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08B1 - Directional Coupler - Google Patents

Directional Cou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708B1
KR101432708B1 KR1020120124961A KR20120124961A KR101432708B1 KR 101432708 B1 KR101432708 B1 KR 101432708B1 KR 1020120124961 A KR1020120124961 A KR 1020120124961A KR 20120124961 A KR20120124961 A KR 20120124961A KR 101432708 B1 KR101432708 B1 KR 10143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egion
signal
distance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8216A (en
Inventor
강승렬
윤금영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2012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708B1/en
Publication of KR2014005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4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the guides being strip lines or micro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1Hollow waveguides integrated in a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한 방향성 결합기가 제공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A directional coupler is provided that minimizes the loss of signal with frequency. Wherein the directional coupler includes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line includes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sequentially arranged, and the first region, 3 reg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by a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by a second dis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tance.

Description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Directional Coupler

본 발명은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coupler.

방향성 결합기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한다. 신호가 신호 선로로 통과할 때, 신호 검출 선로의 일단에 상기 신호 선로의 전력에 비례하는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방향성 결합기는 통신용 중계기, 기지국 등에 사용될 수 있다.The directional coupler includes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n the signal passes through the signal line, a detection signal proportional to the power of the signal line is output to one end of the signal detection line. Such a directional coupler can be used for a communication repeater, a base station, and the like.

한편, 사용되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λ/4 길이로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5GHz일 경우 약 9mm 내외 길이의 신호 선로가 사용되고, 주파수가 1GHz일 경우 약 45mm 내외 길이의 신호 선로가 이용된다. 이와 같이, 신호 선로가 길어지면, 신호의 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can be realized with a length of? / 4 on the basis of a frequency to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is 5 GHz, a signal line having a length of about 9 mm is used, and when the frequency is 1 GHz, a signal line having a length of about 45 mm is used. As described above, if the signal line is long, the loss of the signal may increas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한 방향성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ional coupler that minimizes signal loss according to frequency.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결합기의 일 태양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rectional coupler compris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line includes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spaced apart from the signal line by a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region is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by a second dis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tance.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길 수 있다.The second distanc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rea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area may be equal to each other.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각각 굽어진 제1 부분 선로 및 상기 제3 부분 선로와, 상기 제1 부분 선로와 상기 제3 부분 선로 사이에 연결된 제2 부분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first partial line and a third partial line b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nd a second partial lin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ial line and the third partial line, .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동일한 배선층에 형성될 수 있다.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may be formed in the same wiring layer.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기판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서로 다른 배선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오버랩되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서로 다른 배선층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are formed in different wiring layers,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overlap the signal line, and the first distance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different wiring layers.

상기 신호 선로는 제1 피딩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제2 피딩 선로와 연결될 수 있다.The signal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line, and the signal detecting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line.

상기 제1 피딩 선로는 기판의 제1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피딩 선로는 상기 기판의 제2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eeding line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a first corner of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feeding line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located at a second corner of the substr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결합기의 다른 태양은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된 제1 피딩 선로; 상기 제1 피딩 선로와 연결된 신호 선로; 상기 기판의 제2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된 제2 피딩 선로; 및 상기 제2 피딩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신호 선로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rectional coupler comprising: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a first edge of the substrate; A first feed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line; A second electrode located at a second edge of the substrate; A second feeding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that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line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line,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connected to the signal The signal lin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ne by a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gnal line by a second dis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tance.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길 수 있다.The second distanc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area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area may be equal to each othe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다.
도 7는 도 6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다.
도 9는 도 8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다.
도 12는 도 11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either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ne case.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 another element, it does not intervene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평면도, 분해사시도고, 도 4는 도 1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스트립 라인(strip line)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이다.FIGS. 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The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a strip line structur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는 기판(10), 제1 전극(11a, 11b), 제2 전극(12a, 12b), 신호 선로(30), 신호 검출 선로(40), 제1 피딩 선로(51, 52), 제2 피딩 선로(61, 62), 접지패턴(20a, 20b, 2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 first electrodes 11a and 11b, second electrodes 12a and 12b, a signal line 30, a signal detecting line 40, first feeding lines 51, 52, second feeding lines 61, 62, ground patterns 20a, 20b, 20c, and the like.

기판(10)은 세라믹 기판(예를 들어, 알루미나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유리 기판, 페라이트 기판, 유전체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10)은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의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10 may be, but not limited to, a ceramic substrate (e.g., an alumina substrate, a glass ceramic substrate, a glass substrate, a ferrite substrate, or a dielectric substrate). The substrate 10 may be rectangular in shape, as shown. That is, as shown in Fig. 2, it may include a short side in a first direction (e.g., a lateral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 a second direction (e.g., a longitudinal direction).

제1 전극(11a, 11b)은 기판(10)의 2개의 제1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제1 모서리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12a, 12b)은 기판(10)의 2개의 제2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제2 모서리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s 11a and 11b may be located at two first corners of the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2, a rectangular long side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first corners. The second electrodes 12a and 12b may be located at two second corners of the substrate 10. As shown in Fig. 2, a rectangular long side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second corners.

접지 패턴(20a)은 기판(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접지 패턴(20b)은 기판(10)의 하면에 위치하고, 접지 패턴(20c)은 접지 패턴(20a)와 접지 패턴(20b)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round pattern 20a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the ground pattern 20b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ground pattern 20c connects the ground pattern 20a and the ground pattern 20b to each other .

신호 선로(30)와 신호 검출 선로(40)는 기판(10) 내에 형성된다. 또한, 신호 선로(30)와 신호 검출 선로(40)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신호 선로(30)와 신호 검출 선로(40)는 동일한 배선층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ignal line 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are formed in the substrate 10. Further, the signal line 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gnal line 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can be formed in the same wiring layer.

신호 선로(30)는 제1 피딩 선로(51, 52)와 연결되고, 제1 피딩 선로(51, 52)는 제1 전극(11a, 11b)과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선로(30)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gnal line 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lines 51 and 52 and the first feeding lines 51 and 5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11a and 11b. The signal line 30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신호 검출 선로(40)는 제2 피딩 선로(61, 62)와 연결되고, 제2 피딩 선로(61, 62)는 제2 전극(12a, 12b)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ignal detecting line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lines 61 and 62 and the second feeding lines 61 and 6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s 12a and 12b.

신호 검출 선로(40)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41), 제2 영역(42), 제3 영역(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과 제3 영역(43)은 신호 선로(30)와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영역(41)과 제3 영역(43)은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gnal detection line 40 may include a first region 41, a second region 42, and a third region 43 that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are disposed adjacent to and in parallel with the signal line 30. 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에서, 제1 영역(41)의 길이와 제3 영역(43)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영역(41)의 길이와 제3 영역(43)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In the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are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rder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area 41 and the length of the third area 4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 영역(42)은, 제1 영역(41) 및 제3 영역(43)으로부터 각각 굽어진 제1 부분 선로(44) 및 제3 부분 선로(46)와, 제1 부분 선로(44)와 제3 부분 선로(46) 사이에 연결된 제2 부분 선로(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선로(44)와 제3 부분 선로(46)는 굴곡없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region 42 includes the first partial line 44 and the third partial line 46 bent from 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and the first partial line 44, And a second sub-line 45 connected between the third sub-lines 46. The first partial line 44 and the third partial line 46 may be formed long without any ben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영역(41)과 제3 영역(43)은 신호 선로(30)와 제1 거리(a)만큼 이격되고, 제2 영역(42)은 신호 선로(30)와 제1 거리(a)와 다른 제2 거리(b)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거리(b)는 제1 거리(a)보다 길 수 있다.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are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30 by a first distance a and the second region 42 is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30 by the first distance a, And may be spaced apart by another second distance b. As shown, the second distance b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에서, 신호의 주파수에 관계없이, 신호 선로(30)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신호 검출 선로(40)의 길이만을 조절하여, 원하는 규격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선로(30)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의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length of the signal detecting line 40 is adjusted without changing the length of the signal line 30,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the signal,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transmission loss of a signal that may occur as the length of the signal line 30 increases.

신호 선로(30)의 일단(예를 들어, 제1 전극(11a))으로부터 입력되고, 타단(예를 들어, 제1 전극(11b))에 출력될 때에 발생하는 손실을 "삽입손실"이라 칭한다. 또한, 신호 선로(30)의 일단(제1 전극(11a))으로부터 입력되고, 신호 검출 선로(40)의 일단(예를 들어, 제2 전극(12b))에 출력되는 전력을 "결합도"라고 칭한다. 또한, 신호 선로(30)의 일단(제1 전극(11a))으로부터 입력된 전력이 결합기 내부나 출력단(타단)(제1 전극(11b))등에서 반사되어 입력단(제1 전극(11a))에 출력되는 전력에 대하여 신호 검출 선로(40)의 타단(제1 전극(11b))에 나타나는 미소한 전력을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라고 칭하고, 또한, "결합도"와 "아이솔레이션"과의 비를 "다이렉티비티(directivity)"라고 칭한다.The loss occurring when one end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a) of the signal line 30 is input and the other end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b) is output is referred to as "insertion loss" . The power input from one end (first electrode 11a) of the signal line 30 and output to one end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2b) of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is referred to as " Quot; The power inputted from one end (first electrode 11a) of the signal line 30 is reflected by the inside of the coupler or the output terminal (the first electrode 11b) or the like to be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first electrode 11a) The minute power appearing at the other end (the first electrode 11b) of the signal detecting line 40 with respect to the output power is referred to as "isolation ", and the ratio of" coupling degree " Called "directivity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에서, 전술한 여러가지 특성(예를 들어, 삽입 손실, 결합도 등)은, 신호 선로(30)와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영역(41) 및 제3 영역(43)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41)의 길이, 제3 영역(43)의 길이, 신호 선로(30)와 제1 영역(41) 사이의 제1 거리(a), 신호 선로(30)와 제3 영역(43) 사이의 제1 거리(a) 등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In the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sertion loss, coupling degree, etc.) 41 and the third region 43. [0033] FIG.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41, the length of the third region 43, the first distance a between the signal line 30 and the first region 41, the distance between the signal line 30 and the third region 41, The first distance 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43 and 43, and the like.

또한, 제2 영역(4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42)의 길이를 길게 하면, 주파수가 떨어질 수 있다.Furth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42, the desired frequency can be adjusted.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42 is increased, the frequency may decreas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1)에서, 신호 선로(30)는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 선로(30)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의 손실이 없다. 반면, 신호 검출 선로(40)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여러가지 특성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directional coupl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gnal line 30 does not increase, there is no loss of signal that can occur as the signal line 30 increases. 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signal detecting line 40, various desired characteristics and frequencies can be adjus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고, 도 7는 도 6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2)에서, 제2 영역(42)은 제1 영역(41) 및 제2 영역(42)으로부터 각각 굽어진 제1 부분 선로(44a) 및 제3 부분 선로(46a)와, 제1 부분 선로(44a)와 제3 부분 선로(46a) 사이에 연결된 제2 부분 선로(45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 선로(44a) 내지 제3 부분 선로(46a)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선로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 선로(45a)에 굴곡부가 있을 수도 있고, 제1 부분 선로(44a) 내지 제3 부분 선로(46a) 각각에 굴곡부가 있을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부분 선로(44a)와 제3 부분 선로(46a)는 2개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부분 선로(45a)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서, 제2 부분 선로(도 7의 45a)는 제2 부분 선로(도 4의 45)보다 길어질 수 있다.6 and 7, in the directional coupl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gion 42 includes a first region 41 and a second region 42, One partial line 44a and the third partial line 46a and a second partial line 45a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ial line 44a and the third partial line 46a. 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line 44a to the third sub-line 46a may include a bent portion. For example, the second sub-line 45a may have a bent portion, and each of the first sub-line 44a to the third sub-line 46a may have a bent portion. As shown, the first sub-line 44a and the third sub-line 46a may include two bent portions.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partial line 45a may include at least one bent portion. Due to this shape, the second partial line (45a in Fig. 7) can be longer than the second partial line (45 in Fig. 4).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고, 도 9는 도 8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3)에서, 신호 선로(30)와 신호 검출 선로(40)는 서로 다른 배선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신호 선로(30)가 위에 배치되고, 신호 검출 선로(40)가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 검출 선로(40)의 제1 영역(41)과 제3 영역(43)은, 신호 선로(30)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즉, 오버랩된 제1 영역(41)과 신호 선로(30) 사이의 거리, 오버랩된 제3 영역(43)과 신호 선로(30)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즉, 제1 거리(a)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to 10, in the directional coupler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line 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may be formed in different wiring layers. Although the signal line 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are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region 41 and the third region 43 of the signal detection line 40 may overlap each other with the signal line 30.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verlapped first region 41 and the signal line 3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verlapped third region 43 and the signal line 30 may be equal to each other (i.e., the first distance a ).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고, 도 12는 도 11의 방향성 결합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used in the directional coupler of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이다. 신호 선로(130)와 신호 검출 선로(140)는 기판(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11 to 13, the directional coupl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a microstrip structure. The signal line 1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14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신호 선로(130)와 신호 검출 선로(140)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신호 선로(130)와 신호 검출 선로(140)는 동일한 배선층에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선로(130)는 제1 피딩 선로(151, 152)와 연결되고, 제1 피딩 선로(151, 152)는 제1 전극(111a, 111b)과 연결될 수 있다. 신호 검출 선로(140)는 제2 피딩 선로(161, 162)와 연결되고, 제2 피딩 선로(161, 162)는 제2 전극(112a, 112b)과 연결될 수 있다.The signal line 1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1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gnal line 130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140 may be formed in the same wiring layer. The signal lin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lines 151 and 152 and the first feeding lines 151 and 15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111a and 111b. The signal detecting lin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lines 161 and 162 and the second feeding lines 161 and 16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s 112a and 112b.

신호 검출 선로(140)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141), 제2 영역(142), 제3 영역(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41)과 제3 영역(143)은 신호 선로(130)와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영역(141)과 제3 영역(143)은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4)에서, 제1 영역(141)의 길이와 제3 영역(143)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gnal detection line 140 may include a first region 141, a second region 142, and a third region 143 that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rst region 141 and the third region 143 are disposed adjacent to and in parallel with the signal line 130. The first region 141 and the third region 143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directional coupler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area 141 and the length of the third area 143 are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영역(142)은, 제1 영역(141) 및 제3 영역(143)으로부터 각각 굽어진 제1 부분 선로(144) 및 제3 부분 선로(146)와, 제1 부분 선로(144)와 제3 부분 선로(146) 사이에 연결된 제2 부분 선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선로(144)와 제3 부분 선로(146)는 굴곡없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region 142 includes a first partial line 144 and a third partial line 146 bent from the first region 141 and the third region 143 and a first partial line 144 and a second partial line 144, And a second partial line 145 connected between the third partial lines 146. The first partial line 144 and the third partial line 146 may be formed long without any bend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영역(141)과 제3 영역(143)은 신호 선로(130)와 제1 거리(a)만큼 이격되고, 제2 영역(142)은 신호 선로(130)와 제1 거리(a)와 다른 제2 거리(b)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거리(b)는 제1 거리(a)보다 길 수 있다.The first region 141 and the third region 143 are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130 by a first distance a and the second region 142 is separated from the signal line 130 by the first distance a, And may be spaced apart by another second distance b. As shown, the second distance b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기판 11a, 11b: 제1 전극
12a, 12b: 제2 전극 30: 신호 선로
40: 신호 검출 선로 41: 제1 영역
42: 제2 영역 43: 제3 영역
44: 제1 부분 선로 45: 제2 부분 선로
46: 제3 부분 선로
10: substrate 11a, 11b: first electrode
12a, 12b: second electrode 30: signal line
40: signal detection line 41: first region
42: second region 43: third region
44: first partial line 45: second partial line
46: Third part line

Claims (13)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신호 선로와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 선로는 제1 피딩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제2 피딩 선로와 연결되는 방향성 결합기.
A signal line and a signal detection lin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signal detection line includes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that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gnal line by a first distance, A second dista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stance from the signal line,
Wherein the signal line is connected to a first feeding line, and the signal detecting line is connected to a second feeding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are equal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각각 굽어진 제1 부분 선로 및 상기 제3 부분 선로와,
상기 제1 부분 선로와 상기 제3 부분 선로 사이에 연결된 제2 부분 선로를 포함하는 방향성 결합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comprises:
A first sub-line and a third sub-line b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nd a second partial lin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ial line and the third partial lin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선로 내지 제3 부분 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선로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방향성 결합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artial line to the third partial line includes a ben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동일한 배선층에 형성되는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are formed in the same wiring lay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신호 검출 선로는 서로 다른 배선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오버랩되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서로 다른 배선층 사이의 거리인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detection line are formed in different wiring layers,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overlap the signal line,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a distance between the different wiring layer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딩 선로는 기판의 제1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피딩 선로는 상기 기판의 제2 모서리에 위치한 제2 전극과 연결되는 방향성 결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eeding line is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a first edge of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feeding line is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located at a second edge of the substrate.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된 제1 피딩 선로;
상기 제1 피딩 선로와 연결된 신호 선로;
상기 기판의 제2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된 제2 피딩 선로; 및
상기 제2 피딩 선로와 연결되고, 상기 신호 선로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신호 선로와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신호 검출 선로를 포함하는 방향성 결합기.
Board;
A first electrode located at a first edge of the substrate;
A first feed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first feeding line;
A second electrode located at a second edge of the substrate;
A second feeding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line,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line, And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signal detection line spaced apart from the signal line by a second dis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distan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방향성 결합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distance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방향성 결합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are equal to each other.

KR1020120124961A 2012-11-06 2012-11-06 Directional Coupler KR101432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61A KR101432708B1 (en) 2012-11-06 2012-11-06 Directional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61A KR101432708B1 (en) 2012-11-06 2012-11-06 Directional Coup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216A KR20140058216A (en) 2014-05-14
KR101432708B1 true KR101432708B1 (en) 2014-08-25

Family

ID=5088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961A KR101432708B1 (en) 2012-11-06 2012-11-06 Directional Cou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7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18A (en) * 1991-04-22 1994-01-14 Taisee:Kk Directional coupler
JP3169820B2 (en) 1996-03-12 2001-05-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Directional coupler
KR20110107803A (en) * 2009-01-19 2011-10-04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Directional coupl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18A (en) * 1991-04-22 1994-01-14 Taisee:Kk Directional coupler
JP3169820B2 (en) 1996-03-12 2001-05-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Directional coupler
KR20110107803A (en) * 2009-01-19 2011-10-04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Directional coupl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216A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6402A1 (en) Antenna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ar apparatus
US10826174B2 (en) Antenna module
KR20180029944A (en)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rectional couplers
US8729979B2 (en) Input/output coupling structure for dielectric waveguide
US10903575B2 (en) Antenna module
US20090315649A1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 including two transmission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US20150029072A1 (en) Power Divider and Radio-Frequency Device
CN101443951B (en) Directional coupler
CN102948008A (en) Sandwich structure for directional coupler
US20030117230A1 (en) Dual band coupler
KR101432708B1 (en) Directional Coupler
US7495530B2 (en) Dual-band filter
JP2019047290A (en) Directional coupler
CN109411855B (en) Cavity-based dual-frequency filtering balun
CN1254879C (en) Wideband microwave transmission band directional coupler
US7432861B2 (en) Dual-band antenna
KR102133263B1 (en) Antenna structure
KR100956665B1 (en) Coupler with inner ground layer
KR101551721B1 (en) Mimo antenna with slot
KR101420193B1 (en) Coupler having asymmetric coupling lines
KR102163069B1 (en) Coupler
JP4745213B2 (en) Phase shift circuit
JP6823796B2 (en) Phaser and antenna device
CN114585146B (en) Circuit board structure for improving isolation
IL160680A (en) Decade band tapered slot antenna and methods of making and config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