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176B1 -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176B1
KR101427176B1 KR1020140036993A KR20140036993A KR101427176B1 KR 101427176 B1 KR101427176 B1 KR 101427176B1 KR 1020140036993 A KR1020140036993 A KR 1020140036993A KR 20140036993 A KR20140036993 A KR 20140036993A KR 101427176 B1 KR101427176 B1 KR 10142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unit
tank
transfer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권
Original Assignee
탑인더스트리(주)
탑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인더스트리(주), 탑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탑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102014003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지진파를 검출하여 적응적으로 현장에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하여 지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 3축 가속도 센서, 원격터미널장치 및 서버장치를 포함한다.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수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류들을 포함한다. 3축 가속도 센서는 지진파를 감지하여 3축 가속도 신호를 출력한다. 원격터미널장치는 밸브류들을 포함하는 제어대상들 각각과 3축 가속도 센서에 연결되고,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밸브류들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한다. 서버장치는 네트워크 연결되어 원격터미널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어를 입력한다.

Description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EARTHQUAKE ADAPTIVE TYPE REMOTE CONTROL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그에 따른 부산물로 쓰레기가 배출되었다. 특히 오폐수를 하천에 내보내게 되면 하천오염을 촉진함으로써, 사람이 마시는 식수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오폐수는 고농도의 축산물 쓰레기, 다량의 생활오수, 고분자유기화합물을 다량 함유한 제지폐수 및 독성유기화합물이 배출되는 중화학공업 폐수 등으로 다양한 오폐수가 하천에 방류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즉,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물리적 화학적 처리방법과,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현탁성 부유물 때문에 흐려진 공장폐수는 단순히 물리적 화학적 처리방법으로 정화하여 맑게 처리하는 반면에, 유기물이 많이 녹아 있는 공장폐수는 상기의 방법 이외에 다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하여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물리적인 폐수처리 방법으로는 체분리, 여과, 침사지, 초미분여과, 투석, 침강법, 자선법, 증류법 및 증발법 등이 있어 입자의 크기나 입자의 비중차, 입자의 자성, 상대휘발성 및 증기압차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으로는 중화법, 중화침전법, 산화환원법, 분해법, 응집법, 부상법, 흡착법, 추출법, 이온교환법, 연소, 소각법 등이 있으며, 상기의 방법은 용해도나, 산화환원, 가수분해, 계면특성 및 이온성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방법 이외에 유기물이 많이 녹아있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 장기폭기법, 접촉안정화법, 순산소 폭기법, 접촉여재법, 산화구법 등이 있으며, 상기의 방법은 생물산화분해성이나 생물환원분해성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한편, 지중에서 지진이 발생되면 지진파의 진동이 오폐수 및 하수를 처리하는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그대로 전달되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설비를 파괴하거나 각종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는 처리수를 담아서 처리하는 각종 수조들이 배치되는데 지진파에 의해 수조들간에 처리수를 원활하게 이송하거나 반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악취가 심한 엄청난 양의 오폐수가 각종 수조에서 넘치거나 외부로 유출된다면 환경 오염이나 악취 유발, 감전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지진을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작 제어는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서 먼 지역인 중앙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과 중앙간의 통신 상태가 불량하다면 동작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인근 현장에서 지진파를 검출하고 현장에서 직접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한반도가 지진위험지역으로 분류됨에 따라 지진 발생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지진의 세기가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인가를 파악하여 현장별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0736355호(등록일자 : 2007. 06. 29., 발명의 명칭 : 임베디드 타입 원격 터미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10-0395749호(등록일자 : 2003. 08. 12., 발명의 명칭 : 지진파 감지 장치) (문헌3) 한국등록특허 제10-1314089호(등록일자 : 2013. 09. 26., 발명의 명칭 :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문헌4) 한국등록특허 제10-1262907호(등록일자 : 2013. 05. 03., 발명의 명칭 :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파를 검출하여 적응적으로 현장에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하여 지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 3축 가속도 센서, 원격터미널장치 및 서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오폐수 및 하수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류들을 포함한다.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는 지진파를 감지하여 3축 가속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밸브류들을 포함하는 제어대상들 각각과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밸브류들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서버장치는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원격터미널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혐기조와 무산소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혐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무산소조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1 이송밸브; 상기 무산소조와 폭기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산소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폭기조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2 이송밸브; 상기 폭기조와 여과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챔버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3 이송밸브; 상기 여과챔버와 생물막 처리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챔버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생물막 처리조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4 이송밸브; 인제거조와 상기 폭기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제거조에서 인 제거된 물을 상기 폭기조로 이송시키는 제5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5 이송밸브; 및 상기 생물막 처리조와 상기 생물막 처리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이용수단에 유입시키는 이송펌프 사이에 배치된 제6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6 이송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MM스케일(Modified Mercalli Scale)을 근거로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MM스케일이 I스케일 및 II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III스케일 및 IV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이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스케일, VI스케일 및 VII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4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IX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5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6 이송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X스케일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상기 생물막 처리조와 상기 인제거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생물막 처리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인제거조로 반송시키는 제1 반송배관에 배치된 제1 반송밸브; 상기 폭기조와 상기 무산소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시키는 제2 반송배관에 배치된 제2 반송밸브; 및 상기 이용수단과 상기 생물막 처리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용수단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생물막 처리조로 반송시키는 제3 반송배관에 배치된 제3 반송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MM스케일(Modified Mercalli Scale)을 근거로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MM스케일이 I스케일, II스케일 및 III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IV스케일 및 V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3 반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반송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제2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II스케일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MM스케일이 I스케일 또는 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I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이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IV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이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3 반송밸브를 오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V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반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3 반송밸브를 클로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V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반송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제2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V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4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IX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5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6 이송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를 클로즈시키며, 상기 MM스케일이 X스케일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제어대상들과 연결되고, 소정 순서로 프로그램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들 각각을 제어하는 PLC 래더부; 상기 제어대상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대상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집하고 상기 제어대상들을 제어하는 RTU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 처리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는 3축 감지부; 및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및 상기 RTU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연산하되,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상기 RTU부를 제어하여 상기 밸브들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 상기 3축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및 상기 RTU부 사이의 데이터 연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을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로 전송하는 커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커널제어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PLC 래더부,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HMI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HMI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복수개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PLC 래더부,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월드 와이드 웹(www) 형식으로 구현하는 웹서비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서비스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3축 가속도 센서에서 제공되는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환산된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각종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현장에서 제어함으로써 지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채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MM스케일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 및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제어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통제실(20)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0)에 연결된 서버장치(22) 및 각 원격지 현장의 제어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모니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원격지들(50)은 상호 멀리 떨어져 있으며, 하천, 호수, 강, 바다 등에서의 수질감시 시설, 정화처리시설, 폐수처리시설, 종말처리장, 상수도 생산시설 등과 같은 수처리 시설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시설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이라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여과챔버, 생물막 처리조, 인제거조, 이용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지들(50) 각각에는 필요에 따라 계측기기(45), 신호기(46), 펌프(47), 송풍기(48), 3축 가속도 센서(49) 등이 구비되어 있다. 계측기기(46)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수위센서, 농도센서, 전류센서, 전압센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어대상(45, 46, 47, 48, 49)은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연결되고,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다시 네트워크(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에서 원격지(50)의 별도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않는 간편함이 있다. 그리고,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네트워크(42)와의 통신 및 각종 연산과 연산결과의 저장 그리고 제어 명령어의 출력 등을 수행한다.
네트워크(10)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인 경우 무선 통신(32)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또는 PDA, 휴대폰)(30) 등과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자가 외부나 현장에서 자신의 노트북 컴퓨터(또는 PDA, 휴대폰)(30)를 통해 각 원격지(50)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무선 통신은 무선 VHF/UHF, 전용선, CDMA, VSAT, xDSL, 전화선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PPP, Telnet, TCP/IP, ICMP, HTTP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3축 가속도 센서(49)로부터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환산된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각종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현장에서 제어한다. 특히,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를 MM스케일로 환산하고 환산된 MM스케일의 정도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여과챔버, 생물막 처리조, 인제거조 및 이용수단을 서로 연결하여 처리수를 이송하는 이송배관에 구비되는 이송밸브들이나 처리수의 재처리를 위해 반송하여 반송배관에 구비되는 반송밸브들을 차등적으로 오픈/클로즈(open/close) 제어함으로써 지진의 스케일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이 지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차등적 오픈/클로즈 제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900)는 CPU(또는 제어부)(910), SDRAM(920), 플래시 메모리(922), USB 통신부(930), 데이터 통신부(940), 커널제어부(950), 데이터 입력부(960),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래더(LADDER)부(970), 원격 터미널 유닛부(Remote Terminal Unit, 이하 RTU)(972),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974), 웹서비스부(976) 및 3축 감지부(980)를 포함한다.
CPU(910)는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전송과 제어를 실행하며, 조건의 성사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CPU(910)는 예를들어 180 MHz 32 비트용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택할 수 있다.
SDRAM(920)는 CPU(910)의 연산이나 연산 결과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예를들어 64 MB SDRAM을 사용한다. 그리고, 임베디드 타입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가 탑재된다.
플래시 메모리(922)는 필요한 데이터(예를들어, 통신두절시 자료의 자동백업, 복구 기능, 자가 진단 등)를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들어 16MB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USB 통신부(930)는 외부 기기와의 접속 및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외면에 USB 포트가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데이터 통신부(940)는 네트워크(10)와 통신하기 위한 LAN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무선 통신인 경우 데이터 통신부(950)는 무선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제어부(950)는 CPU(910)와 PLC 래더부(970), RTU부(972), HMI부(974) 및 웹서비스부(976) 사이에 구비되어 PLC 래더부(970), RTU부(972), HMI부(974) 및 웹서비스부(97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CPU(910)가 입력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그리고, 역으로 CPU(910)로부터의 제어신호 등을 PLC 래더부(970), RTU부(972), HMI부(974) 및 웹서비스부(976)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커널제어부(950)는 CPU(910) 상에 구현된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960)는 외부로부터의 각종 동작 옵션이나 디지털 신호 입력, 아날로그 신호 입력 등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4채널 내지 32채널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고,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부(970)는 자기진단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LC 래더부(970)는 원격터미널장치(900)내에 구비되는 하나의 보드 상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비된다. PLC 래더부(970)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명령어를 이용하여 순차제어형식의 제어를 수행한다.
RTU부(972)는 각종 제어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원격 감시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RTU부(972) 역시 원격터미널장치(900)내에 구비되는 하나의 보드 상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비된다.
HMI부(974)는 RTU부(972)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컴퓨터 화면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관리자나 조작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HMI부(974) 역시 원격터미널장치(900) 내에 구비되는 하나의 보드 상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비된다.
웹서비스부(976)는 원격터미널장치(900)내에 구비되는 하나의 보드 상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비된다. 웹서비스부(976)는 RTU부(972)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및 HMI부(974)에 의해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 그리고 커널제어부(950)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명령 등을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형태(특히 HTML 형태 등)로 변환하여 인터넷 상에 구현하는 기능을 한다.
3축 감지부(980)는 3축 가속도 센서(49)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지진파 신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진파 신호를 CPU(910)에 제공한다. 여기서, 3축 가속도 센서(49)는 지반에 견고히 고정되어 지진발생시 지반에 전달되는 가속도를 각각의 방향으로 설치된 3개의 용량형 가속도 센서로 감지한다. 예를들어, 3축 감지부(980)는 증폭기(미도시), 필터(미도시) 및 A/D 변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3축 가속도 센서(49)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 지진감지신호와 충격신호를 선별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며, 100Hz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은 충격으로 판별한다. A/D변환기는 필터링을 거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는 아날로그 값으로 1000mV/1G의 값을 갖게 되며, 이때 입력된 아날로그 값인 전기적신호를 g값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의 범위는 각 축당 200sample/sec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임베디드 타입 원격터미널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들어, 원격지(50)의 계측기기(45)에서 발생한 신호는 PLC부(970)로 전달되고, RTU부(972)를 이를 수집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포맷(예를들어, 전압신호 조정 등)으로 변환한다. 이때 계측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는 수문 데이터, 온도, 압력, 유량, 밸브의 개폐정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신호는 커널제어부(950)를 통해 CPU(910)로 전달된다. 이와 병행하여 HMI부(974)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측정된 신호를 표시하고, 웹서비스부(976)는 측정된 신호를 인터넷의 웹상에 표시한다. 만약 노트북(30)이 있다면 무선 네트워크(32)를 통해 자신의 노트북(30)에 이를 표시할 수 있다.
CPU(910)는 데이터 통신부(940)와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장치(22)에 측정된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장치(22)가 수신된 계측신호를 모니터(24)에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인지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 원격지(50)로부터 중앙통제실(20)까지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어, 중앙통제실(20)의 관리자가 모니터(24)를 주시한 후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조작하는 경우 그 신호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터미널장치(900)로 전달된다.
이어, 원격터미널장치(900) 내에서, 데이터 통신부(94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다시 CPU(910), 커널제어부(950), RTU부(972) 및 PLC 래더부(970)를 통해 펌프(47), 송풍기(48) 등에 전달되어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의 흐름은 제어대상의 종류나 제어명령의 포맷 등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채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통제실(20)에서의 관리자는 원격지의 제어대상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제어대상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3축 감지부(980)가 g값으로 환산된 디지털 신호를 CPU(910)에 제공하면, CPU(910)는 g값으로 환산된 디지털 신호를 MM스케일(Modified Mercalli Scale)로 환산한다. 여기서, 1g=980cm/sec2=980gal이다.
지진의 크기 즉, 진도는 지진의 규모와 진앙 거리, 그리고 진원의 깊이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그 지역의 지질구조와 구조물의 형태 및 인구 현황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 있다. 진도는 여러 스케일로 나뉘며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에서 분류한 스케일(JMA Scale: Japanese Meteological Agency Scale)을 사용하는데, 이 JMA 스케일은 8스케일인 반면,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MM스케일(Modified Mercalli Scale)과 진도 스케일의 국제적 통일을 시도한 MSK 스케일은 12스케일을 갖는다.
삭제
본 실시예에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015g~0.02g(대략 15gal~2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IV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03g~0.04g(대략 30gal~4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V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006g~0.07g(대략 60gal~7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VI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10g~0.15g(대략 100gal~15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VII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25g~0.30g(대략 250gal~30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VIII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50g~0.55g(대략 500gal~550gal)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IX스케일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최대 가속도가 0.60g(대략 600gal) 이상인 경우, CPU(910)는 MM스케일을 X스케일로 환산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채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오폐수 처리시스템과 하수 처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하수 처리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오폐수 처리 및 하수 처리 기능을 병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오폐수 또는 하수가 최초로 유입되는 혐기조(100), 혐기조(100)와 더불어 혐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무산소조(200), 호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폭기조(300), 난분해성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중수로서 적합한 수질로 정화를 시키는 여과챔버(330), 생물막이 구성된 생물막 처리조(400), 폭기조(300)에서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해 흡수된 인을 제거하기 위한 인제거조(500) 및 생물막 처리조(400)로부터 정화된 처리수를 중수로서 이용하기 위한 이용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오폐수 및 하수가 혐기조(100) 및 무산소조(200)에서 인이 방출과 함께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탈질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유입 오폐수 및 하수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게 되며, 혐기조(100) 및 무산소조(200)에서 전처리된 오폐수 및 하수는 폭기조(300)에서 호기 환경 하에 유기물을 분해하고, 이와 동시에 여과챔버(330)를 통해 난분해성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중수로서 적합한 수질로 정화를 시킨다. 또한, 최종적으로 폭기조(300)에서 처리되는 처리수는 생물막 처리조(400)로 유입되어 생물막 여재를 구비하는 생물막(410)에 의해 2차적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처리하는 바, 이러한 처리수를 인공연못(610) 등을 포함한 이용수단(600)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 및 하수의 중수로서 재활용을 돕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생물막 여재"라 함은 오폐수 및 하수의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를 정의하는 것으로, 생물막처리조(400)의 생물막(410)과 여과챔버(330)의 담채(333)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오폐수 및 하수"라 함은 우수, 생활오수 및 빌딩오수 등은 물론 공장, 축사, 돈사 등의 폐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이러한 오폐수 및 하수에는 각종 유기물,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난분해성 유기물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바, 상술된 생물막 여재를 이용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중수로서 수질기준에 적합한 처리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혐기조(100) 및 무산소조(200)에는 혐기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중 펌프(도면부호 미부여)와 같은 교반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체적인 교반과 동시에 액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교반/액이송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고, 무산소조(200)에서는 상기 교반/액이송 장치가 혐기조(100)로부터 액이송과 동시에 교반이 되도록 함으로서 탈질 반응을 촉진하도록 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혐기조(100)와 무산소조(200) 간에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조 간에 순환수단이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순환수단은 유입(액이송)수단으로 상기 교반/액이송 장치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각 조 간에 액 반송을 위한 반송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액이송 장치의 작용에 의해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액이송을 함과 동시에 무산소조(200)에서는 원활한 슬러지 교반을 위해 교반 작용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교반 작용에 의해 유기물과 미생물의 접촉 기회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혐기조(100)와 무산소조(200)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오폐수 및 하수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혐기조(100)로 유입되는데, 혐기 환경이 유지되는 혐기조(100)에서 수용된 상기 오폐수 및 하수가 반응하여 인 방출의 유도와 함께 유기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어, 혐기조(100)의 반응액은 펌프 또는 상술된 교반/액이송 장치 등에 의해 무산소조(200)로 액이송 또는 액이송과 동시에 무산소조(200)에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선택적으로 액이송없이 교반 작용만도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무산소조(200)에서는 혐기조(100)와 연통되어 혐기조(100)로부터 오폐수 및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유입되어 오폐수 및 하수내의 질산성 질소를 탈질(NO3 → N2)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무산소조(200)의 처리수는 혐기조(100)로 반송수단(미도시)에 의해 반송될 수 있으며, 혐기조(100)에서는 무산소조(200)로부터 반송되는 유기물에 의해 인 제거 미생물의 VFAs의 흡수를 통한 인 방출이 더욱 활성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폭기조(300)는 무산소조(200)와 연통되어 무산소조(200)에서 탈질 반응 등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내부 구획벽들에 의해 혐기조(100), 무산소조(200) 및 생물막처리조(400) 등과 각각 구획되어 있되, 폭기조(300)에는 그 하부에 산기관이 구성되며 생물막처리조(400)와 구획되는 내부 구획벽의 상부에는 여과챔버가 구성된다.
그리고, 폭기조(300)에는 하부에 구성된 산기관의 폭기 작용에 의해 호기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고, 질산화 반응(NH3 → NO3)이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폭기조(300)와 무산소조(200) 간에도 혐기조(100)와 무산소조(200)와 마찬가지로 수중 펌프 또는 교반/액이송 장치는 물론 반송수단이 구비되어 액순환과 함께 MLSS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혐기조(100) 및 무산소조(200)에 의한 혐기 반응에 의해 방출된 인이 인제거 미생물에 의한 인 흡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흡수된 인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제거조(500)를 통해 제거된다.
한편, 폭기조(300)에서 유기물이 분해된 물은 여과챔버(330)를 통과하게 되는데, 여과챔버(330)는 내부구획벽의 후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유입구가 구성되어 폭기조(300)를 거친 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유입구(431)는 상기 내부구획벽에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내부구획벽은 폭기조(300)와 생물막처리조(400)를 완전히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폭기조(30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여과챔버(330)의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되 담체(333)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흡착, 여과 등에 의해 유기물, 고형물 등이 걸러지도록 하며, 특히 난분해성 유기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담체(333)를 통과한 물이 여과챔버(330) 상부에 구성된 유출구를 통해 생물막처리조(400)로 유동토록 하는 것이다. 담체(333)는 여과챔버(330)의 중앙에 상/하를 구획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여과챔버(330)에는 중앙에 상/하를 구획하도록 담체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담체프레임에는 담체(333)로 스코리아(scoria)가 충진됨이 타당하다. 이러한 스코리아는 다공성의 재질로 흡착에 용이하고, 다공성에 기해 미생물 생장에 용이한 조건이 부여되는 것이다. 상기 스코리아는 화산 분출물(volcanic products)의 한 종류이다.
한국의 제주도에도 화산 분출물로서 일명 송이라고 부르는 스코리아가 많이 있다. 제주도의 스코리아는 화산암, 화산모래, 기타 화산회 등이 혼합되어 있는 화산 암재이다. 스코리아의 구성성분은 전체의 약 75%가 산화규소(SiO₂), 산화알류미늄(Al₂O₃) 및 산화철(Fe₂O₃)이며 이외에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칼륨(K ₂O), 산화나트륨(Na₂O) 및 산화니켈(TiO₂)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코리아의 형태는 다공질이며, 비표면적이 100m₂/g내외로 비교적 크기 때문에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스코리아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크며, 천연의 재료를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즉 담체로서 스코리아를 사용함에 따라 유기물의 흡착에 의한 거름이 가능하게 되며 스코리아의 다공성 재질에 의해 미생물의 생장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코리아는 pH가 6 내지 7정도로서 pH 상승을 적정선에서 억제함에 특징이 있다. 즉 물의 정화과정에서 과도한 pH 상승은 미생물의 비활성화 등을 초래하여 정화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중수로서 방류할 시에도 pH기준을 만족해야 하므로 담체로서 스코리아를 사용함으로써 pH 상승을 적정선에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폭기조(300) 하면에 복수의 산기장치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기장치는 폭기조(300) 내부의 물에 진동에너지와 회전에너지를 부가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에너지가 부가됨에 의해 폭기된 공기(산소)는 폭기조(300)에 저장된 물에 용존률이 높아지게 되며 이러한 높은 용존률은 결국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유기물의 분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생물막처리조(400)는 여과챔버(330)에 의해 폭기조(300)와 연통되어 폭기조(300)로부터 1차적으로 유기물 및 고형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유입되며, 내재된 생물막(410)을 통해 오폐수에 대하여 생물학적 처리를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오폐수 및 하수를 정화하는 구성이다.
생물막(410)은 생물막처리조(400)에서 착,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생물막(410)의 교체 및 청소시 생물막처리조(40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물막 처리조(400)로 유입되는 오폐수 및 하수의 유량에 따라 생물막(410)의 장착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폭기조(300)에서 슬러지 형태로 포함된 인은 오폐수의 이송 과정에 따라 최종적으로 생물막처리조(400)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렇게 이송된 슬러지는 생물막처리조(400)에 구비되는 수중펌프를 포함한 반송수단에 의해 인제거조(500)에 물과 함께 반송되어 슬러지에 포함된 인을 회수 및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인제거조(500)의 인 회수 및 제거 공정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인을 고형물질화시킨 후, 용출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고형물질로부터 응집제와 인을 분리 및 회수하거나, 흡착제를 이용하여 인을 흡착한 후, 인 탈착 물질을 통해 인을 탈착하여 회수하는 물리화학적 공정을 포함하여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는 중수로서 다양한 용도의 이용수단(600)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인공연못(610)을 제시한다. 인공연못(6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인공적인 연못이 구성되도록 하는 인공수조가 구성된다. 상기 인공수조는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혐기조(100)와 무산소조(200) 사이에 배치되어 혐기조(1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무산소조(200)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배관(110)에 배치된 제1 이송밸브(112)와, 무산소조(200)와 폭기조(300) 사이에 배치되어 무산소조(2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폭기조(300)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배관(210)에 배치된 제2 이송밸브(212)와, 폭기조(300)와 여과챔버(330) 사이에 배치되어 폭기조(3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여과챔버(330)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배관(310)에 배치된 제3 이송밸브(312)와, 여과챔버(330)와 생물막 처리조(400)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챔버(33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생물막 처리조(400)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배관(340)에 배치된 제4 이송밸브(342)와, 인제거조(500)와 폭기조(300) 사이에 배치되어 인제거조(500)에서 인 제거된 물을 폭기조(300)로 이송시키는 제5 이송배관(510)에 배치된 제5 이송밸브(512)와, 생물막 처리조(400)와 생물막 처리조(4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이용수단(600)에 유입시키는 이송펌프 사이에 배치된 제6 이송배관(430)에 배치된 제6 이송밸브(432)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6 이송배관들(110, 210, 310, 340, 510, 430) 각각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112, 212, 312, 342, 512, 432)은 원격터미널장치(900)의 차등적 제어에 응답하여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원격터미널장치(900)는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112, 212, 312, 342, 512, 432)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축 감지부(980)가 g값으로 환산된 디지털 신호를 3축 가속도 신호를 CPU(910)에 제공하면, CPU(910)는 이를 MM스케일로 환산하여 PLC 래더부(970)에 제공할 수 있다. PLC 래더부(970)는 환산된 MM스케일에 따라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112, 212, 312, 342, 512, 432)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생물막 처리조(400)와 인제거조(500) 사이에 배치되어 생물막 처리조(4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인제거조(500)로 반송시키는 제1 반송배관(440)에 배치된 제1 반송밸브(442)와, 폭기조(300)와 무산소조(200) 사이에 배치되어 폭기조(3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무산소조(200)로 반송시키는 제2 반송배관(350)에 배치된 제2 반송밸브(352)와, 이용수단(600)과 생물막 처리조(400) 사이에 배치되어 이용수단(6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시키는 제3 반송배관(630)에 배치된 제3 반송밸브(632)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반송배관들(440, 350, 630) 각각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442, 352, 632)은 원격터미널장치(900)의 차등적 제어에 응답하여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원격터미널장치(900)는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442, 352, 632)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442, 352, 632)의 제어는 PLC 래더부(97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 오폐수 및 하수 처리수의 흐름에 기초하여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혐기조(100)로 오폐수 및 하수가 최초로 유입된다. 혐기조(100)에 유입된 오폐수 및 하수는 제1 이송배관(110)을 통해 무산소조(200)로 이송(w1) 또는 순환되는 과정에서 혐기 조건에 의한 인 방출과 함께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탈질하도록 처리된다.
이후, 무산소조(200)에서 처리된 처리수(w2)는 제2 이송배관(210)을 통해 폭기조(300)로 이송되어 폭기조(300)에서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1차적으로 유기물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폭기조(300)에는 그 하부에 산기관(421)이 구성되어 폭기조(300) 내부의 용존산소(DO)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호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며,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입된 오폐수 및 하수(w2)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1차적으로 분해된다. 이 경우 산기관(421)에는 제1 블로워(b1)가 산소(a1)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기해 폭기조(300)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며, 질산화가 유도된다. 뿐만 아니라, 폭기조(300)에서는 혐기조(100) 및 무산소조(200)의 처리에 의해 방출된 인을 인 제거 미생물에 통해 인 흡수가 실시된다.
이후, 이렇게 폭기조(300)에서 질산화와 인 흡수 및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 및 하수(w3)는 제3 이송배관(310)을 통해 여과챔버(330)로 유입되는데, 여과챔버(330)에는 담체(333)가 내재되어 흡착, 여과가 수행된다. 담체(333)는 스코리아/담체볼을 포함하고 있어 오폐수 및 하수로부터 특히 난분해성 유기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폭기조(300)에서 질산화와 인 흡수 및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 및 하수의 일부는 제2 반송배관(350)을 통해 무산소조(2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오폐수 및 하수를 다시 무산소조(200)에 공급하므로써 질산화와 인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유기물의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과챔버(330)를 통해 생물학적 분해와 입자여과가 수행된 처리수(w4)는 제4 이송배관(340)을 통해 생물막처리조(400)에 이송되어 2차적인 유기물 분해 과정을 거치게 되고, 용도에 따라 제6 이송배관(430)을 통해 이용수단(600)으로 유입된다. 즉 일 예로 이송펌프(P1)에 의하여 인공연못(610)에 유입수(w5)로 유입되고, 경우에 따라 다시 순환수(w8)로서 생물막처리조(400)로 순환되기도 한다. 또한, 스프링쿨러(620)의 유입수(w6)로 유입되어 잔디 등에 살포되어 이용된다.
한편, 생물막처리조(400)에는 여과챔버(330)에서 여과된 처리수(w4)가 제4 이송배관(340)을 통해 유입된다. 생물막처리조(400)에는 생물막(410)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산기관(520)이 구성되어 생물막(410)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며,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입된 처리수(w4)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2차적으로 분해된다.
산기관(520) 역시 제2 블로워(b2)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a2)를 생물막처리조(400)의 내부로 폭기시켜 용존산소(DO)를 증가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한편, 생물막처리조(400) 내에 수용된 처리수(w7)를 제1 반송배관(440)을 통해 인제거조(500)로 반송하도록 한다. 처리수(w7)에 포함된 슬러지에는 폭기조(300)의 작용에 따라 흡수된 인을 포함하는 바, 인제거조(500)에서는 인을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 회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MM스케일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 및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을 제어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I스케일 또는 II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스케일 또는 II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1, TP2, 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오픈시킨다(단계 S102). 이하에서, 제1 이송밸브(TP1), 제2 이송밸브(TP2), 제3 이송밸브(TP3), 제4 이송밸브(TP4), 제5 이송밸브(TP5) 및 제6 이송밸브(TP6) 각각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이송밸브(112), 제2 이송밸브(212), 제3 이송밸브(312), 제4 이송밸브(342), 제5 이송밸브(512) 및 제6 이송밸브(432)에 대응한다. 또한, 제1 반송밸브(RP1), 제2 반송밸브(RP2) 및 제3 반송밸브(RP3) 각각은 제1 반송밸브(442), 제2 반송밸브(352) 및 제3 반송밸브(632)에 대응한다.
만일,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1, TP2, TP3, TP4, TP5, TP6)이 오픈 상태라면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이 오픈 상태라면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수처리 동작은 수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송밸브들이나 반송밸브들이 오픈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는 처리수가 이송되거나 반송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송밸브들이나 반송밸브들이 클로즈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는 처리수가 이송되거나 반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100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스케일 또는 II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III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II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이송밸브(TP1)를 오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2, 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며,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오픈시킨다(단계 S106).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04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II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IV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8).
단계 S108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V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이송밸브(TP1)를 클로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2, 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및 제2 반송밸브들(RP1, RP2)을 오픈시키고, 제3 반송밸브(RP3)를 클로즈시킨다(단계 S110).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이용수단(600)에서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08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V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V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2).
단계 S112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TP1, TP2)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및 제2 반송밸브들(RP1, RP2)을 오픈시키고, 제3 반송밸브(RP3)를 클로즈시킨다(단계 S114).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무산소조(200)에서 폭기조(3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며, 이용수단(600)에서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12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VI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6).
단계 S116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TP1, TP2)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반송밸브(RP1)를 오픈시키고, 제2 및 제3 반송밸브들(RP2, RP3)을 클로즈시킨다(단계 S118).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무산소조(200)에서 폭기조(3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며, 이용수단(600)에서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폭기조(300)에서 무산소조(2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16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VII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I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TP1, TP2)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3, 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클로즈시킨다(단계 S122).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무산소조(200)에서 폭기조(3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며, 이용수단(600)에서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폭기조(300)에서 무산소조(2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생물막 처리조(400)에서 인제거조(5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20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I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4).
단계 S124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내지 제3 이송밸브(TP1, TP2, TP3)를 클로즈시키고, 제4 내지 제6 이송밸브들(TP4, TP5, TP6)을 오픈시키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클로즈시킨다(단계 S126). 이에 따라, 혐기조(100)에서 무산소조(2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무산소조(200)에서 폭기조(30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며, 폭기조(300)에서 여과챔버(330)로 이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이용수단(600)에서 생물막 처리조(4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폭기조(300)에서 무산소조(2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되고, 생물막 처리조(400)에서 인제거조(500)로 반송되는 처리수가 차단될 뿐, 다른 처리수들은 정상적으로 이송되거나 반송된다.
단계 S124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IX스케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8).
단계 S128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X스케일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내지 제5 이송밸브(TP1, TP2, TP3, TP4, TP5)를 클로즈시키고, 제6 이송밸브(TP6)를 오픈시키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클로즈시킨다(단계 S130). 이에 따라, 생물막 처리조(400)에서 이용수단(600)으로 이송되는 처리수만 이송될 뿐 다른 처리수들에 대한 이송이나 반송은 차단된다.
단계 S128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IX스케일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환산된 MM스케일이 X스케일 이상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2).
단계 S132에서 환산된 MM스케일이 X스케일 이상인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 터미널 장치(900)는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TP1, TP2, TP3, TP4, TP5, TP6)를 클로즈시키고, 제1 내지 제3 반송밸브들(RP1, RP2, RP3)을 클로즈시킨다(단계 S134). 이에 따라, 모든 처리수에 대한 이송이나 반송은 차단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축 가속도 센서에서 제공되는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환산된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각종 밸브류들을 차등적으로 현장에서 제어함으로써 지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를 MM스케일로 환산하고 환산된 MM스케일의 정도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의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여과챔버, 생물막 처리조, 인제거조 및 이용수단을 서로 연결하여 처리수를 이송하는 이송배관에 구비되는 이송밸브들이나 처리수의 재처리를 위해 반송하여 반송배관에 구비되는 반송밸브들을 차등적으로 오픈/클로즈 제어함으로써 지진의 스케일에 따라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이 지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20 : 중앙통제실 10 : 네트워크
22 : 서버장치 24 : 모니터
30 : 노트북 45 : 계측기기
46 : 신호기 47 : 펌프
48 : 송풍기 49 : 3축 가속도 센서
50 : 원격지 900 : 원격터미널장치
910 : CPU 920 : SDRAM
922 : 플래시 메모리 930 : USB 통신부
940 : 데이터 통신부 950 : 커널제어부
960 : 데이터 입력부 970 : PLC 래더부
972 : RTU부 974 : HMI부
976 : 웹서비스부 980 : 3축 감지부
100 : 혐기조 200 : 무산소조
300 : 폭기조 330 : 여과챔버
400 : 생물막 처리조 500 : 인제거조
600 : 이용수단 410 : 생물막
110 : 제1 이송배관 112, TP1 : 제1 이송밸브
210 : 제2 이송배관 212, TP2 : 제2 이송밸브
310 : 제3 이송배관 312, TP3 : 제3 이송밸브
340 : 제4 이송배관 342, TP4 : 제4 이송밸브
510 : 제5 이송배관 512, TP5 : 제5 이송밸브
430 : 제6 이송배관 432, TP6 : 제6 이송밸브
440 : 제1 반송배관 442, RP1 : 제1 반송밸브
350 : 제2 반송배관 352, RP2 : 제2 반송밸브
630 : 제3 반송배관 632, RP3 : 제3 반송밸브

Claims (9)

  1. 오폐수 및 하수 처리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류들을 포함하는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
    지진파를 감지하여 3축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밸브류들을 포함하는 제어대상들 각각과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여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밸브류들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원격터미널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원격터미널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서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폐수 및 하수처리시스템은,
    혐기조와 무산소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혐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무산소조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1 이송밸브;
    상기 무산소조와 폭기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산소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폭기조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2 이송밸브;
    상기 폭기조와 여과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챔버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3 이송밸브;
    상기 여과챔버와 생물막 처리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챔버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생물막 처리조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4 이송밸브;
    인제거조와 상기 폭기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제거조에서 인 제거된 물을 상기 폭기조로 이송시키는 제5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5 이송밸브; 및
    상기 생물막 처리조와 상기 생물막 처리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이용수단에 유입시키는 이송펌프 사이에 배치된 제6 이송배관에 배치된 제6 이송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MM스케일(Modified Mercalli Scale)을 근거로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MM스케일이 I스케일 및 II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III스케일 및 IV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이송밸브를 클로즈시키고, 제2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스케일, VI스케일 및 VII스케일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제3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VIII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4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IX스케일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5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고, 상기 제6 이송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MM스케일이 X스케일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6 이송밸브들을 클로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제어대상들과 연결되고, 소정 순서로 프로그램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들 각각을 제어하는 PLC 래더부;
    상기 제어대상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대상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집하고 상기 제어대상들을 제어하는 원격 터미널 유닛부(Remote Terminal Unit, 이하 RTU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3축 가속도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 처리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로 환산하는 3축 감지부; 및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및 상기 RTU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연산하되, 상기 지진파 감지신호의 정도에 따라 상기 RTU부를 제어하여 상기 밸브들 각각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 상기 3축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 상기 PLC 래더부 및 상기 RTU부 사이의 데이터 연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을 상기 PLC 래더부, 상기 RTU부로 전송하는 커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커널제어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상기 PLC 래더부,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HMI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HMI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터미널장치는 복수개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PLC 래더부, RTU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월드 와이드 웹(www) 형식으로 구현하는 웹서비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서비스부는 상기 보드상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140036993A 2014-03-28 2014-03-28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KR10142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93A KR101427176B1 (ko) 2014-03-28 2014-03-28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93A KR101427176B1 (ko) 2014-03-28 2014-03-28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337A Division KR101522864B1 (ko) 2014-05-20 2014-05-20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176B1 true KR101427176B1 (ko) 2014-08-07

Family

ID=5174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993A KR101427176B1 (ko) 2014-03-28 2014-03-28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43B1 (ko) * 2016-11-15 2017-04-10 (주) 아주엔지니어링 센서와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설비용 지진대비 원방 제어시스템
KR20190052773A (ko) 2017-11-09 2019-05-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압가스 및 화학시설용 지진피해 예방시스템
KR102090033B1 (ko) 2019-07-15 2020-03-17 탑인더스트리(주) 수처리설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반
KR102100442B1 (ko) * 2018-10-23 2020-04-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진 취약 시설의 장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6355B1 (ko) * 2006-04-14 2007-07-09 (주)유비이텍 임베디드형 원격 터미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JP2009052295A (ja) * 2007-08-27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水槽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55B1 (ko) * 2006-04-14 2007-07-09 (주)유비이텍 임베디드형 원격 터미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009052295A (ja) * 2007-08-27 2009-03-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水槽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43B1 (ko) * 2016-11-15 2017-04-10 (주) 아주엔지니어링 센서와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설비용 지진대비 원방 제어시스템
KR20190052773A (ko) 2017-11-09 2019-05-1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압가스 및 화학시설용 지진피해 예방시스템
KR102100442B1 (ko) * 2018-10-23 2020-04-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진 취약 시설의 장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033B1 (ko) 2019-07-15 2020-03-17 탑인더스트리(주) 수처리설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ool et al. Removal of toxic metals from wastewater in constructed wetlands as a green technology; catalyst role of substrates and chelators
KR100978939B1 (ko)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 원격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장치
KR101427176B1 (ko)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Malakahmad et al.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for the removal of Hg2+ and Cd2+ from synthetic petrochemical factory wastewater
KR100990737B1 (ko) 지하수 정화처리 및 원격 모니터링 자동제어장치
JPH0857498A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0883436B1 (ko) 생물막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A2339695C (e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from waste water
Mudhiriza et al. Removal of nutrient and heavy metal loads from sewage effluent using vetiver grass, Chrysopogon zizanioides (L.) Roberty
KR20130114765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수질측정 및 수질정화 시스템
Hughes et al. Removal of metals and acidity from acid mine drainage using municipal wastewater and activated sludge
Zhou et al. A screening approach for the selection of drinking water treatment residuals for their introduction to marine systems
KR101522864B1 (ko) 지진 적응형 수처리용 원격 제어시스템
US20160176736A1 (en) Treatment for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 water
KR102090033B1 (ko) 수처리설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반
Rai et al. Constructed wetland: an ecotechnology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conservation of Ganga water quality
Saouter et al. Development and field validation of a microcosm to simulate the mercury cycle in a contaminated pond
Che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programmes
KR100798256B1 (ko) 반응조 결합형 폐수 집수조 및 폐수 처리방법
Affam et al. Application of graded limestone as roughing filter media for the treatment of leachate
Al-Haddad et al. Treatment experiments for removal of hydrogen sulfide from saline groundwater in Kuwait
Kun et al. Arsenic PollutionMechanism and Associated Remediation Strategy in AcidMine Drainage Environments.
Gu et al. Optimization of a modular continuous flow bioreactor system for acid mine drainage treatment using Plackett–Burman design
Mersie et al. Effect of temperature, disturbance and incubation time on release and degradation of atrazine in water columns over two types of sediments
Davoudi et al. Characteristics, treatments, and management for disposal of sanitary wastewater in South Pars Gas process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