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364B1 -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364B1
KR101432364B1 KR1020120068300A KR20120068300A KR101432364B1 KR 101432364 B1 KR101432364 B1 KR 101432364B1 KR 1020120068300 A KR1020120068300 A KR 1020120068300A KR 20120068300 A KR20120068300 A KR 20120068300A KR 101432364 B1 KR101432364 B1 KR 10143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nanoparticles
polyaniline
diagnosis
m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841A (ko
Inventor
함승주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3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61K49/12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49/122Macromolecular compounds dimers of complexes or complex-forming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1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 A61K49/181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 A61K49/1821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 A61K49/1824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 A61K49/187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the nanoparticle having a magnetically inert core and a (super)(para)magnet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7/00Surgery: light, thermal, and electrical application
    • Y10S607/901Cancer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영상을 위한 조영제 역할의 무기 물질과 광열 치료가 가능한 유기 고분자 복합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MRI 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는 MRI를 이용한 진단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낮은 세기의 에너지를 조사하여도 국소적인 열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암을 조기 진단 후 비침습적으로 국소적인 부위에 집중적인 치료를 하는 데 중요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composite nanoparticles for diagnosis and therapy, and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영상을 위한 조영제 역할의 무기 물질과 광열 치료가 가능한 유기물질로 구성된 복합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암의 치료 가능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암세포의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이다. 암세포의 조기 진단에 있어서는 암세포가 분화 초기 단계에서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암의 조기 진단에 있어서 나노 입자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나노 입자를 이용하면 그 크기로 인해 암세포에서의 축적이 가능하고 암 특이적인 리간드를 결합시켜서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상자성 특성을 지닌 산화철 나노 입자의 경우 이미 MRI T2 조영제로서 상용화되어 쓰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잘 설계된 나노입자는 외과적인 개입 없이 레이저-유도 광원으로 종양위치를 찾아내어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암을 정확히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치료에 접근하는 수단으로서 많은 과학자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진단뿐만 아니라 암의 치료에 있어서도 나노 물질은 앞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비파괴적인 열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 Rice 대학의 Halas 교수와 West 교수 연구팀에서는 금 나노 쉘을 합성하여 이를 열치료에 의한 암세포의 괴사에 응용하였다.
한편,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은 가공성, 안정성, 경제성, 기계적 물성,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로 응용 가능성이 큰 후보 물질로 인식되었다(Cardillo, L.; wift, D.; Meritt, J. J Imaging Sci Technol 1998, 42,300. 및 Travers, J. P. Synth Met 1990, 35, 159.). 폴리아닐린은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 NIR) 빛을 흡수하면 암-세포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폴리아닐린은 염화수소(HCl)에 의해서 양자를 방출하는 염과 산화제로서 암모늄 아황산염을 사용하여 합성한다. 화학적 산화에 의한 중합공정에 의해 진한 초록색의 침전물 ES를 얻고, 이를 다시 수산화나트륨으로 도핑하여 자색의 중합체 분말인 EB를 얻는다. 생체 내외의 양쪽에서 EB(자색) 폴리아닐린 나노입자(Polyaniline nano particle;PANP)는 생물학적 도핑공정에 의해서 NIR빛을 흡수한 ES PANP로 전환된다. NIR 빛에 PANP를 노출시켜 발생된 광열 에너지는 세포 성장과 배양에 필요한 DNA 및/또는 RNA 합성을 차단하는 세포성분을 파괴할 수 있다. 특히 광열 처리는 단백질을 퇴화시키고 세포골격 필라멘트 중합체를 단절시켜 결과적으로 세포를 죽인다. 그러므로 PANPs와 NIR의 조합은 광열에 의한 암-제거가 가능하여 암-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Jaemoon Yang, Jihye Choi, Eun-Kyung Lim and Seungjoo Haam “Convertible Organic Nanoparticles for Near-Infrared Photothermal Ablation of Cancer Cells” Angew. Chem. Int. Ed. 50, 2011, pp.441444).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의 진단과 치료를 효과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나노 물질에 대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암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MRI를 이용한 진단과 비파괴적인 근적외선을 이용한 열치료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다기능성 나노 물질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MRI를 이용한 진단과 비파괴적인 근적외선을 이용한 열치료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다기능성 나노 물질을 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부착된 진단 및 치료용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부착된, 진단 및 치료용 나노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나노 입자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MRI)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아닐린에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아닐린이 파티클화되는 단계;및
d) 상기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a)단계는 다이 에틸렌 테트라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etraamine penta-acetic acid)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베이트 80 (polysorbate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d)단계의 자성체는 Fe3O4, Fe2O4, 및 MnFe2O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자성체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MRI용 T1 조영제 또는 T2 조영제로 작용할 수 있는 자성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d)단계의 나노 입자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I)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부착된 복합 나노입자 및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증식성 질병 또는 종기의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 가능한 질병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열치료로 치료 가능한 질병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주입하는 단계;
b)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I)를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에 의해 발산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표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적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켜 표적 부위에 존재하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단 및 광열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b)단계는 세포증식성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MRI를 사용하여 진단하고 광열치료로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나노 입자를 이용한 MRI 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는 MRI를 이용한 진단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낮은 세기의 에너지를 조사하여도 국소적인 열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암을 조기 진단 후 비침습적으로 국소적인 부위에 집중적인 치료를 하는 데 중요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나노 입자의 제조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a) 도핑된 본 발명 나노입자 (MDPANI)의 흡광 스펙트럼, (b) 본 발명 나노입자 (MDPANI)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 나노입자인 유-무기복합 폴리아닐린 나노파티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 공중합체란 두가지 이상의 고분자가 공유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자기조립성질을 가지고 있어 원자간의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가 분자 간의 상호인력에 의하여 특정 나노구조를 자발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e)은 자기장 안에서 수소 원자의 스핀이 이완되는 현상을 이용해 신체의 생화학적 정보를 영상으로 얻는 방법이다. 자기 또는 전파는 골에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단단한 골 주위 또는 뇌나 골수의 종양에 대하여 종단, 횡단, 임의의 각도에서 선명한 입체적인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노입자란 크기가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nm, 10억분의 1 미터인 물질, 크기로 인해 원자와 벌크물질의 중간적인 성질을 갖는다)인 입자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조영제란 MRI 검사시에 조직간의 음영 대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MRI 조영제의 종류에는 T1 조영제와 T2 조영제가 있다. T1 조영제는 T1 이완시에 조직간의 음영대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 가돌리늄 제제인 Gd-DTPA 나 망간 제제인 Mn-DTPA 등 금속 이온 착화물이 사용되고 있다. T2 조영제는 T2 이완시에 조직간의 음영대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 현재 자성을 띄는 산화철 제제인 Feridex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의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피하 또는 국부 경로를 통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는 의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비히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온교환,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완충 물질, 물, 염 또는 전해질,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 현탁액은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이 현
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비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비휘발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나노 입자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를 거쳐 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즉, (1) 전술된 양태의 나노입자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 조성물을 검체에 주입하는 단계;
(2) 검체로부터 MRI상에서 상기 나노입자에 의해 발산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표적 부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3) 표적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켜 표적 부위에 존재하는 세포를 사멸시켜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함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단계 (1)을 거쳐 단계 (2)에서 종료된다면 질병의 진단만이 이루어진 것이며, 단계 (1) 및(2)를 거쳐 단계 (3)까지 진행된다면 질병의 진단과 치료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다이 에틸렌 테트라아민 펜타-아세틱 산과 계면활성제인 폴리소베이트 80을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다이 에틸렌 테트라아민 펜타-아세틱 산 4.5 mmol과 폴리소베이트80 1.5 mmol을 다이메틸설폭시드 용액에 용해시키고, 80℃로 24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이 용액을 일주일 동안 투석시킨 후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아닐린의 파티클화 및 자성체의 부착
실시예 1에서 만들어진 300 mg의 블록 공중합체를 20 mL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교반한 다음, 폴리아닐린 10mg을 1.5 mL 노말 메틸 피롤리돈 용액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수상에 분산되지 않는 폴리아닐린을 수상에 안정되게 분산되게 하여 파장 800 nm에서 최대 흡광을 가지는 지름 100 nm 크기의 폴리아닐린 파티클을 만들었다. 그런 다음 10 mg의 MnFe2O4자성체를 넣어준 후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조영제 역할이 가능한 지름 12 nm 크기의 자성체가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부착되었다.
도 3에서 코어부분에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안정적으로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a)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아닐린에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아닐린이 파티클화되는 단계; 및
    d) 상기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a)단계는 다이 에틸렌 테트라아민 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etraamine penta-acetic acid)에 폴리소베이트 80 (polysorbate 80)을 첨가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단계의 자성체는 Fe3O4, Fe2O4, 및 MnFe2O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부착된, 암 진단 및 치료용 나노 입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I)용 조영제 및 광열치료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닐린 파티클 표면에 자성체가 부착된 나노입자, 및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 진단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68300A 2012-06-26 2012-06-26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300A KR101432364B1 (ko) 2012-06-26 2012-06-26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300A KR101432364B1 (ko) 2012-06-26 2012-06-26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41A KR20140000841A (ko) 2014-01-06
KR101432364B1 true KR101432364B1 (ko) 2014-08-20

Family

ID=5013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300A KR101432364B1 (ko) 2012-06-26 2012-06-26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77B1 (ko) * 2013-08-20 2014-04-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축 노즐을 포함하는 나노 자성체 수용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85B1 (ko) 2006-06-30 2008-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박막이 부분 증착된 다기능성 나노입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85B1 (ko) 2006-06-30 2008-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박막이 부분 증착된 다기능성 나노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41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PEGylated Prussian blue nanocubes as a theranostic agent for simultaneous cancer imaging and photothermal therapy
Tian et al. Poly (acrylic acid) bridged gadolinium metal–organic framework–gold nanoparticle composites as contrast agents for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bimodal imaging
Wu et al. Gadolinium-chelate functionalized bismuth nanotheranostic agent for in vivo MRI/CT/PAI imaging-guided photothermal cancer therapy
Zhang et al. Graphene oxide-BaGdF5 nanocomposites for multi-modal imaging and photothermal therapy
Su et al. Cetuximab-conjugated iodine doped carbon dots as a dual fluorescent/CT probe for targeted imaging of lung cancer cells
Xing et al. Computed tomography imaging-guided radiotherapy by targeting upconversion nanocubes with significant imaging and radiosensitization enhancements
Zhou et al. Gadolinium complex and phosphorescent probe-modified NaDyF4 nanorods for T1-and T2-weighted MRI/CT/phosphorescence multimodality imaging
Liu et al. Manganese (II) chelate functionalized copper sulfide nanoparticles for efficient magnetic resonance/photoacoustic dual-modal imaging guided photothermal therapy
Li et al. A cation-exchange controlled core–shell MnS@ Bi 2 S 3 theranostic platform for multimodal imaging guided radiation therapy with hyperthermia boost
Xiao et al. Integration of polymerization and biomineralization as a strategy to facilely synthesize nanotheranostic agents
Dong et al. PEGylated GdF3: Fe Nanoparticles as Multimodal T 1/T 2-Weighted MRI and X-ray CT Imaging Contrast Agents
Khaniabadi et al. Trastuzumab conjugated porphyrin-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 A potential PTT-MRI bimodal agent for herceptin positive breast cancer
Wang et al. Targeted and imaging-guided chemo-photothermal ablation achieved by combining upconversion nanoparticles and protein-capped gold nanodots
Yin et al. Folic acid-conjugated organically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for enhanced targeted delivery in cancer cells and tumor in vivo
Liu et al. Microwave-assisted one-step rapid synthesis of near-infrared gold nanoclusters for NIRF/CT dual-modal bioimaging
Chen et al. Facile synthesis of β-lactoglobulin capped Ag 2 S quantum dots for in vivo imaging in the second near-infrared biological window
Chen et al. Nanoparticle probes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photoacoustic molecular tomography
Yang et al. Multidimensional theranostics for tumor fluorescence imaging, photoacoustic imaging and photothermal treatment based on manganese doped carbon dots
Ma et al. Image-guided selection of Gd@ C-dots as sensitizers to improve radiotherapy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KR101507645B1 (ko) 암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나노복합체
Yin et al. Fluorescent oligo (p-phenyleneethynylene) contained amphiphiles-encapsulat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targeted magnetic resonance and two-photon optical imaging in vitro and in vivo
Shang et al. Synergistic effect of oxygen-and nitrogen-containing groups in graphene quantum dots: Red emitted dual-mode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trast agents with high relaxivity
KR101432364B1 (ko)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Israel A nanomedicine approach to manage cancer–imaging pancreatic cancer using targeted iron oxide nanoparticles
Li et al. Carbon-coated magnetic nanoparticle dedicated to MRI/photoacoustic Imaging of tumor in living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