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2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21B1
KR101427421B1 KR1020070124203A KR20070124203A KR101427421B1 KR 101427421 B1 KR101427421 B1 KR 101427421B1 KR 1020070124203 A KR1020070124203 A KR 1020070124203A KR 20070124203 A KR20070124203 A KR 20070124203A KR 101427421 B1 KR101427421 B1 KR 10142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frame
frame generation
frames
gener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7570A (en
Inventor
안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21B1/en
Publication of KR2009005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3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dependent on presence/absence of motion, e.g. of motion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20Hz의 재생빈도를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refresh rate of 120 Hz.

즉, 본 발명은 응답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오버 드라이빙 회로(ODC)를 통해 발생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60 프레임을 120 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에 따른 비교 범위를 토대로 프레임간 움직임 차이 및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converting 60 frames to 120 frames based on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an overdriving circuit (ODC) for increasing a response speed, Frame motion difference and motion predic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ang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level to generate a new fra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기존의 오버 드라이빙 회로(ODC)를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구성 및 그에 따른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토대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최적의 매끄러운 120Hz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by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using an existing overdriving circuit (ODC)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t an optimal smooth 120 Hz screen It is possible to view the image.

ODC, Overshoot, 120Hz, 프레임 생성 레벨 ODC, Overshoot, 120Hz, Frame Generation Level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20Hz의 재생빈도를 가지는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refresh rate of 120 Hz.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는 티브이(TV)가 대표적으로 포함되며, 이러한 티브이(TV)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하고 복조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분리하고 해당 음성 및 영상처리를 거쳐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기기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ideo display device typically includes a television (TV), which selects and demodulates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image processing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output through a screen and a speaker.

또한, 최근에는 티브이 기술이 발전하여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그에 따라 최근에는 120Hz 구동의 영상표시기기가 개발, 시판되고 있으며, 이는 120프레임 표시, 배속 구동 등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TV display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a broadcasting signal display method has been developed. Accordingly, a 120-Hz driven video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which is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120 frames display, .

이것은 그동안의 영상표시기기가 초당 60프레임, 즉 1초에 60장의 그림을 보여주는 방식이었는데, 이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새로운 프레임을 한 장 더 끼워넣어서 1초에 120장의 그림을 보여주는 방식이다.This is how the video display device shows 60 frames per second, or 60 frames per second, and inserts a new frame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to display 120 pictures per second.

이에 따라 스포츠와 같은 빠른 화면의 영상에서 눈에 보이는 반응속도 'MPRT'(Moving Picture Response Time) 가 향상됨으로 모션 블러(Motion Blur)와 같은 현상이 덜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a phenomenon such as a motion blur is less likely to occur due to an improvement in the moving picture response time (MPRT) in a fast screen image such as sports.

여기에서 상기 60프레임을 120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더블링(dubling) 방법 및 새로운 프레임(New Frame) 생성 방법이 있다.Here, the method of converting 60 frames to 120 frames includes a dubling method and a new frame generation method.

상기 더블링(dubling) 방법은 똑같은 프레임을 2번 반복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을 복사하여 120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은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동작을 분석해서 일종의 화면 보간을 통해 새로운 중간 프레임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다.The dubbing method is a method of duplicating the same frame twice with the same frame by repeating the same frame twice to convert it into 120 frame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new frame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opera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It is a way to create a new intermediate frame through screen interpolation.

대개 정지영상의 경우 영상의 움직임이 많이 없기 때문에 60 프레임을 더블링하여 120 프레임으로 구성하여도 화면을 시청하는데에는 별 무리가 없지만, 움직임이 많은 동영상의 경우 상기 더블링을 하게 되면 똑같은 프레임이 2번 반복됨에 따라 영상이 끊기는 듯한 현상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still image, since there is not much motion of the still image, even if the 60 frames are doubled to form 120 frames, there is no problem in viewing the screen. However, in the case of a moving image, if the doubling is performed, the same frame is repeated twice A phenomenon in which the image is cut off occurs.

따라서, 상기 120 Hz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대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써 시간을 잘게 쪼개서 반응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보간이라는 끼워 넣기로 통해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는 부작용 없이 화면전환을 꾀할 수 있다.Therefore, a method of generating a new frame is usually used as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above 120 Hz.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action speed by splitting the time finely. Thus, You can make a transition.

즉,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은 이른바 '중간 화상 예측 보간법'이라는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는 60Hz 신호에서 보여지는 60개의 프레임 중 각 프레임 사이에 중간값의 위치 변화를 고 수준의 연산처리 칩에 의해 예측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프레임을 끼워 넣는 보간 방식을 뜻한다. 예를 들어 1/2/3/4….이라는 화면 정수 사이에 1/1.5/2/2.5… 와 같이 중간값을 넣는 것이다.That i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new frame is implemented by an algorithm called " intermediate picture prediction interpolation method ", which means tha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each frame out of the 60 frames, This is an interpolation method that inserts a new frame made by prediction by For example, 1/2/3/4 ... 1 / 1.5 / 2 / 2.5 between screen integers called ...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예상을 통해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데,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은 움직임 예측을 하기 위한 프레임 상의 범위를 말한다.Here, in order to generate a new frame through the inter-frame motion prediction, a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and the frame generation level refers to a range on a frame for motion prediction.

즉,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은 하이(High), 로우(Low), 오프(Off)로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이 하이(High)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영역이 상기 로우(Low)에 비해 비교적 넓으며,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프레임간의 움직임 예상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rame generation level may be set to High, Low, or Off, and whe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to High, the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frame and the previous frame The comparative area for comparing the reference frame is comparatively wide as compared with the low frame, so that motion prediction between frame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이 로우(Low)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간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비교 영역이 좁고,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더블링 방법을 사용한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to Low, the comparison area for performing the motion prediction between frames is narrow, and whe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to Off, use.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움직임 변화가 심한 동영상의 경우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이 하이(High)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화면이 매끄럽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generate the new frame, the user has to set the frame generation level directly. In the case of a moving image with a strong motion change, whe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to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a non-smooth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를 토대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set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on the basis of a motion difference between frames.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에 따라 최적의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의 영상화질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mal image quality for a user by setting an optimal frame generation level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motion between fram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토대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 부;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를 통해 발생 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deo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from outside; An over driving unit for checking an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and generating an overshoot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A controller for set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based on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e unit; And a 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new frame according to a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frames based on a frame generation level set through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토대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오버 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프레임 생성을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상기 입력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measuring an amount of level change between frames of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Generating an overshoot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Set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frame generation based on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And generating a new frame in accordance with a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frames based on the set frame generation level.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기존의 오버 드라이빙 회로(ODC)를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구성 및 그에 따른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토대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최적의 매끄러운 120Hz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parate additional structure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by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using an existing overdriving circuit (ODC) And automatically sets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based on the degree of inter-frame motion variation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optimal smooth 120 Hz screen without inconvenience of setting the frame generation level every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 shown,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Can be propo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드라이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verdri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rame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image display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생성 레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0)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부(20)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 차이를 분석하여 해당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 부(30)와,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를 통해 발생 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프레임을 생성을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간의 움직임 예측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50)와, 상기 프레임 생성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6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60)를 통해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10 for storing a frame gene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a level of an overshoot signal, An over driving unit 30 for analyzing a level difference between frames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 to generate an overshoot signal, A control unit 40 for set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frame based on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 driving unit 30, A frame generation unit 50 for generating a new frame according to the motion prediction between input frames, a frame generation unit 50 for generating a new frame according to motion prediction between the input fram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deo signal processor 60, a display section 70 for displaying the signal processing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video signal processor 60 for process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오버 드라이빙부(ODC:Over Driving Circuit)(30)는 영상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프레임간 레벨의 차 이를 기준으로 응답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한다.An over driving circuit (ODC) 30 analyzes an interframe level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 and adjusts a response speed based on the analyzed interframe level difference And generates an overshoot signal.

즉,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며, 액정 셀마다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동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다.That is, an ordinar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a liquid crystal having dielectric anisotropy using an electric field, and a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as a switching element is formed for each liquid crystal cell It is suitable for displaying video.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는 다음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이 갖는 고유의 점성 및 탄성 등의 특성에 의해 응답 속도가 느린 단점을 가진다.Howev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sponse speed is slow due to inherent properties of the liquid crystal such as viscosity and elasticity,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112007086847149-pat00001
Figure 112007086847149-pat00001

여기서, τr는 액정이 인가된 전압(Va)에 반응하는 라이징 타임(Rising Time)을, Va는 인가 전압을, VF는 액정 분자가 경사운동을 하게 되는 프리드릭 천이 전압(Freederick Transition Voltage)을, d는 액정 셀의 셀 갭(Cell Gap)을, (gamma)는 액정 분자의 회전 점도(Rotational Viscosity)를 각각 의미한다.Here, τ r denotes a rising time (Rising time) in response to a voltage (Va) applied with liquid crystal, Va denotes an applied voltage, and V F denotes a Freederick Transition Voltage at which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tilted. D denotes the cell gap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gamma) denotes the rotational viscosit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라이징 타임(τr)을 포함하는 액정의 응답 시간은 액정 재료의 물성과 액정 셀의 셀 갭(d)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모드 액정의 응답 시간은 20-80[ms]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정의 응답 시간 은 영상의 단위 표시기간인 한 프레임 (NTSC 표준 : 16.67[ms]) 보다 길기 때문에 액정이 인가된 전압에 완전히 반응하지 못한 채 다음 인가 전압에 반응하게 됨으로써, 동영상에서 화면이 흐릿하게 표시되는 모션 블러링(Motion Burring) 현상 등이 발생하고 있다.The response time of the liquid crystal including the rising time ( r ) as shown in Equation (1) may vary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crystal material and the cell gap (d) of the liquid crystal cell, but is generally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response time of twisted nematic (TN) mode liquid crystal is known to be about 20-80 [ms]. Since the response time of the liquid crystal is longer than one frame (NTSC standard: 16.67 [ms]) which is the unit display period of the image, the liquid crystal reacts to the next applied voltage without fully responding to the applied voltage, And a motion blurring phenomenon t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러한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하여 한 액정 셀이 현재 프레임에서 공급된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 휘도가 원하는 휘도에 도달하기 전에 다음 프레임의 화소 데이터가 공급되었다.Due to such a slow response speed, the pixel data of the next frame is supplied before the display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pixel data supplied from the current frame of one liquid crystal cell reaches the desired luminance.

이 결과, 공급된 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 휘도가 완전히 표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프레임의 화소 데이터가 다음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잔상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동영상에서 모션 블러링(Motion Burring) 현상 등과 같이 화질 저하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As a result, not only the display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supplied pixel data is not completely displayed but also a residual image problem in which the pixel data of the current frame affects the next frame is generated, so that the picture quality degradation such as a motion blurring phenomenon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느린 응답 속도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버 드라이빙 회로(Over Driving Circuit; ODC)를 이용하여 화소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액정의 응답 시간이 상기 수학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가 전압(Va)이 클수록, 또는 프레임간 전압 차이가 클수록 짧아지기 때문이다.In order to solve the slow response speed of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method of increas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by modulating pixel data using an over driving circuit (ODC) as shown in Fig. 2 has been proposed . This is because the response time of the liquid crystal becomes shorter as the applied voltage Va becomes larger or the inter-frame voltage difference becomes larger, as shown in Equation 1 above.

여기에서, 상기 응답속도(Response Time)란 말 그대로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 셀이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지를 의미하는 말이며, 다른 말로 반응 속도라고도 한다. 이는 우리가 흔히 브라운관이라 부르는 CRT(Cathode Ray Tube)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응이 늦은 액정의 속도를 표시하기 위해 등장했다. 상기 CRT는 ㎲(백만분의 1초)단위인데 비하여 LCD는 ㎳(천 분의 1초)단위이다. Here, the response time is a term meaning how fast the liquid crystal cell responds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and in other words,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reaction rate. This is due to the relatively slow response of liquid crystals to CRT (Cathode Ray Tube), which we commonly refer to as CRTs. The CRT is in units of ㎲ (milliseconds), whereas LCD is in units of ms (one thousandth of a second).

따라서,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의 차이를 판단하기 위해 우선, 이전 프레임을 버퍼(buffer)(미도시)에 저장하였다가 현재 프레임과 픽셀 바이 픽셀(Pixel by Pixel) 그레이 변화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그레이 변화량만큼 룩 업 테이블(LUT:Look Up Table)의 강도를 적용하기 위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한다.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frames of the input image, the overdriving unit 30 stores the previous frame in a buffer (not shown) and outputs the current frame and the pixel by pixel ) Gray change amount, and generates an overshoot signal for applying the intensity of a look-up table (LUT) by the determined gray change amount.

즉,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는 영상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의 차이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간 레벨의 차이가 크면 그에 따른 높은 레벨의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등의 프레임간 레벨의 차이에 따른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한다.That is, the overdrive unit 30 determines a difference in level between frames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frames is large, a high level overshoot signal And generates an overshoo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frames.

다시 말해서,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를 통해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은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의 변화량과 비례하게 증가하므로, 상기 오버 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이 높으면,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의 변화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오버 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이 낮으면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의 변화 정도는 미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ing unit 30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of the input frame, so that if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is high, If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is low, it means that the degree of change of the input frame is fine.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를 통해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기준으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 sets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based on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e unit 30.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이란,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움직임 차이에 따라 그 사이에 들어갈 새로운 프레 임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영역 범위가 된다.Here,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used to compare a motion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frame and a previous frame, and to generate a new frame in between the current frame and a previous frame according to the compared motion difference. More specifically, The range of the comparison range is set.

즉, 움직임이 심한 영상에서 상기 비교 영역 범위(프레임 생성 레벨)가 높으면, 새롭게 생성한 프레임에서의 움직임 정도가 심해지고, 그에 따라 프레임간의 연결성이 떨어져 매끄럽지 못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at is, if the range of the comparison region (frame generation level) is high in an image having a high motion, the degree of motion in a newly generated frame becomes wor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image which is not smooth due to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frames is displayed.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30)를 통해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과 반비례하게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간 별로 새로운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40 sets the frame generation level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 driving unit 3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new frame.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부(10)에는 상기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과 대응되는 프레임 생성 레벨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부(40)의 판단하에 상기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구간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구간별로 각각 하이(High), 로우(Low) 및 오프(Off)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Here, the memory unit 10 may store a frame gene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If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And may set one of high, low, and off conditions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생성부(50)는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간 움직임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차이에 따라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한다.Accordingly, the frame generation unit 50 analyzes the difference in motion between frames of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 based on the frame generation level set through the controller 40, Motion predi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tion difference to generate a new fram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Frame 1)(100)과 현재 프레임(Frame 3)(110)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움직임 차이의 비교 결과에 따 라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1(100)과 프레임 3(110) 사이에 중간값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Frame 2)(120)을 생성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frame (Frame 1) 100 and the current frame (Frame 3) 110 is compared, and motion predi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motion difference, A new frame (Frame 2) 12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frame 1 100 and the frame 3 110 is generated.

이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3(110)과 프레임 5(130)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움직임 차이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3(110)과 프레임 5(130) 사이에 중간값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프레임 4)(140)를 생성한다.Similarly,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frame 3 110 and the frame 5 130 is compared and a mo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ifference is performed to determine a position change of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frame 3 110 and the frame 5 130 (Frame 4) 140 according to the received frame.

이처럼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60 프레임의 영상을 120 프레임의 영상으로 변환하며,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60)는 상기 변환된 120 프레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The 60-frame image is transformed into the 120-frame image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image signal processor 60 processes the transformed 120-frame image to be displayabl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기존의 응답속도 개선을 위한 오버 드라이빙 회로(ODC)를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구성 및 그에 따른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토대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최적의 매끄러운 120Hz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by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using an overdriving circuit (ODC) And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based on the degree of inter-frame motion variation is automatically se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asily set the frame generation level to the optimal smooth 120 Hz You can provide the screen to the us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S10).As shown in FIG. 4, an image display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S10).

이어서,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체크한다(S20). 즉, 이전에 입력된 프레임을 버퍼에 저장하였다가 현재 입력된 프레임과 픽셀 바이 픽셀(Pixel By Pixel)로 그레이 변화량을 확인한다.Next, the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of the input video signal is checked (S20). That is, the previously inputted frame is stored in the buffer, and the gray change amount is confirmed by the currently inputted frame and the pixel by pixel (Pixel By Pixel).

그리고, 상기 체크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기준으로 그에 따른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시킨다(S30). 즉, 상기 체크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에 대응되는 오버 슈트(Overshoot) 레벨을 해당 룩 업 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해당 오버 슈트 신호를 발생한다.Then, an overshoo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is generated (S30). That is, an overshoot level corresponding to the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is extracted from the look-up table, and the extracted overshoot signal is generated.

이어서,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분석한다(S40). 즉,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입력되는 영상의 움직임 변화 정도를 체크한다.Next, the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is analyzed (S40). That is, the degree of motion change of the currently input image is checked based on the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그리고, 상기 분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기준으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한다(S50). 즉, 상기 분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기준으로 프레임간 움직임 차이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한다.Then, a frame generation level is set based on the analyzed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S50). That is,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is set according to the inter-frame motion difference based on the analyzed level of the overshoot signal.

이어서,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기준으로 프레임간 움직임 차이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그 중간값의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한다(S60).Next, motion predi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frame motion difference based on the set frame generation level, and a new frame having the intermediate value is generated (S6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기존의 오버 드라이빙 회로(ODC)를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구성 및 그에 따른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간 움직임 변화 정도를 토대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최적의 매끄러운 120Hz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by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using an existing overdriving circuit (ODC)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motion change between fram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t an optimal smooth 120 Hz screen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드라이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verdri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rame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메모리부 20: 영상신호 입력부10: memory unit 20: video signal input unit

30: 오버 드라이빙부 40: 제어부30: overdriving unit 40: control unit

50: 프레임 생성부 60: 영상신호 처리부50: frame generation unit 60: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70: 디스플레이부70:

Claims (11)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부;A video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from outside;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에 따른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 부;An over driving unit for checking an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and generating an overshoot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를 통해 발생 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for set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generating a new frame based on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e unit; And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상기 입력되는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를 포함하고,And a fram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new frame according to a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frames based on a frame generation level set through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생성 레벨을 추출하는And extracts a frame gene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영상표시기기.Video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를 통해 발생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생성 레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Further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a frame gene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a level of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e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은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영역 범위임을 특징으로 영상표시기기.Wherei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a comparison area range for comparing motion differences between frame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움직임 차이에 따른 중간값의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Wherein the frame generation unit recognizes a motion difference between frames on the basis of the set frame generation level and generates a new frame having an intermediate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ed motion differe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 드라이빙부를 통해 발생 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과 반비례하게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Wherein the controller sets the frame generation level in inverse proportion to a level of an overshoo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verdrive unit.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은 하이(High), 로우(Low) 및 오프(Off)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Wherein the frame generation level is one of a high level, a low level, and an off level.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을 파악하는 단계;Determining a level change amount between frames of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파악한 프레임간 레벨 변화량에 따른 오버슈트(overshoot)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n overshoot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inter-frame level change amount; 상기 발생한 오버 슈트(overshoot) 신호를 기준으로 프레임 생성을 위한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for frame generation based on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And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을 토대로 상기 입력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Generating a new frame according to a mo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frames based on the set frame generation level,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The step of setting the frame generation level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프레임 생성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And extracting a frame generation level corresponding to a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A video display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The step of setting the frame generation level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과 반비례하게 상기 프레임 생 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And setting the frame generation level in inverse proportion to a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프레임 생성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The step of setting the frame generation level 상기 발생한 오버슈트(overshoot) 신호의 레벨을 기준으로 하이(High), 로우(Low) 및 오프(Off) 중 어느 하나의 조건으로 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And setting a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to one of a high level, a low level, and an off level based on a level of the generated overshoot signal.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The step of generating the new frame 상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레벨에 따른 입력 프레임간의 비교 영역을 토대로 상기 프레임간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와,Comparing motion differences between the frames based on a comparison region between input frames according to the set frame generation level, 상기 비교한 움직임 차이의 중간값에 따른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각각의 입력 프레임 사이에 삽입할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And generating a new frame to be inserted between the input frames by performing motio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compared intermediate value of the motion difference.
KR1020070124203A 2007-12-03 2007-12-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1427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03A KR101427421B1 (en) 2007-12-03 2007-12-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03A KR101427421B1 (en) 2007-12-03 2007-12-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570A KR20090057570A (en) 2009-06-08
KR101427421B1 true KR101427421B1 (en) 2014-08-08

Family

ID=4098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03A KR101427421B1 (en) 2007-12-03 2007-12-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68A1 (en) *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vershoot without distortion in disp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26A (en) * 2003-04-07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060029974A (en) * 2004-10-04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070026053A (en) * 2005-08-31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70045790A (en) * 2005-10-28 2007-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Improvement apparatus of image quality in 1 panel type display system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26A (en) * 2003-04-07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060029974A (en) * 2004-10-04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070026053A (en) * 2005-08-31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70045790A (en) * 2005-10-28 2007-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Improvement apparatus of image quality in 1 panel type display system using diffraction modulatio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570A (en)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325B2 (en)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monitor,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and display method
US10621934B2 (en) Display and display method
US7667720B2 (en) Image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ed in same
CN111640390A (en) Display screen flicker adjusting circuit and method and display device
EP193114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8242993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859338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221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97044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070068795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40964A1 (en) Method of processing lcd images according to content of the images
KR20110072190A (en) 3d 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2892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data analysis un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4274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138547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70122097A (en) Over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1000464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N107784981B (en) Device applied to display and related image display method
KR101585247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image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09006752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5049746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40085494A (en) Method for Driving an LCD
KR100761134B1 (en) Display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image based on apl and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image
KR20090057619A (en) Apparatus for improving motion blur and method thereof
KR1014905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