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203B1 -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203B1
KR101432203B1 KR1020130068103A KR20130068103A KR101432203B1 KR 101432203 B1 KR101432203 B1 KR 101432203B1 KR 1020130068103 A KR1020130068103 A KR 1020130068103A KR 20130068103 A KR20130068103 A KR 20130068103A KR 101432203 B1 KR101432203 B1 KR 10143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mall
heat sources
monitoring data
custo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지숙
정근수
박형우
한송수
최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제일모직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경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제일모직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경에너텍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 및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그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heating energy in enegy grid}
본 발명은 열에너지 공급을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함께 각종의 생활 및 산업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가 커다란 사회 문제로 크게 부각되었고, 더불어 산업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도 계속되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자연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방지 측면에서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에 대해서는 최대한 재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환경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움직임의 일환으로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난방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편, 현재는 소각로 외에도 용광로, 용해로, 산업용 건조기 등 폐열을 발생시키는 많은 종류의 시설이 있으나, 소각로 이외의 열원들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충분히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열원들에서 발생되는 폐열들을 통합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상기 공용 배관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에게 지급할 스팀 구매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산정된 스팀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스팀 사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용배관은 상기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과 상기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들 및 상기 제2 센서들은 상기 스팀 배관에 설치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은 상기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3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3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모니터링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3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중에서 상기 스팀을 직접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응축수 배관을 통해 상기 응축수가 회수되지 않는 불회수수용가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할증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스팀 사용 할증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불회수수용가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은 상기 스팀 배관에 연결된 열원 및 상기 응축수 배관에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은 상기 스팀 배관으로부터 열교환 방식으로 열에너지를 공급받는 수용가, 상기 스팀 배관으로부터 상기 스팀을 직접 공급받는 수용가 및 상기 응축수 배관으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는 수용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대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공용 배관과 스팀 터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용 배관 내의 스팀을 상기 스팀 터빈에게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스팀공급제어밸브에게 상기 공용 배관의 스팀을 상기 스팀 터빈에게 공급할 것을 지시하는 스팀공급지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의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소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된 비상용 보일러의 가동을 통한 스팀 공급을 지시하는 보일러가동지시를 상기 비상용 보일러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은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을 생산하고, 상기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중 일부는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열원과 별도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에서, 상기 공용배관이 상기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과 상기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을 포함할 때, 상기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4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응축수와 동일한 압력을 가진 물인 열원공급수의 양에 대한 제4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에게 지급할 상기 열원공급수 구매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열원공급수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에서, 상기 공용배관이 상기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과 상기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을 포함할 때, 상기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5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5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5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청구할 상기 응축수 사용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응축수 사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연결된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상기 공용 배관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은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을 공급받으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생산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센서들을 포함하는 공용 배관;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용 배관 내의 상기 스팀을 공급받는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상기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간의 스팀 공급을 관리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용 배관은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급받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센서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여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열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입장에서는 생산된 스팀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복수의 수용가들 입장에서는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의 구매 및 판매를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공용 배관(120),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 제1 센서들(150a, 150b, 150c) 및 제2 센서들(160a, 160b, 160c)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이 공용 배관(120)을 통해 연결된 형태를 에너지 그리드라고 명명한다.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은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한다.
이때, 소규모 열원들은 소각로, 용광로, 용해로, 산업용 건조기 등 폐열을 발생시키는 모든 종류의 시설을 포함하며, 소규모 열원들 각각은 자신이 배출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보일러를 가동시키고, 그 보일러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생산하게 된다.
공용 배관(120)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각각으로부터 생산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센서들(150a, 150b, 15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이 공급받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센서들(160a, 160b, 160c)을 포함한다.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은 공용 배관(120)에 연결되어 공용 배관 (120)내의 스팀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은 아파트 단지와 같은 주거 시설, 공장과 같은 산업 시설 등 열에너지 공급을 필요로 하는 모든 시설을 포함한다.
한편, 에너지 그리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은 사전에 발굴되어 에너지 그리드로서 묶이게 된다. 이때,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에서 생산되는 스팀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을 구성할 때, 1년 내내 쉬지 않고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수용가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에 포함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을 발굴할 때, 사람들이 직접 각각의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을 방문하여 발굴하는 대신에, 에너지 그리드 가입 신청을 받는 홈페이지를 개설한 후에, 그 홈페이지를 통해 에너지 그리드에 포함되기를 희망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로부터 온라인으로 에너지 그리드 가입 신청을 받고, 소정 기준을 만족하면 그 에너지 그리드 가입 신청을 한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을 공용 배관(120)으로 연결함으로써 에너지 그리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는 공용 배관(120)에 설치된 제1 센서들(150a, 150b, 150c) 및 제2 센서들(160a, 160b, 160c)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간의 스팀 공급을 관리함으로써, 스팀 의 열에너지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는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공급도 관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함으로써,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에게저렴한 비용으로 열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소규모 열원이 하나의 수용가에게 스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이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에게 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입장에서는 하나의 수용가에게 스팀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생산된 스팀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 입장에서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중 일부가 스팀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나머지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에 대규모 발전소가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이 대규모 발전소의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과정을 간략히 정리하면,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이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여 공용 배관(120)에 공급하면, 스팀을 필요로하는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은 공용 배관(120)과 연결된 제어밸브(미도시)를 개방하여 스팀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제어 밸브의 개방은 수용가의 관리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센서들(150a, 150b, 150c) 및 제2 센서들(160a, 160b, 160c)은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에게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가 그 전송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 공용 배관(120)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열에너지 공급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용 배관(120)이 도 1에서와 같이 환형이 아니고, 사각형, 유선형, 직선형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용 배관(120)을 보다 상세히 표시한 도면으로, 도 2의 공용 배관(120)은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120a)과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120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센서들(150a, 150b, 150c) 및 제2 센서들(160a, 160b, 160c)은 스팀 배관(120a)에 설치된다. 또한, 응축수 배관(120b)에는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로부터 회수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3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에게 전송하는 제3 센서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제4 열원(110d)과 같이 소규모 열원들(110a 내지 110d) 중 어떤 열원(110d)은 공용 배관(12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기존에 에너지 그리드를 형성한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중 하나(110b) 또는 일부와 별도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공용 배관(120)에 연결되지 않은 소규모 열원도 에너지 그리드에 포함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과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이 공용 배관(120)에 상이한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열원(110a)은 스팀 배관(120a)에 연결되어 스팀 배관(120a)에 자신이 생산한 스팀을 공급한다.
제2 열원(110b)은 스팀 배관(120a)에 연결되어 자신이 생산한 스팀을 공급하면서, 제4 열원(110d)과도 별도 배관으로 연결됨으로써, 제4 열원(110d)이 생산한 스팀을 스팀 배관(120a)에 공급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스팀 배관(120a)에는 동일한 압력을 가진 스팀만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열원(110a)이 스팀 배관(120a)에 공급하는 스팀의 압력이 제2 열원(110a)이 스팀 배관(120a)에 공급하는 스팀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2 열원(110b)은 자신이 생산한 스팀을 스팀 배관(120a)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2 열원(110b)이 생산한 스팀의 압력과 동일하도록 제1 열원(110a)이 자신이 생산한 스팀의 압력을 감압하여 스팀 배관(120a)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제1 열원(110a)이 생산한 스팀의 압력과 동일하도록 제2 열원(110b)이 자신이 생산한 스팀의 압력을 승압하여 스팀 배관(120a)에 스팀을 공급하여야 한다.
제 3열원(110c)은 응축수 배관(120b)에 연결되어 응축수 배관(120b) 내의 응축수와 동일한 압력을 가진 물인 열원공급수를 응축수 배관(120b)에 공급하게 된다. 제3 열원(110c)의 경우에는 제3 열원(110c)이 생산하는 스팀의 압력이 높지 않아 스팀 배관(120a)에 스팀을 공급하지는 못하지만, 응축수 배관(120b) 내의 응축수의 압력에 해당하는 열원공급수는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응축수 배관(120b)에 열원공급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제3 열원(110c)과 연결되는 응축수 배관(120b)에는 복수의 소규모 수용가들(110a 내지 110d)에게 스팀의 열에너지를 공공급함으로써 생성되는 응축수와 동일한 압력을 가진 물인 열원공급수의 양에 대한 제4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에게 전송하는 제4 센서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용가(130a)는 스팀 컨버터(170)를 통해 스팀 배관(120a) 내의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으로 공급받는다. 이때, 스팀 컨버터(170)는 스팀 배관(120a)내의 스팀의 열에너지를 공급받음으로써, 스팀 컨버터(170) 내에 준비되어 있던 실온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한 후 제1 수용가(130a)에게 공급한다. 다음으로, 스팀 배관(120a) 내의 스팀은 열에너지를 스팀 컨버터(170)에게 공급한 후, 스팀의 온도가 나아져 응축수가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 배관(120b)을 통해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110a, 110b, 110c) 중에서 가장 가까운 소규모 열원으로 회수되어 재가열됨으로써 스팀이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수용가(130a)에는 스팀 컨버터(170)가 연결되는 대신에, 스팀 배관(120a)의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에너지 교환 방식으로 제1 수용가(130a)에게 공급해줄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시설도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용가(130b)는 스팀 배관(120a)으로부터 스팀을 직접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2 수용가(130b)로부터는 응축수를 회수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스팀을 직접 제공받음으로써 응축수 배관을 통해 응축수를 회수할 수 없는 제2 수용가(130b)와 같은 불회수수용가에게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가 제1 수용가(130a)와 같이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는 회수수용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비싼 사용 금액인 스팀 사용 할증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제3 수용가(130c)는 응축수 배관(120b)으로부터 응축수를 공급받는다. 예컨대, 제3 수용가(130c)는 아파트 단지일 수 있고, 그 아파트 단지는 응축수를 난방수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응축수는 응축수 배관을 통해 복수의 열원들(110a, 110b, 110c) 중 하나로 회수되어 재가열될 수도 있지만, 수용가에게 직접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제3 수용가(130c)와 연결되는 응축수 배관(120b)에는 복수의 수용가들중 적어도 하나에게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5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140)에게 전송하는 제5 센서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스팀 터빈(180)은 스팀 배관(120a)에 최대 임계치 이상의 스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스팀 배관(120a)으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음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이와 같이 생산된 전기는 복수의 수용가들(130a, 130b, 130c)에게 판매될 수 있다. 스팀 터빈(18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비상용 보일러(190)는 스팀 배관(120a)에 최소 임계치 미만의 스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팀 배관(120a)에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 터빈(18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3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이때, 에너지 그리드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됨으로써 형성된다.
단계 32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330에서는,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 및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서 생산된 스팀을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공급하는 전 과정에 대해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요금을 통지하거나,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 및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열에너지 공급 과정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42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4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1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에게 지급할 스팀 구매 금액을 산정한다.
이때, 열에너지 공급 관리자는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필요할 때에만 스팀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연간 계약 형태로 1년간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스팀을 스팀 생산량에 따라 구매 금액을 지불하기로 계약함으로써, 소규모 열원들이 적극적으로 에너지 그리드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2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금액을 산정한다.
이때, 스팀 사용 금액은 스팀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지불해야하는 기본 요금과 스팀의 사용량에 따라 부과되는 사용 기준 요금을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요금을 설정하는 이유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자가 연간 계약 형태로 1년간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스팀을 스팀 생산량에 따라 구매 금액을 지불하기로 계약한 경우에 수용가들이 스팀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적게 사용하게 되면 열에너지 공급 관리자가 감수해야할 손해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이를 보상해주기 위한 것이다.
단계 45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그 산정된 스팀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게 전송한다.
단계 46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그 산정된 스팀 사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전송한다.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스팀 구매 비용을 통지하고, 복수의 소규모 수용가들에게 스팀 사용 금액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52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5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3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수용가들로부터 회수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3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54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1 모니터링 데이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3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 및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그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컨대,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제2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3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용가들 중에서 스팀을 직접 제공받음으로써 응축수 배관을 통해 응축수가 회수되지 않는 불회수수용가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할증 금액을 산정한 후, 그 산정된 스팀 사용 할증 금액에 대한 정보를 불회수수용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에서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4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와 동일한 압력을 가진 물인 열원공급수의 양에 대한 제4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62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4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에게 지급할 열원공급수 구매 금액을 산정한다.
단계 6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그 산정된 열원공급수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게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에서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5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5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72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5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청구할 응축수 사용 금액을 산정한다.
단계 7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그 산정된 응축수 사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8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82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810은 생략되고 단계 820만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8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팀공급제어밸브에게 스팀공급지시를 전송한다.
즉,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계를 통해 공용 배관에 존재하는 스팀의 전체 양을 예측하고, 그 예측된 스팀의 전체 양이 공용 배관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최대 임계치는 공용 배관의 수용 능력의 최대 값보다 조금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공용 배관에 존재하는 스팀의 전체 양이 공용 배관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스팀 터빈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소규모 수용가들의 전력 수급에 문제가 있을 때 그 복수의 소규모 수용가들에게 전력을 제공하여 정전을 방지하는 무정전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수료를 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단계 920에서는, 에너지 그리드의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910은 생략되고 단계 920만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930에서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의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940에서는,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소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공용 배관에 연결된 비상용 보일러의 가동을 통한 스팀 공급을 지시하는 보일러가동지시를 비상용 보일러에게 전송한다.
예컨대, 10개의 소규모 열원들 중에서 5개의 소규모 열원들의 정비일이 겹치는 날에, 스팀을 공급하는 5개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도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되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보일러가동지시를 비상용 보일러에게 전송하여, 비상용 보일러가 스팀을 공용 배관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수용가들이 안정적으로 열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수신부(1010), 분석부(1020) 및 전송부(1030)를 포함한다.
수신부(1010)는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공용 배관에서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분석부(1020)는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다.
전송부(1030)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복수의 수용가들 및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는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공급되는 열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상기 공용 배관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에게 지급할 스팀 구매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산정된 스팀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산정된 스팀 사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배관은 상기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과 상기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들 및 상기 제2 센서들은 상기 스팀 배관에 설치될 때,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응축수 배관에 설치된 제3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응축수의 양에 대한 제3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모니터링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3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중에서 상기 스팀을 직접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응축수 배관을 통해 상기 응축수가 회수되지 않는 불회수수용가에게 청구할 스팀 사용 할증 금액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산정된 스팀 사용 할증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불회수수용가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배관은 상기 스팀의 이동 통로인 스팀 배관과 상기 스팀의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 통로인 응축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은 상기 스팀 배관에 연결된 열원 및 상기 응축수 배관에 연결된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은 상기 스팀 배관으로부터 열교환 방식으로 열에너지를 공급받는 수용가, 상기 스팀 배관으로부터 상기 스팀을 직접 공급받는 수용가 및 상기 응축수 배관으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는 수용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대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공용 배관과 스팀 터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용 배관 내의 스팀을 상기 스팀 터빈에게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스팀공급제어밸브에게 상기 공용 배관의 스팀을 상기 스팀 터빈에게 공급할 것을 지시하는 스팀공급지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의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정비 계획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의 합이 최소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된 비상용 보일러의 가동을 통한 스팀 공급을 지시하는 보일러가동지시를 상기 비상용 보일러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은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을 생산하고,
    상기 에너지 그리드의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중 일부는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열원과 별도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복수의 수용가들이 연결된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1 센서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제2 센서들로부터 상기 공용 배관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각각에게 공급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
  12.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을 공급받으며,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각각으로부터 생산되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센서들을 포함하는 공용 배관;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용 배관 내의 상기 스팀을 공급받는 복수의 수용가들; 및
    상기 공용 배관에 설치된 상기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과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간의 스팀 공급을 관리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용 배관은 상기 복수의 수용가들이 공급받는 스팀의 양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에너지 그리드 가입 신청을 위한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을 희망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및 복수의 수용가들로부터 가입 신청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에너지 공급 관리 서버가 상기 가입 신청서를 전송한 상기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및 복수의 수용가들 중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및 복수의 수용가들에게만 가입 승인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 승인 통지를 받은 복수의 소규모 열원들 및 복수의 수용가들만이 상기 공용 배관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에너지 그리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KR1020130068103A 2013-06-14 2013-06-14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43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03A KR101432203B1 (ko) 2013-06-14 2013-06-14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03A KR101432203B1 (ko) 2013-06-14 2013-06-14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203B1 true KR101432203B1 (ko) 2014-08-27

Family

ID=5175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103A KR101432203B1 (ko) 2013-06-14 2013-06-14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522A (ja) * 2000-06-23 2002-01-11 Hitachi Ltd 発電装置の利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2003207204A (ja) * 2002-01-17 2003-07-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地域温水供給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KR100776050B1 (ko) 2005-12-16 2007-1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홈네트워크 기반의 최적 열수송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92688B1 (ko) * 2010-12-09 2011-12-09 전북에너지서비스주식회사 소각열을 이용한 지역난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522A (ja) * 2000-06-23 2002-01-11 Hitachi Ltd 発電装置の利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2003207204A (ja) * 2002-01-17 2003-07-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地域温水供給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KR100776050B1 (ko) 2005-12-16 2007-1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홈네트워크 기반의 최적 열수송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92688B1 (ko) * 2010-12-09 2011-12-09 전북에너지서비스주식회사 소각열을 이용한 지역난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From demand response to integrated demand response: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and application
Guo et al. Resilient configuration approach of integrated community energy system considering integrated demand response under uncertainty
Judge et al. Price-based demand response for household load management with interval uncertainty
CN103190050B (zh) 用于热能存储模块的智能式电子接口以及用于存储的热能和热能存储容量交易的方法
JP2014527246A (ja) 個々の顧客からシステムレベルへの負荷予測
CN102136102A (zh) 针对消费者能源消耗的分析
US20120239169A1 (en) Transparent models for large scale optimization and control
JP2008021152A (ja) 電気機器運転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Volkova et al. 5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5GDHC) implementation potential in urban areas with existing district heating systems
Ansari et al. A joint energy and reserve scheduling framework based on network reliability using smart grids applications
Hardin et al. Buildings interoperability landscape
Musti Circular economy in energizing smart cities
Stluka et al. Architectures and algorithms for building automation—An industry view
Godoy et al. An optimization model for evaluating the economic impact of availability and maintenance notions during the synthesis and design of a power plant
Ali et al. An overview of smart grid technology in Bangladesh: Development and opportunities
Dmitrieva Digitalization of the housing and communal services: development prospects
Xu et al. Quantifying flexibility of industrial steam systems for ancillary services: a case study of an integrated pulp and paper mill
Alhazmi et al. Optimal integration of interconnected water and electricity networks
Yin et al. Big-Data Analytics for Electric Grid and Demand-Side Management
KR101432203B1 (ko) 에너지 그리드에서의 열에너지 공급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Hussain et al. Optimal operation of tri-generation microgrids considering demand uncertainties
Daneshvar et al. Overview of the grid modernization and smart grids
Choudhury Demand Forecasting in DHC-network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Maadani et al. Analysis of demand-side business opportunities in Iran, as a digital transformation perspective
Bischoping Providing Optimal Value to Energy Consumers through Microgr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