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910B1 - 휴대용 노칭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노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910B1
KR101430910B1 KR1020120121028A KR20120121028A KR101430910B1 KR 101430910 B1 KR101430910 B1 KR 101430910B1 KR 1020120121028 A KR1020120121028 A KR 1020120121028A KR 20120121028 A KR20120121028 A KR 20120121028A KR 101430910 B1 KR101430910 B1 KR 10143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ing
head
notching head
hydraulic cylin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935A (ko
Inventor
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Priority to KR102012012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4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powe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to notch margins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005Adjustable tool components; Adjustable parameters
    • B25D2250/015He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노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칭건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작업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노칭건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적은 수의 공정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노칭홈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노칭건이 소형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노칭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노칭장치{PORTABLE NOTCHING DEVICE}
본 발명은 노칭건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작업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노칭건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적은 수의 공정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노칭홈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노칭건이 소형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노칭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한 휴대용 노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유가급등에 따라 연비성능이 우수한 고효율차로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급속하게 변화하는 추세이다.
또한, 기후변화 협약 등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내연기관 중심의 기존의 페러다임이 저탄소친환경 그린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상용차체 구조의 경량화 및 제품의 고품질화를 위해 최근 수년간 PIPE & TUBE BENT를 이용하여 차체가 프레임리스 타입인 모노코크 바디로 전환됨에 따라 PIPE & TUBE BENT 및 절단 등 후속공정 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자리잡았다.
또한, 내구품질 향상을 위하여 상용 대형버스에 국내최초로 전착도장 공법이 적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각각의 파이프 부재의 용접 접합부에 페인트 드레인을 위한 노칭홀 공정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노칭시에는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10205호(노칭 프레스 금형)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스를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노칭 프레스 금형(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10205호)은 구조가 복잡한 고가의 장비임과 더불어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숙련된 전문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함은 물론 많은 수의 공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칭하고자 하는 중하중의 파이프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작업자가 허리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들어올려야하는 등의 노동강도가 상당히 크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노칭 프레스 금형(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10205호)은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휴대성 및 이동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노칭건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작업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노칭건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적은 수의 공정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노칭홈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노칭건이 소형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노칭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한 휴대용 노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전측에 고정되고 상부에 노칭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삽입되는 노칭헤드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노칭헤드의 상부에 삽입된 대상물에 노칭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드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노칭헤드를 관통하는 노칭펀치부재로 구성되는 노칭건과; 상기 노칭건의 유압실린더내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후이동시키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노칭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노칭헤드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전측에 고정되는 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하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를 연결하는 중간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헤드에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가 관통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가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슬릿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슬릿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연결판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노칭헤드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전측에 고정되는 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하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와 상기 후측노칭헤드를 연결하는 중간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헤드에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가 관통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가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칭헤드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슬릿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칭헤드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전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전측에 형성되고, 전측면 상측과 전측면 하측에 상기 끼움판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는 노칭펀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노칭건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전진시키는 전진스위치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후진시키는 후진스위치가 구비되는 스위치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공급부 사이에 유압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전진스위치와 상기 후진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노칭헤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노칭헤드에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노칭헤드의 일측에 수직구비되는 일측수직판과, 상기 노칭헤드의 타측에 수직구비되는 타측수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노칭헤드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수직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하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노칭헤드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환형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노칭건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작업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노칭건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적은 수의 공정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노칭홈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노칭건이 소형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노칭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노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대상물에 노칭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노칭펀치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지지브라켓이 노칭헤드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노칭홈이 형성된 대상물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노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노칭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노칭건(10)과 유압공급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노칭건(10)은 유압실린더(110), 노칭헤드(120) 및 노칭펀치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10)는 몸체(111), 로드(112) 및 전후이동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112)는 상기 몸체(111)의 외부로 인출 및 상기 몸체(1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내부 중심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112)는 전측로드(112b)와 후측로드(11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로드(112b)는 단면형상이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된 타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로드(112c)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로드(112c)의 전측면 중심부에 상기 전측로드(112b)의 후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로드(112c)가 상기 전후이동판(113)의 중심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판(113)은 상기 로드(112)의 후측로드(112c)의 후측 외주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113)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전후이동판(113)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상기 몸체(111)의 내주면 일측과 내주면 타측 및 상기 몸체(111)의 내주면 상측과 내주면 하측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노칭헤드(12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의 전측에 볼트고정된다.
상기 노칭헤드(120)의 상부에는 노칭홈(도 16 및 도 17의 51)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도 3 내지 도 6의 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삽입된다.
상기 대상물(5)은 상용차체사용되는 금속재질 등의 판부재 및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상기 삽입홈(125)내에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로드(112b)의 전측면에 수직구비된다.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노칭헤드(120)를 전후관통하여 상기 노칭헤드(120)의 상부에 삽입된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노칭홈(51)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공급부(20)는 상기 노칭건(10)의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내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후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공급부(20)로서, 유압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노칭헤드(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노칭헤드(121), 전측노칭헤드(122) 및 중간연결판(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노칭헤드(121)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의 전측면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노칭헤드(122)는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전방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결판(123)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하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하부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노칭헤드(120)에는 삽입홈(125)과 슬릿(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5)내에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릿(124)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삽입홈(125)과 상기 슬릿(124)을 전후관통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5)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사이에 상기 노칭헤드(120)의 상부에서 상기 노칭헤드(1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24)은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슬릿(124a), 전측슬릿(124b) 및 중간슬릿(124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슬릿(124a)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슬릿(124b)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슬릿(124c)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연결판(123)의 상부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슬릿(124a)의 상하폭(도 3의 d1)과 상기 전측슬릿(124b)의 상하폭(도 3의 d2)은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의 상하폭(도 3의 d3) 및 상기 로드(112)의 상하폭(도 3의 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d1, d2 〉d3, d4)
또한, 상기 삽입홈(125)의 상측과 상기 중간슬릿(124c)의 바닥면 사이의 상하폭(도 3의 d5)은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의 상하폭(도 3의 d3) 및 상기 로드(112)의 상하폭(도 3의 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d5 〉d3, d4)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칭건(10)은 손잡이부재(140)와 스위치박스(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14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의 후측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후측 내부에는 전측관체(161)와 후측관체(162)로 구성되는 관체(160)가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관체(161)의 상측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후이동판(113)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몸체(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11)의 하부면 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관체(161)의 하측은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하부면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측관체(16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후측 내부에 수직구비된 상기 후측관체(162)의 상측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후이동판(113)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몸체(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11)의 하부면 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박스(150)는 박스몸체(151), 전진스위치(152) 및 후진스위치(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51)는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전측 내주면 중간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진스위치(152)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전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몸체(151)의 전측 상부에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진스위치(153)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전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몸체(151)의 전측 하부에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손잡이부재(14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관체(160)와 상기 유압공급부(20) 사이에 호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압라인(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압라인(30)은 제 1유압라인(310)과 제 2유압라인(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유압라인(310)의 후측과 상기 제 2유압라인(320)의 후측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유압공급부(20)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유압라인(310)의 전측은 상기 전측관체(161)의 하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유압라인(320)의 전측은 상기 후측관체(162)의 하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진스위치(152)와 상기 후진스위치(15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령 유압공급부(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대상물(5)에 노칭홈(51)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25) 내에 금속재질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5)이 단면형상이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대상물(5)을 이루는 상기 파이프관체는 전면판(510), 후면판(520), 일측판(530) 및 타측판(5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5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후면판(520)은 상기 전면판(51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530)은 상기 전면판(510)의 일측과 상기 후면판(520)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540)은 상기 전면판(510)의 타측과 상기 후면판(520)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5)내에는 상기 전면판(5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홈(125)내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판(5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홈(125)내에는 상기 일측판(53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홈(125)내에는 상기 타측판(54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125)내에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전진스위치(152)를 OFF상태 조작하고, 상기 후진스위치(153)를 ON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공급부(20)는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유압공급라인(310)과 상기 전측관체(161)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의 전측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전후이동판(113)과 함께 상기 로드(112) 및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몸체(111)의 후방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며,
상기 몸체(111)의 후측 내부의 유압은 상기 후측관체(162)와 상기 제 2유압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유압공급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후진스위치(153)를 OFF상태로 조작하고, 상기 전진스위치(152)를 ON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공급부(20)는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유압공급라인(320)과 상기 후측관체(162)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몸체(111)의 후측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전후이동판(113)과 함께 상기 로드(112) 및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몸체(111)의 전방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하측이 개방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노칭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와 노칭펀치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의 교체보수의 용이성 향상을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로드(112b)의 중심부에는 상기 전측로드(112b)의 전측에서 상기 전측로드(112b)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11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끼움판(131)과 노칭펀치(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12a)은 중간끼움홈(112a1), 상측끼움홈(112a2) 및 하측끼움홈(112a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은 상기 전측로드(112b)의 전측에서 상기 전측로드(112b)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끼움홈(112a2)은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의 후측 상부에 상기 중간끼움홈(112a1)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끼움홈(112a3)은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의 후측 하부에 상기 중간끼움홈(112a1)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끼움홈(112a1)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판(131)은 중간끼움판(131a), 상측끼움판(131b) 및 하측끼움판(13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끼움판(131a)은 상기 중간끼움홈(112a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끼움홈(112a1)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끼움판(131b)은 상기 중간끼움판(131a)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중간끼움판(131a)의 후측 상부에 상기 상측끼움홈(112a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중간끼움판(131a)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측끼움홈(112a2)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끼움판(131c)은 상기 중간끼움판(131a)의 후측 하부에 상기 하측끼움홈(112a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중간끼움판(131a)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측끼움홈(112a3)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노칭펀치(132)는 상기 끼움판(131)의 중간끼움판(131a)의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칭펀치(132)의 전측면 상측과 상기 노칭펀치(132)의 전측면 하측에는 상기 끼움판(131)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131)의 후측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홈(13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일측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타측 상부에는 각각 고정볼트(50)가 서로 대칭된 상태로 수평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0)는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일측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일측고정볼트(550)와;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와 대칭된 상태로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타측 상부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타측고정볼트(5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헤드부(551)와, 상기 타측고정볼트(56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타측헤드부(561)는 각각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일측 내주면 및 타측 내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의 노출길이(l1)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타측고정볼트(560)의 노출길이(l2)에 따라,
특히,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내부 또는 하단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좌우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상기 전측노칭헤드(122)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가령,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의 노출길이(l1)가 상기 타측고정볼트(560)의 노출길이(l2)보다 길 경우,
상기 전측노칭헤드(122)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내부 타측에 위치고정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타측 또는 하단부 타측에 상기 노칭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의 노출길이(l1)가 상기 타측고정볼트(560)의 노출길이(l2)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전측노칭헤드(122)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내부 중앙에 위치고정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중앙 또는 하단부 중앙에 상기 노칭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볼트(560)의 노출길이(l2)가 상기 일측고정볼트(550)의 노출길이(l1)보다 길 경우,
상기 전측노칭헤드(122)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내부 일측에 위치고정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일측 또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노칭홈(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지지브라켓(60)이 노칭헤드(12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릿(124)은 다른예로, 상기 후측슬릿(124a)과 전측슬릿(12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연결판(123)의 상부면은 상기 후측슬릿(124a)의 바닥면 및 상기 전측슬릿(124b)의 바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에는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안착지지하는 지지브라켓(60)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브라켓(60)은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판(610), 수평판(620), 고정볼트(630) 및 환형링(6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610)은 일측수직판(611)과 타측수직판(6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611)은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판(612)은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611)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판(612)의 상부에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안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620)은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수직판(61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612)의 하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630)는 상기 수평판(620)의 중심부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하부 중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환형링(640)은 상기 수평판(62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6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타측에 서로 대칭된 상태로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볼트(50)를 상기 전측노칭헤드(112)의 중심부 방향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6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상기 대상물(5)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하강한 상기 대상물(5)이 특히,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는 상기 고정볼트(50)를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외부방향으로 인출시켜 상기 고정볼트(50)를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대상물(5)의 일측 내주면과 타측 내주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노칭헤드(120)의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타측에 서로 대칭된 상태로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볼트(50)를 상기 전측노칭헤드(112)의 중심부 방향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6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상기 대상물(5)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상승한 상기 대상물(5)이 특히,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는 상기 고정볼트(50)를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외부방향으로 인출시켜 상기 고정볼트(50)를 금속재질의 파이프관체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대상물(5)의 일측 내주면과 타측 내주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60)의 승강정도에 따라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에 의해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상하폭(도 16 및 도 17의 d6)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상기 대상물(5)이 점차 상승할 경우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에 의해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상하폭(d6)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60)과 함께 상기 대상물(5)이 점차 하강할 경우 상기 노칭펀치부재(130)에 의해 상기 대상물(5)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상하폭(d6)은 점차 커지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은 노칭홈(51)이 형성된 대상물(5)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노칭건(10)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작업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노칭건(10)을 이용하여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5)에 적은 수의 공정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상기 노칭홈(51)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강도가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노칭건(10)이 소형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노칭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10; 노칭건, 20; 유압공급부.

Claims (8)

  1. 유압실린더(110)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측에 고정되고 상부에 노칭홈(51)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5)이 삽입되는 노칭헤드(120)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의 상부에 삽입된 대상물(5)에 노칭홈(5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드(112)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노칭헤드(120)를 관통하는 노칭펀치부재(130)로 구성되는 노칭건(10)과;
    상기 노칭건(10)의 유압실린더(110)내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후이동시키는 유압공급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칭헤드(12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측에 고정되는 후측노칭헤드(121)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하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를 연결하는 중간연결판(1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에 상기 대상물(5)이 삽입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가 관통하는 삽입홈(125)과;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가 관통하는 슬릿(12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5)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124)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슬릿(124a)과;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슬릿(124b)과;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연결판(123)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슬릿(124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에 끼움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끼움홈(112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2a)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판(131)과;
    상기 끼움판(131)의 전측에 형성되고, 전측면 상측과 전측면 하측에 상기 끼움판(131)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13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132a)이 각각 형성되는 노칭펀치(132);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건(10)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140)와;
    상기 손잡이부재(140)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진시키는 전진스위치(152)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후진시키는 후진스위치(153)가 구비되는 스위치박스(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와 상기 유압공급부(20) 사이에 유압라인(30)이 구비되며,
    상기 전진스위치(152)와 상기 후진스위치(15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볼트(5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50)의 노출길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5)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형성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노칭헤드(120)에 상기 대상물(5)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60)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브라켓(60)의 승강정도에 따라 상기 대상물(5)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상하폭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브라켓(60)은 상기 노칭헤드(120)의 일측에 수직구비되는 일측수직판(611)과, 상기 노칭헤드(120)의 타측에 수직구비되는 타측수직판(612)으로 구성되어 상기 대상물(5)을 지지하는 수직판(610)과;
    상기 노칭헤드(1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수직판(61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612)의 하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는 수평판(620)과;
    상기 수평판(620)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노칭헤드(1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630)와;
    상기 고정볼트(630)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6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환형링(6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노칭장치.
  2. 유압실린더(110)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측에 고정되고 상부에 노칭홈(51)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5)이 삽입되는 노칭헤드(120)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의 상부에 삽입된 대상물(5)에 노칭홈(5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드(112)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노칭헤드(120)를 관통하는 노칭펀치부재(130)로 구성되는 노칭건(10)과;
    상기 노칭건(10)의 유압실린더(110)내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후이동시키는 유압공급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칭헤드(12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전측에 고정되는 후측노칭헤드(121)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하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를 연결하는 중간연결판(1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에 상기 대상물(5)이 삽입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가 관통하는 삽입홈(125)과;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가 관통하는 슬릿(12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5)은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상부와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124)은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노칭헤드(121)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슬릿(124a)과;
    상기 삽입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측노칭헤드(122)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슬릿(124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전측에 끼움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노칭펀치부재(130)는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의 끼움홈(112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2a)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판(131)과;
    상기 끼움판(131)의 전측에 형성되고, 전측면 상측과 전측면 하측에 상기 끼움판(131)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13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132a)이 각각 형성되는 노칭펀치(132);로 구성되고,
    상기 노칭건(10)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140)와;
    상기 손잡이부재(140)에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전진시키는 전진스위치(152)와,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로드(112)를 후진시키는 후진스위치(153)가 구비되는 스위치박스(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10)와 상기 유압공급부(20) 사이에 유압라인(30)이 구비되며,
    상기 전진스위치(152)와 상기 후진스위치(15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칭헤드(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볼트(5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50)의 노출길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5)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형성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노칭헤드(120)에 상기 대상물(5)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60)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브라켓(60)의 승강정도에 따라 상기 대상물(5)에 형성되는 상기 노칭홈(51)의 상하폭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브라켓(60)은 상기 노칭헤드(120)의 일측에 수직구비되는 일측수직판(611)과, 상기 노칭헤드(120)의 타측에 수직구비되는 타측수직판(612)으로 구성되어 상기 대상물(5)을 지지하는 수직판(610)과;
    상기 노칭헤드(1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수직판(61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612)의 하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는 수평판(620)과;
    상기 수평판(620)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노칭헤드(1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630)와;
    상기 고정볼트(630)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6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환형링(6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노칭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21028A 2012-10-30 2012-10-30 휴대용 노칭장치 KR10143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28A KR101430910B1 (ko) 2012-10-30 2012-10-30 휴대용 노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28A KR101430910B1 (ko) 2012-10-30 2012-10-30 휴대용 노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35A KR20140054935A (ko) 2014-05-09
KR101430910B1 true KR101430910B1 (ko) 2014-08-18

Family

ID=508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028A KR101430910B1 (ko) 2012-10-30 2012-10-30 휴대용 노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330A (en) * 1973-08-04 1975-12-09 Nitto Kohki Co Hydraulically operated working machine
JPH0490127U (ko) * 1990-12-17 1992-08-06
KR920021100U (ko) * 1991-05-15 1992-12-18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나이 유압 작동기
US6442847B1 (en) * 2001-05-15 2002-09-03 Tung-Hsien Chen Portable punc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330A (en) * 1973-08-04 1975-12-09 Nitto Kohki Co Hydraulically operated working machine
JPH0490127U (ko) * 1990-12-17 1992-08-06
KR920021100U (ko) * 1991-05-15 1992-12-18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나이 유압 작동기
US6442847B1 (en) * 2001-05-15 2002-09-03 Tung-Hsien Chen Portable punc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3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71176U (zh) 用于拉延坯料的拉延模具组
CN104236372B (zh) 一种集流室及其生产方法和一种汽车散热器及其生产方法
CN107695156A (zh) 一种Ф3350mm椭球瓜瓣法向孔凸孔模具及工艺
KR101430910B1 (ko) 휴대용 노칭장치
PH12019000182A1 (en) Water tank forming method and water tank structure made by means of the water tank forming method
CN207479997U (zh) 联轴器液压装配装置
KR101876864B1 (ko) 티형 배관 성형장치
CN204085245U (zh) 一种汽车散热器
CN101816316B (zh) 月饼成型机模具
CN106424295B (zh) 薄壁管端圆弧形缺口一次性冲裁装置
CN201715921U (zh) 插接式钢三柱一体片头
CN204607362U (zh) 一种发动机燃油喷射泵装配吊具
CN205383424U (zh) 双拼c型结构承载杆
CN204194682U (zh) 半轴法兰盘成型装置
CN202487335U (zh) 变压器油箱与器身固定机构
CN202479315U (zh) 轻型手压扁钢圆弧定型切割机具
CN203409033U (zh) 金属薄板纵焊缝成型校平机
CN201187969Y (zh) 散热器片头
CN107803428B (zh) 一种管件斜口焊接镦头成型工装
CN215845060U (zh) 一种防雷接地圆钢弯制快速加工装置
CN205763384U (zh) 管路结构铆压模具
CN204085297U (zh) 一种集流室
CN204799798U (zh) 一种固定支架翻边冲孔复合模具
CN109365573A (zh) 一种伺服型的立柱式整平设备
CN107866642A (zh) 一种不锈钢水龙头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