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559B1 -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559B1
KR101428559B1 KR1020120119660A KR20120119660A KR101428559B1 KR 101428559 B1 KR101428559 B1 KR 101428559B1 KR 1020120119660 A KR1020120119660 A KR 1020120119660A KR 20120119660 A KR20120119660 A KR 20120119660A KR 101428559 B1 KR101428559 B1 KR 10142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molten
main body
opening
ga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571A (ko
Inventor
이승훈
고연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테크
고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테크, 고연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테크
Priority to KR102012011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래들의 내부의 용선 또는 용강이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는 래들에 설치되는 포러스 플러그(Porous Plug)에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러스 플러그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로가 확보되며, 상기 래들 내부의 용선 및 용강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용융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Loss Of Molten Hot Metal and Ingot Steel}
본 발명은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 내부의 용선, 용강 등이 래들의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래들(Ladle)은 용선이나 용강을 받는 용기로써, 용선을 전로에 고철과 혼합 하기전에 탈류 처리하는 공정, 연속 주조 공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들에는 불활성 가스가 공급되는 통로로서 포러스 플러그(Porous Plug)가 설치된다.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래들의 내부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는 정련과정의 일환으로 미세하게 성분조정을 하기 위해 투입되는 성분 조정용 합금철과 부원료를 용강 중에 균일하게 섞이도록 한다.
한편, 포러스 플러그는 오랜 시간 고온에 노출되고, 용선 또는 용강에 접촉됨에 따라 마모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러스 플러그의 마모가 진행되면,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래들 내부의 용선 또는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일정기간 사용된 포러스 플러그를 교환하거나,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용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용강 유출 방지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7836;래들의 용강 유출 차단장치"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로프의 장력에 의해 차단판이 개폐되어 용강의 유출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용강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의 기구적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므로, 요소들의 내구성 저하(예를 들어, 로프의 장력 저하 등)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용강 유출 방지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7836 (2003. 02. 1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래들의 내부의 용선 또는 용강이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는 래들에 설치되는 포러스 플러그(Porous Plug)에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러스 플러그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로가 확보되며, 상기 래들 내부의 용선 및 용강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용융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부재는 동(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융부재는 복수의 구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는 상기 용융부재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용선 또는 상기 용강이 평활하게 분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용선 또는 상기 용강에 의해 용융된 상기 용융부재의 응고시간이 단축되도록 나머지 상기 용융부재를 냉각시키는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측벽 및 커버가 밀폐구조를 가지도록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 1가스유입관, 상기 본체와 상기 포러스 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상기 래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 2가스유입관 및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의 공급압력에 따라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의 개방 단부로부터 승강되는 개폐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측면은 스텔라이트 용접되고, 상기 탄성부재로는 인코넬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 1가스유입관에 연통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가스유입구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가스유입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스유입구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스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을 향해 개방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래들 내부의 용선 또는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는 3중으로 용선 또는 용강이 유출되는 경로가 폐쇄되므로, 용선 또는 용강의 유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는 용선 또는 용강의 유출 방지와 함께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공정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로 용강이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로 유입된 용강의 유출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선 또는 용강의 유출을 방지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용강 래들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는 용선 또는 용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래들, 용선 래들, 용강 래들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용강 래들에 사용되는 하기의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래들(10)의 하부에는 포러스 플러그(20)가 설치된다. 포러스 플러그(20)는 래들(10)의 내부로 가스의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이하, '용강 유출 방지장치'라 함.)(100)는 포러스 플러그(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는 제 1가스유입관(100a), 제 2가스유입관(100b), 본체(110) 및 용융부재(150)를 포함한다.
제 1가스유입관(100a)은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와 도시되지 않은 가스발생장치(미도시)를 연결한다. 제 1가스유입관(100a)은 가스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 2가스유입관(100b)은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와 포러스 플러그(20)를 연결한다. 제 2가스유입관(100b)은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포러스 플러그(20)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가스유입관(100a)의 관로에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00c)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10)는 베이스(111), 측벽(112) 및 커버(113)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커버(113)가 측벽(112)에 지지되고 측벽(112)이 베이스(111)에 지지되는 밀폐 구조를 가지도록 용접될 수 있다. 베이스(111), 측벽(112) 및 커버(113)는 약 300~400℃의 고온에서도 변형, 손상 등 방지되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1)에는 제 1가스유입관(100a)에 연통되는 제 1가스유입구(111a)가 형성된다. 커버(113)에는 제 2가스유입관(100b)에 연통되는 제 2가스유입구(113a)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 1가스유입구(111a)를 개폐하는 개폐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30)는 개폐부재(131), 승강가이드(132) 및 탄성부재(133)를 포함한다.
개폐부재(131)는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개폐부재(131)는 상단부가 제 1가스유입구(111a)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제 1가스유입구(111a)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어 하단부가 제 1가스유입구(111a)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재(131)와 제 1가스유입구(111a)의 사이에는 가스켓(131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31)는 가스의 공급압력에 따라 제 1가스유입구(111a)로부터 상승되어 제 1가스유입구(111a)를 개방시키며,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하강되어 제 1가스유입구(111a)를 폐쇄시킨다.
승강가이드(132)는 개폐부재(131)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승강가이드(132)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제 1가스유입구(111a)를 향개 개방되는 통체로 이루어져 개폐부재(131)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승강가이드(132)의 측벽에는 복수의 관통구(132a)가 형성된다. 가스가 공급되고 가스의 공급압력에 의해 개폐부재(131)가 상승되면, 복수의 관통구(132a)는 개방된다. 반대로,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 개폐부재(131)가 하강되면, 복수의 관통구(132a)는 개폐부재(131)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31)의 잦은 승강에 따라 개폐부재(131)의 상단면과 승강가이드(132)의 내측면에는 잦은 접촉이 발생된다. 따라서 승강가이드(132)의 내측면은 개폐부재(131)와 승강가이드(132)의 잦은 접촉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텔라이트(Stellite) 용접처리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승강가이드(132)의 내부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33)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탄성부재(133)로는 니켈 함유량이 많아 고온과 부식 등에 탁월한 인코넬 스프링(Iconel Spring)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개폐부재(131)가 복수의 관통구(132a) 및 제 1가스유입구(111a)가 폐쇄 유지되도록 개폐부재(131)를 탄성 지지한다.
한편, 용융부재(150)는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용융부재(150)는 래들(10) 내부의 용강(1)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융부재(150)는 복수의 구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부재(150)는 철보다 용융점이 낮은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슬 형태로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가스유입관(100a)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복수의 구슬 사이를 통과해 제 2가스유입관(100b)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래들(10) 내부의 용강(1)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면, 복수의 구슬이 용융될 수 있다. 용융된 구슬은 용융되지 않은 나머지 구슬들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된 구슬 및 용강(1)은 복수의 관통구(132a)를 폐쇄하여 용강(1)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체(110) 내부에는 메쉬(17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쉬(170)은 본체 (110) 내부에 수용된 용융부재(150)가 가스의 공급압력 등에 의해 본체(110) 내부를 이탈하여 제 2가스유입관(100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쉬(170)는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용강(1)이 평활하게 분산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쉬(170)는 용융된 용융부재(151)(도 5 참조.)의 응고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나머지 용융부재(150)를 냉각시킨다. 첨부된 도면에는 메쉬(170)가 베이스(111)의 상부, 커버(113)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측벽(112)의 내측, 또는 베이스(111)와 커버(113)의 사이에 복층 구조로 추가될 수 있다. 메쉬(170)의 재질은 용강(1)보다 용융점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스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제 1가스유입관(100a)을 따라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로 유입된다. 가스의 공급압력에 의해 개폐부재(131)는 제 1가스유입구(111a)로부터 상승된다. 이때, 승강가이드(132)는 개폐부재(131)의 상승을 가이드하며, 탄성부재(133)는 개폐부재(131)의 상승에 따라 압축된다.
이와 같이 제 1가스유입구(111a)가 개방되고,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용융부재(150) 즉, 복수의 동 구슬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통과하여 제 2가스유입구(113a)를 통해 제 2가스유입관(100b)으로 유입된다. 제 2가스유입관(100b)으로 유입된 가스는 포러스 플러그(20)로 유입되어 래들(10)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래들(10) 내부의 용강(1)은 포러스 플러그(2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의 용강 유출 방지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강 유출 방지장치로 유입된 용강의 유출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래들(10) 내부에서 용융된 용강(1)은 포러스 플러그(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 2가스유입관(100b)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용강(1)은 메쉬(170)에 의해 평활하게 분산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 내부의 용융부재(150)는 래들(10) 내부의 용강(1)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용강(1)에 의해 용융부재(150), 즉 복수의 동 구슬은 용융된다.
용융된 용융부재(150)는 베이스(111)를 향해 흘러내린다. 이때,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 메쉬(170)는 나머지 용융부재(150)에 접촉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된 용융부재(150)는 나머지 용융부재(150)의 사이로 흘러내리면서 냉각되어 응고된다. 응고된 용융부재(150)는 승강가이드(13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32a)의 외측을 폐쇄시킨다.
이때, 복수의 관통구(132a)가 폐쇄됨에 따라 제 1가스유입관(100a) 내부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가스유입관(100a)의 압력이 기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작업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로 압력 상승 신호가 전달되고, 작업자 또는 가스의 자동 개폐장치(미도시)에 따른 가스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부재(133)는 인장되어 개폐부재(131)를 하강시킨다. 개폐부재(131)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가이드(13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32a)의 내측이 폐쇄되고, 개폐부재(131)의 하단부는 제 1가스유입구(111a)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는 용강(1)에 의해 용융된 용융부재(150)가 응고되어 복수의 관통구(132a)의 외측을 폐쇄시키고, 개폐부재(131)에 의해 복수의 관통구(132a)의 내측과 제 1가스유입구(111a)가 함께 패쇄된다.
즉, 용강 유출 방지장치(100)는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용강(1)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3중으로 차단시키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용강 10 : 래들
20 : 포러스 플러그 100 : 용강 유출 방지장치
100a : 제 1가스유입관 100b : 제 2가스유입관
100c : 압력센서 110 : 본체
111 : 베이스 111a : 제 1가스유입구
112 : 측벽 113 : 커버
113a : 제 2가스유입구 130 : 개폐부
131 : 개폐부재 132 : 승강가이드
132a : 관통구 133 : 탄성부재
150 : 용융부재 151 : 용융된 용융부재
170 : 냉각메쉬

Claims (9)

  1. 래들에 설치되는 포러스 플러그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러스 플러그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로가 확보되며, 상기 래들의 내부의 용선 및 용강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는 용융부재;및
    상기 용융부재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용선 또는 상기 용강이 평활하게 분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용선 또는 상기 용강에 의해 용융된 상기 용융부재의 응고시간이 단축되도록 나머지 상기 용융부재를 냉각시키는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재는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재는 복수의 구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측벽 및 커버가 밀폐구조를 가지도록 용접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스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가스가 상기 래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로 상기 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 1가스유입관;
    상기 본체와 상기 포러스 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상기 포러스 플러그를 통해 상기 래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 2가스유입관;및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의 공급압력에 따라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의 개방 단부로부터 승강되는 개폐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및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측면은 스텔라이트 용접되고, 상기 탄성부재로는 인코넬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 1가스유입관에 연통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가스유입구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가스유입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스유입구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스유입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1가스유입관을 향해 개방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및 용강 유출방지 장치.
KR1020120119660A 2012-10-26 2012-10-26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KR10142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660A KR101428559B1 (ko) 2012-10-26 2012-10-26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660A KR101428559B1 (ko) 2012-10-26 2012-10-26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71A KR20140053571A (ko) 2014-05-08
KR101428559B1 true KR101428559B1 (ko) 2014-08-11

Family

ID=5088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660A KR101428559B1 (ko) 2012-10-26 2012-10-26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168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eramics Co Ltd ポーラスプラグ
KR100208021B1 (ko) * 1997-08-13 1999-07-15 윤종용 사출 성형 금형의 가스 벤팅장치
KR20080048784A (ko) * 2006-11-29 2008-06-0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수소 생산용 삼산화황 분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2168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eramics Co Ltd ポーラスプラグ
KR100208021B1 (ko) * 1997-08-13 1999-07-15 윤종용 사출 성형 금형의 가스 벤팅장치
KR20080048784A (ko) * 2006-11-29 2008-06-0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수소 생산용 삼산화황 분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71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0725A (en) Apparatus for pouring molten metal
KR101428559B1 (ko)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KR101100727B1 (ko) 용선예비처리 설비의 오토 커플러 장치
JP5504953B2 (ja) 蓄圧ボンベ式ガス吹込み装置を備えた取鍋
KR100890890B1 (ko) 오토 커플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노외정련설비
CN205188394U (zh) 一种金属铅冶炼炉的无氧放铅装置
KR101516785B1 (ko) 침지노즐
CN213350812U (zh) 用于板坯连铸机的下水口上的中间包安全塞
KR101346701B1 (ko) 퍼징 플러그용 웰 블럭
KR101202645B1 (ko) 포러스 플러그
CA2770823C (en) Pour ladle for molten metal
KR20100050850A (ko) 래들 슬라이딩 게이트 유압 연결 장치
KR100950365B1 (ko) 다단 구조의 루프를 가진 전기로
CN105377471A (zh) 保持铅的透气塞
KR101253977B1 (ko) 스토퍼 유닛
JP5569315B2 (ja) 冶金炉の水冷フランジ
KR101060726B1 (ko) 래들용 오토 커플러 연결 구조체
KR100940662B1 (ko) 롱 노즐의 위치 조정 장치
Yenus et 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vibration signal in ladle metallurgy
KR100829234B1 (ko)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17137A (ko) 포러스 플러그
KR101406540B1 (ko) 노의 내부 폭발 완충장치
KR101522094B1 (ko) 중심 유지 기능을 갖는 스토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KR20050001633A (ko) 대기조괴의 재산화물 생성방지용 차폐장치
KR101261421B1 (ko) 용강 포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