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394B1 - 어안 렌즈 - Google Patents

어안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394B1
KR101431394B1 KR1020130112232A KR20130112232A KR101431394B1 KR 101431394 B1 KR101431394 B1 KR 101431394B1 KR 1020130112232 A KR1020130112232 A KR 1020130112232A KR 20130112232 A KR20130112232 A KR 20130112232A KR 101431394 B1 KR101431394 B1 KR 10143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lement
lens
abbe number
object sid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며, 화각이 180°보다 크고,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어안 렌즈를 제공한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와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 중의 어느 한 렌즈 요소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와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 중의 어느 한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20에서 50 사이이다.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에서 60 사이이다. 제 3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Description

어안 렌즈{FISHEYE LENS}
본 발명은 어안 렌즈(fisheye len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각이 180°이상이며, 높은 해상도를 지니고, 등거리 투사 방식을 따르는 어안 렌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결상 렌즈(imaging lens: 112)의 실제 투사 방식(real projection scheme)의 개념도이다. 결상 렌즈에 의하여 포착되는 피사체(object)를 기술하는 세계 좌표계(world coordinate)의 Z-축은 결상 렌즈(112)의 광축(optical axis: 101)과 일치한다. 이 Z-축에 대하여 천정각(zenith angle) θ를 가지는 입사광(incident ray: 105)은 결상 렌즈(112)에 의하여 굴절된 후 굴절광(refracted ray: 106)으로서 초점면(focal plane: 132) 상의 한 상점(image point) P로 수렴한다. 상기 렌즈의 마디점(nodal point) N에서 상기 초점면까지의 거리는 대략 렌즈의 유효 초점 거리(effective focal length) f와 일치한다. 상기 초점면에서 실제 상점이 형성된 부분이 영상면(image plane)이다.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상기 영상면과 카메라 몸체(114) 내부의 이미지 센서면(113)이 일치하여야 한다. 상기 초점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면은 광축에 수직하다. 이 광축(101)과 센서면(113)과의 교점 O에서부터 상기 상점 P까지의 거리가 상 크기(image height) r이다. 일반적인 광각 렌즈에서의 상 크기 r은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3085412064-pat00001
여기서 입사각 θ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이며, 상기 함수 r(θ)는 입사광의 천정각 θ에 대한 단조 증가 함수(monotonically increasing function)이다.
이와 같은 렌즈의 실제 투사 방식은 실제 렌즈를 가지고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완전한 렌즈의 설계도를 가지고 Code V나 Zemax 등의 렌즈 설계 프로그램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Zemax에서 REAY 연산자를 사용하면 주어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입사각을 가지는 입사광의 초점면 상에서의 y-축 방향의 좌표 y를 계산할 수 있으며, x-축 방향의 좌표 x는 유사하게 REAX 연산자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어안 렌즈(fisheye lens)는 대개 화각이 160°이상이며, 입사광의 입사각과 상 크기가 대체로 비례하는 렌즈를 지칭한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의 어안 렌즈는 화각이 180°이상이며, 입사광의 입사각과 상 크기가 대체로 비례하는 렌즈이다. 보안·감시나 엔터테인먼트 등 많은 경우에서 화각이 180°이상인 어안 렌즈를 필요로 하는 응용 예가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어안 렌즈는 화각 180°이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렌즈 요소의 매수가 10매 이상으로 많거나, 렌즈 요소의 일부 렌즈면이 반구(hemisphere)에 가까워서 제작이 매우 곤란한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렌즈는 6매에서 8매 정도로 비교적 적은 숫자의 렌즈 요소를 사용하지만 변조 전달 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특성이 좋지 않아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해상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렌즈 요소를 적게 유지하기 위하여 고굴절률의 렌즈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상승되기도 한다.
또 다른 고려 요인은 투사 방식에 관한 것이다. 어안 렌즈의 바람직한 투사 방식으로는 등거리 투사 방식(equidistance projection scheme)이 있다. 등거리 투사 방식에서는 입사광의 입사각(incidence angle) θ와 어안 렌즈의 유효 초점 거리(effective focal length) f, 그리고 상면에서의 상 크기 red가 수학식 2와 같은 비례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112013085412064-pat00002
실제 렌즈의 투사 방식은 수학식 2로 주어지는 이론적인 투사 방식과 어느 정도의 오차를 보이게 마련이다. 실제 렌즈의 영상면에서의 상 크기를 rrp라고 한다면, 렌즈의 실제 투사 방식과 이상적인 등거리 투사 방식과의 오차는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3085412064-pat00003
어안 렌즈의 왜곡(distortion)은 수학식 3으로 주어지는 f-θ 왜곡(f-θ distortion)으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급형의 어안 렌즈는 수학식 2로 주어지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한다. 단순히 화각 180° 이상을 가지는 어안 렌즈를 설계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화각 180°이상을 가지면서도 등거리 투사 방식과의 오차가 10% 이내로 작은 렌즈를 설계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그런데 어안 렌즈의 산업적 이용에 있어서 중요한 사실은 입사광의 입사각과 영상면에서의 상 크기가 비례한다는 사실이며, 그 비례상수가 반드시 유효 초점 거리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수학식 3으로 주어지는 f-θ 왜곡이 입사각의 전 범위에 걸쳐서 상대적으로 적게 유지되는 가상의 초점거리 fc에 대한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렌즈의 성능 지표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가상의 초점거리 fc는 렌즈의 실제 유효 초점 거리와 상관없이 최소 자승 오차법(least square error method)에 의한 최적의 근사 상수(fitting constant)로 주어진다. 즉, 교정 왜곡은 입사광의 입사각과 센서면에서의 상 크기가 수학식 2로 주어지는 원점을 지나는 1차 함수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표시한다.
도 2는 어안 렌즈의 화각(FOV: Field of View)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미지 센서(213)는 대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며, 이미지 센서면의 가로변의 길이 B와 세로변의 길이 V의 비율은 4:3, 1:1 혹은 16:9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최근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던 1/3-inch CCD 센서의 경우에 가로변의 길이는 4.8mm이고, 세로변의 길이는 3.6mm로 주어진다. 어안 렌즈에 의하여 결상되는 입사광의 최대 입사각을 θ2라고 하고, 대응하는 상 크기를 r2 = r(θ2)라고 한다면, 영상면의 직경 2r2가 이미지 센서면의 가로변의 길이 B보다는 작고, 세로변의 길이 V보다는 클 때, 식별번호 233과 같은 영상면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영상면으로 얻어지는 영상은 가로 방향으로 최대의 화각을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는 이보다 작은 화각을 가진다. 한편, 영상면의 직경 2r2가 이미지 센서면의 세로변의 길이 V보다도 작을 때, 식별번호 234와 같은 영상면이 얻어진다. 식별번호 234와 같은 영상면이 얻어질 때 광축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화각을 갖는 어안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어안 렌즈의 설계에 있어서 또 다른 고려 요인으로는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확보하면서도 렌즈 자체의 총 길이(overall length)를 작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면의 중심과 가장자리에서의 광량비, 즉 주변 광량비(relative illumination)가 너무 작지 않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어려움이다. 주변 광량비가 너무 작으면 영상에서 중심부와 가장자리의 밝기가 심하게 차이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은 요건들을 모두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과도한 제작상의 어려움이나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충분한 설계를 하는 것이 어렵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참고 문헌 [특 1]에는 화각 262°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F-수(F-number)가 14.94로 어두운 렌즈이므로 주변이 밝은 장소가 아니면 사용하기 곤란하다.
참고 문헌 [비특 1]에는 화각 170.8°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는데, 역시 F-수가 7.98로 어두우며, 제1 렌즈 요소의 제 2 렌즈면의 모양이 반구에 가까워서 대량 생산을 하기에 곤란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특 2]에는 화각 220°및 270°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는데, F-수가 5.6으로 비교적 어두우며, 제 1 렌즈 요소의 제 2 렌즈면의 모양이 반구에 가깝고,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기에 불충분하다.
참고 문헌 [특 3]에는 F-수가 2.8이고 화각이 180°인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이 렌즈는 비교적 우수한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나 대량 생산하기에 곤란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특 4]에는 F-수 2.8, 화각 220°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으나, 마찬가지로 제 1 렌즈 요소의 제 2 렌즈면의 모양이 반구에 가깝고,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
참고 문헌 [비특 2]에는 F-수 2.4, 화각 163°의 프로젝션용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는데, 최대 입사각에서 주변 광량비가 60% 정도로 낮다.
참고 문헌 [비특 3]에는 F-수 0.7, 화각 270°이고, 렌즈 매수가 4 매에 불과한 획기적인 적외선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놀라운 특성은 부분적으로 적외선 영역에서 렌즈 재질로 사용되는 게르마늄(Germanium)의 굴절률이 매우 높은 것에 기인한다. 그런데 이 렌즈에서도 제 1 렌즈 요소의 제 2 렌즈면은 반구를 초과하는(hyper-hemispherical) 모양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량 생산을 하기에 매우 곤란하다.
참고 문헌 [비특 4]에는 다양한 상용 어안 렌즈의 특성들이 일목요연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어안 렌즈에서 최대 입사각에서의 주변 광량비가 60% 이하이며, 교정왜곡은 10% 이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특 5]에는 F-수 2.0, 화각 180°이고, 단 6 매의 렌즈 요소만을 사용하는 획기적인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어안 렌즈는 굴절률 1.91인 고굴절률 유리를 사용하므로 생산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참고 문헌 [특 6]에는 특별한 함수 관계로 주어지는 투사 방식을 만족하는 F-수 2.8, 화각 182°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어안 렌즈는 11매의 렌즈 요소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참고 문헌 [특 7]에는 F-수 2.8, 화각 180°의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이 렌즈도 단 6 매의 렌즈 요소를 사용하고 있으나, 비구면 렌즈 요소를 사용하므로 생산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최대 입사각에서의 주변 광량비가 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참고 문헌 [특 8]에도 F-수 2.0, 화각 180°이고, 단 6 매의 렌즈 요소만을 사용하는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어안 렌즈도 굴절률 1.91인 고굴절률 유리를 사용하므로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며,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참고 문헌 [특 9]에는 F-수 2.0, 화각 180°이고, 5 매 내지 7 매의 렌즈 요소를 사용하는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으나, 특허 명세서에 제시된 렌즈 설계도는 주요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 구현이 불가능한 발명이다.
한편, 참고 문헌 [특 10]에는 광각 렌즈가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투사 방식을 만족하는 다양한 광각 렌즈의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으며, 참고 문헌 [특 1]과 [비특 5]에는 1/3-inch 이미지 센서에서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이며, F-수는 2.8이고, 변조 전달 함수와 주변 광량비, 제작 공차가 모두 양호한 어안 렌즈가 제시되어 있다.
참고 문헌 [특 12]에는 8 매 내지 10매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화각이 190°내지 240°인 어안 렌즈의 실시 예들이 제시되어 있고, [특 13]에는 8 매의 렌즈 요소를 가지는 어안 렌즈의 실시 예들이 제시되어 있다.
참고 문헌 [특 14]와 [특 15]에는 7 매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화각이 190°인 어안 렌즈의 실시 예들이 제시되어 있다.
참고 문헌 [특 14]에는 본 발명자에 의한 어안 렌즈의 일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특 14]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3-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2.350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는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stop)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한다. 제 7 렌즈 요소 E7와 센서면 I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 유리(cover glass) C는 렌즈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카메라 몸체의 구성 요소 중 일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object side)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image side)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object point)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1은 참고 문헌 [특 14]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이다. 표 1에서 반지름(radius)과 면 두께(thickenss)의 단위는 millimeter이다. 여기서 반지름이란 정확하게는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의미한다. 혼동의 여지가 없으므로 편의상 곡률 반경을 반지름이라고 지칭한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model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12.902 0.98 1.88281 40.76 E-LASF08
2 R2 3.801 2.41
3 E2 R3 21.928 0.78 1.88281 40.76 E-LASF08
4 R4 2.909 3.72
5 E3 R5 6.700 1.59 1.84635 23.78 E-SF03
6 R6 -26.200 2.03
7 Stop R7 infinity 0.19
8 E4 R8 10.608 1.82 1.74385 44.78 E-LAF2
9 E5 R9 -2.088 0.57 1.84635 23.78 E-SF03
10 R10 -7.733 0.20
11 E6 R11 7.021 0.65 1.84635 23.78 E-SF03
12 E7 R12 2.572 1.93 1.71987 50.23 E-LAK10
13 R13 151.201 2.19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73 64.10 E-BK7
15 R15 infinity 0.55
16 I R16
도 3과 표 1을 참조하면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 E1은 볼록면(convex surface)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이다. 부연하면, 제 1 렌즈 요소의 물체쪽의 렌즈면인 제 1 렌즈면 R1은 물체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면의 형상을 가지며, 상쪽의 렌즈면인 제 2 렌즈면 R2은 상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목면(concave surface)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1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12.902mm이며, 제 1 렌즈면과 일치하는 원의 중심은 제 1 렌즈면에 대하여 오른쪽(즉, 상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원의 중심에서 제 1 렌즈면 상의 정점(vertex)을 향하는 방향 - 이하 제 1 렌즈면의 방향 벡터라고 지칭함 - 은 상쪽에서 물체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여기서 정점이란 렌즈면과 광축(optical axis)과의 교점(intersection point)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3.801mm이며, 제 2 렌즈면과 일치하는 원의 중심도 제 2 렌즈면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렌즈면의 방향 벡터도 상쪽에서 물체쪽을 향한다. 어느 렌즈 요소의 물체쪽의 렌즈면의 방향 벡터와 상쪽의 렌즈면의 방향 벡터가 일치할 때 이와 같은 렌즈 요소를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 요소라고 지칭한다.
한편, 제 1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12.902mm이며 제 2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3.801mm이므로, 제 1 렌즈 요소는 광축에 평행하게 측정한 렌즈 요소의 두께가 중심보다 가장 자리에서 더 두껍다. 그러므로 제 1 렌즈 요소는 음의 굴절능(negative refractive power)를 갖는 렌즈 요소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하면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2 렌즈 요소 E2의 제 3 렌즈면 R3은 물체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며, 제 4 렌즈면 R4은 상쪽을 향하는 오목면이다. 또한, 제 3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21.928mm이며 제 4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2.909mm이므로, 제 2 렌즈 요소도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제 3 렌즈 요소 E3의 제 5 렌즈면 R5은 물체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며, 제 6 렌즈면 R6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이와 같은 렌즈를 양볼록(bi-convex) 렌즈 요소라고 지칭한다. 양볼록 렌즈 요소는 중심부위가 가장자리보다 더 두꺼우므로 항상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1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Hikari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굴절률이 1.88281이고, 아베수(Abbe number)가 40.76인 고굴절 유리이다. 이와 같은 굴절률과 아베수에 가장 근접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Hikari사의 제품은 E-LASF08이라는 상품명을 가지고 있다. 제 2 렌즈 요소 내지 제 7 렌즈 요소도 모두 Hikari 사의 광학 유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자인은 Schott사나 Hoya사 등 다른 회사 제품의 특성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3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8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도 6의 왼쪽 그래프는 이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상당히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도 3에 제시된 어안 렌즈는 광학적 성능은 우수하지만 대량 생산을 하기에는 원자재비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표 2는 도 3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양산시 원자재비를 이해하기 위한 표이다.
element Hikari glass Equivalent Schott glass relative price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E-LASF08 1.88281 40.76 N-LASF31A 1.88300 40.76 17.0
E2 E-LASF08 1.88281 40.76 N-LASF31A 1.88300 40.76 17.0
E3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4 E-LAF2 1.74385 44.78 N-LAF2 1.74397 44.85 3.5
E5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6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7 E-LAK10 1.71987 50.23 N-LAK10 1.72003 50.62 4.5
Cover E-BK7 1.51673 64.10 N-BK7 1.51680 64.17 1.0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에 제시된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 E1은 Hikari사의 제품으로서 E-LASF08이라는 모델명을 가지고 있으며, 대표 굴절률(nd)은 1.88281이며, 아베수(Abbe number)는 40.76이다. 이 E-LASF08 유리는 Schott사의 N-LASF31A 유리에 대응되며, N-LASF31A의 대표 굴절률은 1.88300이고, Abbe수는 40.76으로 E-LASF08 유리와 광학적 특성이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비특 6]은 Schott사의 광학 유리 카탈로그이다. [비특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N-LASF31A 유리는 가장 일반적인 N-BK7 유리에 비하여 무려 17배나 비싼 유리이다. 이 제품이 이와 같이 비싼 이유는 고굴절률을 가지면서도 높은 아베수를 갖게 하기 위하여 고가의 희토류 원소를 많이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 요소 E1은 부피도 가장 크기 때문에 원자재비에 따른 비용 상승이 크게 된다.
참고 문헌 [특 5]에 제시된 어안 렌즈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견된다. [특 5]의 표 1에 제시된 어안 렌즈는 광학 유리의 모델명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1 렌즈 요소 E1은 광학적 특성이 유사한 Schott glass가 없다. 대신에 참고 문헌 [비특 6]의 CDGM glass catalog에서 광학적 특성이 유사한 유리가 발견되며, 모델명은 H-ZLaF4LA이다. 이 광학 유리의 상대적인 가격은 공개된 자료를 찾을 수 없다. 제 2 렌즈 요소 E2 내지 제 6 렌즈 요소 E6는 광학적 특성이 유사한 광학 유리를 Schott glass catalog에서 찾을 수 있으며, 표 3에 정리되어 있다.
element Lens prescription in Table 1 of US patent 7,023,628 Most similar Schott or CDGM glass relative pric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1.910 35.47 H-ZLaF4LA 1.91082 35.25 ?
E2 1.816 46.61 N-LASF44 1.80420 46.50 6.0
E3 1.917 21.51 N-SF66 1.92286 20.88 16.0
E4 1.729 54.67 N-LAK34 1.72916 54.50 5.5
E5 1.917 21.51 N-SF66 1.92286 20.88 16.0
E6 1.640 60.15 N-LAK21 1.64049 60.10 3.5
Cover 1.516 64.17 N-BK7 1.51680 64.17 1.0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E5는 상대적인 가격이 대단히 높으며, 이는 높은 굴절률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로 미루어보면 제 1 렌즈 요소 E1은 높은 굴절률과 더불어 더 높은 아베수를 가지므로 역시 상대적인 가격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 2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안 렌즈들은 원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으로 가공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는 소형 어안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 1] A. C. S. van Heel, G. J. Beernink, and H. J. Raterink, "Wide-angle objective lens", 미국 특허 제2,947,219호(등록번호), 등록일 1960년 8월 2일. [특 2] M. Isshiki and K. Matsuki, "Achromatic super wide-angle lens", 미국 특허 제3,524,697호(등록번호), 등록일 1970년 8월 18일. [특 3] T. Ogura, "Wide-angle lens system with corrected lateral aberration", 미국 특허 제3,589,798호(등록번호), 등록일 1971년 6월 29일. [특 4] Y. Shimizu, "Wide-angle fisheye lens", 미국 특허 제3,737,214호(등록번호), 등록일 1973년 6월 5일. [특 5] A. Ning, "Compact fisheye objective lens", 미국 특허 제7,023,628호(등록번호), 등록일 2006년 4월 4일. [특 6] K. Yasuhiro and Y. Kazuyoshi, "Fisheye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일본 특허 제2006-098942호(공개번호), 공개일 2006년 4월 13일. [특 7] M. Kawada, "Fisheye lens unit", 미국 특허 제7,283,312호(등록번호), 등록일 2007년 10월 16일. [특 8] A. Ning, "Compact fisheye objective lens", 미국 특허 제7,869,141호(등록번호), 등록일 2011년 1월 11일. [특 9] A. Ning, "Ultra-wide angle objective lens", 미국 특허 제7,929,221호(등록번호), 등록일 2011년 4월 19일. [특 10] 권경일, 밀턴 라이킨, "광각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0826571호(등록번호), 등록일 2008년 4월 24일. [특 11] 권경일, 밀턴 라이킨,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0888922호(등록번호), 등록일 2009년 3월 10일. [특 12] 권경일,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0932850호(등록번호), 등록일 2009년 12월 10일. [특 13] 권경일,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1070991호(등록번호), 등록일 2011년 9월 29일. [특 14] 권경일,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2010-0138256호(출원번호), 출원일 2010년 12월 29일. [특 15] 권경일,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2011-0010367호(출원번호), 출원일 2011년 2월 2일.
[비특 1] K. Miyamoto, "Fish eye lens", J. Opt. Soc. Am., vol. 54, pp. 1060-1061 (1964). [비특 2] R. Doshi, "Fisheye projection lens for large format film", Proc. SPIE, vol. 2000, pp. 53-61 (1993). [비특 3] J. B. Caldwell, "Fast IR fisheye lens with hyper-hemispherical field of view", Optics & Photonics News, p. 47 (July, 1999). [비특 4] J. J. Kumler and M. Bauer, "Fisheye lens designs and their relative performance", Proc. SPIE, vol. 4093, pp. 360-369 (2000). [비특 5] G. Kweon, Y. Choi and M. Laikin, "Fisheye lens for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J. Opt. Soc. Korea, vol. 12, no. 2, pp.79-87 (2008). [비특 6] 2012년 6월자 Schott optical glass 카탈로그. [비특 7] 2013년 2월자 CDGM optical glass 카탈로그.
본 발명은 렌즈 요소의 수가 비교적 적고, 화각 180°이상을 가지며, 등거리 투사 방식과의 오차가 크지 않고, 대량 생산을 하기에 용이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는 어안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요소가 7 매이며 원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면서도 바람직한 광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제공하되,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20에서 50 사이이고,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며,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에서 60 사이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고,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바람직한 광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모두 가지는 어안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보안·감시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응용 예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결상 렌즈의 투사 방식의 개념도.
도 2는 이미지 센서면에 대한 바람직한 어안 렌즈의 영상면의 크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5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도 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4-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1.812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는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stop)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하며, 제 7 렌즈 요소 E7와 센서면 I 사이에 보호 유리(cover glass) C가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model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14.843 1.81 1.80385 46.58 E-LASF015
2 R2 3.367 2.44
3 E2 R3 -33.619 0.90 1.74087 52.67 E-LAK011
4 R4 2.817 3.28
5 E3 R5 8.191 1.54 1.84635 23.78 E-SF03
6 R6 -12.228 1.69
7 Stop R7 infinity 0.18
8 E4 R8 12.916 1.70 1.69987 48.08 E-LAF01
9 E5 R9 -1.755 0.90 1.84635 23.78 E-SF03
10 R10 -4.405 0.20
11 E6 R11 9.804 0.87 1.76157 26.56 E-SF14
12 E7 R12 2.195 1.95 1.69987 48.08 E-LAF01
13 R13 -20.822 1.76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73 64.10 E-BK7
15 R15 infinity 0.40
16 I R16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유사하지만 제 2 렌즈 요소 E2의 형상에서 주요한 차이가 있다. 즉,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는 제 2 렌즈 요소 E2가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다.
도 7과 도 3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도 3의 어안 렌즈의 형상에 비하여 기계적으로 가공하기에 유리한 안정적인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에 적합하고, 불량률도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보이는 변조전달함수 특성이나 도 9에 보이는 주변광량비 등이 모두 종래 발명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고, 도 10에 보이는 교정 왜곡도 양호한 수준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4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Hikari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굴절률이 1.80385이고, 아베수는 46.58이며, 상품명은 E-LASF015이다. 이 E-LASF015 유리는 표 1에 제시된 제 1 렌즈 요소에 사용된 유리 E-LASF08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물론, 이와 같은 디자인은 Schott사나 Hoya사 등 다른 회사의 제품의 특성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element Hikari glass Equivalent Schott or CDGM glass relative price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E-LASF015 1.80385 46.58 N-LASF44 1.80420 46.50 6.0
E2 E-LAK011 1.74087 52.67 H-LaK61 1.74100 52.64 5.0
E3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4 E-LAF01 1.69987 48.08 H-LaF51 1.70000 48.08 3.0
E5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6 E-SF14 1.76157 26.56 N-SF14 1.76182 26.53 3.5
E7 E-LAF01 1.69987 48.08 H-LaF51 1.70000 48.08 3.0
Cover E-BK7 1.51673 64.10 N-BK7 1.51680 64.17 1.0
표 5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들에 대응되는 Schott 또는 CDGM 유리의 모델명과 굴절률, 아베수 및 N-BK7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가격이 제시되어 있다. 이 상대적인 가격은 유동적이지만 렌즈 생산시 고려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표 5와 표 2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의 원재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작게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므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 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그런데, 제 2 렌즈 요소는 그런 제약이 없으며, 최적화 설계를 한 결과 제 2 렌즈 요소의 형상이 음의 굴절능을 갖는 양오목 렌즈 요소(biconcave lens element)일 때 최상의 결과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제 1 렌즈 요소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률이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또한,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이와 같은 고굴절률은 렌즈면의 모양이 반구에 가깝게 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화각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며, 비교적 높은 아베수는 파장에 따른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필요하다.
제 3 렌즈 요소 E3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의 사이에 조리개 S가 위치한다. 조리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된다. 조리개를 기준으로 상쪽에 있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이 중에서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 4 렌즈 요소 E4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 7 렌즈 요소 E7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 4 렌즈 요소 E4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마찬가지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렌즈 요소 E4와 제 5 렌즈 요소 E5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형성한다. 접합 렌즈의 특성상 제 4 렌즈 요소와 제 5 렌즈 요소는 제 9 렌즈면 R9을 공유한다. 물리적으로는 제 4 렌즈 요소의 상쪽 렌즈면과 제 5 렌즈 요소의 물체쪽 렌즈면이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후 광학 접착제(optical cement)를 사용하여 접착된 것이다.
제 5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9 렌즈면 R9과 상쪽의 제 10 렌즈면 R10를 가지며, 제 9 렌즈면은 물체쪽을 향하는 오목면이고, 제 10 렌즈면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제 9 렌즈면의 방향 벡터와 제 10 렌즈면의 방향 벡터는 모두 물체쪽에서 상쪽을 가리키므로 이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9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1.755mm이며, 제 10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4.405mm이다. 따라서 제 5 렌즈 요소는 가장자리가 중심 부위보다 더 두꺼운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종합하면 제 5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6 렌즈 요소 E6와 제 7 렌즈 요소 E7도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6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1 렌즈면 R11과 상쪽의 제 12 렌즈면 R12을 가지며, 제 7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2 렌즈면 R12와 상쪽의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6 이상이다. 또한, 제 4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5 내지 제 6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화각 180°이상의 어안 렌즈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한다.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도 8은 도 7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5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는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9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한편, 도 10의 왼쪽 그래프는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 다른 렌즈의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 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20.02mm로 이 실시예의 어안 렌즈는 상당히 소형이다. 또한,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전혀 불편이 없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비교적 양호하다는 점이다. 본 실시 예의 렌즈는 7매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총 13개의 렌즈면이 있다. 또한, 이 렌즈 요소들이 표 4에 정해진 바와 같이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페이서(spacer)와 리테이너(retainer) 및 경통(barrel)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렌즈 요소 및 스페이서 등은 기계적으로 가공되어야 하므로 설계된 대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제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얼마간의 오차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표 4가 주어진 특성을 갖도록 최적화된 설계도이므로, 이 설계도와 오차를 갖게 되면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렌즈 디자인에 따라서 일정한 양만큼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가공 오차의 범위가 차이가 난다. 훌륭한 디자인은 가공 오차가 크더라도 성능의 저하가 비교적 작게 일어난다.
현재의 생산 기술로 가능한 제작 공차는 렌즈 제작소별로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인 제작 공차는 거의 공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두께 공차(thickness tolerance)는 20㎛, 렌즈면의 반지름의 제작 공차는 뉴튼링(Newton ring) 3 fringe 등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제작 공차로 제작하여도 성능의 저하가 크지 않으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성능 저하 또는 불량률을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인 제작 공차보다 작은 제작 공차로 생산하려고 하면, 제작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대량 생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모든 광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만족한다고 하더라고 제작 공차가 충분하지 않은 디자인은 좋은 디자인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일반적인 제작 공차로 제작하더라도 불량률이 일반적인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디자인이다. 이와 같은 제작 공차는 공차 분석(tolerance analysis)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표 4와 같은 완전한 렌즈의 설계도가 있다면 Zemax와 같은 렌즈 설계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3-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2.722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도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다. 물론 렌즈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구면(aspherical surface)으로 하여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지만, 개발 또는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조리개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object side)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image side)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6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20.478 2.53 1.80420 46.50 N-LASF44
2 R2 5.122 3.64
3 E2 R3 -54.079 0.80 1.72916 54.50 N-LAK34
4 R4 4.389 7.09
5 E3 R5 9.735 1.60 1.84666 23.78 N-SF57
6 R6 -48.773 2.78
7 Stop R7 infinity 0.20
8 E4 R8 17.475 2.05 1.67003 47.11 N-BAF10
9 E5 R9 -2.775 0.65 1.84666 23.78 N-SF57
10 R10 -8.205 0.20
11 E6 R11 44.683 0.80 1.76182 26.53 N-SF14
12 E7 R12 4.139 2.29 1.67003 47.11 N-BAF10
13 R13 -8.875 4.57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80 64.17 N-BK7
15 R15 infinity 0.40
16 I R16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매우 유사하다. 즉, 종래 발명의 어안 렌즈에서는 제 2 렌즈 요소 E2의 형상이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2 렌즈 요소 E2의 형상은 양오목 렌즈 요소이다.
도 11과 도 3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도 3의 어안 렌즈의 형상에 비하여 기계적으로 가공하기에 유리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에 적합하고, 불량률도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보이는 변조전달함수 특성이나 도 13에 보이는 주변광량비 등이 모두 종래 발명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고, 도 14에 보이는 교정 왜곡도 양호한 수준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6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Schott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굴절률이 1.80420이고, 아베수는 46.50이며, 상품명은 N-LASF44이다. 이 N-LASF44 유리는 표 1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에 사용된 유리 E-LASF08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물론, 이와 같은 디자인은 Hikari사나 Hoya사 등 다른 회사의 제품의 특성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element Schott glass index Abbe number relative price
E1 N-LASF44 1.80420 46.50 6.0
E2 N-LAK34 1.72916 54.50 5.5
E3 N-SF57 1.84666 23.78 4.0
E4 N-BAF10 1.67003 47.11 3.0
E5 N-SF57 1.84666 23.78 4.0
E6 N-SF14 1.76182 26.53 3.5
E7 N-BAF10 1.67003 47.11 3.0
Cover N-BK7 1.51680 64.17 1.0
표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들을 구성하는 Schott 유리의 모델명과 굴절률, 아베수 및 N-BK7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가격이 제시되어 있다. 표 7과 표 2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의 원재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작게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 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한편, 최적화 설계의 결과 제 2 렌즈 요소는 음의 굴절능을 갖는 양오목 렌즈 요소(biconcave lens element)일 때 최선의 성능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제 1 렌즈 요소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률이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또한,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 E3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양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지고,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의 사이에 조리개 S가 위치한다. 조리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된다. 조리개를 기준으로 상쪽에 있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이 중에서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 4 렌즈 요소 E4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 7 렌즈 요소 E7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제 4 렌즈 요소 E4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마찬가지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렌즈 요소 E4와 제 5 렌즈 요소 E5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형성한다. 제 5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9 렌즈면 R9과 상쪽의 제 10 렌즈면 R10를 가지며, 제 9 렌즈면은 물체쪽을 향하는 오목면이고, 제 10 렌즈면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제 9 렌즈면의 방향 벡터와 제 10 렌즈면의 방향 벡터는 모두 물체쪽에서 상쪽을 가리키므로 이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9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2.775mm이며, 제 10 렌즈면의 곡률 반경은 -8.205mm이다. 따라서 제 5 렌즈 요소는 가장자리가 중심 부위보다 더 두꺼운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종합하면 제 5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6 렌즈 요소 E6와 제 7 렌즈 요소 E7도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6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1 렌즈면 R11과 상쪽의 제 12 렌즈면 R12을 가지며, 제 7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2 렌즈면 R12와 상쪽의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6 이상이다. 또한, 제 4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5 내지 제 6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화각 180°이상의 어안 렌즈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이고,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한다.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도 12는 도 11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4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9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한편, 도 14의 왼쪽 그래프는 제 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 다른 렌즈의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 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30.00mm로 이 실시예의 어안 렌즈는 상당히 소형이다. 또한,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이 없고,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도 비교적 양호하다.
(제 3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3-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2.707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도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8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18.344 1.69 1.84635 23.78 E-SF03
2 R2 4.762 3.62
3 E2 R3 -40.781 1.00 1.80385 46.58 E-LASF015
4 R4 4.588 6.00
5 E3 R5 10.304 1.98 1.84635 23.78 E-SF03
6 R6 -35.297 4.71
7 Stop R7 infinity 0.18
8 E4 R8 7.522 1.97 1.67779 55.40 E-LAK12
9 E5 R9 -3.197 0.84 1.84635 23.78 E-SF03
10 R10 -10.241 1.32
11 E6 R11 15.484 1.00 1.78446 25.68 E-SF11
12 E7 R12 3.142 2.33 1.65833 50.89 E-SSK5
13 R13 -35.852 2.58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73 64.10 E-BK7
15 R15 infinity 0.40
16 I R16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매우 유사하다. 도 15와 표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기계적으로 가공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에 적합하고, 불량률도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보이는 변조전달함수 특성이나 도 17에 보이는 주변광량비 등이 모두 종래 발명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고, 도 18에 보이는 교정 왜곡도 양호한 수준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8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Hikari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굴절률이 1.84635이고, 아베수는 23.78이며, 상품명은 E-SF03이다. 이 E-SF03 유리는 표 1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에 사용된 유리 E-LASF08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element Hikari glass Equivalent Schott glass relative price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2 E-LASF015 1.80385 46.58 N-LASF44 1.80420 46.50 6.0
E3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4 E-LAK12 1.67779 55.40 N-LAK12 1.67790 55.20 3.0
E5 E-SF03 1.84635 23.78 N-SF57 1.84666 23.78 4.0
E6 E-SF11 1.78446 25.68 N-SF11 1.78472 25.68 3.5
E7 E-SSK5 1.65833 50.89 N-SSK5 1.65844 50.88 3.0
Cover E-BK7 1.51673 64.10 N-BK7 1.51680 64.17 1.0
표 9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들에 대응되는 Schott 유리의 모델명과 굴절률, 아베수 및 N-BK7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가격이 제시되어 있다. 표 9와 표 2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의 원재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작게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 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제 2 렌즈 요소는 음의 굴절능을 갖는 양오목 렌즈 요소(biconcave lens element)이다.
제 1 렌즈 요소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률이 1.7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이와 같이 낮은 아베수를 갖는 유리는 희토류 금속을 적게 함유하므로 원재료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 E3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양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지고,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의 사이에 조리개 S가 위치한다. 조리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된다. 조리개를 기준으로 상쪽에 있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이 중에서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 4 렌즈 요소 E4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 7 렌즈 요소 E7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 제 4 렌즈 요소 E4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마찬가지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렌즈 요소 E4와 제 5 렌즈 요소 E5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형성한다. 제 5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9 렌즈면 R9과 상쪽의 제 10 렌즈면 R10를 가지며,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6 렌즈 요소 E6와 제 7 렌즈 요소 E7도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6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1 렌즈면 R11과 상쪽의 제 12 렌즈면 R12을 가지며, 제 7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2 렌즈면 R12와 상쪽의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6 이상이다. 또한, 제 4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5 내지 제 6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화각 180°이상의 어안 렌즈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이고,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한다.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도 16는 도 15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4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7은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8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도 18의 왼쪽 그래프는 제 3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 다른 렌즈의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 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30.02mm로 이 실시예의 어안 렌즈는 상당히 소형이고,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다. 또한,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비교적 양호하다.
(제 4 실시 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6:9의 비율을 가지는 1/3-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2.702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도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10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18.366 1.74 1.84666 23.78 N-SF57
2 R2 4.706 3.62
3 E2 R3 -36.470 1.00 1.80601 40.95 H-ZLaF52
4 R4 4.600 5.85
5 E3 R5 10.335 1.94 1.84666 23.78 N-SF57
6 R6 -32.281 4.94
7 Stop R7 infinity 0.17
8 E4 R8 7.145 2.02 1.67790 55.52 H-LaK5A
9 E5 R9 -3.144 0.91 1.84666 23.78 N-SF57
10 R10 -10.118 1.29
11 E6 R11 17.450 1.00 1.78472 25.72 H-ZF13
12 E7 R12 3.095 2.22 1.65844 50.85 H-ZBaF50
13 R13 -31.706 2.52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80 64.17 N-BK7
15 R15 infinity 0.40
16 I R16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도 제 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매우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10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Schott glass와 CDGM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Schott glass 중에서 선택되었으며, 굴절률이 1.84666이고, 아베수는 23.78이며, 상품명은 N-SF57이다. 이 N-SF57 유리는 표 1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에 사용된 유리 E-LASF08보다 작은 굴절률과 아베수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제 2 렌즈 요소 E2는 CDGM glass 중에서 선택되었으며, 굴절률이 1.80601이고, 아베수는 40.95이며, 상품명은 H-ZLaF52이다.
element Schott or CDGM glass Equivalent Schott glass relative price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N-SF57 1.84666 23.78 N-SF57 1.84666 23.78 4.0
E2 H-ZLaF52 1.80601 40.95 N-LASF43 1.80610 40.61 6.0
E3 N-SF57 1.84666 23.78 N-SF57 1.84666 23.78 4.0
E4 H-LaK5A 1.67790 55.52 N-LAK12 1.67790 55.20 3.0
E5 N-SF57 1.84666 23.78 N-SF57 1.84666 23.78 4.0
E6 H-ZF13 1.78472 25.72 N-SF11 1.78472 25.68 3.5
E7 H-ZBaF50 1.65844 50.85 N-SSK5 1.65844 50.88 3.0
Cover N-BK7 1.51680 64.17 N-BK7 1.51680 64.17 1.0
표 11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들에 대응되는 Schott 유리의 모델명과 굴절률, 아베수 및 N-BK7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가격이 제시되어 있다. 표 11과 표 2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의 원재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작게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 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제 2 렌즈 요소는 음의 굴절능을 갖는 양오목 렌즈 요소(biconcave lens element)이다.
제 1 렌즈 요소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률이 1.8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이와 같이 낮은 아베수를 갖는 유리는 희토류 금속을 적게 함유하므로 원재료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 E3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양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지고,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의 사이에 조리개 S가 위치한다. 조리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된다. 조리개를 기준으로 상쪽에 있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이 중에서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 4 렌즈 요소 E4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 7 렌즈 요소 E7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서 제 4 렌즈 요소 E4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마찬가지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렌즈 요소 E4와 제 5 렌즈 요소 E5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형성한다. 제 5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9 렌즈면 R9과 상쪽의 제 10 렌즈면 R10를 가지며,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6 렌즈 요소 E6와 제 7 렌즈 요소 E7도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6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1 렌즈면 R11과 상쪽의 제 12 렌즈면 R12을 가지며, 제 7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2 렌즈면 R12와 상쪽의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6 이상이다. 또한, 제 4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5 내지 제 6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화각 180°이상의 어안 렌즈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이고,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한다.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도 20은 도 19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3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1은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8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도 22의 왼쪽 그래프는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 다른 렌즈의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 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30.02mm로 이 실시예의 어안 렌즈는 상당히 소형이다. 또한,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이 없다. 또한,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비교적 양호하다.
(제 5 실시 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0이고, 화각은 190°이며, 16:9의 비율을 가지는 1/3-inch CCD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가로 방향의 화각이 190°가 되도록 입사각 95°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2.712mm로 주어진다.
이 렌즈도 물체쪽에서부터 상쪽으로 제 1 렌즈 요소 E1 내지 제 7 렌즈 요소 E7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E1 ~ E7)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 S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 사이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 렌즈면 R1과 상쪽의 제 2 렌즈면 R2을 가지며, 제 2 렌즈 요소 E2는 물체쪽의 제 3 렌즈면 R3과 상쪽의 제 4 렌즈면 R4을 가지고,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 5 렌즈면 R5 내지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편의상 조리개는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한다.
물체쪽의 한 물점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 1 렌즈 요소 E1의 굴절면인 제 1 렌즈면 R1으로 입사하여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와 커버 글래스 C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 I로 수렴한다. 표 12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surface number element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number glass
object infinity infinity
1 E1 R1 20.744 2.52 1.80400 46.58 H-ZLaF50D
2 R2 5.471 3.71
3 E2 R3 infinity 0.84 1.74100 52.64 H-LaK61
4 R4 4.314 8.06
5 E3 R5 7.038 1.59 1.84666 23.78 N-SF57
6 R6 72.995 2.13
7 Stop R7 infinity 0.25
8 E4 R8 27.676 2.00 1.70000 48.08 H-LaF51
9 E5 R9 -2.589 0.78 1.84666 23.78 N-SF57
10 R10 -10.896 0.20
11 E6 R11 13.208 0.80 1.76182 26.61 H-ZF12
12 E7 R12 3.786 2.26 1.70000 48.08 H-LaF51
13 R13 -13.955 4.06
14 Cover R14 infinity 0.40 1.51680 64.17 N-BK7
15 R15 infinity 0.40
16 I R16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은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형상과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는 제 2 렌즈 요소 E2의 형상이 양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 E3의 형상이 양볼록 렌즈 요소이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서는 제 2 렌즈 요소 E2의 형상이 물체쪽이 평면인 평오목(plano-concave)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 E3의 형상은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그러나, 제 2 렌즈 요소 E2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제 3 렌즈 요소 E3는 양의 굴절능을 가진다는 사실은 동일하다.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12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Schott glass와 CDGM 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 요소 E1은 CDGM glass 중에서 선택되었으며, 굴절률이 1.80400이고, 아베수는 46.58이며, 상품명은 H-ZLaF50D이다. 이 H-ZLaF50D 유리는 표 1에 제시된 종래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에 사용된 유리 E-LASF08보다 작은 굴절률과 아베수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다. 따라서, 대량 생산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제 3 렌즈 요소 E3는 Schott glass 중에서 선택되었으며, 굴절률이 1.84666이고, 아베수는 23.78이며, 상품명은 N-SF57이다.
element Schott or CDGM glass Equivalent Schott glass relative price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model name index Abbe number
E1 H-ZLaF50D 1.80400 46.58 N-LASF44 1.80420 46.50 6.0
E2 H-LaK61 1.74100 52.64 N-LAF35 1.74330 49.40 4.5
E3 N-SF57 1.84666 23.78 N-SF57 1.84666 23.78 4.0
E4 H-LaF51 1.70000 48.08 N-LAK14 1.69680 55.41 3.0
E5 N-SF57 1.84666 23.78 N-SF57 1.84666 23.78 4.0
E6 H-ZF12 1.76182 26.61 N-SF14 1.76182 26.53 3.5
E7 H-LaF51 1.70000 48.08 N-LAK14 1.69680 55.41 3.0
Cover N-BK7 1.51680 64.17 N-BK7 1.51680 64.17 1.0
표 13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들에 대응되는 Schott 유리의 모델명과 굴절률, 아베수 및 N-BK7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가격이 제시되어 있다. 표 13과 표 2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의 원재료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양산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작게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 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그런데, 음의 굴절능을 가져야 한다는 것 이외에 특별한 제약 조건이 없는 제 2 렌즈 요소는 음의 굴절능을 갖는 평오목 렌즈 요소(plano-concave lens element)로 구현되었다.
제 1 렌즈 요소 내지 제 2 렌즈 요소는 모두 굴절률이 1.7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40에서 50 사이의 값을 가진다.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아베수를 갖는 유리는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다.
제 3 렌즈 요소 E3는 제 1 내지 제 2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의 형상을 가지고,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요소 E3와 제 4 렌즈 요소 E4의 사이에 조리개 S가 위치한다. 조리개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제 7 렌즈면 R7으로 간주된다. 조리개를 기준으로 상쪽에 있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로 구성된다. 특히, 이 중에서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 4 렌즈 요소 E4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 7 렌즈 요소 E7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서 제 4 렌즈 요소 E4는 제 3 렌즈 요소 E3와 마찬가지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렌즈 요소 E4와 제 5 렌즈 요소 E5는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5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9 렌즈면 R9과 상쪽의 제 10 렌즈면 R10를 가지며,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한편 제 6 렌즈 요소 E6와 제 7 렌즈 요소 E7도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제 6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1 렌즈면 R11과 상쪽의 제 12 렌즈면 R12을 가지며, 제 7 렌즈 요소는 물체쪽의 제 12 렌즈면 R12와 상쪽의 제 13 렌즈면 R13을 가진다.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6 이상이다. 또한, 제 4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5 내지 제 6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화각 180°이상의 어안 렌즈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 2 렌즈 요소는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50 이상이다. 제 3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한다.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도 24는 도 23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0.5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5는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0.9 이상인 것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도 26의 왼쪽 그래프는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7%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 다른 렌즈의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 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30.00mm로 이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상당히 소형이다. 또한,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이 없다. 또한,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비교적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 예에 제시된 어안 렌즈들의 형상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와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 중의 어느 한 렌즈 요소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와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 중의 어느 한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한다.
한편, 표 14에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사용된 광학 유리들의 굴절률(nd) 및 아베수(vd)가 정리되어 있다.
요소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 예 5
nd vd nd vd nd vd nd vd nd vd
E1 1.80385 46.58 1.80420 46.50 1.84635 23.78 1.84666 23.78 1.80400 46.58
E2 1.74087 52.67 1.72916 54.50 1.80385 46.58 1.80601 40.95 1.74100 52.64
E3 1.84635 23.78 1.84666 23.78 1.84635 23.78 1.84666 23.78 1.84666 23.78
E4 1.69987 48.08 1.67003 47.11 1.67779 55.40 1.67790 55.52 1.70000 48.08
E5 1.84635 23.78 1.84666 23.78 1.84635 23.78 1.84666 23.78 1.84666 23.78
E6 1.76157 26.56 1.76182 26.53 1.78446 25.68 1.78472 25.72 1.76182 26.51
E7 1.69987 48.08 1.67003 47.11 1.65833 50.89 1.65844 50.85 1.70000 48.08
표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어안 렌즈의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20에서 50 사이이다. 한편, 가장 크기가 큰 제 1 렌즈 요소의 원자재비가 특히 저렴한 실시 예 3 및 실시 예 4만을 고려하면 아베수는 20에서 40 사이이다.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에서 60 사이이다. 제 3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며,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하였다. 하지만,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과 기계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제작 공차가 크고 원재료비가 작은 광학 유리만을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을 하기에 적합하다.
101: 광축
112: 렌즈
114: 카메라 몸체
113, 213: 센서면
132: 초점면
105: 입사광
106: 굴절광
233, 234: 영상면
E1 ~ E7: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
R1 ~ R16: 제 1 내지 제 16 렌즈면
S: 조리개(stop)
C: 보호 유리(cover glass)
I: 이미지 센서면

Claims (11)

  1. 물체쪽에서 상쪽으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와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 중 어느 한 렌즈 요소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와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 중 어느 한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하며,
    제 4 렌즈 요소와 제 5 렌즈 요소는 접합 렌즈를 구성하되,
    제 4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제 5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6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도 접합 렌즈를 구성하되,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 렌즈 요소는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 3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20에서 50 사이이며,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에서 60 사이이며,
    제 3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5. 제 1항에 있어서,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하되,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6. 물체쪽에서 상쪽으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되,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20에서 40 사이이며,
    제 2 렌즈 요소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되,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에서 60 사이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되,
    제 3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30 이하이며,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하고,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하되,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7. 제 6항에 있어서,
    제 4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제 5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8. 제 7항에 있어서,
    제 4 렌즈 요소와 제 5 렌즈 요소는 접합 렌즈를 구성하고,
    제 6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도 접합 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9. 물체쪽에서 상쪽으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7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되,
    제 1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제 2 렌즈 요소는 평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평오목 렌즈 요소이되,
    제 2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50 이상이며,
    제 3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되,
    제 3 렌즈 요소의 굴절률은 1.8 이상이고, 아베수는 30 이하이며,
    제 3 렌즈 요소와 제 4 렌즈 요소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하고,
    제 4 내지 제 7 렌즈 요소 중에는 하나 이상의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와 하나 이상의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가 존재하되,
    그중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40 이상이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는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4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고,
    제 5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며,
    제 6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고,
    제 7 렌즈 요소는 양볼록 렌즈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4 렌즈 요소와 제 5 렌즈 요소는 접합 렌즈를 구성하고,
    제 6 렌즈 요소와 제 7 렌즈 요소도 접합 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안 렌즈.
KR1020130112232A 2013-04-21 2013-09-21 어안 렌즈 KR101431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895 2013-04-21
KR1020130043895 2013-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394B1 true KR101431394B1 (ko) 2014-08-20

Family

ID=5175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232A KR101431394B1 (ko) 2013-04-21 2013-09-21 어안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215A (zh) * 2016-12-15 2019-07-23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广角透镜
CN113484997A (zh) * 2021-09-08 2021-10-08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741012A (zh) * 2021-11-08 2021-12-03 沂普光电(天津)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模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778A (ja) * 1996-08-23 1998-05-06 Asahi Seimitsu Kk 非球面レンズを用いた超広角レンズ系
KR20120076210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어안 렌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778A (ja) * 1996-08-23 1998-05-06 Asahi Seimitsu Kk 非球面レンズを用いた超広角レンズ系
KR20120076210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어안 렌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215A (zh) * 2016-12-15 2019-07-23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广角透镜
CN110050215B (zh) * 2016-12-15 2021-06-15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广角透镜
CN113484997A (zh) * 2021-09-08 2021-10-08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741012A (zh) * 2021-11-08 2021-12-03 沂普光电(天津)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82B1 (ko) 어안 렌즈
KR100888922B1 (ko) 어안 렌즈
KR101390089B1 (ko) 어안 렌즈
US10746967B2 (en) Optical assembly for a wide field of view point action camera with low field curvature
KR100932850B1 (ko) 어안 렌즈
CN105652409B (zh) 光学成像系统
JP4613111B2 (ja) 光学装置
US10545313B1 (en) Optical assembly for a wide field of view point action camera with a low sag aspheric lens element
CN105866918B (zh) 光学成像系统
KR101070991B1 (ko) 어안 렌즈
US10317652B1 (en) Optical assembly for a wide field of view point action camera with low astigmatism
KR101717208B1 (ko) 소형 촬영 렌즈계
CN105807393B (zh) 光学成像系统
TW201616176A (zh) 透鏡模組
CN105974557B (zh) 光学成像系统
CN105974558B (zh) 光学成像系统
US20150212301A1 (en) Anamorphic objective zoom lens
CN109085694B (zh) 五片式广角镜片组
CN108761740A (zh) 超广角光学摄像镜头组
CN105892008B (zh) 光学成像系统
CN105938236B (zh) 光学成像系统
KR101290518B1 (ko) 적외선 광학 렌즈계
CN108351495B (zh) 成像镜头
KR101431394B1 (ko) 어안 렌즈
CN105892007B (zh) 光学成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