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46B1 -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46B1
KR101428746B1 KR1020130052676A KR20130052676A KR101428746B1 KR 101428746 B1 KR101428746 B1 KR 101428746B1 KR 1020130052676 A KR1020130052676 A KR 1020130052676A KR 20130052676 A KR20130052676 A KR 20130052676A KR 101428746 B1 KR101428746 B1 KR 10142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sensor
light
light emitt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규
윤효한
Original Assignee
(주)융기
주식회사 온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융기, 주식회사 온새미 filed Critical (주)융기
Priority to KR102013005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는지는 오작동 없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된 화재감지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재감지기는 빛을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발광센서에서 발신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게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감지기의 작동을 점검할 때는, 상기 반사판을 회동시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이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FIRE DETECTOR AND FIRE TES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는지는 오작동 없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된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에서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의 감지기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주로 소면적의 건물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독식 구조의 감지기가 있다.
상기 연동 및 단독 화재감지기는 센싱 방식에 따라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와 실내의 연기입자를 빛의 산란(散亂) 작용으로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등으로 크게 분류되며, 이들은 건물 실내의 온도 및 연기의 센싱이 용이하도록 천정이나 벽체 등에 설치된 후, 지속적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경보장치를 통한 경보음 발생이나 자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실내에 머무는 사람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온식 감지기는 구조적, 회로적으로는 간단하나 실온 보다 높은 지정온도를 감지하므로 화염이 온도감지 센서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시간이 발생되어 화재발생 초기의 감지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균일한 센싱 효율 등을 얻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반면, 상기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화재초기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므로 정온식 감지기에 비하여 빠르게 화재를 감지하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센싱 효율 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최근 이러한 광전식 구조의 감지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광전식 구조의 화재감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생기지 않아 감지기(10) 내부에 연기가 인입되지 않으면 발광센서(11)에서 발광된 빛이 차단판(13)에 막혀 수광센서(12)로 수광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감지기가 작동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생겨 감지기 내부로 연기(S)가 인입되면 발광센서(11)에서 발광된 빛(L)이 연기(S)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수광센서(12)로 빛이 안내되어 수광되고 이로 인해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기가 작동되는 원리를 갖는다.
그리고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때에는 별도의 연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감지기 내부로 연기를 강제 주입하여 작동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연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점검을 하다보니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에 연기를 강제로 분사할 때 생기는 유분이 묻게 되는 현상이 생기며, 이로 인해 성능저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감지기 내부로 연기를 분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분사된 연기가 제거되는 시간으로 인해 점검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연기 스프레이를 사용하다 보니 점검 비용이 많이 들며, 점검 작업성도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화재 감지기의 내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가스로 인해 환경 오염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는지는 오작동 없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된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화재감지기의 점검에 필요한 비용이 저렴하고, 점검 작업의 작업성도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개발된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빛을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발광센서에서 발신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게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감지기의 작동을 점검할 때는, 상기 반사판을 회동시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이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는 천정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발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는 보조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함체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감지기의 외측은 반구형의 보호커버를 통해 감싸지게 구성되되,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푸셔가 장착되어, 상기 푸셔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밀대가 상기 반사판을 밀어 회동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들은, 천정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로 구성되는 감지기와, 상기 함체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감지기의 외측을 감싸게 구성되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이 형성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감지기 및 상기 보호커버에 대응되게 반구형상으로 구성되어 보호커버에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 점검커버와, 상기 점검커버의 내측 중앙에는 형성되어 상기 밀대를 누르는 누름돌기와, 상기 점검커버의 외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검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화재감지기의 점검이 필요할 때는, 상기 점검기구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점검커버를 상기 보호커버의 외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누름돌기가 밀대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밀대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반사판을 들어올려 회동시키고,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이 상기 들어 올려진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점검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 설치되고, 상기 점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대응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어, 상기 점검커버가 상기 보호커버의 외면에 밀착되면, 상기 RFID와 RFID 리더기가 통신되면서, 점검자, 점검일, 감지기 상태, 감지기 오염도 및 감지기 밧데리 잔량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는 점검수단을 통해 반사판을 밀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는지는 점검이 가능하기 때문에 감지기의 오작동 없이 편리하게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는 종래와 같이 연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점검을 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에 연기를 강제로 분사할 때 생기는 유분이 묻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감지기의 성능저하 및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시간이 단축되고 점검 비용이 적게 들며, 점검 작업성도 매우 향상되며 감지기의 내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가스로 인해 환경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화재감지기 내에 연기가 투입되었을 때 빛이 난반사되는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점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빛을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광센서(110)와, 상기 발광센서(110)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발광센서(110)에서 발신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수광센서(120)로 구성되는 감지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감지기(100)는 내부에 발광센서(110)와 수광센서(120)가 설치되되, 상기 발광센서(110)는 감지기의 수평 부분에 수광센서(120)는 감지기의 수직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기(100)는 천정(A)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130)와 상기 함체(13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110)와, 상기 함체(130)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110)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120)와, 상기 함체(13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발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는 보조수광센서(1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130)의 내부 일측에 발광센서(110)가 설치되고, 함체(130)의 상면에 수광센서(120)가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110)는 감지기의 수평 부분에 수광센서(120)는 감지기의 수직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수광센서(140)는 발광센서(110)의 맞은편 정면에 위치하여 발광센서(110)에서 발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여 수신되는 양에 따라 발광센서(110)의 오염도를 확인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평소에 감지기의 작동을 체크하여 감지기의 에러상태도 확인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는 빛의 직진성을 갖는 특성에 의해 발광센서(110)에서 발광된 빛(L)이 수광센서(120)에 도달하지 않아 감지기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조수광센서(140)는 발광센서(110)에서 발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여 수신되는 양에 따라 발광센서(110)의 오염도를 확인 할 수 있고, 감지기의 작동을 체크하여 감지기의 에러상태도 확인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된 경우는 발광센서(110)에서 발광된 빛(L)이 연기(S)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수광센서(120)로 빛(L)이 안내되어 수광되고 이로 인해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기가 작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기(100)의 일측에는 반사판(20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사판(20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을 상기 수광센서(120)로 반사시키게 구성된다. 즉,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때, 상기 반사판(200)을 회동시켜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120)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100)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판(200)은 상기 함체(130)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130)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반사판(200)은 함체(130)의 하면에 일측이 힌지(H) 결합되어 상기 함체(130)의 내부 중앙측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반사판(200)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120)로 반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200)은 힌지(H)에 미도시된 모터의 모터축이 결합되어,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기(100)의 외측은 반구형의 보호커버(300)를 통해 감싸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커버(300)는 감지기(100) 외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감지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지기가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300)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20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311)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3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310)에는 상기 걸림턱(311)에 지지되는 걸림판(321)과 상기 걸림판(321)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322)로 구성되는 푸셔(32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푸셔(320)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밀대(322)가 상기 반사판(200)을 밀어 회동시키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푸셔(320)를 통해 반사판(200)을 밀어 회동킬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반사판(200)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120)로 반사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반사판(200)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센서(120)로 수광되면 감지기(100)가 작동되면, 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화재 점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천정(A)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130)와, 상기 함체(13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110)와, 상기 함체(130)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110)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120)로 구성되는 감지기(100)와, 상기 함체(130)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130)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200)과, 상기 감지기(100)의 외측을 감싸게 구성되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20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311)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310)이 형성되는 보호커버(300)와, 상기 걸림턱(311)에 지지되는 걸림판(321)과 상기 걸림판(321)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322)로 구성되는 푸셔(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점검기구(400)를 통해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검기구(400)는 상기 보호커버(300)에 대응되게 반구형상으로 구성되어 보호커버(300)에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 점검커버(410)와, 상기 점검커버(410)의 내측 중앙에는 형성되어 상기 밀대(322)를 누르는 누름돌기(420)와, 상기 점검커버(410)의 외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점검기구(400)를 통해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게 되는 데, 화재감지기의 점검이 필요할 때는, 상기 점검기구의 손잡이부(430)를 파지하여 상기 점검커버(410)를 상기 보호커버(300)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누름돌기(420)가 밀대(322)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밀대(322)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반사판(200)을 들어 올려 회동시키고, 상기 들어 올려진 반사판(200)에 의해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상기 수광센서(120)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100)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상기 수광센서(120)로 수광되지 않으면 감지기(100)가 정상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센서(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L)이 수광센서(120)로 수광되면 감지기(100)가 작동되어 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점검수단을 통해 반사판을 밀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화재감지기가 잘 작동되는지는 점검이 가능하기 때문에 감지기의 오작동 없이 편리하게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연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점검을 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에 연기를 강제로 분사할 때 생기는 유분이 묻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감지기의 성능저하 및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시간이 단축되고 점검 비용이 적게 들며, 점검 작업성도 매우 향상되며 감지기의 내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 가스로 인해 환경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호커버(300)의 일측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S1)이 설치되고, 상기 점검커버(410)의 일측에는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대응되는 RFID 리더기(S2)가 설치되어, 상기 점검커버(410)가 상기 보호커버(300)의 외면에 밀착되면, 상기 RFID(S1)와 RFID 리더기(S2)가 통신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감지를 점검할 때,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대응되는 RFID 리더기가 통신하여, 점검자, 점검일, 감지기 상태, 감지기 오염도 및 감지기 밧데리 잔량의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감지기 110: 발광센서
120: 수광센서 130: 함체
140: 보조수광센서 200: 반사판
300; 보호커버 310: 가이드관
400: 점검기구 410: 점검커버
420: 누름돌기 430: 손잡이부
L: 빛 S: 연기
S1: RFID S2: RFID리더기

Claims (4)

  1. 빛을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발광센서에서 발신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게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감지기의 작동을 점검할 때는, 상기 반사판을 회동시켜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이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감지기는 천정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발광되는 빛의 양을 확인하는 보조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함체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감지기의 외측은 반구형의 보호커버를 통해 감싸지게 구성되되,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푸셔가 장착되어, 상기 푸셔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밀대가 상기 반사판을 밀어 회동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2. 삭제
  3. 천정에 장착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센서와, 상기 함체의 내부 상면에 구성되되, 상기 발광센서와 수직을 이루게 설치되는 수광센서로 구성되는 감지기와, 상기 함체의 하면에 구성되되,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측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감지기의 외측을 감싸게 구성되되,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반사판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환형의 걸림턱이 마련되는 원통형의 가이드관이 형성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중앙부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대로 구성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감지기 및
    상기 보호커버에 대응되게 반구형상으로 구성되어 보호커버에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 점검커버와, 상기 점검커버의 내측 중앙에는 형성되어 상기 밀대를 누르는 누름돌기와, 상기 점검커버의 외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검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화재감지기의 점검이 필요할 때는, 상기 점검기구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점검커버를 상기 보호커버의 외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누름돌기가 밀대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밀대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반사판을 들어올려 회동시키고, 상기 발광센서에서 생성되어 발신되는 빛이 상기 들어 올려진 반사판에 의해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되게 하여, 감지기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점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 설치되고,
    상기 점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대응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어,
    상기 점검커버가 상기 보호커버의 외면에 밀착되면, 상기 RFID와 RFID 리더기가 통신되면서, 점검자, 점검일, 감지기 상태, 감지기 오염도 및 감지기 밧데리 잔량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점검 방법.
KR1020130052676A 2013-05-09 2013-05-09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KR10142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76A KR101428746B1 (ko) 2013-05-09 2013-05-09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676A KR101428746B1 (ko) 2013-05-09 2013-05-09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746B1 true KR101428746B1 (ko) 2014-08-11

Family

ID=5175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676A KR101428746B1 (ko) 2013-05-09 2013-05-09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3323A (zh) * 2022-07-18 2022-10-21 深圳市千宝通通科技有限公司 光电式烟感传感器、烟感传感器自检方法及烟感报警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558A (ja) * 2000-12-25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警報器
JP2008242627A (ja) 2007-03-26 2008-10-09 Aiphone Co Ltd 光電式煙感知器
JP2010185712A (ja) * 2009-02-10 2010-08-26 Sharp Corp 煙センサー感度検査方法、煙センサー感度検査装置、および、煙センサー製造方法
JP2012212384A (ja) 2011-03-31 2012-11-01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およびその試験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558A (ja) * 2000-12-25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警報器
JP2008242627A (ja) 2007-03-26 2008-10-09 Aiphone Co Ltd 光電式煙感知器
JP2010185712A (ja) * 2009-02-10 2010-08-26 Sharp Corp 煙センサー感度検査方法、煙センサー感度検査装置、および、煙センサー製造方法
JP2012212384A (ja) 2011-03-31 2012-11-01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およびその試験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3323A (zh) * 2022-07-18 2022-10-21 深圳市千宝通通科技有限公司 光电式烟感传感器、烟感传感器自检方法及烟感报警器
CN115223323B (zh) * 2022-07-18 2023-05-23 深圳市千宝通通科技有限公司 光电式烟感传感器、烟感传感器自检方法及烟感报警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4436B1 (en) Foreign substance detection device for card reader and card reader socket
US8248256B1 (en) Non-contact flood and moisture detector
WO2013031016A1 (ja) 吸引式煙感知システム
US8400314B2 (en) Fire alarm
US20180061215A1 (en) Fire Detector With a Scattered Light Arrangement
TWI693916B (zh) 可連接面加工設備的基座、包含此種基座的系統以及操作此基座的方法
US20120072147A1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KR101428746B1 (ko)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점검 방법
KR102318951B1 (ko) 연기감지기
KR100567443B1 (ko) 360°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EP3074737B1 (en) Ultraviolet light flame detector
KR101770251B1 (ko) 고장 검출 기능을 갖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CN113748584A (zh) 用于无线电源的安全壳体
CN210015038U (zh) 一种开放路径的气体探测器
CN2887350Y (zh) 吸气式火灾探测器
KR101574745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50107131A (ko) 화재 감지기
US6851540B2 (en) Paper currency collection detection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102573B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KR101173686B1 (ko) 카세트 내의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 유무 및 파손 여부 검사 장치
CN205608213U (zh) 主动红外火灾探测器安装辅助工具
KR101045644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4131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JP3966537B2 (ja) 炎検知器
JP7020476B2 (ja) ガス検知システム、ガス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