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55B1 -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55B1
KR101432055B1 KR1020130003690A KR20130003690A KR101432055B1 KR 101432055 B1 KR101432055 B1 KR 101432055B1 KR 1020130003690 A KR1020130003690 A KR 1020130003690A KR 20130003690 A KR20130003690 A KR 20130003690A KR 101432055 B1 KR101432055 B1 KR 10143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ontent
provid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422A (ko
Inventor
하경욱
Original Assignee
(주) 스카이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카이미디어 filed Critical (주) 스카이미디어
Priority to KR102013000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 화면을 통해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여 불특정다수인에게 광고(또는 상품)에 대한 호기심을 높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용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영상장치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안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제공부와,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정적인 피사체와 동적인 피사체를 분리하여 영상을 판별하는 영상판별부와, 상기 영상판별부를 통해 분석된 영상에 정적 또는 동적인 영상에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물품의 문자화된 이미지를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와, 상기 컨텐츠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서로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를 통해 합성된 영상을 제공받아 외부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일부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되며,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판매물품의 실제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영상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display device and commercial content delivery methods}
본 발명은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 화면을 통해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여 불특정다수인에게 광고(또는 상품)에 대한 호기심을 높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영상장치는 매장이나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상품을 광고함으로써, 불특정다수인들에게 광고나 홍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단순히 광고영상물을 보여주는 것 이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호기심을 유발하여 상품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4590호인 '실시간 엘이디(LED: Light Emitted Diode) 멀티미디어장치'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종래의 멀티미디어장치()는 옥외 광고용 전광판이나 홍보용 간판, 실내 비젼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나 위치 및 절차 등을 알 수 있도록 엘이디 램프를 이용하여 문구, 숫자 및 기호 등을 실시간 표시하며 플레시 프로그램으로 미리 제작된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전용 디스플레시 소프트웨어에 로딩시켜 실시간 다변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엘이디 멀티미디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미디어장치는 실시간으로 엘이디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행인들에게 홍보물을 제공하는 장점은 있지만, 상기 플레시 프로그램에 이미지나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전에 미리 다른 형식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다른 이미지나 동영상으로 교체하기 전에는 같은 패턴의 영상이 제공되어야하는 단점이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행인들의 시선을 유도하기에는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영상장치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영상물에 실시간으로 변화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불특정다수인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안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제공부와,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정적인 피사체와 동적인 피사체를 분리하여 영상을 판별하는 영상판별부와, 상기 영상판별부를 통해 분석된 정적 또는 동적인 영상에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물품의 문자를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와, 상기 컨텐츠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서로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를 통해 합성된 영상을 제공받아 외부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일부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되며,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판매물품의 실제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영상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피사체의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의 영상과 상기 컨텐츠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 실시간으로 변화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및 물품의 구매욕구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영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의 구현에 필요한 영상장치(10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장치(100)에 있어서, 영상제공부(11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안에 표시부(150)가 보이는 소비자나 기타 촬영 대상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부(150)를 통해 소비자 또는 기타 촬영 대상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상제공부(110)는 영상의 촬영뿐만 아니라, 음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판별부(120)는 영상제공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배경과 피사체를 분석하며, 피사체(소비자)의 움직임을 분석한다. 영상판별부(120)는 영상의 정보값(픽셀값)이 변하는 부분만을 검출하여 동적 또는 정적 피사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컨텐츠제공부(130)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관람객의 호기심을 유도하기 위해 컨텐츠(미도시)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제공부(130)는 영상제공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소비자 및 배경이 촬영된 영상과 함께 표시부(150)에 표시될 컨텐츠를 선택하여 합성부(140)로 전달한다. 이때 컨텐츠제공부(13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적 또는 동적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불특정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컨텐츠제공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소비자의 호기심 유발을 최대화하기 위해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실사 이미지가 아닌 문자 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부(140)는 영상판별부(120)에 의해 분석된 피사체에 대해 컨텐츠제공부(130)로부터 전달된 효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부(150)로 전달한다.
표시부(150)는 합성부(140)로부터 전달받은 합성 영상을 소비자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해 준다.
보조영상제공부(160)는 표시부(150)에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되며, 컨텐츠제공부(130)에서 제공되는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실제모습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부(140)에서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 매장 내의 소비자들을 촬영하는 영상제공부(110) 및 영상제공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판별부(120)의 구성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컨텐츠를 인터랙티브하게 제공하도록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은 영상제공부(110)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소비자)의 영상을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100), 영상판별부(120)에서 피사체의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200) 및 영상판별부(120)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의 영상과 컨텐츠제공부(13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피사체의 동작에 상응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도 2참조)
이와 같은,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매장 안에서 이동시에 영상제공부(110)를 통하여 불특정다수의 소비자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표시부(150)에 표시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모습이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시선을 유도한다.
그 후, 시선이 유도된 표시부(150)의 화면에 컨텐츠제공부(130)와 합성부(140)를 이용하여 매장 안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이미지를 시선이 유도된 소비자에게 영상으로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유발시키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이미지가 컨텐츠화 하여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소비자는 본인의 모습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시선이 집중된 표시부()에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이미지를 컨텐츠로 제공하여 구매심리를 자극함으로써, 극대화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고용 영상장치
110: 영상제공부 120: 영상판별부
130: 컨텐츠제공부 140: 합성부
150: 표시부

Claims (2)

  1.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정적인 피사체와 동적인 피사체를 분리하여 영상을 판별하는 영상판별부;
    상기 영상판별부를 통해 분석된 정적 또는 동적인 영상에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물품의 문자를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
    상기 컨텐츠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서로 합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를 통해 합성된 영상을 제공받아 외부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일부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되며,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판매물품의 실제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영상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용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영상제공부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피사체의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판별부에서 제공되는 피사체의 영상과 상기 컨텐츠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130003690A 2013-01-11 2013-01-11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KR10143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90A KR101432055B1 (ko) 2013-01-11 2013-01-11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690A KR101432055B1 (ko) 2013-01-11 2013-01-11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22A KR20140091422A (ko) 2014-07-21
KR101432055B1 true KR101432055B1 (ko) 2014-08-21

Family

ID=5173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690A KR101432055B1 (ko) 2013-01-11 2013-01-11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270B1 (ko) 2015-05-26 2019-01-08 전자부품연구원 콘텐츠 객체 데이터 변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283A (ko) * 2006-04-04 2007-10-09 정헌석 촬상 영상 객체 대응 화면 출력 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3503A (ko) * 2011-02-15 2012-08-23 (주)코리아 싸인 인터렉티브 전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283A (ko) * 2006-04-04 2007-10-09 정헌석 촬상 영상 객체 대응 화면 출력 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3503A (ko) * 2011-02-15 2012-08-23 (주)코리아 싸인 인터렉티브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22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7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ntent replacement
TWI779343B (zh) 狀態識別方法、裝置、電子設備及電腦可讀儲存介質
WO2005091651A3 (en)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US20080262944A1 (en) Online clothing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for
ATE438879T1 (de) System zur visualisierung von realbildern überlagerten informationen
US20100020254A1 (en) Multi-panel virtual image display
KR101187773B1 (ko)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JP202305303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09469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06200A1 (en) Enhancing a user's experience by providing related content
JP7251828B2 (ja) 展示装置及び展示方法
KR101432055B1 (ko) 광고용 영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고효과를 위한 컨텐츠 제공방법
JP2010204823A (ja) 視線認識装置
KR10188566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0268A (ko)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시청자의 주목 유도방법
TWI571841B (zh) 具有辨識及展示物品的功能的電子裝置及其辨識物品的方法
US20110126228A1 (en) Media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RU2378713C1 (ru) Рекламно-выставочная стендовая виз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токов людей в публичных местах
KR101801062B1 (ko) 보행자 상호작용 기반의 화면 투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92834B1 (ko) 인터렉티브 전광판
US112634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inventory in a storage space
CN110392310A (zh) 一种视频识别信息的显示方法及相关设备
US9053125B2 (en) System utilizing light signals with wavelengths approximately beyond human sensitive light spectrum
US20180060922A1 (en) Advertisement image generation system and advertisement im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CN103455146A (zh) 隔空电子翻书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