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15B1 -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15B1
KR101429215B1 KR1020120119967A KR20120119967A KR101429215B1 KR 101429215 B1 KR101429215 B1 KR 101429215B1 KR 1020120119967 A KR1020120119967 A KR 1020120119967A KR 20120119967 A KR20120119967 A KR 20120119967A KR 101429215 B1 KR101429215 B1 KR 10142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egree
data
area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709A (ko
Inventor
이진렬
김은영
임효선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중소제조기업의 기업환경을 분석 및 진단하고, 진단 내용에 따라 디자인업계를 레벨별로 세분화한 표준데이터와 대비하여 평가대상업체가 동일레벨에서의 평균이상 또는 상위레벨로의 레벨업을 위한 디자인경영환경 개선에 필요한 과제를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도출 및 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도출된 데이터는 디자인경영환경에서 구분한 다수의 영역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개선정도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개선에 필요한 노력 또는 투자정도도 정량적인 수치로 제공하여 과도한 투자를 방지하면서 균형적으로 기업환경을 개선시켜 디자인경영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로 기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경영컨설팅이 가능한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중소제조기업의 기업환경을 분석 및 진단하고, 진단 내용에 따라 디자인업계를 레벨별로 세분화한 표준데이터와 대비하여 평가대상업체가 동일레벨에서의 평균이상 또는 상위레벨로의 레벨업을 위한 디자인경영환경 개선에 필요한 과제를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도출 및 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도출된 데이터는 디자인경영환경에서 구분한 다수의 영역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개선정도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개선에 필요한 노력 또는 투자정도도 정량적인 수치로 제공하여 과도한 투자를 방지하면서 균형적으로 기업환경을 개선시켜 디자인경영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로 기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디자인경영컨설팅이 가능한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에 의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제품이나 건물 등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지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판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경영 전략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물건에 대한 인식을 넘어서 기업 경영의 한 축으로 자리함에 따라 제품개발 초기부터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하면서 제품구조를 확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디자인은 기업경영에 큰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중소기업에서도 디자인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단순히 디자인 인원의 확충 또는 디자인 부서 신설 등의 원초적인 대처방안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디자인 인프라 구축에 따른 충분한 생산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기업의 디자인 경영환경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분석기법의 개발에 대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대한민국디자인대상-디자인경영부문'과 디자인기반기술과제로 추진된 '디자인경영인증시스템연구'등이 있으며,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대한민국디자인경영대상'등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실시하는 디자인경영평가는 개발된 척도에 일정 점수를 배정하고, 정성적(일부 정량적)평가에 따라 총점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여, '시상'이나 '인증'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서 디자인컨설팅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영국 규격협회(BSI)에 의해 개발된 BS7000시리즈와 영국디자인카운슬에서 개발한 '디자인아틀라스'등이 실제로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영국 규격협회(BSI)의 'BS7000'과 영국디자인카운슬의 '디자인아틀라스'프로그램은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는 툴로서 디자인경영컨설팅을 위해 가장 진보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델 역시 정성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개선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하기 보다는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과 가이드라인만을 제시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상기 평가기업의 순위 정보와 함께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향과 목표치를 제시하는 기업컨설팅이 가능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은,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해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고, 추가로 노력해야하는 목표치를 제시할 수 있는 정량적인 정보에 의한 디자인컨설팅이 가능한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은,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각의 문제항이 제시되고 제시된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인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각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다수 디자인업체 중 규모·매출액·직원수를 지표로하여 성장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표준값DB와;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ES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 또는 DMES서버와 연결되어 연산처리가 완료된 최종 평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준값DB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평가하고; 평가값에 의해 작성된 정규분포도에서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고; 각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 다음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 평균값을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은,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각의 문제항이 제시되고 제시된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인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은 사용자서버에서 각 데이터를 취합하여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서버가 DMES서버로 취합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DMES서버 제어부는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DMES서버에서 직접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가 하거나, 사용자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서버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은,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여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디자인경영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는 디자인경영컨설팅이 가능하고, 환경개선에 의해 기업의 비즈니스성과를 향상시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업의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및 성장시키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창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받은 기업의 디자인 활용 수준에 따라 도달해야 하는 목표치를 표준값DB에서 추출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표준값DB도 매년 평가받는 기업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으로써 디자인경영컨설팅의 사용시기에 따른 정확한 진단과 목표치를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데이터의 다양한 출력예를 표시한 출력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개략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10)은 사용자서버(20)와, DMES(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서버(30)가 유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서버(20)로는 평가기업 대상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요소들이 입력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과,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 데이터가 입력되어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디자인리더쉽(design leadership)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디자인 리더의 자질에 관한 문제, 디자인리더가 활동할 수 있는 제도에 관한 문제, 디자인리더가 이끌어가야 할 기업차원의 디자인 전략의 수립에 관한 문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자인리더쉽영역은 디자인리더(design leader)영역과, 디자인전략(design strategy)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디자인리더영역은 타부서와 이견발생시 디자인부서의 의견대로 의사결정을 하는가를 포함하는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 요소와; 기업 내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디자인개발관련 문제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설계하고 실행하고 피드백 하는 데에 총체적인 책임을 갖는 의사결정자인 디자인챔피언 유무와 디자인챔피언의 기업내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디자인챔피언 제도의 운영 요소와; 기업의 브랜드 관리를 총괄하는 담당자의 위상을 측정하는 기업 브랜드챔피언 제도 운영 요소와; 기업 내에 정기적인 미팅을 갖는 다부서적인 브랜드위원회의 운영 여부와 브랜드위원회에 참여하는 인적자원의 직위수준을 체크하는 기업 내 브랜드위원회의 운영 요소와; 전체임원대비 디자이너 출신의 임원 비율을 체크함으로써 기업 내 인력구조의 효율성을 진단하는 임원급 이상의 고위관리직에 디자이너 임명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디자인전략영역은, 기업의 목표에 부합하는 디자인철학이 있는지, 문서화 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진단하는 디자인철학의 수립요소와; 기업의 경영전략과 디자인 전략 수립의 상호관계에 대해 체크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디자인리더십을 진단하는 기업경영전략 설계에서 디자인전략 수립의 선행 요소와; 임원회의에서 디자인관련 의제가 다루어지는 정도와 디자이너 참여수준을 체크하여 기업 내 의사결정과정의 디자인지향성을 진단하는 디자이너가 경영의사결정과정에 참여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계획(Design Plan)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인 디자인과 브랜드에 대한 계획에 관한 내용이다. 따라서 기업의 디자인철학, 디자인정책등과 같은 디자인에 대한 포괄적인 계획들과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전략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자인계획영역은 디자인 정책(design policy)영역과; 브랜드 정책(brand policy)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디자인정책영역은, 기업이 디자인정책을 수립하고 있는가? 수립되어 있다면 그것이 기업이 앞으로 추구해 나가야할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가? 그것이 기업자신뿐만 아니라 우리가 속한 사회, 더 나아가 인류를 위한 공익적 가치를 담고 있는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미래지향적 가치를 담고 있는 디자인정책의 수립 요소와; 기업의 디자인철학 및 디자인정책의 수립이 어떤 수준으로 서로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디자인철학-디자인정책의 일관성 요소와; 디자인정책이 단편적인 목표들의 달성에 치중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어느 수준까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립되어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장기-중기-단기적 디자인정책수립 요소와; 기업의 디자인정책의 단계적 수립이 어느 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비전-미션-전략-실행계획의 단계적 디자인정책 수립 요소와; 기업의 전반적인 디자인정책에 따른 세부적인 디자인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문서화된 기업 디자인가이드라인 설계 요소와; 론칭제품과 CI/BI의 검토에 따라 기업들이 핵심경쟁우위요소를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고, 가지고 있다면 이것을 얼마만큼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명확한 핵심경쟁우위요소의 결정과 이를 위한 디자인 집중 요소와;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신규시장개척을 위한 디자인개발 투자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시장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인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디자인개발에 더 이상 투자하지 않는 안정적 판매제품 종류 총 수를 측정과,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중 양산철수단계제품 종류 총수를 측정하는 제품디자인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운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브랜드 정책영역은, 디자인정책이 단기, 중기 및 장기적 수준으로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경영으로 재편하기 위한 브랜드중심의 기업발전 로드맵 수준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자의 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디자인정책-브랜드정책의 일관성 요소와; 브랜드정책이 단편적인 목표들의 달성에 치중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어느 수준까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립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장기-중기-단기적인 브랜드 정책의 수립 요소와; 기업의 브랜드정책의 단계적 수립이 어느 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비젼-미션-전략-전술의 단계적 브랜드정책수립 요소와; 기업 내 여러 브랜드간의 위계를 명시한 브랜드아키텍처가 설계되어있고 그에 따라 현재 브랜드들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효율적인 브랜드아키텍쳐 설계 요소와; 기업브랜드와 패밀리브랜드, 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기업브랜드-패밀리브랜드-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합리성 요소와; 브랜드플랫폼이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효율적인 브랜드플랫폼의 구성 요소와; 기업의 핵심역량이 잘 규정되어있는지, 규정되어있다면 현재 기업의 브랜드들에 잘 반영되어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역량을 표현하는 수준 요소와;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신규시장개척을 위한 디자인개발 투자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인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디자인개발에 더 이상 투자하지 않는 안정적 판매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고, 전체 판매 브랜드 총 개수 중 양산철수단계 브랜드 총 수를 측정하는 브랜드포트폴리오 구성과 운영 요소와; 브랜드 포지셔닝이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포지셔닝의 설계와 활용 요소와; 브랜드 퍼스낼러티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있고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퍼스낼리티의 설계와 활용 요소와; 기업의 전반적인 브랜드정책에 따른 세부적인 브랜드가이드매뉴얼이 마련되어있는지를 측정하는 브랜드가이드매뉴얼 구축 및 활용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한 디자인계획영역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커뮤니케이션(Design Communication)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로 내부 구성원들의 디자인철학이나 정책에 대한 인식, 기업과 조직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도와 프로그램, 기업 외부 소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육 및 각종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영역은 디자인인식(design awareness), 내부커뮤니케이션(internal communication), 외부커뮤니케이션(external communication)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디자인인식영역은 기업의 내부 구성원들이 기업의 디자인철학을 이해하고 있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하는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수준 요소와; 기업의 내부 구성원들이 기업의 디자인철학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높은 공감수준 요소와; 직원들이 디자인정책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요소와; 직원들이 디자인정책에 대해 공감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 요소와; 직원들이 기업의 브랜드에 대해 공감하는 수준을 직원들을 대상으로 측정한 브랜드에 대한 내부 구성원 공감수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내부커뮤니케이션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교육·워크샵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미팅·회의 건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교육· 워크샵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브랜드 이해와 공감 강화를 위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운영 요소와;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여부 측정하고, 연간기준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 총 횟수 측정하고, 연간기준 발행되는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 발행 통 횟수 중 디자인관련 내용을 담아 발행하는 총 횟수를 측정하고, 디자인전문 사내보·사내신문·뉴스레터 발행여부 측정하고, 디자인전문 사내보·사내신문·뉴스레터의 디자인전문가 제작· 편집 여부를 측정하고, 연간기준 디자인전문 사내보· 사내신문· 뉴스레터의 발행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체 구성원 수 대비 연간기준 제작·발행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뉴스레터의 제작 및 사내/외 배포 요소와; 전체 조직구성원 수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관련 아이디어 접수의 총 수를 측정하고, 아이디어 접수의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접수 아이디어 중 신규디자인개발 총 수를 측정하고, 접수된 디자인관련 아이디어 접수 총 건수 대비 접수된 디자인관련 아이디어의 금전적·비금전적 보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사내 디자인개선 아이디어 접수의 활성화 요소로 측정된다.
상기 외부커뮤니케이션영역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온·오프라인 디자인홍보 횟수를 측정하는 인쇄, 방송, 온/오프라인 매체 등을 활용한 디자인홍보 요소와; 사내·외 디자인관련 전시·홍보관 운영여부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시·홍보관의 연면적(㎡)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시·홍보관의 구축비용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전시·홍보관의 운영비용을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연간기준 전시·홍보관의 방문객 총 수를 측정하고,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제품·영상·소재·기술 등의 총 전시 건수를 측정하는 기업의 전시관·홍보관의 운영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국내 디자인관련 전시·박람회 출품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국외 디자인관련 전시· 박람회 출품 횟수를 측정하는 자사 디자인홍보를 위한 국내·외 전시회, 박람회 등에 출품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총 횟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미팅·회의건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매출액디자인 및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미팅·회의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기업외부 이해관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위한 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실시 요소; 및 사외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의 디자인 및 브랜드강화교육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자원(Design Resources)은 기업이 디자인경영을 하기위해 필요한 디자인 지향적 조직, 디자인에 대한 교육, 디자인을 잘 할 수 있는 환경, 외부자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자인자원영역은 디자인조직(design organization), 디자인교육(design education), 디자인환경(design environment), 외부자원(external resources)의 네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디자인조직영역은 기업 부설 디자인 연구소를 운영 여부를 측정하고,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연구소 직원 수를 측정하고, 전년도 기업 전체비용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연구소 소요비용을 측정하고, 지난 3년간 전체 신규제품디자인개발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연구소를 통한 신규디자인개발 총 수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연구소 운영 요소와; 디자인 부서 운영여부와, 디자인부서 직원 총 수 대비 디자인부서 사용 총 면적과,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부서 직원 총 수와, 전년도 기업 총 비용 대비 연간기준 디자인부서 소요비용 총액과, 기업전체 1인당 평균 인건비 대비 디자인부서 1인당 평균 인건비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디자인부서 운영여부 요소와; 기업 내 디자인조직의 위상수준을 조사자 판단에 의하여 측정하는 디자인조직의 위상 요소와; 디자인지원의 구조적인 절차를 조사자 판단에 의하여 측정하는 디자인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직관리체계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현재 디자이너 총 수를 측정하는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한 디자이너의 수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고등학교, 대학교, 석사, 박사학위별 학력자수를 측정하는 디자이너의 학력수준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이직자 총 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이너 이직자 총 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이너 이직자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이너의 이직율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디자인교육영역은, 현재 임원 수 대비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빈도와, 현재 임원 수 대비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시간과, 현재 임원 수 대비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등의 총 빈도를 측정하는 관리자에 대한 디자인교육 강화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미팅·회의 건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인식강화 교육·워크샵 및 기타브랜드활동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관리자에 대한 브랜드교육 강화 요소와;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부서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디자인부서 이외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와, 현재 전체 구성원 총수 대비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관련 워크샵·세미나·특강·교육 총 횟수를 측정하는 사내 직원들의 디자인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내 디자인 교육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대학·연구소·학원 및 국내·외 디자인관련기관의 교육·세미나·연수 등에 참여한 디자이너 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이너의 재교육 총 시간을 측정하는 사내 디자이너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전시회·박람회 관람의 총 횟수와, 현재 전체 구성원 총 수 대비 디자인관련 전시회 및 박람회 관람 인원 총 수를 측정하는 조직구성원들의 디자인관련 전시회, 박람회 등에의 관람 요소로 측정된다.
상기 디자인환경영역은, 디자인에 필요한 작업환경구축의 수준을 측정하는 디자인에 필요한 공간, 장비, 재료 등의 디자인작업환경의 구축 요소와; 디자인 활동에 수동적 및 능동적 업무 수준을 측정하는 디자이너들의 디자인개발활동에 대한 자유보장 요소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사내 디자이너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한 횟수와,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사내 디자이너 인센티브로 지원한 금액을 측정하는 사내 디자이너들의 성과에 따른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의 지급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정책을 위한 내부적 모임 혹은 외부적 활동의 총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공식/비공식적으로 브랜드개선정책을 제안한 횟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브랜드정책제안을 위한 내부적 모임 혹은 외부적 활동, 정책제안 등의 과정에 지원한 총 금액을 측정하는 효율적 브랜드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직원들의 브랜드강화 행위에 대한 보상시스템운영 요소와; 전체 구성원 수 대비 기업 내에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구매 종 총 수, 전체 구성원 수 대비 기업 내에서 구매하는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총 구매금액과, 전체 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관련 신문·서적·잡지·유료정보사이트 등의 구매 종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 정보수집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관련 정보원(잡지, 서적 등)의 활용 요소로 측정된다.
상기 외부자원영역은, 전년도 인건비 총액 대비 신규 디자이너채용에 드는 소요비용을 측정하는 신규 디자이너 채용을 위한 투자 요소와; 디자인인턴쉽 프로그램 시행여부와, 전체 구성원 수 대비 인턴쉽 참여자 수와, 디자인인턴쉽 참여자 총 수 대비 총 인턴쉽 프로그램 기간 및 비용과, 현재 디자이너 총 수 대비 디자인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자의 총 투입 일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 총 수 대비 지난 5년간 제품디자인개발을 수행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전문가)총 수와, 지난 5년간 디자인개발에 참여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인전문가)수 대비 3회 이상의 다른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업체 수와, 과거 5년간 디자인개발에 참여한 외부 디자인전문회사 (디자이너) 수 대비 5년 이상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업체 수를 측정하는 아웃소싱기업과의 장기적 관계유지 요소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 자문위원·고문위원 총 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자문위원·고문위원의 디자인자문 총 횟수와, 현재 조직구성원 수 대비 디자인 자문위원·고문위원의 자문비 및 고문비 총액을 측정하는 외부 디자인자문/고문인력 활용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건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협협력을 통한 신규 디자인개발 건 총 수와, 전년도 디자인 R&D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기업전체 R&D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의 산학협력활동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건수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협협력을 통한 신규 디자인개발 건 총 수와, 전년도 디자인 R&D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과, 전년도 기업전체 R&D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 산학협력에 투자한 비용을 측정하는 자사 주관 디자인공모전의 운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프로세스(design process)는 전반적인 디자인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와, 외부자원 투입관리(external input management)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프로세스 관리 영역은, 지난 3년간 신규디자인개발 총 건수 대비 지난 3년간 임원진이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총 건수와, 현재 임원 수 대비 현재 임원 중 지난 3년간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한 총 인원 수를 측정하는 임원진의 디자인개발프로젝트 참여 요소와; 디자인개발과정의 체계적인 관리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디자인개발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 요소와;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건수와,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 총 건수 대비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회의(미팅)에 사내 디자인부서(디자이너) 이외의 인원이 참여한 회의(미팅) 총 건수와, 기업 내 부서의 총 수 대비 최근 진행된 1건의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프로젝트에서 디자인부서 이외에 참여부서 총 개수를 측정하는 디자인개발에서 부서 간 협업유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외부자원 투입관리 영역은, 디자인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축의 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이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요소와; 지난 3년간 신규 디자인개발 총수 대비 지난 3년간 외부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이너)와의 협업 총 수를 측정하는 디자인개발 시 외부 디자인 전문가와의 협업 요소와; 디자인과업지시서의 명확성 수준을 과거 디자인 과업지시서에 대한 검토 및 면접자 정성평가를 통해 측정하는 과업지시서의 명확성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실행(design Implementation)은 기업이 디자인에 얼마만큼 투자하고 투자에 따른 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실질적으로 기업이 디자인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실행영역은 디자인 투자(design Investment)와 디자인 성과(design Performance)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다.
상기 디자인 투자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과, 전년도 기업 총 비용 대비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투자비용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전년도 디자인R&D 투자비용과, 기업전체 R&D 투자비용 대비 전년도 디자인R&D 투자비용을 측정하는 디자인 R&D 투자비용 요소와; 디자인 투자비용 총액 대비 외부 디자인협업 투자비용 총액과, 지난 3년간 디자인전문회사(디자이너)와의 협업 총 건수 대비 디자인아웃소싱에 투자한 금액을 측정하는 디자인 아웃소싱 비용의 규모 요소와; 판매브랜드 총 수와,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 총 횟수와,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에 투자한 총 비용과,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리뉴얼 총 횟수 대비 브랜드(로고, 패키지)의 개발 및 리뉴얼에 투자한 총 비용을 측정하는 적절한 브랜드 개발 및 리뉴얼에 대한 투자 요소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신규 제품 디자인개발 건수를 측정하는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추진 요소와; 현재 전체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의 양산 성공률 요소와;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 대비 지난 3년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에서 디자인개발이 선행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제품개발에 있어서 디자인개발을 선행하는 노력 요소와;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 대비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 디자인개발 총 건수의 비율대비 신제품개발 총수 대비 양산화에 성공한 신제품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신제품의 양산성공율에서 디자인개발포함의 비중 요소와; 신제품개발에 소요되는 평균시간 대비 제품디자인개발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측정하는 신제품개발기간 중 디자인개발시간의 비중 요소와; 신제품개발에 소요되는 평균비용 대비 신규제품디자인개발에 소요되는 평균비용을 측정하는 신제품개발 비용 중 디자인개발 비용의 비중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디자인성과영역은, 현재 양산제품 총 수 대비 현재 양산제품 중 지식재산권 확보 제품 총 건수를 측정하는 제품디자인에 관한 지적 재산권확보 요소와; 판매브랜드 총 건수 대비 상표권 확보 총 건수를 측정하는 브랜드의 법률적 보호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제 3대 공모전 수상 총 건수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제 3대 공모전 이외의 디자인공모전 수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국내·외 디자인어워드 수상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국내·외 GD(good design)마크 수상 총 건수를 측정하는 굿디자인 인증마크 획득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전달(design delivery)은 기업이 자사의 디자인과 브랜드를 외부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잘 전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전달영역은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delivery of Design Identity)과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delivery of Brand Identity)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영역은,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 요소와; 기업의 제품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디자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광고/홍보물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광고/홍보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카다로그/브로셔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카타로그/브로셔 등 인쇄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웹사이트의 디자인에 기업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웹사이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기업사옥(본사) 건물(외부)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사옥(외부)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기업내부 공간의 디자인아이덴티티가 어느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기업내부공간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영역은,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로고타입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로고타입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소매점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자사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환경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 요소와; 브랜드경험관리의 수준을 조사자판단에 의해 측정하는 제품, 패키지, 웹사이트, 멀티미디어, 이벤트, 홍보물, 광고 등 소비자가 접하는 브랜드 접점의 일관성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디자인 감사(design audit)는 현재 기업의 디자인이 내·외부적으로 어떠한 상황과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점검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디자인감사영역은 내부감사(internal audit)와 외부감사(external audit)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내부감사영역은, 현재 전제 양산제품 종류 총 수 대비 현재 양산제품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조사수행 총 횟수와, 현재 판매브랜드 총 수 대비 현재 판매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조사수행 총 횟수를 측정하는 외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평가(audit)의 실시 요소와; 현재 디자인부서 직원 총수 대비 디자인부서에서 수행한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건수와, 현재 디자인부서 직원 총수 대비디자인부서에서 양산화에 성공한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총 건수를 측정하는 디자인부서의 성과평가와 피드백 요소와;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내부 디자인의식조사 총 건 수와, 전년도 디자인투자비용 총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의식조사에 소요한 총 비용을 측정하는 직원들에 대한 기업의 디자인의식조사와 평가 실시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외부감사영역은, 전년도 매출액 대비 지난 3년간 디자인조사비용 총액을 측정하는 외부 디자인리서치에 대한 투자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경쟁기업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조사 총비용을 측정하는 경쟁기업 제품디자인평가 요소와; 전년도 매출액 대비 경쟁기업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조사 총 비용을 측정하는 경쟁기업 브랜드 평가 요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은 진단요소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각 영역별 요소는 일반버전과 전문가버전으로 구분하여 일반버전 사용시 일반기업이 전문가 도움없이 각 문제항에서 제시된 예시로부터 손쉽게 선택하여 간단한 디자인경영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는 취합하여 유무선망을 통해 DMES서버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DMES서버(30)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표준값DB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DB로 DMES서버 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서버내에 위치하고 측정데이터만 DMES서버로 전송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준값DB는 다수 디자인업체 중 지속성장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DB이다.
여기서 상기 업체 선별은 상술된 지속성장 이외에 규모, 매출액, 직원수 등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선별될 수 있으며, 도덕적으로 선망받거나, 우량업체를 포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 구분은 통상적으로 디자인경영 성숙도에 의해 구분하였다. 상기 디자인경영 성숙도는 DME(Design Management Europe)가 유럽에 기반을 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The DME Survey"를 실시하여 "디자인경영계단(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의 개념에서 제시한 4단계의 디자인환경성숙도에 근거하여 디자인경영센터 수준, 디자인부서 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분하고, 프로젝트수준 이하인 디자인경영 개념이 미약한 수준을 추가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준값DB의 생성과정의 일예로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평가한다.
상기 점수화는 상기 데이터의 획득과정에서 수집되는 각 요소의 문제항에 대해 미리 설정한 점수표로 배점하여 각 업체간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각 업체간의 점수와 순위 등의 평가값을 이용하여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정규분포도는 표준편차가 0 인 중심을 상위 50%의 기준으로 하고,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의 3등분 하거나, 프로젝트 이하수준 까지 포함해서 4등분으로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위 20%와 상위 20~40%와 상위 40~60%와 상위 60% 이하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표준편차 +1과 -1 사이를 프로젝트 수준으로 하고, 표준편차 +1과 +2 사이를 디자인부서 수준으로 하고, 표준편차 +2와 +3 사이를 디자인경영센터 수준으로 구분하는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 다음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 각 요소의 값을 평균한 값을 각 구간의 레벨별 표준값DB로 사용한다. 이때 표본기업은 특정기업 하나일 수 있으나,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 기업으로부터 각 요소의 평균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MES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한다.
즉, 측정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영역별 데이터에는 다양한 요소에 의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리 연산 프로그래밍에 의해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 각 요소를 표준값DB의 레벨(수준, 단계)별로 대비하고, 다양한 수리함수나 연동함수를 이용하여 비교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제어부에서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로부터 평가기업 측정데이터 또는 점수화된 평가기업 측정데이터를 수취하고, 이를 표준값DB와 대비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고, 디자인성숙도에서의 각 레벨 평균수치(점수)와, 평가기업의 측정수치(점수)를 비교하여 각 영역별로 평가기업이 레벨평균 또는 레벨업을 위한 목표치를 연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한 평가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정보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예로는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각 영역별로 표준값과 비교된 수치를 나타내면서 결과그래프를 통해 쉽게 표시되도록 하거나,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결과그래프와 함께 간단한 설명을 함께 출력되도록 하거나,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각 수준별 표준값과 대비하는 바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바형태에서는 평가기업의 현수준이 표시되고, 각 수준별 평균값이 표시되며, 평가기업과 각 수준별 평균값의 차이값(목표치)이 나타내어 각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얼만큼의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장치(40)는 사용자서버(20) 또는 DMES서버(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처리된 최종 평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인쇄하는 장치이며, 개인휴대단말기(스마트폰, 노트북)와 같이 평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을 통해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단계에서의 각 영역에는 다수의 요소에 의해 다양한 정보가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정보는 정성적인 정보이외에 정량적인 정보도 포함하여 수집되며, 각 정보는 기 설정된 점수에 의해 배점되어 각 요소별 점수화, 영역별 점수화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DMES서버로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은 DMES서버는 측정데이터를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의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는 DMES서버 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서버에 위치하거나, DMES서버와 사용자서버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는 사용자서버에 저장된 후 DMES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은 DMES서버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비교는 각 영역 및 세부 요소 별로 배점된 점수를 비교하거나, 수치를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데이터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의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 및 세부요소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 및 세부 요소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의 평가데이터를 다양한 형식의 그래프를 통해 제공하고, 전체 영역 중 평균값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영역 및 세부 요소를 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과 대안을 제시하는 코멘트를 제공하여 디자인기업경영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인쇄하는 출력단계가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기업에 대한 디자인경영 수준을 설명하고, 디자인경영측면을 발전시키기 위해 세부적으로 어떠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지는 컨설팅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표준값DB를 설정하기 위한 전제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표준값DB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먼저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선정은 개관적인 지표 예컨대 설립년도, 매출액, 직원수, 시설규모 등에 의해 최대한 건실한 기업으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측정데이터 생성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단계는 각 영역별로 세부적인 요소를 모두 확인하거나 부분적으로 일부만 확인하여 신속한 정보수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점수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점수화는 각 영역의 세부요소에 대한 점수표에 의해 배점하여 선정기업이 영역별 점수화가 이루어지면서 전체 순위나 영역별 순위가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평가된 점수에 의해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의 디자인 성숙도에 따른 구간 구획에서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 +2와 +3 사이 구간으로 선정하고, 디자인부서 수준은 표준편차 +1과 +2 사이의 구간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 수준은 표준편차 +1과 -1 사이의 구간을 선정하여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규분포에 의한 구간 선정은 선정기업 전체 점수 합에 의한 구획하거나, 각 영역별로 개별적인 정규분포도를 작성하여 구간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규분포도는 평가된 점수 이외에 기업규모, 직원수등 다른 조건에 의해 작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상술된 방식으로 구간을 구획하여 유사 규모업체 간에 기업경영환경을 대비하거나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데이터는 각 영역별 세부 요소별 평균값을 산정할 수 있으며, 영역별로 표본기업을 달리 선정하여 표준값DB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출력단계 다음으로는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표준값DB에 포함시켜 표준값을 재산출하는 표준값 업데이트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값 업데이트는 매번 평가할 때마다 업데이트 하거나, 일정구간 예컨대 1년 또는 분기 또는 월 단위로 이루어져 다수 표본에 의한 신뢰도를 향상시킨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도 1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선정기업 또는 평가기업으로부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데이터는 사용자서버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측정데이터는 DMES서버로 전송되고, DMES서버에서는 측정데이터의 각 항목별로 미리 배당된 점수에 의해 배점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사용자서버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업평가용으로 진행할 것인지, 표준DB용으로 진행하는지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은 도시된 바와같이 기업평가용 또는 표준DB용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거나, 기업평가용인지를 먼저 선택하도록 하고, 기업평가용이 아니면 표준DB용인지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표준DB용이 아니면 다시 기업평가용인지를 재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준DB용을 선택하면 입력된 측정데이터와 배점은 그동안 입력된 다른 기업의 측정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점에 의해 기업순위를 설정하게 된다.
다수의 기업자료(초기에는 표준DB를 구축하기 위해 선정한 기업의 자료)에 의해 기업순위가 설정되면 이로부터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정규분포도로부터 구간을 구획한다. 상기 구간은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 또는 그 이하수준 등 3~4 영역으로 구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어서 각 구간별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다.
상기 선정된 표본기업에서 수집한 측정데이터는 각 항목별로 합산이 이루어지고 이의 평균값(수치)를 각 구간별 표준DB화하여 표준DB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값은 정량적인 수치 예컨대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에서는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10건, 디자인부서수준은 6건, 프로젝트수준은 3건 등 레벨수준별로 각각 다른 평균값으로 설정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사용자서버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업평가용으로 진행하면,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와 배점정보는 표준DB의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 레벨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고, 현재수준에서의 평균값과 평가기업의 차이를 비교하여 유사수준의 기업과 대비하여 어느 부분(항목)에서 부족하고 어느 부분이 만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업이 상위 레벨의 수준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각 항목에 얼만큼의 노력이 더 필요한지는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각 항목은 정량적인 수치로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평가기업이 레벨별 표준기업과의 차이를 항목마다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사용자서버나 DMES서버의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인 수치표시는 다수의 세부 항목에서 레벨별 표준기업의 수치와 비교하여 차이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거나, 영역별로 나타내어 어느부분에 더 노력하고 투자해야 하는 것은 물론 어느정도의 노력과 투자를 해야하는지를 정량적으로 표시하여 한 부분에 대한 과도한 투자를 방지하고 잉여자원은 다른 부족한 부분에 더 투자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개선할 수 잇게 컨설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업의 평가에 사용된 데이터는 표준DB화 또는 종료 여부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기업 평가용 데이터를 별도로만 보관할 것인지 표준DB의 업데이트에 적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기업평가용 데이터를 표준DB의 업데이트에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인 자료축적에 의해 현실성 있는 기업평가 및 컨설팅이 가능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20 : 사용자서버
30 : DMES서버
40 : 출력장치

Claims (14)

  1.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각의 문제항이 제시되고 제시된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인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평가기업의 사용자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각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와; 다수 디자인업체 중 규모·매출액·직원수를 지표로하여 성장된 업체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측정된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취합하고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표준값DB와; 상기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의 데이터와 표준값DB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과 상위레벨로 레벨업하기 위한 목표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도록 수처리연산이 이루어지고, 처리된 최종데이터를 사용자서버 또는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신호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MES서버와;
    상기 사용자서버 또는 DMES서버와 연결되어 연산처리가 완료된 최종 평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표준값DB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평가하고; 평가값에 의해 작성된 정규분포도에서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고; 각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한 다음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 평균값을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은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와, 디자인챔피언 제도의 운영과, 기업 브랜드챔피언 제도 운영과, 기업 내 브랜드위원회의 운영과, 임원급 이상의 고위관리직에 디자이너 임명수를 확인하는 디자인리더영역 정보와;
    디자인철학의 수립정도와, 기업경영전략 설계에서 디자인전략수립이 선행되는 정도와, 디자이너가 경영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전략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은,
    미래지향적 가치를 담고 있는 디자인정책의 수립정도와, 기업디자인철학-디자인정책의 일관성 정도와, 장기-중기-단기적 디자인정책수립정도와, 비전-미션-전략-실행계획의 단계적 디자인정책 수립정도와, 문서화된 기업 디자인가이드라인 설계정도와, 명확한 핵심경쟁우위요소의 결정과 이를 위한 디자인 집중정도와, 제품디자인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운영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정책영역 정보와;
    디자인정책-브랜드정책의 일관성정도와, 장기-중기-단기적인 브랜드 정책의 수립정도와, 비젼-미션-전략-전술의 단계적 브랜드정책수립정도와, 효율적인 브랜드아키텍쳐 설계정도와, 기업브랜드-패밀리브랜드-개별브랜드의 수직적 구조합리성정도와, 효율적인 브랜드플랫폼의 구성정도와, 브랜드가 기업의 핵심역량을 표현하는 수준정도와, 브랜드포트폴리오 구성과 운영정도와, 브랜드포지셔닝의 설계와 활용정도와, 브랜드퍼스낼리티의 설계와 활용정도와, 브랜드가이드매뉴얼 구축 및 활용정도를 확인하는 브랜드정책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은,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수준정도와, 디자인철학에 대한 직원들의 공감수준정도와,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정도와, 디자인정책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정도와, 브랜드에 대한 내부 구성원 공감수준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인식영역 정보와;
    조직구성원들에게 브랜드 이해와 공감 강화를 위한 내부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운영정도와, 디자인뉴스레터의 제작 및 사내/외 배포정도와, 사내 디자인개선 아이디어 접수의 활성화정도를 확인하는 내부커뮤니케이션영역 정보와;
    인쇄, 방송,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한 디자인홍보정도와, 기업의 전시관·홍보관의 운영정도와, 자사 디자인홍보를 위한 국내·외 전시회, 박람회에 출품정도와, 기업외부 이해관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위한 외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실시정도와, 사외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의 디자인 및 브랜드강화교육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커뮤니케이션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은,
    기업규모에 따른 디자인연구소 운영정도와, 기업규모에 따른 디자인부서 운영여부정도와, 디자인조직의 위상정도와, 디자인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직관리체계정도와, 기업규모에 따른 디자이너의 수정도와, 디자이너의 학력수준정도와, 디자이너의 이직율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조직영역 정보와;
    관리자에 대한 디자인교육 강화정도와, 관리자에 대한 브랜드교육 강화정도와, 사내 직원들의 디자인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내 디자인 교육정도와, 사내 디자이너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정도와, 조직구성원들의 디자인관련 전시회, 박람회의 관람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교육영역 정보와;
    디자인에 필요한 공간, 장비, 재료의 디자인작업환경의 구축정도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개발활동에 대한 자유보장정도와, 사내 디자이너들의 성과에 따른 금전적/비금전적 보상의 지급정도와, 효율적 브랜드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직원들의 브랜드강화 행위에 대한 보상시스템운영정도와, 디자인 정보수집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관련 정보원(잡지, 서적 등)의 활용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환경영역 정보와;
    신규 디자이너 채용을 위한 투자정도와, 디자인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정도와, 아웃소싱기업과의 장기적 관계유지정도와, 외부 디자인자문/고문인력 활용정도와, 디자인관련 대학/연구소와의 산학협력활동정도와, 자사 주관 디자인공모전의 운영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자원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은,
    임원진의 디자인개발프로젝트 참여정도와, 디자인개발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정도와, 디자인개발에서 부서 간 협업유지정도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관리영역 정보와;
    기업이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정도와, 디자인개발 시 외부 디자인 전문가와의 협업정도와, 과업지시서의 명확성정도를 확인하는 외부자원 투입관리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은,
    디자인투자비용정도와, 디자인 R&D 투자비용정도와, 디자인 아웃소싱 비용의 규모정도와, 브랜드 개발 및 리뉴얼에 대한 투자정도와, 신규 제품디자인개발 추진정도와, 신규 제품디자인 개발의 양산 성공률 정도와, 제품개발에 있어서 디자인개발을 선행하는 노력정도와, 신제품의 양산성공율에서 디자인개발포함의 비중정도와, 신제품개발기간 중 디자인개발시간의 비중정도와, 신제품개발 비용 중 디자인개발 비용의 비중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투자영역 정보와;
    제품디자인에 관한 지적 재산권확보정도와, 브랜드의 법률적 보호정도와, 국내·외 디자인어워드 수상정도와, 굿디자인 인증마크 획득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 성과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은,
    브랜드-제품의 아이덴티티 일관성정도와, 제품디자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광고/홍보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카타로그/브로셔 인쇄물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웹사이트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기업사옥(외부)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기업내부공간의 기업디자인아이덴티티 반영정도를 확인하는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달영역 정보와;
    제품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패키지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브랜드매뉴얼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로고타입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자사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환경의 브랜드아이덴티티 반영정도와, 제품, 패키지, 웹사이트, 멀티미디어, 이벤트, 홍보물, 광고를 통해 소비자가 접하는 브랜드 접점의 일관성정도를 확인하는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달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은,
    외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평가(audit)의 실시정도와, 디자인부서의 성과평가와 피드백정도와, 직원들에 대한 기업의 디자인의식조사와 평가 실시정도를 확인하는 내부감사영역 정보와;
    외부 디자인리서치에 대한 투자정도와, 경쟁기업 제품디자인평가정도와, 경쟁기업 브랜드 평가정도를 확인하는 외부감사영역 정보;에 대한 문제항을 제시하고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로부터 평가기업 측정데이터 또는 점수화된 평가기업 측정데이터를 수취하고,
    이를 표준값DB와 대비하여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고,
    디자인성숙도에서의 각 레벨 평균수치(점수)와, 평가기업의 측정수치(점수)를 비교하여 각 영역별로 평가기업이 레벨평균 또는 레벨업을 위한 목표치를 연산하여 정량적으로 제시한 평가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11.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에 있어서,
    디자인리더쉽영역 측정수단·디자인계획영역 측정수단·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측정수단·디자인자원영역 측정수단·디자인프로세스영역 측정수단·디자인실행영역 측정수단·디자인전달영역 측정수단·디자인감사영역 측정수단에 의해 각각의 문제항이 제시되고 제시된 문제항에 대한 예시를 선택한 데이터인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입력받은 사용자서버에서 각 데이터를 취합하여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서버가 DMES서버로 취합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측정데이터 전송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전송받은 측정데이터를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하는 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디자인경영환경측정DB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표준값DB에 저장된 표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DMES서버 제어부는 측정데이터와 표준데이터 비교에 의해 평가기업의 현재수준을 나타내거나, 표준데이터의 디자인 성숙도 레벨에서의 각 표준기업과 평가기업을 각 영역별로 비교하여 평가기업 점수 또는 수준과 상위레벨이나 상위기업의 점수 또는 수준과 차이정도(목표량)를 영역별로 나타내도록 데이터 추출 및 연산처리하여 평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DMES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평가데이터를 DMES서버에서 직접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가 하거나, 사용자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서버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서버에서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디자인 관련된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중소기업을 평가하여 디자인리더쉽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계획영역 데이터와,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자원영역 데이터와, 디자인프로세스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실행영역 데이터와, 디자인전달영역 데이터와, 디자인감사영역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정된 중소기업의 측정데이터 생성단계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점수화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된 점수에 의해 정규분포도를 작성하고, 디자인 성숙도인 디자인경영센터수준, 디자인부서수준, 프로젝트수준으로 구간을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구간에서의 평균수준의 표본기업을 복수로 선정하고, 선정된 표본기업의 측정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각 구간의 표준값DB로 선정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성숙도에 따른 구간 구획에서 디자인경영센터수준은 표준편차 +2와 +3 사이 구간으로 선정하고, 디자인부서 수준은 표준편차 +1과 +2 사이의 구간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 수준은 표준편차 +1과 -1 사이의 구간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 다음으로는 평가기업의 측정데이터를 표준값DB에 포함시켜 표준값을 재산출하는 표준값 업데이트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경영환경 평가방법.
KR1020120119967A 2012-10-26 2012-10-26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KR10142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ko) 2012-10-26 2012-10-26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ko) 2012-10-26 2012-10-26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09A KR20140053709A (ko) 2014-05-08
KR101429215B1 true KR101429215B1 (ko) 2014-09-19

Family

ID=5088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67A KR101429215B1 (ko) 2012-10-26 2012-10-26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7858B2 (en) 2022-02-07 2024-05-07 T-Mobile Usa, Inc. Centralized intake and capacity assessment platform for project processes, such as with product development in tele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08B1 (ko) * 2016-12-30 2019-0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KR102006086B1 (ko) * 2017-12-29 2019-08-01 (주)씽크포비엘 사용성 확보를 위한 후속작업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N112749888B (zh) * 2020-12-31 2023-10-03 浙江省标准化研究院(金砖国家标准化(浙江)研究中心、浙江省物品编码中心) 基于ransac算法的多元随机抽查方法、系统、装置
KR102553169B1 (ko) * 2022-12-06 2023-07-10 주식회사 엘레멘트컴퍼니 브랜드의 개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289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위고넷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에 관한 경영진단 서비스 시스템
JP2005004521A (ja) 2003-06-12 2005-01-06 Hitachi Ltd 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00122342A (ko) * 2009-05-12 2010-11-22 김호곤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289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위고넷 네트워크 기반의 디자인에 관한 경영진단 서비스 시스템
JP2005004521A (ja) 2003-06-12 2005-01-06 Hitachi Ltd 経営支援システム
KR20100122342A (ko) * 2009-05-12 2010-11-22 김호곤 디자인 경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7858B2 (en) 2022-02-07 2024-05-07 T-Mobile Usa, Inc. Centralized intake and capacity assessment platform for project processes, such as with product development in tele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09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ter et al. Building maintenance management
Hansen et al. Measuring the impacts of NGO partnerships: The corporate and societal benefits of community involvement
Bhamu et al. A framework for lean manufacturing implementation
KR101429215B1 (ko) 디자인경영환경 평가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Ofori-Kuragu Enabling world-class performance in Ghanaian contractors: A framework for benchmarking
Chen et al. Firm and project innovation outcome measures in infrastructure megaprojects: an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 approach
Kumaraswamy et al. Multiple performance criteria for evaluating construction contractors
Apte et al. Managing the service supply chain in the Department of Defens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urger Project management in the built environment: The need for industry specific knowledge
Kavinya The Impact of Organization Strategy on Facilities Management: A Case study of Postal corporation of Kenya.
Banerjee A Study of Linkages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SMEs Performance in Vadodara District
Mulhall Evaluating HRD Programmes
Keniger et al. Developing a Quality Culture—Project Alliancing Versus Bussiness‐as‐Usual
MUHAMMAD Evaluation of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contractors in building industry in Abuja, Nigeria
Ramkumar et al. Root cause analysis of issues in construction industry
Fitzmaurice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Lean Six Sigma tool, Visual Process Controls, to improve month-end activities in a finance department–An Empirical Case Study
Vigaro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a selected compan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hokas Measuring the offering development process performance: Case study
Arora Project Management
DHANIYALA et al. Advancement of the operations management course handled by Lean Excellence Center at Politecnico di Milano
PHOG AT An Introduction to Management Science
Egyir Assessing the capacity of works department in the delivery of value for money construction projects in selected MMDAS in Ghana
bin Ahmad Towards Number One Property Management Team in Malaysia-Lacking of Project Management Team Contributed to Major Obstacles
Tahsin The in-house human resource information system of Robi Axiata
Lombard Managing the quality of engineering on large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South African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