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541B1 -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541B1
KR101430541B1 KR1020120145411A KR20120145411A KR101430541B1 KR 101430541 B1 KR101430541 B1 KR 101430541B1 KR 1020120145411 A KR1020120145411 A KR 1020120145411A KR 20120145411 A KR20120145411 A KR 20120145411A KR 101430541 B1 KR101430541 B1 KR 10143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report
area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883A (ko
Inventor
김태훈
문창배
김병만
김현수
이현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노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노바소프트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5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한 항목들을 코드화하여 관리하는 마스터 영역과; 상기 마스터 영역에서 코드값을 기준으로 PLC 및 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마스터 영역에서 정의한 수집, 관리 데이터에서 미리 선별된 인자와 정보를 상기 코드값을 기준으로 저장하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제공 리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Construc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user customized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있어서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 및 이에 대한 연관성을 갖도록 코드화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공장의 대다수 장비들은 기존의 수동 설비에서 자동화 시스템이 접목된 설비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 자동화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여 예전의 설비 환경에 비하여 공정정보시스템 구축이 용이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공정정보시스템들은 무차별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재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시스템 재구축이나 확장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수반된다.
기존의 제조공정관리시스템에는 세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첫 번째는 비효율적인 데이터 축적이다. 기본 사용자 요구사항인 실시간 공정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제공을 반영하여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 후에 새로운 요구사항이 발생하면 데이터 축척방식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데이터 축적이 불가능해진다. 두 번째는 데이터의 이원화 문제이다. 이는 전체 공정이 자동화 라인인 인라인 방식에서는 발생하지 않지만, 수동 라인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와 자동화 라인의 자동 수집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관리하여 수동 라인과 자동화 라인을 병행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마지막 세 번째 문제점은 각기 다른 사용자와 업무적 특성에 따라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로 기존 시스템들은 이를 반영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있어서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 및 이에 대한 연관성을 갖도록 코드화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한 항목들을 코드화하여 관리하는 마스터 영역과; 상기 마스터 영역에서 코드값을 기준으로 PLC 및 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 및 상기 마스터 영역에서 정의한 수집, 관리 데이터에서 미리 선별된 인자와 정보를 상기 코드값을 기준으로 저장하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제공 리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마스터 영역은 공정 기준정보, 모델 정보, 자재 정보 및 아이템 정보의 항목에 대해 관리하는 각 테이블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마스터 영역은 모델 정보와 공정 기준정보를 중심으로 테이블 간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 정보, 제품 정보 및 검사 정보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각 항목에 대해 관리 테이블을 구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리포트 영역은 데이터 설정, 리포트 관리 및 리포트별 항목 관리 테이블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리포트별 항목 관리 테이블은 각 사용자별 설정된 리포트 데이터가 저장되고, 인자 정보를 기준으로 조회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 관리 구축 방법은, 각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하는 단계와; 상기 세분화한 기준정보를 각 단계별로 연관성을 가지도록 코드화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별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세분화 단계는 공장 구분, 라인 구분, 공정 구분, 장비 구분, 세부공정 구분 및 인자 구분의 6단계로 세분화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공정 기준정보의 코드화 단계는 상기 세분화된 각 단계를 상위 항목에 하위 항목들이 트리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위에서 하위까지 연관 코드를 부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별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리포트 데이터가 저장되고, 인자 정보를 기준으로 조회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있어서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 및 이에 대한 연관성을 갖도록 코드화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영역의 테이블 개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의 개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트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과 개인별 리포트 화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 관리 구축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기준정보 세분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기준정보의 코드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트 개인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100)은, 각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한 항목들을 코드화하여 관리하는 마스터 영역(110)과, 상기 마스터 영역(110)에서 코드값을 기준으로 PLC 및 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120), 및 상기 마스터 영역(110)에서 정의한 수집, 관리 데이터에서 미리 선별된 인자와 정보를 상기 코드값을 기준으로 저장하는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 제공 리포트 영역(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크게 마스터(Master), 데이터(Data), 리포트(Report)의 세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스터(Master) 영역(110)은 공정 전반에서 세분화된 항목들을 코드화하여 관리한다. 마스터 영역의 공정을 관리하는 테이블은 코드화 3단계의 각 공정을 구분해 주는 코드값을 관리하고, 인자를 관리하는 테이블은 코드화 6단계의 각 인자를 구분하는 코드값을 관리한다. 여기서, 코드값들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과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리포트 기능에 제공해 주는 리포트 영역에서 기준 값으로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영역은 공정 기준정보, 모델 정보, 자재 정보 및 아이템 정보의 항목에 대해 관리하는 각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정 기준정보 항목은 코드화한 정보들을 관리하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모델 항목은 모델별 관리항목 및 각 공정의 인자에 대한 관리기준을 관리하는 테이블이 포함한다. 상기 자재 항목에는 자재 리스트와 BOM을 관리하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항목에는 시스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세부 항목들을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영역의 테이블 개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영역은 모델 정보와 공정 기준정보를 중심으로 테이블 간의 연관성을 정의하게 된다. 모델별 인자 관리 스펙은 각 모델별로 각각의 인자에서 관리하는 스펙들을 관리한다. 모델별 공정 흐름은 동일한 제조 라인에서도 모델별로 생산하는 공정의 순서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에 각 모델별로 제품 생산의 흐름을 관리한다. 모델별 BOM 관리 테이블은 각 모델별로 BOM 관리 항목 테이블 및 원자재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베이스 하단부의 PLC 및 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들을 수집 관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는 개별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모두 관리한다. 데이터 영역에서 관리하는 모든 데이터들은 상기 마스터 영역의 코드값을 기준으로 수집, 관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의 개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 정보, 제품 정보 및 검사 정보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각 항목에 대해 관리 테이블을 구성한다. 이때, 데이터 항목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본 데이터들인 PLC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작업자 입력 데이터, 장비 로그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테이블이고, 제품 항목은 제품의 시리얼 번호, 사용된 원자재, 제품의 공정별 작업 시간 등의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테이블들이다. 검사 항목은 제품의 검사 결과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테이블과 마스터 영역과의 연관관계를 보인다. LOT 관리테이블은 모델 테이블을 참조하여 모델별 LOT 정보를 관리하고, 착공/완공 관리 테이블은 각 공정 또는 인자별로 해당 작업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관리한다. 데이터 관리테이블은 제조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 중에서 LOT와 관련된 데이터 및 검사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이고, 검사 데이터는 착공/완공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사 장비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리포트(Report) 영역은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 제공을 위한 영역이다. 리포트 영역에는 마스터 영역에 정의한 시스템에서 수집, 관리 가능한 데이터들 중에서 관리자가 리포트 기능별로 제공하기 위해 미리 선별된 인자와 정보들이 마스터 영역의 코드값을 기준으로 저장된다. 사용자는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리포트 기능별로 제공할 항목들을 선정하고 저장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활용한다. 개인별 맞춤형 리포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의한 데이터베이스의 세 가지 영역이 모두 필요하다. 마스터 영역에 공정의 기준이 되는 인자들을 정의해서 코드화해 놓으면 이 인자들을 기준으로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리포트 영역은 사용자별 리포트 항목 정의에 사용된다. 실제 구현되는 리포트 화면에서는 리포트 영역의 사용자별 정의 항목을 기준으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트 영역의 테이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포트 영역은 데이터 설정, 리포트 관리 및 리포트별 항목 관리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를 위해서 각 사용자들이 설정하는 항목들이 저장되고, 실제 리포트 화면에서도 리포트 영역 테이블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과 개인별 리포트 화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트 영역의 테이블과 개인별 리포트 화면의 관계를 보인다. 인자 기준정보를 참조하여 관리자가 리포트 마스터 테이블에 리포트 가능 데이터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리포트 마스터 테이블에 설정된 리포트 가능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리포트 별로 리포트 리스트 화면에 보여줄 데이터를 선정하여 사용자별 리포트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실제 사용자 리포트 화면에 보여주는 데이터는 사용자별 리포트 관리 테이블에 저장된 인자 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서 해당 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인자 기준정보 관리 화면은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항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정의한 내용들을 저장한다. 시스템에서 수집, 관리하는 데이터 중에서 관리자가 개인별 리포트 화면에 제공할 인자들을 미리 선별하는 화면은 (b)와 같다. 화면 왼쪽 리스트의 폼을 먼저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폼에서 제공 가능한 항목들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이 화면의 설정은 개발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서만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c)는 사용자들이 해당 리포트 화면에서 보고자 하는 데이터 항목들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첫 번째 리스트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폼을 먼저 선택하고 두 번째 리스트에서 해당 폼에서 정의할 리포트 제목을 편집한다.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리포트 제목을 추가할 수 있으며,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리포트 제목을 저장한다. 마지막 네 번째 리스트에서 해당 리포트 화면에 보여줄 데이터를 선택하고 세 번째 리스트와 네 번째 리스트 사이에 있는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세 번째 리스트에 추가한다.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세 번째 리스트에 정의된 내용을 저장한다. 세 번째 리스트에 정의된 내용들이 실제 개인별 리포트 화면에 제공된다.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리포트 화면은 (d)와 같다. 조회 기간을 선택하고 왼쪽 리스트의 리포트 제목을 클릭하면 (c)에서 설정한 항목들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리포트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 관리 구축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정보 관리 구축 방법은, 먼저 각 공정의 기준 정보를 세분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90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분화 단계는 제조 공자의 공정에서 나눌 수 있는 공장 구분, 라인 구분, 공정 구분, 장비 구분, 세부공정 구분 및 인자 구분의 6단계로 세분화하게 된다. 공정 기준정보 세분화에서는 라인, 장비, 공정 등의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공정의 기준정보를 상세하게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항목별로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이는 효율적인 생산공정관리시스템 개발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기준정보 세분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 조립라인의 생산 공정에 세분화 6단계를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6 단계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단계 : 공장 구분 : 공장이 하나 이상일 경우 공장을 구분한다.
2 단계 : 라인 구분 : 대부분의 제조 공장이 하나 이상의 라인을 구비하기에 각 라인을 구분한다.
3 단계 : 공정 구분 : 제조 공장의 현장의 특성에 따라 공정을 구분한다.
4 단계 : 장비(호기) 구분 : 전 공정 및 후공정 간의 작업시간에 차이가 나는 경우에 공정 간의 작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중간 공정에는 동일한 장비를 여러 대 가동할 수 있도록 장비를 구분한다.
5 단계 : 세부공정 구분 : 동일 공정 내에서도 여러 개의 소규모 공정으로 나눌 수 있는 경우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공정을 구분한다.
6 단계 : 인자 구분 : 공정정보관리시스템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들을 각각 하나의 인자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세분화한 기준정보를 각 단계별로 연관성을 가지도록 코드화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902). 여기서, 공정 기준정보의 코드화는 상기 세분화된 각 단계를 상위 항목에 하위 항목들이 트리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위에서 하위까지 연관 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공정정보시스템에서는 세분화한 각 인자들을 체계적으로 얼마나 잘 코드화하는가에 따라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기간이 결정된다. 세분화된 각 단계는 상위 항목에 하위 항목들이 트리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 점에 기반하여 최상위에서 최하위 단계까지 연관성을 가지도록 코드를 구성한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에 연관성이 있더라도 각각의 코드를 이원화하여 관리한다. 이로 인해 상위 항목의 특정 아이템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상위 항목의 코드를 기준으로 그 상위 항목에 종속된 하위 항목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위 항목들을 기준으로 다시 데이터를 검색하는 두 단계의 검색 단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하위 항목의 연관성이 자주 변동되는 경우에는 유용하지만, 제조공정과 같이 변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처리 효율을 감소시킨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상위 항목의 코드만으로도 상위 항목에 종속된 모든 하위 항목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의 코드들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도록 코드화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기준정보의 코드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계별로 상위에서 하위로 진행하면서 연관성을 가지도록 코드를 부여한 예이다. 각 단계별로 부여된 모든 코드들은 시스템의 기준정보에서 유일(unique)한 값으로 처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코드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별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903). 여기서, 상기 사용자별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리포트 데이터가 저장되고, 인자 정보를 기준으로 조회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트 개인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는 개발자 또는 관리자가 일차적으로 조회 가능한 데이터들을 설정하면 설정한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가 (a)와 같이 조회 가능한 데이터들을 선별한다. 조회 가능한 데이터들을 선별하는 이유는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들은 한정되어 있고, 리포트 화면에서는 사용자에게 필요 없는 데이터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자별 맞춤형 리포트 데이터를 관리자가 선별하면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한다. (b)와 같이 관리자가 일차적으로 선별해 놓은 리포트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 A는 리포트 요구 사항에 온도, 작업시간이라는 데이터를 설정하고, 사용자 B는 리포트 요구사항에 습도, 작업시간이라는 데이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특성에 맞는 데이터만 제공한다.
즉, 같은 업무를 하는 사용자라도 각기 보고자 하는 데이터가 다를 뿐 아니라 형식 또한 다르게 되는데 사용자 A는 온도와 작업시간 데이터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사용자 B는 습도와 작업시간 데이터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에 각각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받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마스터 영역
120 --- 데이터 영역
130 --- 리포트 영역

Claims (10)

  1.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공정 기준정보, 모델 정보, 자재 정보 및 아이템 정보에 대해 관리하는 각 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공정 기준정보는 공장, 라인, 공정, 장비, 세부공정 및 인자 항목으로 상위 항목에서 하위 항목으로 트리 구조를 갖도록 단계별 세분화되어 유일한 코드값이 부여되며, 상기 정보들을 기초로 모델별 인자, 모델별 공정 흐름 및 모델별 BOM(Bill of Material)을 정의하여 테이블로 관리하는 마스터 영역과;
    데이터 정보, 제품 정보 및 검사 정보에 대하여 관리하는 각 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코드값을 기준으로 실제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수집 및 관리하고, 상기 마스터 영역에서 정의된 항목들을 기초로 모델별 LOT 관리, 착공/완공 관리, 및 LOT의 BOM 관리를 위한 테이블을 생성 및 관리하는 데이터 영역; 및
    사용자별로 선택된 리포트 항목을 상기 데이터 영역의 상기 데이터 정보에서 상기 코드값을 기준으로 조회하여 사용자 맞춤형 리포트를 제공하는 리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별 공정 흐름 테이블은 각 모델별로 제품 생산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별 BOM의 관리 테이블은 상기 자재 정보 및 상기 아이템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공정 장비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 작업자 입력 데이터 및 장비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보는 상기 착공/완공 관리를 참조하여 검사 장비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는 제품의 시리얼 번호, 사용된 원자재, 제품의 공정별 작업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45411A 2012-12-13 2012-12-13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KR10143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11A KR101430541B1 (ko) 2012-12-13 2012-12-13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11A KR101430541B1 (ko) 2012-12-13 2012-12-13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83A KR20140076883A (ko) 2014-06-23
KR101430541B1 true KR101430541B1 (ko) 2014-09-23

Family

ID=5112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411A KR101430541B1 (ko) 2012-12-13 2012-12-13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20B1 (ko) * 2015-03-13 2017-01-16 주식회사 제이에스아이티 제조공정 관리 시스템의 비정형적 레포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51332B1 (ko) * 2016-12-06 2019-02-22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제조공정 관리 향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555A (ja) * 2000-07-31 2002-02-15 Ricoh Co Ltd 半導体製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555A (ja) * 2000-07-31 2002-02-15 Ricoh Co Ltd 半導体製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83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3762B (zh) 一种生产流程建模与产品数据追踪的系统
JP6542154B2 (ja) データ検索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Orellana et al. From legacy-based factories to smart factories level 2 according to the industry 4.0
CN104063411B (zh) 基于波特五力模型的企业情报收集方法
JP6901243B2 (ja) プロセス環境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1142026A1 (ja) 時系列データ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42299A (zh) 一种数据联动展示装置及展示方法
CN102023983B (zh) 一种统计时空数据库管理方法
US10838938B2 (en) Process monitorer, process monitering system, process monitering method, process moniter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am
JP6101607B2 (ja) データ分析支援システム
Bevilacqua et al. Big data analytics methodologies applied at energy management in industrial sector: A case study
CN111241129B (zh) 一种工业生产企业指标数据采集与计算的系统
CN105653607A (zh) Sql日志收集分析方法及装置
CN105279270A (zh) 一种专利检索装置及其检索方法
JP7014643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
JP2019153051A5 (ko)
KR101430541B1 (ko) 제조공정 정보관리구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KR20190140264A (ko) 제품 수명주기 관리장치 및 그 관리 방법
CN110059070B (zh) 将数据从数据源收集到制造运营管理数据仓库
CN109766368B (zh) 一种基于Hive的数据查询多类型视图产出系统及方法
CN113722564A (zh) 基于空间图卷积能源物资供应链的可视化方法及装置
CN107577692B (zh) 用于配置mom数据仓库并向mom数据仓库配置提供ui的方法
CN101290670A (zh) 超大型钻石数据库在钻石珠宝网络销售平台中的应用
CN113515610A (zh) 一种基于面向对象语言处理的档案管理方法
CN111915137A (zh) 一种制造业数据模型的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