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67B1 -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67B1
KR101432067B1 KR1020120140787A KR20120140787A KR101432067B1 KR 101432067 B1 KR101432067 B1 KR 101432067B1 KR 1020120140787 A KR1020120140787 A KR 1020120140787A KR 20120140787 A KR20120140787 A KR 20120140787A KR 101432067 B1 KR101432067 B1 KR 10143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nsor
module
simula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669A (ko
Inventor
신화경
손준우
이호철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Abstract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는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 각 조작부의 제어 여부, 및 제어량을 감지하고,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제어 여부와 제어량, 및 제어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과; 하나 이상의 감지기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과;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에 의해 수득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 수득모듈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시켜, 모의 운전과정에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한 실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실 평가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 저장된 표본 평가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모의 운전에 따른 신체적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한 평가값을 추출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능력 평가시스템{Driving ability evaluating system}
본 발명은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는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필기시험과 기능시험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운전면허 시험을 통과한 운전자는 운전 면허를 국가로부터 허여받고, 여기서 기능시험은 자동차를 각 코스별로 주행하는 코스시험을 통과한 다음에, 교차로, 경사로 및 횡단보도 등이 설치된 주행시험을 보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근에는 기능시험과 동일한 코스를 가상으로 모의 주행하는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션들이 보급되고, 이러한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를 통해 운전 면허시험 예비 응시자들은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기능을 숙련하고 있다.
한편,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판단함에 있어, 핸들이나 가속페달, 변속레버, 제동페달 등 각종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숙련도도 중요한 판단 요인이지만, 운전자의 신체적 문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판단 요인이며, 이들 양자를 안정되게 충족할 때 안전한 자동차 운전이 가능하다.
즉,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운전 중에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시각, 및 지각 정보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신체적 반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체적으로 지각, 인지 및 실행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물론, 종래에도 운전 면허 시험과정이나 운전 면허를 딴 후 주기적으로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운전자의 건강상태나 신체적 문제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적성검사는 감독자가 검사자의 시력이나 청력, 그리고 색맹 여부, 각 손가락의 운동 가능 여부 등 기본적인 건강상태만 확인하는 형식적인 검사만 이루어지는 관계로, 정밀한 운전 능력의 평가가 사실상 어려웠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함에 있어, 시뮬레이터에 마련된 조작부의 제어를 통한 기능 숙련도뿐 아니라,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기능 숙련도와 이러한 과정에 발생되는 운전자의 신체 반응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도록 한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은,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각 조작부를 제어하여 모의 운전을 구현하는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 각 조작부의 제어 여부, 및 제어량을 감지하고,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제어 여부와 제어량, 및 제어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과;
하나 이상의 감지기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과;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에 의해 수득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 수득모듈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시켜, 모의 운전과정에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한 실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실 평가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 저장된 표본 평가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모의 운전에 따른 신체적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한 평가값을 추출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의 제어신호를 수득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은, 조향 핸들의 회전상태를 계측하는 조향센서와, 변속 레버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변속센서와, 가속페달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가속센서, 및 제동페달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제동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자의 신체 반응을 감지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은,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 감지기와; 운전자의 근전도 변화를 감지하는 표면 근전도 감지기와,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기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시야 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생체신호 수득모듈은 운전석에 안착하여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각 부위에 감지되는 압력 변화를 통해 체중 분포를 감지하는 좌압 감지기가 포함하여,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인식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시야 감지기는 운전석 전방에 배치되어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안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의 안면 동영상에서 운전자의 안구부위를 추출한 다음, 안구의 이동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추출하는 시야 판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모의 운전 중에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의 제어상태를 수득하는 제어신호 수득모듈과,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신체적 생체신호를 수득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마련된 조작부의 제어를 통한 기능 숙련도뿐 아니라,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기능 숙련도와 이러한 과정에 발생되는 운전자의 신체 반응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므로, 운전 능력 평가에 따른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통해 운전능력을 평가하면, 종래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적성검사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 모의 운전을 마친 운전자는 추후 자신의 운전과정에 발생된 생체신호를 열람하여, 자신이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였던 신체적인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치료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탑재한 모의 운전 시뮬레이션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 좌압 감지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를 통한 운전능력 평가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탑재한 모의 운전 시뮬레이션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 좌압 감지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를 통한 운전능력 평가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능력 평가시스템(1)은, 모의 상황 제공부(102)를 통해 다양한 모의 운전 상황을 제공하는 모의 운전 시뮬레이터(100)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여, 자동차 운전에 따른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는 전용의 시스템이다.
상기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100)의 각 조작부의 제어신호를 수득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10)의 센서로는, 조향 핸들(111)의 회전상태를 계측하는 조향센서(11)와, 변속 레버(112)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변속센서(12)와, 가속페달(113)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가속센서(13), 및 제동페달(114)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제동센서(14)를 포함한다.
그 밖에, 모의 주행에 필요한 조작, 예컨대 방향 지시 설정레버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방향센서나, 와이퍼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와이퍼 센서 등을 부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10)은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100)의 각 조작부(111, 112, 113, 114)에 마련된 센서(11, 12, 13, 14)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의 제어 여부, 및 제어량을 감지하고,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제어 여부와 제어량, 및 제어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통해 모의 주행과정에 발생되는 핸들(111)이나 변속레버(112), 가속페달(113), 제동페달(114) 등을 포함하는 각 조작부의 기능 숙련도를 통해 기본적인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시뮬레이터(100)를 통해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신체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평가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조작부(111, 112, 113, 114)의 제어를 통한 운전에 필요한 기능 숙련도만으로 운전 능력을 평가하지 아니하고, 조작부(111, 112, 113, 114)의 제어에 따른 운전자의 신체적 반응상태를 측정하고,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기능 숙련도와 신체적 반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운전능력 평가가 구현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본원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감지기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을 부가한다.
상기 생체신호 수득모듈(20)에는,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 감지기(21)와, 운전자의 근전도 변화를 감지하는 표면 근전도 감지기(22)를 포함한다.
상기 뇌파 감지기(21)는 운전자의 두부에 장착되어서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적 흐름을 통해 뇌파를 계측하게 되며, 표면 근전도 감지기(22)는 조작부(111, 112, 113, 114)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근육이나 신경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를 측정하여 근전도를 계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뇌파 감지기(21)와 표면 근전도 감지기(22)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20)에, 운전석(101)에 착석된 운전자의 무게 중심의 변화 상태를 감지하는 좌압 감지기(25)와,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기(23), 및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시야 감지기(24), 운전자의 심박을 감지하는 심박 감지기(2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좌압 감지기(25)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석(101)의 좌판과 등판에 배치되어 착석된 운전자의 각 부위의 부분 좌압 변화를 측정하여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좌압 감지기(25)는 감지판(25a)과, 상기 감지판(25a)의 각 부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좌압 감지기(25)는 기본적으로 감지판(25a)에 배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각 부위에 감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체중 분포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모의 운전 과정에 발생되는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감지판(25a)에 공기가 주입된 복수의 에어포켓(25a-a)들을 분할되게 형성하고, 감지판(25a)에 배치된 각 에어포켓(25a-a) 사이에는 에어포켓(25a-a) 사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차압형의 압력센서(25b)를 배치한 좌압 감지기(25)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 및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운전석(101) 좌판과 등판에 각각, 한 쌍의 에어포켓(25a-a)이 형성된 감지판(25a)을 배치하고, 이들 에어포켓(25a-a) 사이에는 차압형의 압력센서(25b)를 연통되게 배치한다.
상기 차압형 압력센서(25b)는 양편에 형성된 공기 주입관부(25b-a) 사이에 차압판(25b-b)이 회동축(25b-c)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하여, 공기 주입관부(25b-a)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따라 차압판(25b-b), 및 회동축(25b-c)이 회동하고, 이를 감지부(25b-d)가 감지하여 에어포켓(25a-a) 사이의 압력 편차를 감지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차압형 압력센서(25b)는 운전자에 의한 에어포켓(25a-a)의 부분 가압에 의한 에어포켓 사이의 압력 편차를 통해 운전석에 착석된 운전자의 체중 분포 변화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 및 채택하고 있는 좌압 감지기(25)는 에어포켓(25a-a)에 의해 안정된 완충기능을 통해 편안한 안착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면서도, 각 에어포켓(25a-a) 사이의 차압을 통해 운전자의 체중 분포를 감지하므로 압력센서의 설치개수의 감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감지기(23)는 운전자의 신체 각 부위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가속도 센서를 통해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동작 여부나, 동작 방향 등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시야 감지기(24)는 운전석(101) 전방에 배치되어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안면을 연속하여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연속하여 촬영되는 운전자의 안면 영상에서 운전자의 안구부위를 추출하여 안구의 이동을 감지하는 안구 판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감기기(21, 22, 23, 24, 25)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은, 운전자의 뇌파변화와, 근전도 변화, 심박 변화, 자세 변화, 및 시야변화 등, 모의 운전에 따른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10)에 의해 수득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은 동기화 모듈(30)로 각각 인가되고, 동기화 모듈(30)은 제어신호 생성모듈에 의해 수득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 수득모듈에서 수집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시각별로 동기화시켜, 모의 운전과정에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들을 동기화한 실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실 평가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에 표본 평가 데이터를 저장한 평가모듈(40)로 인가되고, 평가모듈(40)에서는 동기화 모듈(30)에서 전송된 실 평가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 저장된 표본 평가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운전자의 모의 운전에 따른 운전 능력을 평가한 평가값을 추출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모의 운전에 따른 기능 숙련도와 신체적 반응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운전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기능 숙련도가 표준치보다 떨어지거나, 신체적 반응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운전자를 판별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높은 운전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통한 운전능력의 평가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최초 운전자가 시뮬레이터(100)에 탑승한 다음 신체 부위에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을 구성하는 해당 감지기(21, 22, 23, 24, 25)들을 신체의 각 해당 부위에 장착, 또는 배치한다.
이때, 상기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은 각 감지기(21, 22, 23, 24, 25, 26)를 통해 측정되는 초기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인식하고, 초기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값을 초기 설정값으로 보정한다.
이후, 시뮬레이터(100)는 운전석(101)의 전방에 기능시험에 따른 각 코스나 상황에 따른 다양한 모의 주행 영상을 재생하고, 운전자는 상기 모의 주행 영상을 보면서 핸들(111)이나 변속레버(112), 가속페달(113), 및 제동페달(114)을 조작하여 모의 주행을 실시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10)은 시뮬레이터(100)의 각 조작부에 마련된 센서(11, 12, 13, 14)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의 제어 여부, 및 제어량을 감지하여,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제어 여부와 제어량, 및 제어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생체신호 수득모듈(20)은 운전자의 감지기(21, 22, 23, 24, 25) 등을 통해, 모의 운전에 따른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10)과 생체신호 수득모듈(20)에서 연속적으로 생성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는 동기화 모듈(30)로 인가되고, 상기 동기화 모듈(30)은 이들 제어신호와 생체신호를 시각별로 동기화시킨 실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평가모듈(40)은 상기 동기화 모듈(30)에서 생성된 실 평가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 저장된 표본 평가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모의 운전에 따른 신체적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한 평가값을 추출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마련된 조작부의 제어를 통한 기능 숙련도뿐 아니라,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기능 숙련도와 이러한 과정에 발생되는 운전자의 신체 반응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므로, 운전 능력 평가에 따른 높은 신뢰도가 확보된다.
1.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10. 제어신호 생성모듈 11. 조향센서
12. 변속센서 13. 가속센서
14. 제동센서
20. 생체신호 수득모듈 21. 뇌파 감지기
22. 표면 근전도 감지기 23. 동작 감지기
24. 시야 감지기 25. 좌압 감지기
25a. 가압판 25a-a. 에어포켓
25b. 차압형 압력센서 25b-a. 공기 유입관부
25b-b. 차압판 25b-c. 회동축
25b-d. 감지부 26. 심박 감지기
30. 동기화 모듈
40. 평가모듈 41. 데이터 베이스
42. 평가부
100. 시뮬레이터 101. 운전석
102. 모의 상황 제공부 111. 핸들
112. 변속레버 113. 가속페달
114. 제동페달

Claims (4)

  1.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각 조작부를 제어하여 모의 운전을 구현하는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의 운전용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시뮬레이터 각 조작부의 제어 여부, 및 제어량을 감지하고, 모의 운전에 따른 조작부의 제어 여부와 제어량, 및 제어시간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과;
    하나 이상의 감지기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 반응 여부와 반응량, 및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과;
    상기 제어신호 생성모듈에 의해 수득된 제어신호들과, 생체신호 수득모듈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시켜, 모의 운전과정에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매칭시킨 실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실 평가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에 사전 저장된 표본 평가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모의 운전에 따른 신체적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한 평가값을 추출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의 각 조작부의 제어신호를 수득하는 제어신호 생성모듈은, 조향 핸들의 회전상태를 계측하는 조향센서와, 변속 레버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변속센서와, 가속페달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가속센서, 및 제동페달의 가압상태를 감지하는 제동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전자의 신체 반응을 감지하는 생체신호 수득모듈은, 운전자의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 감지기와; 운전자의 근전도 변화를 감지하는 표면 근전도 감지기와,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기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시야 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수득모듈은 운전석에 안착하여 모의 운전 중인 운전자의 각 부위에 감지되는 압력 변화를 통해 체중 분포를 감지하는 좌압 감지기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자세 변화를 인식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압 감지기는,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각 부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감지판에 배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각 부위에 감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체중 분포를 인식하여 운전자의 자세변화를 인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감지판에는 공기가 주입된 복수의 에어포켓들을 분할되게 형성하고, 감지판에 배치된 각 에어포켓 사이에는 차압형의 압력센서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차압형 압력센서는, 양편에 형성된 공기 주입관부 사이에 차압판이 회동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관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따라 차압판 및 회동축이 회동하고 이를 감지부가 감지하여 에어포켓 사이의 압력 편차를 감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40787A 2012-12-06 2012-12-06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KR10143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87A KR101432067B1 (ko) 2012-12-06 2012-12-06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87A KR101432067B1 (ko) 2012-12-06 2012-12-06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69A KR20140073669A (ko) 2014-06-17
KR101432067B1 true KR101432067B1 (ko) 2014-08-22

Family

ID=5112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787A KR101432067B1 (ko) 2012-12-06 2012-12-06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567B1 (ko) * 2016-11-15 2018-07-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기반의 운전 능력 평가 방법
SI25874A (sl) * 2019-07-09 2021-01-29 Nervtech, Raziskave In Razvoj, D.O.O. Postopek vrednotenja voznika in naprava za izvedbo postopka
KR102646009B1 (ko) * 2021-12-27 2024-03-11 주식회사 포럼에이트코리아 운전자 생체 신호 통합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188241A (zh) * 2022-09-13 2022-10-14 徐州硕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装载机驾驶模拟评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308A (ja) * 2000-08-29 2004-03-11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ドライバーの運転能力の診断方法および診断装置
JP2004512609A (ja) * 2000-10-14 2004-04-22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運転手の能力評価及び向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90096051A (ko) * 2008-03-07 2009-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도를 조절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과이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KR20100128734A (ko) * 2009-05-29 2010-12-08 교통안전공단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안전운전교육평가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308A (ja) * 2000-08-29 2004-03-11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ドライバーの運転能力の診断方法および診断装置
JP2004512609A (ja) * 2000-10-14 2004-04-22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運転手の能力評価及び向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90096051A (ko) * 2008-03-07 2009-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도를 조절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과이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KR20100128734A (ko) * 2009-05-29 2010-12-08 교통안전공단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안전운전교육평가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69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Stress events detection of driver by wearable glove system
Tanveer et al. Enhanced drowsiness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an fNIRS study
Du et al.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takeover requests in conditionally automated driving
Lin et al. Estimating driving performance based on EEG spectrum analysis
Sunagawa et al. Comprehensive drowsiness level detection model combining multimodal information
Katsis et al. A wearable system for the affective monitoring of car racing drivers during simulated conditions
Lee et al. Wearable mobile-based emotional response-monitoring system for drivers
KR101432067B1 (ko) 운전능력 평가시스템
WO2014092494A1 (ko) 뇌파를 이용한 주행체 제어 방법 및 장치
IT202100015695A1 (it) Metodo di elaborazione dello stato psicofisico di un guidatore per migliorare l'esperienza di guida di un veicolo stradale e relativo sistema veicolare
KR20230024346A (ko)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
Zontone et al. Stress recognition in a simulated city environment using Skin Potential Response (SPR) signals
Lee et al. Development of three driver state detection models from driving information using vehicle simulator; normal, drowsy and drunk driving
Zhenhai et al. The Driver’s Steering Feel Assessment Using EEG and EMG signals G
Raimundo et al. Driving simulator for performance monitoring with physiological sensors
Lin et al. Voice navigation effects on real-world lane change driving analysis using an electroencephalogram
Murphey et al. Personalized driver workload estimation in real-world driving
Riener Sitting postures and electrocardiograms: a method for continuous and non-disruptive driver authentication
Schneider et al. Electrodermal responses to driving maneuvers in a motion sickness inducing real-world driving scenario
Fujita et al. Driver drowsiness detection using a gyroscope attached to a seatbelt
Nader et al. Using BCI and EEG to process and analyze driver’s brain activity signals during VR simulation
KR101377711B1 (ko) 재활치료, 및 종합 평가시스템
Popovic et al. PHYSIOPRINT: a workload assessment tool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Dababneh et al. Driver vigilance level detection systems: A literature survey
NAKAGAWA et al. Basic Study on Assessment of the Driver's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Ind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