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497B1 - 난간 및 휀스용 지주 - Google Patents

난간 및 휀스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497B1
KR101429497B1 KR1020120135790A KR20120135790A KR101429497B1 KR 101429497 B1 KR101429497 B1 KR 101429497B1 KR 1020120135790 A KR1020120135790 A KR 1020120135790A KR 20120135790 A KR20120135790 A KR 20120135790A KR 101429497 B1 KR101429497 B1 KR 10142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groove
corner portion
protru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387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2013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4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바에 분리가능하게 몸체를 구비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몸체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몸체가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난간 및 휀스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닥부와 몸체의 적소에 배수돌기를 형성하여 빗물이나 습기가 정체됨 없이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로된 판재가 썩거나 녹스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빗물에 의한 지주내의 세척작업이 용이하여 냄새나 세균번식 등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난간 및 휀스용 지주{Post for rail and fence}
본 발명은 난간 및 휀스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설치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지주에 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난간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주는 바닥부(1)와, 상기 바닥부(1)의 중앙에 돌출되며, 마주보도록 구비된 결합홈(3)으로 이루어진 지지바(2)와, 상기 지지바(2)의 결합홈(3)에 설치되는 판재(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스트는 금속 및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판재는 목재나 이에 상응하는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와 판재가 설치된다. 이처럼 빗물이나 습기 등이 상기 포스트와 판재 사이에 쓰며들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일정시간 정체되면, 목재인 경우 썩게되어 냄새가 발생되고, 세균이 번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금속재인 경우, 부식되어 녹물이나 쇠가루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지주는 외부충격에 의해 판재나 지지바가 파손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구입함에 있어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바에 분리가능하게 몸체를 구비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몸체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몸체가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난간 및 휀스용 지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닥부와 몸체의 적소에 배수돌기를 형성하여 빗물이나 습기가 정체됨 없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로된 판재가 썩거나 녹스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빗물에 의한 지주내의 세척작업이 용이하여 냄새나 세균번식 등을 줄일 수 있는 난간 및 휀스용 지주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간 및 휀스용 지주는 상부면에 복수의 제1배수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향돌출된 지지바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지지바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구비되며 바깥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복수의 모서리부와, 상기 연결부와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판재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판재에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배수돌기와; 상기 모서리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난간 및 휀스용 지주는 상부면에 복수의 제1배수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향돌출된 지지바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지지바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구비되며 바깥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모서리부와, 상기 연결부와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와; 서로 마주보는 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판재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에 돌출되어 상기 판재에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배수돌기와; 상기 모서리부의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간 및 휀스용 지주는 바닥부의 지지바에 분리가능하게 몸체를 구비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몸체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몸체가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몸체의 적소에 배수돌기를 형성하여 빗물이나 습기가 정체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됨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로된 판재가 썩거나 녹스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빗물에 의한 지주내의 세척작업이 용이하여 냄새나 세균번식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에 자체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어 야간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주 결합구조를 보인 일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일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주의 일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간 및 휀스용 지주는 지면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재(30)와, 상기 바닥부(10)와 몸체(20)의 적소에 형성된 제1,2배수돌기(11,26)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는 상부면에 상향돌출된 제1배수돌기(11)가 형성되고, 중앙에서 상향돌출된 지지바(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수돌기(11)는 단면이 삼각형,사각형, 반원, 타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2)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에는 바닥부(10)의 지지바(12)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와 일체로 구비되는 복수의 모서리부(22)와, 상기 연결부(21)와 모서리부(22)에 형성된 결합홈(25) 및 제2배수돌기(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1)는 지지바(12)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지지바(1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22)는 바깥면을 따라 곡면 또는 라운딩되게 형성되며, 이 곡면 또는 라운딩 부분에 끼움홈(23)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3)은 소정공간을 가지며, 내측으로 돌출된 제3배수돌기(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3)에는 마감부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마감부재(40)는 외부충격을 흡수되도록 연질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 빛을 반사하거나 자체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23)의 내측에 제3배수돌기(24)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재(40)와 끼움홈(23)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빗물이나 습기 등이 배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3배수돌기(26,24)는 제1배수돌기(1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판재(30)는 외관상에 미려하도록 목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난간 및 휀스용 지주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지면이나 바닥에 바닥부(10)를 설치한 후, 상기 바닥부(10)의 지지바(12)에 상기 몸체(20)의 연결부(21)를 끼우면, 상기 연결부(21)의 하단부가 상기 제1배수돌기(11)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부(21)와 제1배수돌기(11)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어 상기 몸체(20)의 결합홈(25)측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바(12)에 연결부(21)를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20)의 결합홈(25)에 판재(30)를 끼우면, 상기 제2배수돌기(26)에 의해 전후, 좌우에 일정한 틈새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 상기 마감부재(40)를 끼우면 상기 제3배수돌기(24)에 의해 일정한 틈새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지주를 설치한 후,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가로,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바를 체결하여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런 상태에서, 빗물이나 눈 등이 내리거나 습한 날씨에 의해 발생된 물기가 상기 몸체(20)와 판재(30)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몸체(20)와 판재(30) 사이의 제2배수돌기(26)에 의해 형성된 틈새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어지고, 이어 상기 바닥부(10)의 제1배수돌기(1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물기가 정체됨 없이 배출되어 판재(30)가 썩거나 몸체(20) 및 바닥부(10)의 녹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에서 상기 몸체(2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충격 등에 상기 몸체(20)와 판재(30)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몸체(20)와 판재(30)만 상기 바닥부(10)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의 중복된 설명은 하지 않으며, 상기 바닥부(10)의 지지바(12) 모서리에 개별적으로 복수의 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20)는 내측에 연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와 일체로 모서리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난간 및 휀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12)의 모서리에 상기 몸체(20)의 연결부(21)를 각각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지지바(12)의 모서리에 설치된 상기의 몸체(20)의 결합홈(25) 사이에 상기 판재(30)를 끼워서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 마감부재(40)를 끼워서 고정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난간 및 휀스는 상기 도 2 내지 도 4와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바닥부 20: 몸체
30: 판재 40: 마감부재

Claims (3)

  1. 상부면에 복수의 제1배수돌기(11)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향돌출된 지지바(12)로 이루어진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지지바(12)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와 일체로 구비되며 바깥면에 끼움홈(23)이 형성된 복수의 모서리부(22)와, 상기 연결부(21)와 모서리부(22)에 형성된 결합홈(25)으로 이루어진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결합홈(25)에 끼워져 고정되는 판재(30)와;
    상기 모서리부(22)에서 상기 결합홈(25)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21)에서 돌출되어 상기 판재(30)에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배수돌기(26)와;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 끼워져 설치되는 마감부재(40)와;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는 마감부재(40)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제3배수돌기(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및 휀스용 지주.
  2. 상부면에 복수의 제1배수돌기(11)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향돌출된 지지바(12)로 이루어진 바닥부(10)와;
    상기 지지바(12)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와 일체로 구비되며 바깥면에 끼움홈(23)이 형성된 모서리부(22)와, 상기 연결부(21)와 모서리부(22)에 형성된 결합홈(25)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몸체(20)와;
    서로 마주보는 몸체(20)의 결합홈(25)에 끼워져 고정되는 판재(30)와;
    상기 모서리부(22)에서 상기 결합홈(25)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21)에 돌출되어 상기 판재(30)에 틈새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배수돌기(26)와;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 끼워져 설치되는 마감부재(40)와;
    상기 모서리부(22)의 끼움홈(23)에는 마감부재(40)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제3배수돌기(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및 휀스용 지주.
  3. 삭제
KR1020120135790A 2012-11-28 2012-11-28 난간 및 휀스용 지주 KR10142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90A KR101429497B1 (ko) 2012-11-28 2012-11-28 난간 및 휀스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790A KR101429497B1 (ko) 2012-11-28 2012-11-28 난간 및 휀스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387A KR20140068387A (ko) 2014-06-09
KR101429497B1 true KR101429497B1 (ko) 2014-08-14

Family

ID=5112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790A KR101429497B1 (ko) 2012-11-28 2012-11-28 난간 및 휀스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33B1 (ko) * 2016-05-04 2016-12-19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764137B1 (ko) * 2016-10-17 2017-08-02 주식회사 에이치티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펜스용 고강성 지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360B1 (ko) * 2017-06-26 2018-04-30 (주)젠텍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89670B1 (ko) 2018-03-27 2020-04-23 주식회사 금용 멀티형 영농 살포기
KR102141171B1 (ko) 2018-10-19 2020-08-04 주식회사 금용 탑재형 광범위 약제살포기용 분사기
KR102021334B1 (ko) * 2019-06-24 2019-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KR102431391B1 (ko) 2020-06-18 2022-08-09 변정훈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102478520B1 (ko) * 2020-10-23 2022-12-19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39B1 (ko) * 2020-11-27 2022-12-16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43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브라켓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9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6B1 (ko) * 2020-12-22 2022-12-19 (주)데크 롤러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42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버튼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296389B1 (ko) * 2021-05-04 2021-09-02 우리산업 주식회사 건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목재데크난간시스템
KR102416699B1 (ko) * 2022-03-17 2022-07-05 (유) 휴먼테크 조립식 다기능 난간 기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84B1 (ko) * 2008-05-28 2010-05-27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0454349Y1 (ko) *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84B1 (ko) * 2008-05-28 2010-05-27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0454349Y1 (ko) *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33B1 (ko) * 2016-05-04 2016-12-19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764137B1 (ko) * 2016-10-17 2017-08-02 주식회사 에이치티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펜스용 고강성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387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497B1 (ko) 난간 및 휀스용 지주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74771B1 (ko)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BE1020560A3 (nl) Profiel voor standenbouw, kader en standenbouwsamenstel.
JP4998446B2 (ja) 床下換気構造
ES2558743T5 (es) Sistema de puerta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101195098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US3999344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wall panel for such construction
US3600722A (en) Pool and enclosure therefor
US20180216363A1 (en) Rail and Post Assembly
KR200469986Y1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KR101255398B1 (ko) 발코니 바닥재 마감용 몰딩시스템
KR20190030292A (ko)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KR20110005685U (ko)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0394726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루버창
KR101729175B1 (ko)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5541442B2 (ja) 床パンの敷設構造
KR200482005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십자형 보강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2283881B1 (ko) 버드 스크린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US20050241057A1 (en) Free-standing swimming pool with rigid wall and co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