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00B1 - 휠체어용 우산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00B1
KR101427400B1 KR1020130024478A KR20130024478A KR101427400B1 KR 101427400 B1 KR101427400 B1 KR 101427400B1 KR 1020130024478 A KR1020130024478 A KR 1020130024478A KR 20130024478 A KR20130024478 A KR 20130024478A KR 101427400 B1 KR101427400 B1 KR 10142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nit
extension
umbrella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진
백종찬
남성민
이상욱
김윤호
이승수
고재현
이기량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7Attachments or holders for umbrellas, parasols or sunshade panels

Abstract

휠체어용 우산은 조작부, 확장부 및 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고정된다. 상기 확장부는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휠체어 탑승자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가 고정된다. 상기 우산부는 상기 회전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비를 막는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우산{DETACHABLE WHEELCHAIR UMBRELLA}
본 발명은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이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약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자들을 위한 일상생활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장애의 종류 및 불편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목적과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의 경우, 비가 오는 날에는 활동이 매우 불편하여 대부분 외부 활동을 삼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적극적인 대외활동 또는 필수 불가결한 대외활동을 위해서는 비가 오는 날에도 외부 출입이 필요한데, 이 경우, 대부분 보조인들이 우산을 받쳐가며 휠체어를 이동시키거나, 장애인 스스로 우산을 들고 휠체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우산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 않으므로, 대부분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우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휠체어 뿐 아니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비를 제대로 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편함은 더욱 증가하여, 비를 맞지 않고 우산을 받치면서 휠체어를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바람의 방향이 다양하게 바뀌는 경우, 우산이 제대로 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 탑승자의 불편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를 막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체어용 우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우산은 조작부, 확장부 및 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고정된다. 상기 확장부는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휠체어 탑승자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가 고정된다. 상기 우산부는 상기 회전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비를 막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끝단이 휠체어 탑승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끝단에 상기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장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제1 연결부, 제1 구동부, 제2 연결부, 제2 구동부 및 우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확장부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며, 제1 회전축을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우산 고정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우산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일 끝단이 상기 팔걸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상기 일 끝단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상기 일 끝단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량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의 회전량은 서로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탑승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에 의해 회전부를 동작시킬 수 있어, 필요한 방향으로 우산을 이동시켜 비의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비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작부를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부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탑승자가 직관적으로 우산을 이동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작부의 회전량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이 서로 비례하므로 탑승자가 상기 회전부를 조절하는데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어, 비의 방향에 따라 우산을 최적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우산부가 확장부를 따라 탑승자의 머리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의 연장길이는 탑승자의 앉은키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므로, 탑승자의 비 피해를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회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이 조작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결합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우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우산(1)은 휠체어(100)에 고정되며, 확장부(200), 조작부(300) 및 우산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도시된 상기 휠체어(100)는 탑승자(160)가 앉는 의자부(110), 등받이부(120), 팔걸이부(130), 발걸이부(140) 및 바퀴부(150)를 포함하며, 도 1a 및 1b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00)는 제1 연장부(210), 결합유닛(220), 제2 연장부(230), 제3 연장부(240) 및 회전부(250)를 포함하여,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우산부(400)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장부(210)는 상기 휠체어(100)의 등받이부(120)로부터 탑승자(160)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결합유닛(220)은 상기 제1 연장부(210)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연장부(210)의 연장 방향과 수직인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제2 연장부(230)는 상기 결합유닛(220)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유닛(22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연장부(230)는 상기 휠체어(100)의 등받이부(120) 뒤쪽에 배치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탑승자의 시야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연장부(230)는 상기 결합유닛(220)과 결합시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다르게 하여, 상기 제2 연장부(230)의 연장길이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제3 연장부(240)는 상기 제2 연장부(230)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연장부(240)는 상기 제1 연장부(210)의 연장 ??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장부(240)는 상기 등받이부(120)의 뒤쪽으로부터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3 연장부(240)의 끝단에 상기 회전부(250)가 장착되므로, 상기 회전부(250)를 탑승자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위해 상기 제3 연장부(240)도 탑승자(160)의 중앙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250)는 상기 제3 연장부(240)의 끝단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 또는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거나 또는 움직인다. 상기 회전부(2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팔걸이부(130) 상에 고정되며, 탑승자(160)는 상기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상기 우산부(40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 또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회전부(250)가 동시에 회전하거나 또는 움직이므로, 상기 우산부(400)의 방향이 변하여 비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우산부(4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우산부(400)는 상기 회전부(25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기 우산부(400)를 별도로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으며, 비가 오는 경우만 상기 우산부(400)를 상기 회전부(25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우산부(40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회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50)는 제1 베이스 프레임(251), 제1 연결부(252), 제1 구동부(253), 제1 회전축(254), 제2 연결부(255), 제2 회전축(256), 제2 구동축(257), 제2 베이스 프레임(258) 및 우산 고정부(25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51)은 상기 제3 연장부(240)의 끝단에 고정되며,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연결부(252)는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5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구동부(253)가 상기 제1 연결부(252)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25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구동부(253)는 상기 조작부(300)의 조작에 따라, 내부의 서보모터가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300)를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구동부(253) 내부의 서보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제1 구동부(253)에 고정된 상기 제1 회전축(254)을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구동부(253)의 구동으로 상기 제1 회전축(254)이 회전하는 양은,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량과 비례한다. 다만, 상기 조작부(300)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팔걸이부(130)에 고정되므로,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1 구동부(253)가 상기 제1 회전축(25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기울이는 회전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만큼 상기 제1 구동부(253)가 상기 제1 회전축(254)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탑승자가 필요한 회전각만큼만 상기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상기 우산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연결부(255)는 상기 제1 회전축(254)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축(254)의 회전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255)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제1 회전축(254)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력을 보다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256)은 상기 제2 연결부(255)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구동부(257)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2 구동부(257)도 상기 조작부(300)의 조작에 따라, 내부의 서보모터가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구동부(257) 내부의 서보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제2 구동부(257)에 고정된 상기 제2 회전축(256)을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이 때, 상기 제2 구동부(257)의 구동으로 상기 제2 회전축(256)이 회전하는 양은,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량과 비례한다. 다만, 상기 조작부(300)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팔걸이부(130)에 고정되므로,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2 구동부(257)가 상기 제2 회전축(2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작부(300)를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기울이는 회전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만큼 상기 제2 구동부(257)가 상기 제2 회전축(2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탑승자가 필요한 회전각만큼만 상기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상기 우산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58)은 상기 제2 구동부(257)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우산 고정부(259)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58)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회전부(250)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253)의 구동에 의한 상기 제1 회전축(254)의 회전은 상기 제2 회전축(256) 및 상기 제2 구동부(257)에 전달되며, 상기 제2 구동부(257)의 구동에 의한 상기 제2 회전축(256)의 회전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58)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58)에는 상기 제1 회전축(254)의 회전과 상기 제2 회전축(256)의 회전이 누적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258)에 고정된 상기 우산 고정부(259)에도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254, 256)의 회전이 그대로 누적된다.
결국, 상기 우산 고정부(259)는 상기 조작부(3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우산 고정부(259)에 고정된 상기 우산부(400)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우산의 방향에 따라 상기 우산부(4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상기 제1 구동부(253)가 상기 제1 회전축(254)을 상기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구동부(257)가 상기 제2 회전축(256)을 상기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우산 고정부(259)가 누적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외한, 베이스 프레임 및 연결부들 사이의 구체적인 연결관계는 도 2에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고정유닛(310), 지지프레임(320), 수납부(330) 및 조이스틱(340)을 포함하며, 상기 조이스틱(340)에는 버튼부(341)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310)은 상기 팔걸이부(130) 상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유닛(310)은 상기 팔걸이부(130)에 이탈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릴라(Gorilla) 포트일 수 있다. 그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팔걸이부에 적합하게 고정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고정유닛(3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기 팔걸이부(13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330)는 상기 지지프레임(320) 상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조이스틱(340)이 수납된다.
상기 탑승자(160)는 상기 조이스틱(340)을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우산부(400)가 고정된 상기 회전부(25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승자(160)가 상기 조이스틱(340)을 전후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250)의 제1 구동부(253)도 상기 제1 회전축(254)을 상기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반면, 상기 탑승자(160)가 상기 조이스틱(340)을 좌우방향, 즉 상기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250)의 제2 구동부(257)도 상기 제2 회전축(256)을 상기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조이스틱(340)에는 버튼부(341)가 부착되어, 상기 탑승자(160)가 상기 버튼부(341)를 누른 상태에서만 상기 회전부(25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이 조작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자(160)가 상기 조작부(300)의 상기 조이스틱(340)을 후방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250)의 제1 구동부(253)도 상기 제1 회전축(254)을 상기 제1 방향(x)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우산부(400)는 상기 탑승자(160)의 머리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져, 후방 방향으로부터 들이치는 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탑승자(160)가 상기 조작부(300)의 상기 조이스틱(340)을 좌측 방향, 즉 상기 제2 방향(y)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250)의 제2 구동부(257)도 상기 제2 회전축(256)을 상기 제2 방향(y)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우산부(400)는 상기 탑승자(160)의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좌측 방향으로부터 들이치는 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탑승자(160)의 전방 방향으로부터 들이치거나, 우측 방향으로부터 들이치는 비도 상기 조작부(30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결합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유닛(220)은 제1 결합부(221), 제2 결합부(222), 결합 프레임(223) 및 고정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부(221)는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상기 제2 결합부(222)를 서로 고정하며, 나사 등의 결합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222)는 상기 제1 연장부(210)와 상기 결합 프레임(223)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유닛으로, 예를 들어, 'ㄱ'자 형상으로 휘어져 일면은 상기 제1 결합부(221)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210)에 고정되며 연결된 다른 면은 상기 결합 프레임(2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프레임(223)은 내부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223의 삽입 공간에는 상기 제2 연장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장부(230)와 상기 결합 프레임(223)은 상기 고정부(224)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장부(230)가 상기 결합 프레임(223) 내부로 삽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제2 연장부(230) 및 상기 결합 프레임(223) 전체의 연장길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승자(160)의 앉은키에 따라 상기 제2 연장부(230)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a의 휠체어용 우산의 우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우산부(400)는 중앙 프레임(410) 및 커버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프레임(410)은 상기 회전부(250)의 우산 고정부(259)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프레임(410)과 상기 우산 고정부(259)는 나사결합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프레임(4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탑승자(160)의 앉은키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420)는 상기 중앙 프레임(410)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을 커버하여 비를 직접 막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탑승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에 의해 회전부를 동작시킬 수 있어, 필요한 방향으로 우산을 이동시켜 비의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비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작부를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부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탑승자가 직관적으로 우산을 이동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작부의 회전량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이 서로 비례하므로 탑승자가 상기 회전부를 조절하는데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어, 비의 방향에 따라 우산을 최적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우산부가 확장부를 따라 탑승자의 머리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의 연장길이는 탑승자의 앉은키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므로, 탑승자의 비 피해를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우산은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이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휠체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 휠체어용 우산 100 : 휠체어
200 : 확장부 210 : 제1 연장부
220 : 결합유닛 223 : 결합프레임
224 : 고정부 230 : 제2 연장부
240 : 제3 연장부 250 : 회전부
253 : 제1 구동부 254 : 제1 회전축
256 : 제2 회전축 257 : 제2 구동부
300 : 조작부 310 : 고정유닛
320 : 지지프레임 330 : 수납부
340 : 조이스틱

Claims (6)

  1. 회전이 가능하도록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고정되는 조작부;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휠체어 탑승자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가 고정된 확장부; 및
    상기 회전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비를 막는 우산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끝단이 휠체어 탑승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끝단에 상기 회전부가 고정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연장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확장부의 끝단에 연결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며, 제1 회전축을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우산부가 고정되는 우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일 끝단이 상기 팔걸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를 상기 일 끝단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조작부를 상기 일 끝단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량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의 회전량은 서로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130024478A 2013-03-07 2013-03-07 휠체어용 우산 KR10142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78A KR101427400B1 (ko) 2013-03-07 2013-03-07 휠체어용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78A KR101427400B1 (ko) 2013-03-07 2013-03-07 휠체어용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400B1 true KR101427400B1 (ko) 2014-08-07

Family

ID=5174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78A KR101427400B1 (ko) 2013-03-07 2013-03-07 휠체어용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267A (en) * 2013-05-13 2014-12-24 Robert Cooper Wheelchair cover
KR20220170453A (ko) * 2021-06-23 2022-12-30 정주현 우산이 구비된 휠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30A (ja) 2001-10-30 2003-05-13 Ikuko Sato 車椅子の傘立て用保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30A (ja) 2001-10-30 2003-05-13 Ikuko Sato 車椅子の傘立て用保持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267A (en) * 2013-05-13 2014-12-24 Robert Cooper Wheelchair cover
KR20220170453A (ko) * 2021-06-23 2022-12-30 정주현 우산이 구비된 휠체어
KR102522213B1 (ko) * 2021-06-23 2023-04-14 정주현 우산이 구비된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226B1 (ko) 등받이가 수평이동 가능한 의자
EP2351500A2 (en) Tiltable chair
KR101003756B1 (ko) 마사지편을 구비한 등받이 분리형 의자
KR101427400B1 (ko) 휠체어용 우산
KR20170123024A (ko)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KR20180052047A (ko)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형 컨트롤러 어셈블리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JP2004202062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10273917A (ja) 歯科診療装置
EP2279718A2 (en) Wheelchair having reversible seat rail support structure
CN209769748U (zh) 一种沙发床
KR200311341Y1 (ko)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KR102157423B1 (ko) 유니트 체어
KR200331369Y1 (ko) 배받이 의자
KR200275786Y1 (ko) 의자용 머리받침
JP3150465U (ja) 椅子におけるヘッドレスト装置
CN217391056U (zh) 轮椅的扶手结构及轮椅
JP4021162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椅子
JP4791623B2 (ja) 二の腕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椅子
JP2006034735A (ja) マッサージ椅子
CN218008958U (zh) 一种后背结构可调的办公椅
KR102400521B1 (ko) 차양막이 설치된 휠체어
KR101415937B1 (ko) 휠체어용 우산
CN219662108U (zh) 一种轮椅床的扶手结构
JP2857036B2 (ja) 姿勢変更機能を有す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