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135B1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135B1
KR101429135B1 KR1020130041588A KR20130041588A KR101429135B1 KR 101429135 B1 KR101429135 B1 KR 101429135B1 KR 1020130041588 A KR1020130041588 A KR 1020130041588A KR 20130041588 A KR20130041588 A KR 20130041588A KR 101429135 B1 KR101429135 B1 KR 10142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int
point
input
charact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환국
Original Assignee
소프트캠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캠프(주) filed Critical 소프트캠프(주)
Priority to KR102013004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자판을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력모듈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화패드를 출력하는 제1단계; 입력모듈이 상기 도화패드 내에 스타트포인트를 생성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가이드포인트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을 확인해서 상기 스타트포인트와 가이드포인트를 연결하는 표시선을 도화하는 제4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검색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스타트포인트의 조합으로 된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the mobile having touch-screen}
본 발명은 모바일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자판을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명 스마트폰으로 불리며 휴대품으로 널리 활용되는 통신기기인 이동통신단말형 모바일은 간편한 조작과 넓은 화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력기능과 출력기능을 겸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된다.
모바일은 평상시 터치스크린 전면(全面)에서 출력이미지 전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특정 글자를 입력해야 할 경우 자판이미지를 터치스크린의 일부면에 출력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자판이미지를 조작해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휴대를 위해 크기에 한계가 있는 모바일은 터치스크린의 면적에도 한계를 줄 수밖에 없고,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출력이미지의 크기에도 한계를 줄 수밖에 없다. 물론, 상기 출력이미지의 크기는 사용자의 관찰에 곤란을 주므로, 자판이미지를 조작하는데도 어려움을 줄 수밖에 없었다. 결국, 노안(老眼) 또는 시력의 문제로 인해 자판이미지 확인이 곤란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활용에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자판이미지를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8618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접촉 감지 영역을 X,Y좌표에 따라 분할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분할영역과 가상키보드의 가상키를 연결한다. 결국, 사용자가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터치스크린 조작과 같이 조작해서 가상키보드의 가상키를 선택해 조작하고, 이를 통해 가상키보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자판이미지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도록만 할 뿐 사용자에게는 가상키보드의 가상키를 식별할 수 있는 시력이 요구되므로, 터치스크린 기반 자판이미지 조작시 발생하는 기존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난제였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8618호(2008.08.27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이 갖는 사이즈의 한계로 인해서 글자 입력시 시각적 구분과 손가락 조작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력모듈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화패드를 출력하는 제1단계;
입력모듈이 상기 도화패드 내에 스타트포인트를 생성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가이드포인트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을 확인해서 상기 스타트포인트와 가이드포인트를 연결하는 표시선을 도화하는 제4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검색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스타트포인트의 조합으로 된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되는 페이지 내 글자입력란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화패드를 팝업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도화패드에 스타트포인트와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표시하고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표시하는 도화처리부와,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으로 연결된 상기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스타트포인트의 조합으로 구성된 글자의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페이지를 출력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상기 입력값을 전달하는 입력처리부를 포함하는 입력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화한 이미지와 매칭되는 글자를 검색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직접 기재하는 효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글자입력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부담을 줄이고, 아울러 사용자는 키패드를 일일이 구분해 조작해야 하는 불리함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모바일에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방법의 도화단계를 구체적으로 상세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ㄱ'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ㅅ'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ㅎ'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5'와 '4'를 각각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9'와 '8'을 각각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모바일에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입력모듈(100)과 출력모듈(100')로 구성되며, 터치스크린을 갖춘 모바일에 탑재된다. 계속해서, 입력모듈(100)은 글자선택부(110)와 도화처리부(120)와 입력처리부(130)로 구성된다.
입력모듈(100)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클릭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해서 해당하는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값을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출력모듈(100')은 상기 입력값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관련 이미지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련 이미지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입력레이어(200; 도 4 참조)가 예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입력모듈(100)의 글자선택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할 글자에 대한 입력모드를 조성한다. 즉, 글자선택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가 한글인지, 영문인지, 숫자인지, 기호인지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글자유형의 입력모드에 따라 글자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화플로우정보가 도화처리부(120)에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화처리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모드에 따라 도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지정된 위치에 스타트포인트를 생성하고 아울러서 상기 도화플로우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도화하는 표시선의 위치에 따라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및 표시한다.
입력처리부(130)는 사용자가 도화하고 완성한 글자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해서 현재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입력방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방법의 도화단계를 구체적으로 상세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ㄱ'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0; 입력기능 개시단계
도 4(a)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모바일(10)의 터치스크린 화면(11)에는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페이지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구간인 글자입력란(12)이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글자입력란(12)은 임의의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으로 한다.
도 4(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10)의 터치스크린 화면(11)에서 글자입력란(12)을 클릭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의 출력모듈(100')은 입력기능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력레이어(200)를 팝업한다. 종래 입력레이어는 각종 숫자 또는 글자 패드가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된 형태를 이루면서, 사용자가 상기 패드를 선택적으로 클릭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레이어(200)는 숫자 또는 글자 패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임의의 도형을 도화할 수 있는 도화패드(220)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레이어(200)는 사용자가 글자입력란(12)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화면(11)에 출력되는 것이므로, 입력레이어(200)는 입력되는 글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글자선택메뉴(21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글자선택메뉴(210)로 한글, 영어, 숫자, 기호를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모듈(100')은 터치스크린 화면(11)과 연동하면서 글자입력란(12)의 조작을 감지하고, 글자입력란(12)의 조작이 감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레이어(200)를 팝업해서 사용자가 입력레이어(200)의 조작으로 글자입력란(12)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스크린 화면(11) 조작을 감지해서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 등을 팝업시키는 기술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터치스크린 화면(11)이 손가락 조작을 감지해서 상기 입력수단을 팝업하기까지 진행되는 출력모듈(100')의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S20; 글자유형 선택단계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할 글자를 글자선택메뉴(210)에서 선택하면, 글자선택부(110)는 글자유형별 도화플로우정보가 도화처리부(120)에 설정되도록 해서 도화처리부(120)가 해당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가이드포인트를 생성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화처리부(120)는 도화패드(220)에 스타트포인트(221)를 표시한다. 결국, 사용자가 글자유형으로 한글을 선택하느냐 영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 이후의 가이드포인트 위치가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글자유형으로 '한글'을 선택한 것으로 한다. 참고로, 사용자가 글자선택메뉴(210)에서 '한글'을 선택하면, 도화패드(220)에는 도화처리부(120)에 의해 스타트포인트(221)가 표시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글자선택메뉴(210)를 클릭해서 글자유형을 선택하면 스타트포인트(221) 하나만이 생성 표시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글자선택메뉴(210)를 클릭해서 글자유형을 선택하면 스타트포인트(221)와 더불어서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가 생성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와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태 또는 컬러에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30; 도화단계
사용자는 도화패드(220)에 표시된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도화를 진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에 손을 대면 도화처리부(120)는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하고,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 중 하나를 향해 표시선(L1, L2)을 도화하면, 도화처리부(120)는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해 도화단계(S3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31; 가이드포인트 생성단계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에 손을 대면, 도화처리부(120)는 해당 글자유형의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가 3개가 형성되는데, 제1가이드포인트(222a)는 우측에 이격하게 형성되고, 제2가이드포인트(222b)는 좌측하방에 경사지도록 이격하게 형성되며, 제3가이드포인트(222c)는 하방에 이격하게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글자유형이 다른 '한글', '숫자'에서도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의 개수와 배치위치가 동일한 것으로 하였으나, '영어', '기호'인 경우에는 그 개수와 배치위치가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는 사용자가 선택한 글자유형에 따른 도화플로 우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생성 표시될 수 있다.
S32; 표시선 도화단계
사용자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 중 하나를 택해서 표시선을 도화해 연결한다.
글자유형이 '한글'인 경우, 사용자가 제1가이드포인트(222a) 방향으로 표시선을 연결하였다면, 도화처리부(120)는 사용자가 'ㄱ', 'ㄷ', 'ㄹ', 'ㅈ', 'ㅋ', 'ㅌ', 'ㅍ', 'ㅓ', 'ㅕ', 'ㅜ', 'ㅠ', 'ㅡ'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2가이드포인트(222b) 방향으로 표시선을 연결하였다면, 도화처리부(120)는 사용자가 'ㅅ'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3가이드포인트(222c) 방향으로 표시선을 연결하였다면, 도화처리부(120)는 사용자가 'ㄴ', 'ㅁ', 'ㅂ', 'ㅏ', 'ㅑ', 'ㅗ', 'ㅛ', 'ㅣ'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가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경유하지 않고 스타트포인트(221)로 복귀하는 표시선을 드래그해 도화하였다면, 도화처리부(120)는 사용자가 'ㅇ'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표시선(L1)을 제1가이드포인트(222a)와 연결하였으므로, 도화처리부(120)는 'ㄱ', 'ㄷ', 'ㄹ', 'ㅈ', 'ㅋ', 'ㅌ', 'ㅍ', 'ㅓ', 'ㅕ', 'ㅜ', 'ㅠ', 'ㅡ'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S33; 가이드포인트 생성 확인단계
사용자가 제1가이드포인트(222a)에 제1표시선(L1)을 연결하면, 도화처리부(120)는 제2가이드포인트(222b)와 제3가이드포인트(222c)를 삭제하고 제1가이드포인트(222a)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없다면 더 이상의 도화가 불가능하므로, 도화처리부(120)는 해당 형태의 글자로 입력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가이드포인트(222a)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로 제4가이드포인트(223a)와 제5가이드포인트(223b)가 존재하므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포인트(222a)의 후속 가이드포인트로 제4가이드포인트(223a)와 제5가이드포인트(223b)를 생성 표시한다.
S34; 후속 가이드포인트 생성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확인되면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표시한다.
S35; 지정시간 경과 확인단계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인 제4,5가이드포인트(223a, 223b)가 생성 표시된 이후 시간을 체크해서 표시선이 연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표시선이 지정시간 이내에 연결됐는지 여부를 확인해서 글자의 완성 여부를 최종 확정하는 것이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제1표시선(L1)만이 연결된 상태에서 지정시간이 경과하였다면 도화처리부(120)는 글자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입력처리부(130)는 입력값을 생성해서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처리부(130)가 생성한 입력값은 한글의 'ㅡ'이며, 해당 글자는 글자입력란(12)에 입력된다.
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시간 이내에 제2표시선(L2)이 제1가이드포인트(222a)와 제4가이드포인트(223a)를 연결하면, 도화처리부(120)는 가이드포인트 생성 확인단계(S33)와 후속 가이드포인트 생성단계(S34)를 반복한다.
참고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표시선(L2)이 제1가이드포인트(222a)와 제4가이드포인트(223a)를 연결하면,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 후 제6가이드포인트(224a)와 제7가이드포인트(224b)를 생성 표시한다. 참고로, 제6,7가이드포인트(224a, 224b)는 'ㅋ'을 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정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해서 'ㄱ'을 입력하기 위함인지 'ㅋ'을 입력하기 위함인지를 최종 결정한다.
S36; 글자입력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시간이 경과하면 도화처리부(120)는 도화 진행을 중지하고, 입력처리부(130)는 가이드포인트를 따라 연결된 표시선의 형태에 상응하는 입력값을 생성해서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한다. 결국, 상기 입력값에 해당하는 글자가 글자입력란(12)에 입력된다.
참고로, 입력처리부(13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연결된 가이드포인트를 확인하고, 이렇게 조합해 이루어지는 글자에 해당하는 입력값을 생성해서 응용프로그램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해당 글자유형의 글자 개수만큼만 스타트포인트(221)와 가이드포인트 간의 조합 구성만을 데이터로 구비하면 충분하고, 이로 인해 글자 입력시 입력장치가 부담하는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그 정확도와 편의성은 최적화할 수 있다.
S37; 계속 확인단계
입력처리부(130)가 해당 글자를 글자입력란(12)에 입력되도록 입력값을 전달하면,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도화패드(220)에 다시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전술한 과정으로 표시선을 연결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다음 글자 입력을 완성한다.
S40; 완성문 입력단계
전술한 단계를 반복하여 글자입력란(12)에 해당하는 글자의 조합인 완성문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확인버튼 클릭을 통해 상기 완성문을 입력한다. 이때, 출력모듈(100')은 팝업된 입력레이어(200)를 팝다운시키고, 터치스크린 화면(11) 전체에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ㅅ'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해당 글자유형의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트포인트(221)와 제2가이드포인트(222b)를 연결하는 제3표시선(L3)을 연결 도화하면,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인 제8가이드포인트(225a)와 제9가이드포인트(225b)를 생성 표시한다. 여기서, 제8,9가이드포인트(225a, 225b)는 'ㅅ'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정시간 이내에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9가이드포인트(225a, 225b)를 연결하는 제4표시선(L4)을 연결 도화하지 않을 경우, 도화처리부(120)는 한글의 글자유형인 'ㅣ'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지정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제8,9가이드포인트(225a, 225b)를 연결하는 제4표시선(L4)을 연결 도화한 경우,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한글의 글자유형인 'ㅅ'으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ㅎ'을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해당 글자유형의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를 1회 클릭해서 표시선을 형성시키면, 도화처리부(120)는 상기 표시선에 대응하는 제10가이드포인트(226)를 생성 표시한다. 한글 글자유형에서 상기 표시선에 대응해서 표시되는 제10가이드포인트(226)는 'ㅊ'과 'ㅎ'을 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0가이드포인트(226)는 표시선을 표시하기 위한 시작점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제10가이드포인트(226)를 클릭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제11가이드포인트(227a)를 생성 표시하고, 사용자는 지정시간 이내에 제10가이드포인트(226)와 제11가이드포인트(227a)를 연결하는 제5표시선(L5)을 연결 도화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제11가이드포인트(227a)를 클릭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제12가이드포인트(227b)를 생성 표시한다. 여기서, 제12가이드포인트(227b)는 'ㅊ'을 도화하기 위해 안내하는 가이드포인트로서, 사용자가 제11가이드포인트(227a)와 이격되거나 터치스크린 화면(11)과의 터치 상태가 해제되면, 도화처리부(120)는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포인트(227b)를 삭제하고 제13가이드포인트(227c)를 생성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제13가이드포인트(227c)를 클릭하고, 제13가이드포인트(227c)를 시점으로 드래그하여 다른 가이드포인트의 경유 없이 다시 복귀하는 제6표시선(L6)을 연결 도화하도록 한다면, 도화처리부(120)는 해당 도화 형태를 'ㅇ'으로 인식한다. 결국, 도화처리부(120)는 상기 표시선과 제5,6표시선(L5, L6)을 조합해서 한글의 글자유형인 'ㅎ'으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5'와 '4'를 각각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의 글자선택부(110)는 글자유형으로 숫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글자선택메뉴(210)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글자선택메뉴(210)에서 숫자를 선택하면 글자선택부(110)는 도화처리부(120)의 도화처리가 숫자에 대한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설정한다.
계속해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해당 글자유형의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에서 스타트포인트(221)의 후속 가이드포인트인 제1,2,3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는 글자유형에 상관없이 그 위치가 동일하다.
사용자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제2가이드포인트(222b)와 연결하는 제7표시선(L7)을 연결 도화한다.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와 제2가이드포인트(222b)의 연결선인 제7표시선(L7)을 도화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제14가이드포인트(228a)와 제15가이드포인트(228b)를 생성 표시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숫자 4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포인트(222b)와 제14가이드포인트(228a)를 연결하는 제8표시선(L8)만을 연결 도화한 후 터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숫자 5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표시선(L8) 도화에 이어서 제14가이드포인트(228a)와 제15가이드포인트(228b)를 연결하는 제9표시선(L9)을 연결 도화할 수 있다. 참고로, 숫자 5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8,9표시선(L8, L9)을 연결 도화하면, 숫자 5의 입력은 확정된 것이므로,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에 표시되는 제10표시선(L10)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숫자의 글자유형인 '5'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8표시선(L8)을 도화한 후 터치 상태를 해제하고, 스타트포인트(221)와 제15가이드포인트(228b)를 연결하는 제11표시선(L11)을 연결 도화한다. 결국,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숫자의 글자유형인 '4'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자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9'와 '8'을 각각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처리부(120)는 스타트포인트(221)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해당 글자유형의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스타트포인트(221)를 중심으로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를 생성 표시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드래그하여 다른 가이드포인트(222a, 222b, 222c)의 경유 없이 다시 복귀하는 제12표시선(L12)을 연결 도화하도록 한다면, 도화처리부(120)는 제3가이드포인트(222c)만 도화패드(220)에 남긴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지정시간 이내에 표시선을 도화하지 않을 경우, 도화처리부(120)는 해당 숫자인 '0'을 입력숫자로 확정한다. 그러나,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시간 이내에 스타트포인트(221)와 제3가이드포인트(222c)를 연결하는 제13표시선(L13)을 연결 도화하면,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숫자의 글자유형인 '9'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한편,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트포인트(221)를 시점으로 드래그하여 제3가이드포인트(222c)의 경유 없이 다시 복귀하는 제14표시선(L14)을 연결 도화하도록 한다면, 도화처리부(120)는 후속 가이드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숫자의 글자유형인 '8'로 확정하고, 입력처리부(130)는 해당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바일 11; 터치스크린 화면 12; 글자입력란
100; 입력모듈 110; 글자선택부 120; 도화처리부
130; 입력처리부 100'; 출력모듈 200; 입력레이어
210; 글자선택메뉴 220; 도화패드

Claims (9)

  1. 출력모듈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화패드를 출력하는 제1단계; 입력모듈이 상기 도화패드 내에 스타트포인트를 생성 표시하는 제2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가이드포인트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을 확인해서 상기 스타트포인트와 가이드포인트를 연결하는 표시선을 도화하는 제4단계;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검색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스타트포인트의 조합으로 된 글자에 대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표시선 도화 후 지정시간을 체크해서, 상기 지정시간 이내에 다음 단계가 진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6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와 제6단계 사이에,
    상기 입력모듈이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을 확인해서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연결하는 표시선을 도화하는 표시선 도화단계; 및
    상기 입력모듈이 상기 스타트포인트,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와 연결가능한 새로운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검색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하는 가이드포인트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가이드포인트의 출력은 사용자의 상기 스타트포인트 클릭을 상기 입력모듈이 확인한 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가이드포인트는 상기 스타트포인트를 기준으로 우측에 이격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포인트와, 좌측하방에 경사지도록 이격하게 형성된 제2가이드포인트와, 하방에 이격하게 형성된 제3가이드포인트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방법.
  6.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되는 페이지 내 글자입력란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도화패드를 팝업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도화패드에 스타트포인트와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표시하고 도화플로우정보에 따라 상기 스타트포인트 또는 가이드포인트와 연결가능한 후속 가이드포인트를 생성 표시하는 도화처리부와,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조작으로 연결된 상기 가이드포인트 또는 후속 가이드포인트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스타트포인트의 조합으로 구성된 글자의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페이지를 출력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상기 입력값을 전달하는 입력처리부를 포함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글자선택메뉴를 상기 도화패드에 팝업하고;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글자선택메뉴에 구성된 글자유형별로 도화플로우정보를 포함하고, 선택된 글자유형에 따라 상기 도화처리부의 구동을 위한 도화플로우정보를 설정하는 글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화처리부는 상기 가이드포인트의 출력을 사용자의 상기 스타트포인트 클릭을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화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가이드포인트는 상기 스타트포인트를 기준으로 우측에 이격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포인트와, 좌측하방에 경사지도록 이격하게 형성된 제2가이드포인트와, 하방에 이격하게 형성된 제3가이드포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
KR1020130041588A 2013-04-16 2013-04-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142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588A KR101429135B1 (ko) 2013-04-16 2013-04-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588A KR101429135B1 (ko) 2013-04-16 2013-04-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135B1 true KR101429135B1 (ko) 2014-08-11

Family

ID=5175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588A KR101429135B1 (ko) 2013-04-16 2013-04-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1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4042B1 (en) * 2002-06-28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electronic handwriting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converting to text
KR20080102057A (ko) * 2007-05-18 2008-11-24 박철 가이드 라인에 의해 문자 인식률을 높인 패턴인식
KR20130091874A (ko) * 2012-02-09 2013-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위한 필기 입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4042B1 (en) * 2002-06-28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electronic handwriting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converting to text
KR20080102057A (ko) * 2007-05-18 2008-11-24 박철 가이드 라인에 의해 문자 인식률을 높인 패턴인식
KR20130091874A (ko) * 2012-02-09 2013-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위한 필기 입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182B2 (ja) 表示制御装置、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75168B1 (ko) 정보 표시 입력 장치 및 정보 표시 입력 방법과, 정보처리 장치
KR101323281B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2012006905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CN102693090B (zh) 一种输入方法和电子设备
CN102023784A (zh) 非接触式输入字符的方法和设备
JPH07261899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CN106201470A (zh) 计算器程序的运行控制方法、运行控制装置和终端
JP5388385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502484A (ja) 急速入力装置
CN103576947A (zh) 用于触摸屏设备的信息处理方法、装置和触摸屏设备
KR10142913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의 글자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1069843B1 (ko) 수식 연산 방법 및 장치
JP541492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83226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JP6467889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729132A (zh) 一种字符输入方法、装置、虚拟键盘及电子设备
JP6232694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932054B (zh) 显示装置、显示方法和非暂时性的记录介质
CN105051654B (zh) 字符输入装置及字符输入方法
JP2013015961A (ja) 計算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41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5495056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484776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0772505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