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670B1 -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670B1
KR101428670B1 KR1020120078483A KR20120078483A KR101428670B1 KR 101428670 B1 KR101428670 B1 KR 101428670B1 KR 1020120078483 A KR1020120078483 A KR 1020120078483A KR 20120078483 A KR20120078483 A KR 20120078483A KR 101428670 B1 KR101428670 B1 KR 10142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line
online evaluation
candidate
evaluation tes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718A (ko
Inventor
양승호
김성열
Original Assignee
양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호 filed Critical 양승호
Priority to KR102012007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6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단계; (4)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상기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는 단계; 및 (6) 상기 채점한 결과를 상기 회원 단말기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가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고,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받은 회원 단말기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여, 회원 단말기에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함으로써, 전문적인 평가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소규모 학원이나 개인교습 강사 등도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 또는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의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ONLINE EVAL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EVALUATION MODULE}
본 발명은 온라인 평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시험이 새로운 평가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온라인 평가 시험은 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결과 처리도 용이하여 점차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원격 강의 서비스가 널리 활용되면서 원격 강의와 더불어 온라인 평가 시험도 그 적용 영역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평가 시험은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될 수 있다. 문제은행은 많은 문제를 한 곳에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제를 출제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출제가 가능하다. 또한, 문제은행을 이용한 출제 방식은 신속하게 문제를 출제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평가 시험의 출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평가 문제를 이용하여 셀프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어, 문제은행 방식의 온라인 평가 문제는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적인 평가 모듈을 갖추지 않은 소규모 학원이나 개인교습을 전문으로 하는 강사 등은 온라인으로 평가를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평가할 때마다 문제를 직접 출제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어서, 온라인 평가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온라인 평가이므로 응시자들이 서로 다른 시간에 응시하게 되면 부정행위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고,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받은 회원 단말기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여, 회원 단말기에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함으로써, 전문적인 평가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소규모 학원이나 개인교습 강사 등도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시행할 수 있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또는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의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단계;
(4)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상기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는 단계; 및
(6) 상기 채점한 결과를 상기 회원 단말기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은,
회원이 직접 관리하는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라인 평가 모듈은,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정보는,
응시 대상, 응시자 명단, 평가 과목, 문제 개수, 풀이 시간 및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문제은행에 저장된 복수의 문제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 요청을 하면,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7) 상기 채점한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통계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7)에서는,
회원 및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상기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고,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받은 회원 단말기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여, 회원 단말기에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함으로써, 전문적인 평가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소규모 학원이나 개인교습 강사 등도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 또는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의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모듈이 제공된 회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200이 수행되는 회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이 전송된 응시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채점 결과가 출력되는 회원 단말기 또는 응시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회원 단말기(200) 및 응시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회원 단말기(200)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고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구성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전문적인 평가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소규모 학원이나 개인교습 강사 등도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평가 시험의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온라인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회원 단말기(200) 및 응시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회원으로 등록한 회원 단말기(200)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회원이 스스로 독자적인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함으로써, 편리하게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응시자들을 온라인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회원 단말기(2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온라인 평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문제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10) 형태의 문제은행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문제가 저장된 별도의 문제은행 시스템으로부터 문제를 제공받아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한 온라인 평가 시험은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온라인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회원 단말기(200, 200a, 200b, 200c)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온라인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실시하고자 하는 학원 또는 강사의 단말기일 수 있다. 학원 또는 강사는 독자적인 온라인 평가 시스템이 없더라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받아 온라인 평가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회원 단말기(200)는 컴퓨터, 노트북, PDA, MP4 플레이어, 이동통신단말기 등 각종 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회원 단말기(2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전송받고 온라인 평가 시험의 구성을 위한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회원 단말기(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응시자 단말기(300, 300a, 300b, 300c)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치르는 응시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응시자는,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받아 응시할 수 있다. 이때, 제공받는 온라인 평가 시험은 회원이 입력한 설정 정보에 따라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응시자 단말기(300)는, 컴퓨터, 노트북, PDA, MP4 플레이어, 이동통신단말기 등 각종 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응시자 단말기(3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원의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응시자 단말기(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회원 단말기(200)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S100), 회원 단말기(2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00),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단계(S300),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300)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단계(S400), 응시자 단말기(300)로부터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는 단계(S500) 및 채점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채점한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회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회원 단말기(200)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평가 모듈은, 응시자 단말기(300)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으며, 회원이 직접 관리하는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학원이나 강사 등 온라인 평가 시스템이 필요한 회원의 회원 단말기(200)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여 응시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할 수 있고, 회원은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회원이 관리하는 학생들인 응시자들이 방문하는, 회원의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SNS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모듈이 제공된 회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회원이 관리하는 온라인 카페 등에 온라인 평가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계 S200 및 단계 S300에서 설치된 모바일 평가 모듈을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이 구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카페의 글을 통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회원 단말기(200)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설정 정보는, 응시 대상, 응시자 명단, 평가 과목, 문제 개수, 풀이 시간 및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원은 설정 정보를 입력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기 위한 아웃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200이 수행되는 회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응시 대상, 평가 과목, 세부 평가 항목당 문제 개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과목에 따라 설정 정보는 상이할 수 있으며, 회원의 설정 정보 입력에 따라 온라인 평가 시험이 듣기 또는 읽기 평가 중 하나만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 회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과목, 난이도 등에 해당하는 문제들을 문제 개수만큼 선정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응시 대상 또는 풀이 시간 등을 설정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계 S400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대상과 시간 등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S300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때에는, 문제은행에 저장된 복수의 문제를 이용할 수 있다. 문제은행 방식의 온라인 평가 서비스에서는, 복수의 문제가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으로부터,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설정 정보에 따라 문제를 추출 또는 선정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문제은행에는 문제의 과목, 유형, 난이도 등에 따라 카테고리가 분류되어 문제가 저장될 수 있으며,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문제를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300에서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회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확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300에서는 온라인 평가 시험이 구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평가 모듈이 설치된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SNS 등에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를 요청하는 글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하여 포스팅할 수 있으며, 회원에게 포스팅 요청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 요청을 하면,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S300에서는, 온라인 평가 시험을 미리 구성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계 S400에서 모든 응시자에게 동일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응시자의 온라인 평가 시험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온라인 평가 시험을 미리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응시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설정 정보를 이용하므로, 온라인 평가 시험의 기본적인 틀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시자에 따라 개별적으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함으로써, 응시자들이 제공받는 온라인 평가 시험은 그 구체적인 문제나 문제의 순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응시자 상호 간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정확한 평가 결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300)에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400에서는 단계 S300에서 구성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응시자별로 온라인 평가 시험이 상이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응시자에 대하여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300)에, 회원이 입력한 설정 정보에 따라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함으로써, 회원은 별도의 온라인 평가 시스템 구축 없이도 제공받은 온라인 평가 모듈로 응시자에게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이 전송된 응시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는,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받은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시자가 응시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원이 관리하는 온라인 카페에 접속하고, “[공지] 온라인 평가 시험 응시하세요.”라는 공지 글을 선택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글 또는 글에 포함된 링크 등이 선택되면, 온라인 평가 모듈이 실행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라인 평가 시험을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라인 평가 시험의 안내를 확인하고, “테스트 시작”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정보에 의해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이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응시자 단말기(300)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할 수 있다. 즉, 단계 S400에서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한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하여 응시자로부터 답안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응시자의 답안을 모범답안과 비교하여 채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 화면에서 응시자는 선택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답안을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이용하여 다음 문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답안의 입력은 단계 S200에서 회원이 설정한 풀이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풀이 시간이 경과하면 답안이 입력되지 않은 문제는 오답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채점한 결과를 회원 단말기(200) 및 응시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500에서 채점한 결과를 온라인 평가를 제공한 회원 또는 온라인 평가에 응시한 응시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평균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응시자가 전체 응시자 중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채점 결과가 출력되는 회원 단말기(200) 또는 응시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600에서는, 응시자가 응시한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채점 결과를 회원 단말기(200) 또는 응시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평가 항목별로 채점 결과를 제공하여 취약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평균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응시자의 상대적인 실력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채점한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통계 정보를 회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600에서 전송하는 채점한 결과와는 별도로 채점한 결과를 분석한 통계 정보를 회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설정한 회원이 응시자들의 시험 결과에 대하여 용이한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00에서는, 통계 정보를 회원 단말기(200) 외에 응시자 단말기(3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700에서는, 회원 및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200)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유사한 형태의 온라인 평가 시험을 다른 회원도 설정하였을 수 있고, 문제은행 방식의 온라인 평가 시험에서는 동일한 문제가 다른 회원의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계 S700에서는 회원 및 다른 회원의 온라인 평가 모듈에 의해 제공된 온라인 평가 시험의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계 정보를 산출할 때에는, 다른 회원에 의해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에 포함된 문제에 따라, 온라인 평가 시험 단위 또는 문제 단위로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200a, 200b, 200c: 회원 단말기
300, 300a, 300b, 300c: 응시자 단말기
S100: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S200: 회원 단말기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300: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단계
S400: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단계
S500: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는 단계
S600: 채점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S700: 채점한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회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Claims (8)

  1. 온라인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회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단계;
    (4)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 단말기에 상기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온라인 평가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는 단계; 및
    (6) 상기 채점한 결과를 상기 회원 단말기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 제공한 온라인 평가 모듈은, 회원이 직접 관리하며 응시자들이 방문하는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 설치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웹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카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상기 구성된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를 요청하는 글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포스팅하고,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포스팅된 글이 선택되면 상기 온라인 평가 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온라인 평가 시험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7) 상기 채점한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통계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7)에서는, 회원 및 다른 회원의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해 온라인 평가 시험에 응시한 응시자의 채점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상기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평가 모듈은,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온라인 평가 시험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응시 대상, 응시자 명단, 평가 과목, 문제 개수, 풀이 시간 및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문제은행에 저장된 복수의 문제를 이용하여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회원 단말기에 제공된 온라인 평가 모듈을 통하여 접속한 응시자가 온라인 평가 시험 요청을 하면,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구성하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해당 응시자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험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20078483A 2012-07-19 2012-07-19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2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83A KR101428670B1 (ko) 2012-07-19 2012-07-19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83A KR101428670B1 (ko) 2012-07-19 2012-07-19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18A KR20140011718A (ko) 2014-01-29
KR101428670B1 true KR101428670B1 (ko) 2014-08-08

Family

ID=5014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83A KR101428670B1 (ko) 2012-07-19 2012-07-19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4515A (zh) * 2014-12-18 2015-04-08 四川大学 教学实验考试智能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95A (ko) * 2000-08-01 2002-02-08 최규완 인터넷상에서 맞춤 시험 방법
KR20040065656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오란디프 프리 테스트를 이용한 문항 특성 평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50066246A (ko) * 2003-12-26 2005-06-30 이종원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61847A (ko) * 2009-12-02 2011-06-10 박현진 문제출제 인터페이스와 답안 리더기를 이용한 채점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95A (ko) * 2000-08-01 2002-02-08 최규완 인터넷상에서 맞춤 시험 방법
KR20040065656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오란디프 프리 테스트를 이용한 문항 특성 평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50066246A (ko) * 2003-12-26 2005-06-30 이종원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61847A (ko) * 2009-12-02 2011-06-10 박현진 문제출제 인터페이스와 답안 리더기를 이용한 채점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18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 et al. The renewal of quality assurance in Australian higher education: the challenge of balancing academic rigour, equity and quality outcomes
US20140162240A1 (en) Assessment method and apparatus
Ash et al.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to the development and review of competency standards for dietitians
Kazimirski et al. Building your measurement framework: NPC’s four pillar approach
WO2016200428A1 (en) Educational proficiency development and assessment system
Mason et al. The use of the ETS Major Field Test for assurance of business content learning: Assurance of waste?
Chodos et al. A framework for monitoring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 a virtual world
Cauley et al. Technologies across our curriculum: A study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classroom
Pitman Evaluating a self-directed palliative care learning package for rural aged care workers: a pilot study
Gotangco et al.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risk and resilience education in Asian HEIs
KR101428670B1 (ko) 평가 모듈을 이용한 온라인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17847A (ko)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 관리 방법
KR2015012839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및 기록매체
Kyrgidou et al. Identifying tomorrow’s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Greece
Nonnecke et al. DevCAFE 1.0: A participatory platform for assessing development initiatives in the field
Bayer et al. The SIMPLE methodology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cross-cultural virtual training systems SIEDS 2017
Davis-Becker et al. Identifying and evaluating external validity evidence for passing scores
KR20190045774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공부태도 데이터를 취합하여 문자 메시지를 통해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Chen et al. Learning by playing Init2Winit: How alignment knowledge increase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college plans in high school
KR20190045767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책상 착석, 이탈 정보 수집 방법
KR101746349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74634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663953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이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090098931A (ko) 모바일 단말기와 동영상 강의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문제풀이형 학습 방법
KR2018004599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 시간 측정 중 멘토 클라이언트에 공부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