Thomson Licensing MPEG-4 remot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93791A1 (en) * 2001-11-09 2003-05-15 Julia Luc E.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20030093794A1 (en) * 2001-11-13 2003-05-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retrieval, update and presentation
US8799975B2 (en) * 2001-12-06 2014-08-0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television broadcast
US20030159155A1 (en) * 2002-02-20 2003-08-21 Lee S. Weinblatt Interactive reward associated with a broadcast
KR20050021495A (ko) * 2002-07-17 2005-03-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동시 멀티-유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비한 수신기
US20040268419A1 (en) * 2003-06-24 2004-12-30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content without embedded triggers
US20060123451A1 (en) * 2004-12-07 2006-06-08 Showtime Networks Inc. Enhanced content in an on-demand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607A (ja) * 2001-12-06 2003-06-20 Sony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
KR20050059268A (ko) * 2002-10-28 2005-06-17 노키아 코포레이션 근접하게 위치한 디바이스의 그래픽 표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60439B2 (ja) 2013-03-13
WO2007063242A3 (fr) 2009-12-17
WO2007063242A2 (fr) 2007-06-07
FR2894104B1 (fr) 2008-02-01
KR20080075538A (ko) 2008-08-18
JP2009517944A (ja) 2009-04-30
CN101682732B (zh) 2012-05-23
US20090254947A1 (en) 2009-10-08
FR2894104A1 (fr) 2007-06-01
EP1793605A1 (fr) 2007-06-06
CN101682732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ntent access
US8874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n experience with media content between multiple devices
US6956833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ireless data storage on a server and data retrieval
KR100854531B1 (ko) 방송 매체 스트림의 대표적인 매체 객체들을 단말기에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457582B2 (en) Broadcast program scene notification system
JP5044175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該当する場合には対話型であるコンテンツを、通信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端末装置に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235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US20060218226A1 (en) Automatic recording based on preferences
US200702917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to user targeted advertising
JP2005523665A (ja) 放送メディアストリームに関連するオブジェクトをユーザー端末に供給するユーザー端末、メディア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109115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based on a subscription
EP2150937A1 (en) Drag-and-drop abstraction
CN101252674B (zh) 网络系统、服务器设备、终端设备、内容指南的显示方法
KR101432834B1 (ko) 상호 작용 메뉴 제공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US20070240064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hange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chang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2243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l private broadcasting service with a mobile terminal
KR100716577B1 (ko)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휴대전화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제공 방법
JP4130760B2 (ja) コンテンツ配信管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1059622A2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ireless data storage on a server and data retrieval
JP2007060390A (ja) コンテンツ再生端末
KR20100022326A (ko) 북마크 설정이 가능한 vod 재생장치 및 vod의 북마크설정방법과 북마크를 활용한 vod 재생방법
EP1102481B1 (en) Improvements to data receiving apparatus
KR100671147B1 (ko) 명장면 체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7777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876000B1 (ko) 정보 제공자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양방향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8

Effective date: 201407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