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058B1 -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 Google Patents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058B1
KR101427058B1 KR1020137014125A KR20137014125A KR101427058B1 KR 101427058 B1 KR101427058 B1 KR 101427058B1 KR 1020137014125 A KR1020137014125 A KR 1020137014125A KR 20137014125 A KR20137014125 A KR 20137014125A KR 101427058 B1 KR101427058 B1 KR 10142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in
unit
units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7545A (en
Inventor
요시히로 스다
다카아키 고가
동기 이
미키 고자키
미즈호 안자이
요조 후쿠모토
시게요시 노무라
아키라 츠이키
Original Assignee
도꾜 다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꾜 다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도꾜 다이가꾸
Publication of KR2013008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를 제공한다.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고, N-1개의 각 부위에,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을 할당하고,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aptabl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door for a train capable of being universally applied to a heterogeneous train. N-1 trains are divided into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the trains having N number of hatches at each of the hatches, and one or a plurality of units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the respective units and the trains of the door body is set such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of the train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closed by the assigned unit group, So that the entrance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from the position.

Descriptio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및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lifting position variable type home door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lifting position variable type home door,

본 발명은 플랫홈의 측연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플랫홈과 궤도를 구획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 lowering movable door provided close to a side edge of a platform for partitioning a platform and a track.

최근 들어, 철도역의 안전 대책 등에의 대응으로서, 플랫홈 도어, 홈 펜스 등이라고 칭해지는 장치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고, 앞으로도 보급은 진행되어 갈 것으로 생각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플랫홈 도어, 홈 펜스 등을 포괄적으로 홈 도어라고 칭한다.In recent year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safety measures at railway stations, installation of devices called flat door, home fence, etc. is expanding and it is thought that the spread will continue in the futu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platform doors, the home fences, and the lik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groove door.

현재 설치되어 있는 홈 도어는 열차의 도어 배치에 의존하여 개구부가 고정되어 있어, 차량 도어 피치가 상이한 열차가 운행되는 플랫홈에 대응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설치 노선에서는 종별·용도나 차량 형식에 따라, 열차 길이, 편성량수, 도어의 수·넓이·위치 등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열차가 달리는 선로 구간도 많다는 실정이 있다.The currently installed home door depends on the door arrangement of the train, and the opening is fixed, so that it can not cope with the platform where the train with different vehicle door pitch travels. However, there are a lot of lines where there are many different trains with different train length, number of knitting, number of doors, width, position, etc. depending on the type, use and vehicle type.

따라서, 기설치 노선에 홈 도어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열차측의 도어 위치의 통일이나 정위치 정지 장치 도입을 위해서, 열차의 개수·전적·갱신 등의 조정이 필요해져, 엄청난 비용이 들게 된다. 게다가, 열차 종별에 따라 차량을 구분지어 사용하는 것이나 행선지별 정지 위치의 미세 조정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문제는, 홈 도어의 기설치 노선에의 보급의 큰 방해가 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introducing the groove door into the existing installation rout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number of trains, the totality, the update, etc. in order to unify the position of the door on the train side and introduce the stopper. In addition, it becomes im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in type and the fine adjustment of the stop position for each destination. This problem is a great obstacle to the spread of the home door to the existing installation route.

철도 시스템으로서는, 홈 도어에 의해 지금까지 이상의 안전·안심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 당연히 실현하고 있는 다양한 열차에 의한 목적에 따른 운행 형태를 계속하고, 또한 장래의 새로운 열차·운행 형태에의 자유도를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승강 위치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필요하다. 동시에 이들은 정차 위치의 어긋남 등에도 대응 가능하고, 정위치 정지 장치 도입이 불필요하게 됨과 함께, 오버런에 의한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도 큰 이점이 된다.In the railway system, we offer safety and relief more than ever by the home door, and continue the mode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by the various trains that are now realizing naturally, and the freedom to the future new train, It is desirable to secure it. For this purpose, a lift-type movable-type door is required which is capable of "freely varying the lift-up position to some extent". At the same time, these can cope with shifts of the stop position, and it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unnecessary to introduce the stopping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lay due to overru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몇개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만, 그들은 부분적인 동작 기구나 특정한 차량 패턴에만 한정된 대응이며, 또한, 현실에 실시된 예는 없다.Although several proposals have been made so far for the lift-position variable type door, they are limited to a partial operating mechanism or a specific vehicle pattern, and there is no example in reality.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포켓을 가동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동식의 도어 포켓을 구비한 홈 도어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지만, 모두 가동 도어 포켓을 구비한 홈 도어의 부분적인 동작 기구에 대해 언급하는 것에 그친다. 특허문헌 3에는 가동 도어 포켓을 구비한 플랫홈 게이트 시스템을 어떻게 동작시킬지에 관한 개시는 있지만,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한 플랫홈 게이트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시점은 전혀 없다.In order to realize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t is advantageous to operate the door pocket.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door having a movable door pocket, but all refer to a partial operating mechanism of a door having a movable door pocket. Patent Document 3 discloses how to operate a platform gate system having a movable door pocket, but there is no point at how to make a platform gate system capable of coping with a heterogeneous train.

종래의 도어 포켓 고정식의 홈 펜스는, 홈 펜스가 설치된 홈에 정차하는 특정한 1종류의 열차에 대응하여, 당해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홈 펜스를 설치하면 되고, 기껏해야 1량마다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홈 펜스의 구성이나 위치를 결정하면 충분하였다.In the conventional door pocket fixed type home fence, a home fence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one kind of train stopped in a groove provided with the home fence, and at most one car fence It was sufficient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and position of the home fence.

그러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에 정차할 수 있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바, 이종 열차에는, 이종 열차 사이에서, 1량에 있어서의 승강구의 수가 상이한 것,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것, 1량의 길이가 상이한 것,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것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이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However, in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t is necessary to form openings in accordance with the inlet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capable of stopping in the grooves. In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the number of in- ,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s different, the length of one amount is different, the total length of the train is different, etc. Therefore, it is not simpl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and position of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door.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35451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33545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068(특허 제436874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8068 (Patent No. 4368749)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0659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30659

본 발명은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associating)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ssociating an elevator position variable door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a heterogeneous train to a tra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이종 열차의 전체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차종에 대응 가능한 홈 도어의 전체 구성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determin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oor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vehicles while considering the entirety of a heterogeneous train in an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본 발명이 채용한 제1 기술 수단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다.The first technical means adop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ssociating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door with the trai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홈의 일부와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elevating-position variable-typ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nits includ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ar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roove to close at least a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The apparatus for coping with a train of a lift-position variable-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 중 적어도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length dimensions of at least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partitioning a train having N elevator openings in each of the elevation openings,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a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The number of units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middle portion is calculated by using all or part of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one uni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Sudan,

N-1개의 중간 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의 각 중간 부위에,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A unit for assigning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unit group ") calculated by the unit number calculation means to each middle portion of a plurality of consecutive intermediate portions of at least a part of N-1 intermediate portions Group allocation means,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a door pocket and a train of a door body of each unit of the unit group assigned by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is set to a target waiting posi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secutive middle portions are arranged by the assigned unit group And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at the entrance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전체 중간 부위의 각각에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In one form, unit group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s by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하나의 특징은,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고, 각 중간 부위에,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점에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를 대응짓는 이러한 생각은 지금까지는 없는 새로운 사상이다.One featur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train having N cages is divided at each cage to divide into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 And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unit group "). This idea of matching a lift door with a variable home door is a new idea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In one form, the number-of-units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산출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당해 유닛의 최대 개수 및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고,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ntermediate portions ar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the units,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The unit group assigning unit allocates a unit group composed of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stored and the minimum number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In one form, the door pockets of each unit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body,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각 유닛군의 길이 치수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일치하고 있고,The length dimension of each unit group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coincides with the length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middle portion,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도어 몸체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By moving only the door body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each of the doors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1개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유닛군을 할당하는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In one form, an end unit group assigning means is assign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to assign an end unit group composed of one or more units,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과 상기 단부 유닛군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유닛군과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Wherein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at the unit group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end unit group are kept closed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nd th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the end unit group and the unit So that the entrance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the groups.

각 승강구에 있어서의 구획의 형태에 따라, 단부 유닛군의 구성도 상이해진다.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승강구의 중앙에서 구획하는 경우에는,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유닛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nd unit group also differs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compartment in each companion. In the case of partitioning at the center of the entrance door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it is necessary to allocate at least one unit to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전체에 대응하는 구역을 유닛으로 폐쇄 할지 여부에 따라서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또는 후단 부위를 유닛+다른 고정 차폐체로 폐쇄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nd unit group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ni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closed by the unit. 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front end portion or the rear end portion is closed with the unit + another fixed shield.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전단 부위에는,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상기 후단 부위에는,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In one form, the end unit group assigning means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the front end portion, an end unit group having a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rear end portion at the rear end portion And an end unit group having a number of units is assigned.

또한, 승무원실 도어에 대하여 고려하는 경우에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cabin door,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unit group may be different.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단부 유닛군을 포함함)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한다.In one for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each unit and the train of the door body by clos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by the groove door And also determines that each of the doors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target unit groups (including the end unit group) from the target standby posi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pping a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to a train,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lengths of respective port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partitioning a train having N elevator openings in each of the elevation openings;

상기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a doorway included in each of the parts,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Means for calculat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way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region,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ntermediate portions,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과,Means for assigning to each intermediate region a unit group consisting of a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a range of a maximum number stored and a minimum number stored,

적어도 전단 부위의 길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유닛의 수를 계산하는 수단과,Means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rear end portion,

계산된 유닛수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각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과,Means for assigning the unit group consisting of the calculated number of units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배분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과,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the units and the trains of the door body of each unit that has been allocated is closed by a groove do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at each of the doors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the unit groups,

결정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And means for storing the determined target door position of each unit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body.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에 의해 발생함)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단, 공백 부분의 유닛은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할 필요가 없이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When a short train is stopped, when the total lengt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a target platform is differen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hort train and a blank portion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train and the short train). At this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and door body) corresponding to the blank portion. However, the position of the unit in the blank portion may be determined so a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without needing to open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대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In one form, the maximum number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by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decimal point trimming).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대 개수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에서 다시 δ를 뺀 값을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In one form, the maximum number is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delta 隆 from the width dimension of each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and the width dimension of each of the in-door portions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by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Decimals are discarded).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최소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를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절상).In one form, the minimum number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by the maximum width of one unit (decimal point rounding).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각 열차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로 특정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열차마다 열차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위치 특정이 행해진다.In one for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is specified by the coordinates relative to each train. In a typical example, the position is specified by the coordinates with the trains head as the origin for each train.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로 특정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플랫홈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위치 특정이 행해진다.In one form, a target stop position of each train in the platform is assigned, and the target stand-by position is specified by coordinates relative to the platform. In a typical example, the position is specified by coordinates with the platform head as the origin.

복수의 이종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경우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상이하다.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are stopped on the target platform, the target waiting posi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door pockets and door bodies) are different for each different train.

각 이종 열차의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수단은, 최적화의 목적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하나의 예로서, 유닛의 이동 거리를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생각된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of each different kind of train can be optimized. Here, it is conceivable that the optimization means is optimized to redu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unit as much as possible,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optimization.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가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취득되고 있고,In this case, in one form, a target stop position is assigned to each train in the platform,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cquired in coordinates based on the platform,

플랫홈에 정차하는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각 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를 산출하는 수단과,Means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door pocket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kind of train stopped on the platform,

상기 차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가목표 대기 위치를 초기값으로 해서 각 이종 열차의 정지 위치를 최적화하는 수단을 구비한다.And means for optimizing the stop position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trains with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s an initial value so that the difference is minimized.

본 발명이 채용한 제2 기술 수단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로서, 상기한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에 있어서도 사용된다.The second technical means adop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ide-position-variable-type door, which is also used in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ide-position-variable-type door.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longitudinally extending units on the groove, each unit compris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there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에는, 유닛수,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위치가 포함되고,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는, 유닛수 결정 수단과,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ncludes the number of units and the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and door body). In one form, the configuration determining device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ncludes unit number determination means, And a placement determination means.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에 있어서,In one form, in the cruise position variable door configuration determining apparatus,

유닛수 결정 수단은,The number-of-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respective length dimens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partitioning each of the hatche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a hatchway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And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ntermediate portions,

이종 열차마다,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trains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for each heterogeneous train,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서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를 폐쇄 가능한 유닛수이다.And means for determining an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and determining the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as the first unit number, It is the number of units that can close the whole intermediate part of the longest trai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In one form, the heterogeneous train comprises at least one train of different lengths,

최장 열차와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longest train and the short train,

상기 길이의 차에 기초하여, 당해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Means for correcting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short train according to the longest train based on the difference in length,

보정 후의 최대 총 수 및 최소 총 수를 사용하여 중복 범위가 구해진다.The redundant range is obtained using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after correc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길이의 차는,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와 당해 짧은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의 차이다.In one form, the difference in lengt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ngest train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hort trai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보정 수단은,In one form,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전체 중간 부위끼리의 길이의 차이어도 됨)를 구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trains to be corrected and the longest train (the lengths of all intermediate portions may be different)

1유닛의 최소폭 치수 및 최대폭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차에 대응하는 유닛의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구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a virtual maximum number and a virtual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using a minimum width dimension and a max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상기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각각 가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d means for adding the virtual maximum number and the virtual minimum number to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the train to be corrected, respectively.

다른 보정 수단으로서는, 최장 열차와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길이의 비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곱한 것이어도 된다.As another correction means, the ratio of the total length of the longest train to the correction target train may be multiplied by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the train to be corrected.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중복 범위의 유닛 최소 총 수이다.In one form, the first unit number is a unit minimum total number of the overlapping range.

상기 형태에서는, 전체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구하는 것이지만, 각 열차에 있어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포함시킨 전체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구하고, 그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로부터 유닛 총 수를 구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is obtained. In each train,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all units includ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obtained, The total number of units may be obtain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수 결정 수단은,In one form, the unit number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In the longest train that stops on the platform, the trains are partitioned at each entrance to divide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a rear end portion to obtai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and correspond to the length dimension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st number of units to be used,

전단 부위 및/또는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rmining a second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 or the rear end portion,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소정수로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And means for making the sum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a predetermined number.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In one form, 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number of units,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by dividing into a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a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each of the elevation openings in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acquired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region for each heterogeneous train And

이종 열차마다,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each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for each different train,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Means for obtain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trains and setting the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as the first unit number.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In one form, 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number of units,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obtaining a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by dividing the longest trai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each of the inlets,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each unit in the longest train Means for acquiring,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Means for obtaining the maximum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in the longest train respectively and setting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as the first number .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폐쇄 가능한 수이다.In one form, the second unit number is a number capable of clos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인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적어도 최장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또한,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플랫홈의 길이에 수용되는, 개수로 결정된다.In one form, the number of the second units is such that a groove door compris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which is the sum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longest train total length, The number of the doors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platform.

하나의 형태는, 상기 장치는,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In one form, the apparatus includes unit placement determination means,

상기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은,The unit arrangement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이종 열차마다, 상기 제1 유닛수의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All or a part of the units of the first number of units are assigned to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unit groups ")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to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Unit group assignment means for assigning unit group assignment means,

할당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각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the assigned units and the trains of the door body is set such that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closed by the assigned unit group,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at the entrance is locat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In one form,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opping on the platform includes at least one train of different lengths,

상기 할당 수단은,Wherein,

짧은 열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In a short train, a number of units of the number of the first units is allocated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당해 짧은 열차의 최소 총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의 차를 유닛의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의 평균으로 나누어 빈 부분의 개수를 산출하고, 제1 유닛수에서 상기 빈 부분의 개수를 뺀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비를 제1 유닛수에 곱한 수를 사용하는,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 number of part of the first unit number " is appropriate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by using the minimum total number of short trains for which the difference from the longest train is the average of the maximum and minimum dimensions of the unit A number obtained by dividing the ratio of the longest train to the short train by the number obtained by multiplying the first unit number by the ratio of the longest train to the short train is used .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수의 유닛 중 제1 유닛수의 유닛을 할당하는 것이며,In one form, the means for assigning the unit group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is for allocating a first unit number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소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제1 할당 수단과,First allocation means for allocating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분의 유닛을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배분하는 제2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d second allocation means for distributing the redundant units in order from the largest one of the lengths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when the redundant units are generated.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여분의 유닛을 상기 전단 부위 및/또는 상기 후단 부위에 할당하는 제3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In one form, when the redundant unit not alloca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ccurs in the unit of the first unit number, the third allocation means allocates the redundant unit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 or the rear end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기설치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새로운 이종 열차의 도입의 가부, 및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한 홈 도어의 목표 대기 위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The m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of the existing installati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a new heterogeneous train and the use of the new one for efficiently determining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for the longitudinal train .

하나의 형태에서는,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는,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a ride-position variable type door on a groove to an old-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nits includ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ar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roove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respective length dimens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M-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dividing a new-type longitudinal train having M cooperating doors at each entrance,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a train included in each portion of the slave train,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stituting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A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of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longitudinal train, a front end portion, a rear end portion, a total length of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door and a total length of the longitudinal train, a maximum width of one unit, Means for calculat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using the width dimensions of the hatches included in the respective portions,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calculated portion,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new longitudinal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상기 기설치의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d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home door of the base installation is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longitudinal train.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결정된 후에는, 대응짓기 장치의 유닛군 할당 수단,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position of the ride-on position variable doo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ngitudinal trai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train using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of the coordinat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 장치는, 이종 열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홈 도어 설치시, 설치 후(신열차 도입시의 체크)의 양쪽에 사용된다.The m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eterogeneous train in general use, and is used in both of a door door installation and a installation (check at introduction of a new train).

본 발명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이종 열차의 전체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차종에 대응 가능한 홈 도어의 전체 구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determin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oor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vehicles while considering the entirety of a heterogeneous train in a lift-position variable type doo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other effects a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일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일 실시 형태를 홈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홈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홈 펜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궤도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4는 가동 도어 포켓의 주행 기구 및 구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볼 나사 구동 방식, (B)는 벨트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B)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기본 유닛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전형적인 형태에서는, 동일한 기본 유닛을 홈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 도어를 구성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도어의 구성 배치와 움직임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기본 유닛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플랫홈, 열차, 홈 도어를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플랫홈, 열차, 홈 도어의 길이의 차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1a는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2는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3은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형태예.
도 14의 (A)는 최대 개수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 (B)는 최소 개수의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의 (A) 내지 (E)는 중간 부위에 있어서의 유닛군의 각 유닛의 위치의 결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16a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의 스텝을 예시하는 도면.
도 17은 승무원 도어와 전단 부위의 관계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유닛 배치의 검토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유닛 배치의 검토예를 도시하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track side; FIG.
1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groove side.
FIG.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 orbit side; FIG.
FIG. 2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ov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groove side.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groov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rack side.
Fig. 4 is a view showing a traveling mechanism and a driving method of the movable door pocket, wherein Fig. 4 (A) shows a ball screw drive system and Fig. 4 (B) shows a belt drive system.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s of the traveling mechanism / driving system of Fig. 4 (A).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driving mechanism / driving method of Fig. 4 (B).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se unit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roove door by providing the same basic unit in a groove lengthwise direction in a typical manner.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moving method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dimens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base unit;
10 is a view showing definitions of terms defining a platform, a train, and a door.
FIG. 10A is a view illustrating a difference in length of a platform, a train, and a groove door; FIG.
Fig. 1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in is partitioned at each hatch.
Fig. 11A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in is partitioned at each hatch;
Fig.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rain is partitioned at each hatch.
Fig. 1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rain is partitioned at each hatch.
FIG. 1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the maximum number, and FIG. 1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the minimum number. FIG.
Figs. 15A to 15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each unit in the unit group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Fig.
1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Fig. 16A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s of a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Fig.
17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rew door and a front end portion.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amination of a unit arrangement;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amination of a unit arrangement;

[A]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A] Configuration of the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도어 몸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도어 포켓이, 플랫홈의 바닥면에 당해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설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각 도어 포켓은, 롤러 등의 주행체,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갖고, 당해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주행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개별로 이동 가능하다.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a door pocket for accommodating the door body in a slidable manner is movable along a guide rail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Each of the door pockets has a driving means such as a roller or a motor and a motor and is capable of moving individu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by moving the traveling body along the guide rail by the driving mean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저면이 넓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도어 몸체도 도어 포켓보다 약간 작을뿐이고 마찬가지의 단면 형상으로 된다. 도어 몸체는 도어 포켓에 지지되어, 도어 포켓의 양측에 각 1매가 출입하거나, 혹은 편측에 1매가 2단으로 출입하는 유닛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홈 단부에 매설한 2개의 레일을 따라 유닛이 이동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밑단 확대의 삼각형 단면으로 함으로써, 저면의 폭을 크게 취하여 지지를 효과있게 하면서, 구동 기구를 포켓 공간이 있는 하부에 설치하여 무게 중심을 아래로 함으로써, 전도 모멘트에의 저항력을 보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어 포켓·도어 몸체 모두 홈단 한계선까지 확장함으로써, 홈 도어와 차체 사이에 사람이 설 여지를 없애고 있다. 그로 인해 승차하려다 승차할 수 없었던 승객은 반드시 홈 도어의 도어 몸체 사이에 끼이게 되어, 홈 도어의 문 폐쇄 센서만으로 검지 가능하게 되므로, 승차하지 못한 승객 검지용 센서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 삼각형 단면의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constituted by a door pocket having a wide bottom face and a door body having a wide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units. The door body is also slightly smaller than the door pocket and has a similar cross-sectional shape. The door body is supported by a door pocket, and one unit i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door pocket, or one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in a second unit (refer to FIG. 7). And a mechanism for moving the unit along two rails embedded in the groove end. It is aimed to supplement the resistance to the conduction moment by making the width of the bottom face large and making the supporting effect effective while providing the driving mechanism at the bottom with the pocket space so as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have. At the same time, both the door pocket and door body are extended to the limit line, eliminating the need for people to stand between the door and the car body. As a result, passengers who can not get on the bus due to being ridden are necessarily trapped between the door bodies of the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only by the door closing sensor of the door. Therefore, the passenger detecting sensor which can not be ridden can be omitted.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door comprising the unit (door pocket + door body) of a triangular s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플랫홈(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이드레일(2)은 플랫홈(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짧은 가이드 레일을 플랫홈(1)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배치해도 된다. 가이드 레일(2)은 플랫홈(1)의 바닥면 내에 매설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부위의 상면이 플랫홈(1)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되어 있다.A guide rail 2 is ext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 [ In one form, the guide rail 2 extends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platform 1. [ Further, a plurality of short guide rails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 [ The guide rail 2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guide rail 2 is embedded is flus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궤도측의 측연부에 근접하여 복수의 가동 도어 포켓(3)이 설치되어 있고,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3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31)(궤도측 면)와, 정상부(32)과, 저면(33)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사람의 신장보다도 낮은 높이(低背)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movable door pockets 3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in the vicinity of the side edge portion on the track side. Each movable door pocket 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along the guide rail 2, And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able door pocket 3 has a first surface portion 30 facing the groove side, a second surface portion 31 facing the track side (orbit side surface), a top portion 32, a bottom surface 33 . The movable door pocket 3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movable door pockets 3 are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a person.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동일한 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도어 몸체,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단면 형상은, 가동 도어 포켓(3)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는 네스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1A and 1B, each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includes two door bodies protruding from the same side surface with respect to one movable door pocket 3, that is, a first door body 4, And a second door body (5). The 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th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first door body 4, The second door body 5 is nested.

제1 도어 몸체(4)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4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41)(궤도측 면)와, 정상부(42)와, 저면(도 1a, 도 1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The first door body 4 has a first surface portion (groove surface) 40 facing the groove side, a second surface portion 41 (orbit side surface) facing the orbit side, a top portion 42, (Hidden in FIGS. 1A and 1B and not visible), and has a tri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제1 도어 몸체(5)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5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51)(궤도측 면)와, 정상부(52)와, 저면(도 1a, 도 1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The first door body 5 has a first surface portion (groove surface) 50 facing the groove side, a second surface portion 51 (orbit side surface) facing the raceway side, a top portion 52, (Hidden in FIGS. 1A and 1B and not visible), and has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가동 도어 포켓(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도어 몸체(4)의 기단부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도어 몸체(4)의 내부 공간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제1 도어 몸체(4)를, 제1 도어 몸체(4)에 대하여 제2 도어 몸체(5)를 어디까지 끌어 들일 수 있도록 할지는 설계상의 문제이며,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선단측이 제1 도어 몸체(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inner sp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first door body 4 is formed. The front end side of the door of the first door body 4 is in the form of an opening and the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oor rear end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5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body 4. It is a design problem to designate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can be pulled relative to the first door body 4 with respect to the movable door pocket 3,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door body 4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 or the front end side of the door of the second door body 5 protrudes from the first door body 3 4).

제1 도어 몸체(4)가 가동 도어 포켓(3)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제2 도어 몸체(5)가 도어 몸체(4)의 측면의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제2 도어 몸체(5)의 측면끼리가 접촉된 자세에 있을 때에 가동 홈 펜스는 폐쇄 상태로 되고, 제1 도어 몸체(4)가 가동 도어 포켓(3) 내에 인입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가 제1 도어 몸체(4) 내에 인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제2 도어 몸체(5)의 측면이 이격하여 그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가동 홈 펜스는 개방 상태로 된다. 혹은, 인접하는 가동 도어 포켓(3)의 한쪽 또는 양쪽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하는 가동 도어 포켓(3)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가동 홈 펜스는 개방 상태로 된다. 후자와 같이, 가동 도어 포켓의 한쪽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 자세에 있는 도어 몸체에 대하여 당해 돌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가동 도어 포켓을 당해 도어 몸체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의 다른 쪽의 단부면측에 개구를 형성하여 개방 상태로 해도 된다(가동 도어 포켓이 도어 몸체로서 기능함).The first door body 4 protrudes from the opening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the second door body 5 protrudes from the opening of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4, 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vable fence is closed and the first door body 4 is drawn into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 or the second door body 5, The side of the adjacent second door body 5 is spaced apart and a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movable fence is in an open state. Alternatively, one or both of the adjacent movable door pockets 3 mov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adjacent movable door pockets 3, whereby the movable fence is in an open state. By moving the movable door pockets relative to the doo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sture is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door body in the protruding posture from one end f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The movable door pocket functions as a door body).

도 1a, 도 1b의 형태에서는,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가 돌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를 각각 돌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1개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양쪽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2개의 도어 몸체,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단면 형상은, 가동 도어 포켓(3)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는 네스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동 도어 포켓(3)에 수납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에 수납된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1A and 1B show that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from the same side, The door body may be protruded. 2A and 2B, each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includes two door bodi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one movable door pocket 3, that is, a first door body 4 ', a second door body 4' And a second door body 5 '. 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door body 4'and the second door body 5'are superimposed on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th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first door body 4 ' , And the second door body 5 has a nest shape.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below,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of the first door body 4 'housed in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body 5 'To slideably receive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제1 도어 몸체(4´)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4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41´)(궤도측 면)와, 정상부(42´)와, 저면(도 2a, 도 2b에서는 숨겨져 있어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The first door body 4 'has a first surface portion (groove surface) 40' facing the groove side, a second surface portion 41 '(orbit side surface) facing the track side, a top portion 42' , And a bottom surface (not shown hidden in Figs. 2A and 2B), and has a tri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제1 도어 몸체(5´)는, 홈측에 면하는 제1 면부(홈측 면)(50´)와, 궤도측에 면하는 제2 면부(51´)(궤도측 면)와, 정상부(52´)와, 저면(53´)을 구비하고 있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The first door body 5 'has a first surface portion (groove surface) 50' facing the groove side, a second surface portion 51 '(orbit side surface) facing the orbit side, a top portion 52' And a bottom surface 53 ', and has a tri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쪽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동 도어 포켓(3)의 내부 공간에는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 측면은 개구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도어 몸체(4´)의 내부 공간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을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의 수납 시에는, 한쪽 측면으로부터 가동 도어 포켓(3)에 인입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후단측에, 다른 쪽 측면으로부터 가동 도어 포켓(3)에 인입된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인입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에 대하여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를 어디까지 끌어 들일 수 있도록 할지는 설계상의 문제이며,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한쪽 측면에서 돌출되고, 및/또는,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선단측이 가동 도어 포켓(3)의 다른 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동 도어 포켓(3)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제1 도어 몸체(4´), 제2 도어 몸체(5´)가 각각 돌출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인입된 상태(수납 자세)에서 제1 도어 몸체(4´)와 제2 도어 몸체(5´)의 도어 후단측끼리가 서로 인입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In the inner sp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the door rear end side of the first door body 4 ', the door rear end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5' Respectively. The rear side of the door of the first door body 4 'is formed in an opening shape and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door rear end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5'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body 4 ' . That is, when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are accommodated, the first door body 4 ', which is drawn into the movable door pocket 3 from one side,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of the second door body 5 'drawn into the movable door pocket 3 from the other side is slidably received. It is a matter of design to what extent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can be pulled with respect to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in the most extended state (storage position) The door front end side of the body 4'is projected from one sid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and / or the door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5'is projected from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the first door body 3 '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may not be inserted into each other.

가동 도어 포켓에 대하여 도어 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은,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 수납부 내에 설치되고, 도어 몸체의 개폐 이동시에 도어 몸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과, 도어 몸체를 가이드수단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구동 기구의 구동원으로서는 전형적으로 모터가 사용된다.The structure for slidingly moving the door body relative to the movable door pocket includes guide means provided in the door body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door pocket for guiding the door body when the door body is opened and closed and slide means for sliding the door body along the guide means And a motor is typically used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driving mechanism.

또한, 일반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포켓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도어 몸체는 미닫이 장치로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도어 몸체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자동미닫이도 또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몸체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있어서, 이들 기술을 적용해도 된다.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패널이 돌출되는 것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11-334579호에 개시되어 있고, 참조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도어 포켓에 대하여 당해 도어 포켓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설치하고, 한쪽의 도어 몸체를 다른 쪽의 도어 몸체를 수납하는 중간 도어 포켓으로서 형성하고, 다른 쪽의 도어 몸체가 한쪽의 도어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한쪽의 도어 몸체가 도어 포켓의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28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0034호에 개시되어 있고, 참조할 수 있다.Further, in a general door device, a door body slidable with respect to a door pocke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sliding door device, and an automatic sliding door that automatically slides the door body is also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mechanism for moving the door body, these techniques may be applied. The door panel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door pocket,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334579, and is referred to.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wo door bodies protruding from the same side of the door pockets with respect to one door pocket and one door body as an intermediate door pocket for accommodating the other door body,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0-16281 and 2008-280034 disclose that the body is housed in one door body and one door body is housed in the housing portion of the door pocket And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가동 도어 포켓(3)의 하면(33)에는 주행체로서의 차륜(35)이 설치되어 있고(도 4 내지 도 6 참조),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3)은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2)은 플랫홈(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어 있지만, 각각의 가동 도어 포켓(3)의 이동량에 맞추어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을 단속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가동 도어 포켓(3)은 차륜(35)을 회전시켜서 자주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 기구에 의해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동 도어 포켓(3)은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가동 도어 포켓(3), 제1 도어 몸체(4, 4´), 제2 도어 몸체(5, 5´)의 서로의 대향면에는, 면끼리의 직접 접촉을 규제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4 to 6), the wheel 35 is caused to roll along the guide rail 2 so that th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movable door pockets 3, (3)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 As described above, in one form, the guide rails 2 extend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platform 1, but a plurality of guide rails may be intermittent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respective movable door pockets 3 You can also install it. The movable door pockets 3 are provided with drive mechanisms for turning the wheels 35 frequently so that the wheels 35 move along the guide rails 2 by the drive mechanism,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 The first door body 4 and the second door body 5 and 5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the first door bodies 4 and 4', and the second door bodies 5 and 5 ' A guide means is provided.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가동 도어 포켓의 주행 기구 및 구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는 볼 나사 구동 방식, (B)는 벨트 구동 방식을 나타낸다. 가동 도어 포켓(3)의 하면(33)에는, 가동 도어 포켓(3)의 폭 방향, 깊이 방향(두께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2개씩, 합계 4개의 차륜(35)이 설치되어 있다. 각 차륜(35)은 수직 형상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브래킷(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랫홈(1)의 바닥면에는, 판상의 브래킷(36)이 삽입 관통 가능한 미세 폭의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5)의 홈 폭은, 승객의 구두나 다른 신발, 지팡이의 선단, 가방 하단부의 롤러 등이 인입되지 않는 치수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veling mechanism / driving system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4 to 6. Fig. 5 is a view showing a traveling mechanism and a driving method of the movable door pocket. (A) shows a ball screw drive system, and (B) shows a belt drive system. Four wheels 35 in total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33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with two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depth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able door pocket 3, respectively. Each of the wheels 35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late-like bracket 36 extending vertical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there is formed a fine width groove 15 through which a plate-like bracket 36 can be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width of the groove portion 15 is designed so that the shoes of the passenger, other shoes, the tip of the cane, the roller at the lower end of the bag, and the like are not introduced.

브래킷(36)에는, 차륜(35) 전후 또한 상방에 위치해서 2개의 스토퍼륜(37)이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륜(37)의 상방에는 커버(20)가, 그 상면이 플랫홈(1)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지주(25)에 지지시켜서 설치되어 있고, 커버(20)의 하면은 스토퍼륜(37)를 안내하는 레일을 형성하고 있다. 차륜(35), 브래킷(36), 스토퍼륜(37)는 새시 롤러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있다. 도어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측 방향의 하중(도어 포켓 전도에 의한 들어올리는 힘)은 스토퍼륜(37)로 지지하고, 하측 방향의 도어 포켓 자중은 플랜지를 구비한 차륜(35)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In the bracket 36, two stopper wheels 37 are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wheel 35 and above. A cover 20 is provided above the stopper wheel 37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illars 25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is flus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 is supported by a stopper wheel 37 are formed. The wheel 35, the bracket 36, and the stopper wheel 37 form a chassis roller assembly. In the door car assembly, the loa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lifting force by the door pocket conduction) is supported by the stopper wheel 37, and the weight of the door pocket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wheel 35 provided with the flange .

도어 배치가 상이한 이종 열차에 플렉시블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은 각각 개별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각각의 가동 도어 포켓(3)에 독립된 구동원(모터) 및 전동 기구가 준비된다. 도시의 형태에 있어서, 4개의 차륜(35) 중, 어느 차륜(35)을 구동륜으로 하고, 어느 차륜(35)을 종동륜으로 할 것인지, 혹은, 모든 차륜(35)을 구동륜으로 할 것인지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는, 편측의 모터 M 및 전동 기구의 인출선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하의 기재는 한쪽에 모터를 설치한 경우, 양쪽에 모터를 설치한 경우의 양쪽에 적용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도어 포켓(3)에는 플랫홈(1)에 설치된 관리 장치로부터 적절히 명령을 수신하여 가동 도어 포켓(3) 및 도어 몸체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flexibly cope with different types of trains with different door arrangements, each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needs to be driven individually, so that a separate driving source (motor)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are prepared for each movable door pocket 3 .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ur wheels 35 which wheel 35 is the drive wheel and which wheel 35 is the follower wheel or whether all the wheels 35 are the drive wheels. As shown in FIG. 5 and 6, the outgoing lines of the motor M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on one side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pplied to both the case where the motor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case where the motor is provided on both sides. Can be understood. The movable door pockets 3 are provided with a control section for appropriately receiving commands from the management apparatus provided in the platform 1 and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door body.

도 4의 (A),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1)의 바닥면 내의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공간 내에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볼 나사(16)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볼 나사(16)에는 슬라이더(볼 너트)(17)가 볼 나사(1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장되어 있고, 슬라이드(17)는 차륜(35)을 지지하는 브래킷(36)에 고정되어 있다. 볼 나사(16)의 일단부측에는 종단부 베어링(18)이, 타단부측에는 감속기(19)를 통해 모터 M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으로 모터 M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17)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서,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 상을 구름 이동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모터 M의 회전이 정지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정지한다.5, in the space in which the guide rails 2 ar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guide rails 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vable door pockets 3) And a ball screw 16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16. A slider (ball nut) 17 is mounted on the ball screw 16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16 and the slide 17 is fixed to a bracket 36 for supporting the wheel 35 have. A motor M is connected to the end bearing 18 on one end side of the ball screw 16 and the speed reducer 19 on the other end side. The slider 17 is moved in either the right or left direction by selectively rotating the motor M by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heel 35 rolls on the guide rail 2 so that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moved to the platform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M is stopped and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stopped.

도 4의 (B),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1)의 바닥면 내의 가이드 레일(2)이 매설된 공간 내에는, 각 가동 도어 포켓(3)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권회 벨트체(21)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벨트체(21)는 구동 풀리(22)에 권회되어 있고, 타단부측에 있어서 벨트체(21)는 종동 풀리(23)에 권회되어 있고, 벨트체(21)는 상측부(21A)와 하측부(21B)로 이루어진다. 차륜(35)을 지지하는 브래킷(36)은 벨트 클램프(24)를 통하여 벨트(21)의 상측부(21)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풀리(22)는 모터 M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으로 모터 M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풀리(22)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고, 벨트체(21)의 상측부(21A)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서 차륜(35)이 가이드 레일(2) 상을 구름 이동하여 가동 도어 포켓(3)이 플랫홈(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가동 도어 포켓(3)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모터 M의 회전이 정지되어 가동 도어 포켓(3)이 정지된다.6, in the space in which the guide rails 2 ar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1, guide rails 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winding belt body 21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belt body 21. The belt body 21 is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22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2 and the belt body 21 is wound around the driven pulley 23 at the other end side , And the belt body 21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21A and a lower portion 21B. A bracket 36 for supporting the wheel 35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21 of the belt 21 via a belt clamp 24. The drive pulley 22 is rotatably driven by the motor M. The motor M is selectively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an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rive pulley 22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move the upper side portion 21A of the belt body 21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door pockets 3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1 by rolling over the rails 2. When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M is stopped and the movable door pocket 3 is stopped.

가동 도어 포켓(3)을 구비한 가동 홈 펜스에 대해서는, 이미 몇 가지의 제안이 있고(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가동 도어 포켓(3)이나 도어 몸체의 형상이나 구성, 가동 도어 포켓(3)의 주행 기구·구동 방식에 대해서도 여기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력만을 받는 진동 멈춤용 빔(도시하지 않음)에 지지시킨 레일(6)을 상부에 설치하고, 각 도어 포켓(3)에 설치한 지지 바(7)를 레일(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홈 도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동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는 천장 높이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re are already several proposals for the movable door fences having the movable door pockets 3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able door pockets 3 and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door body, 3)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her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design th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rail 6 supported by a vibration stop beam (not shown) receiving only a lateral forc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support bar 7 Can be moved along the rail 6 as shown in Fig. Further, the movable door pockets and the doo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ight extending to the ceiling height.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도어 포켓과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단일 유닛의 반복으로 구성된다. 통합된 크기의 1종류의 반복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비용 억제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기본 유닛으로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하나의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된 형태, (B) 하나의 도어 포켓의 편측으로부터 2개의 도어 몸체가 돌출된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기본 유닛을 일렬로 배열하고, 각 도어 포켓을 개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도어 위치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is composed of a single unit consisting of a door pocket and a door body. The fact that it can be composed of only one kind of repetition of the integrated size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cost control. As shown in Fig. 7, the base unit includes (A) a door body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one door pocket, (B) two door bodie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one door pocket . By arranging the basic units in a row and allowing each of the door pockets to be moved individually, it become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problems caused by a change in door position of the train.

예를 들어, 도어 포켓체를 길이 1.4m 전후, 도어 몸체를 유효 길이 1.0m 정도로 함으로써, 20m 3도어·4도어차의 대부분은 이 유닛만으로 대응 가능하게 된다. 기본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 8의 (1), (2)를 보면, 20m 4도어차와 3도어차에의 대응으로, 열차에 맞추어 각 도어 포켓체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의 (1), (3)과 같이, 20m과 18m 등 차량 길이가 상이한 열차가 혼재하는 경우에는, 각 열차의 정지 위치 자체도 조금씩 어긋나기 때문에, 편성의 전체적인 검토가 필요해지지만, 8량 편성의 20m 4도어차와 18m 3도어차의 검토에서는 문제없이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정도의 정차 위치 어긋남까지는 홈 도어에서 대응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거리까지의 오버런에 홈 도어가 추종하는 것이나, 행선지·종별 등에서 정차 위치를 도어 1개소분 어긋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For example, most of the 20 m 3 doors and 4 door cars can be handled by only this unit by making the door pocket body about 1.4 m long and the door body about 1.0 m effective length. 8 (1) and (2) showing the basic movement show that each door pocket body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train in correspondence with the 20 m 4 door car and the 3 door car. As shown in (1) and (3) of FIG. 8, when trains having different vehicle lengths such as 20m and 18m are mixed together, the stop positions themselves of the trains are slightly shifted, It is possible to respond without any problem in reviewing 20m 4 door car and 18m 3 door car of knitting. Further, the door can be dealt with up to a certain degree of stop position deviation. This enables the home door to follow the overrun to the distance, or to make the stop position shift by one door in the destination, the typ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차량의 통일이나 정위치 정지 장치를 장비하는 일 없이 도입이 가능하고, 현재에서는 신설 노선이나, 소규모로 통일된 기존 노선에서밖에 도입이 어려웠던 홈 도어가, 기술적으로는 거의 모든 노선에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equipping the vehicle or equipping with the stopping device of the vehicle and at the present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me door which is difficult to introduce only on a new route, Technically, installation is possible on almost all routes.

[B]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동작 제어[B] Operation control of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열차에 따라 상이한 도어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오는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를 얻을 필요가 있다.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의 취득 방법으로서는, 열차가 홈에 진입해 온 시점에서 열차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취하는 것, 전광 게시판 등에 표시하는 운행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차측에 열차 정보를 저장한 IC 태그를 설치해 두고, 열차가 홈에 진입했을 때에 홈측에 설치한 수신부에서 열차 정보를 수신하고, 얻어진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이동 제어가 행해진다. 열차측의 IC 태그에 저장된 열차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도어 위치, 차량수, 열차 길이를 들 수 있다. 혹은, IC 태그에는 열차의 ID만을 기억해 두고, 제어 장치측에 열차 ID와 열차 정보의 대응 테이블을 저장해 두고, 대응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열차 정보를 사용하여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이동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홈에는 열차의 정지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해 두고, 실제로 정차한 열차의 위치의 표준 정지 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을 검출한다. 정지 위치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홈 전단부와 열차 선두의 위치 관계로부터 측정을 행한다(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거함). 열차의 실제의 정차 위치와 열차 정보로부터 홈 상의 열차의 도어 위치를 알 수 있다.In order to correspond to different door positions according to trains, it is necessary to obtain do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ext train. Examples of the method of acquiring the door position information of a train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train at the time when the train enters the groove,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electric bulletin board, and the like. As a former method, for example, an IC tag storing train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train side, and train information is received at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groove side when the train enters the groove, and based on the obtained train information, Movement control of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door is performed. The train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tag on the train side includes, for example, the door position, the number of vehicles, and the length of the train. Alternatively, only the ID of the train may be stored in the IC tag, the correspondence table of the train ID and the train information may be stored on the control device side, and the movement of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may be controlled using the trai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ence table. Further, a stop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 train is provided in the groove, and a shift from the standard stop position of the position of the actually stopped train is detected. The stop position detecting device performs measurement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groove and the front end of the train (for example, by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It is possible to know the door position of the train on the groove from the actual stop position of the train and the train informatio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열차의 종류에 대응하여 각 도어 포켓의 위치(도어 포켓의 정지 위치, 즉 개방하기 직전의 도어 포켓 위치)가 결정되어 있고, 당해 열차가 표준 정지 위치에 정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각 도어 포켓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정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표준 정지 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이 검출된 경우에는, 각 도어 포켓이 어긋남을 보상하도록 이동한다.The position of each door pocket (the position of the door pocke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oor pocket just befor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train is determined in the lift-position variable type door, and the train is stopped The respective door pockets ar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a shift from the standard stop position is detected by the stop position detecting device, each door pocket moves to compensate for the shift.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열차의 종류에 대응하여, 차량 도어에 대응하여 승강구로 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의 이동량(0 내지 최대 돌출량 사이) 및/또는 도어 포켓 자체의 이동량(0 내지 최대 돌출량 사이)이 결정되고 있고, 각 도어 포켓이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도어 몸체 또는/및 도어 포켓이 소정량 이동하여 개구를 형성한다.(Between 0 and the maximum protrusion amount) of the door body of each door pocket and / or the door (not shown) of the door body so as to form an opening serving as a doo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oor, (Between 0 and the maximum protrusion amount) of the pocket itself is determined. After each door pocket ha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oor body and / or the door pocket moves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form an opening.

하나의 형태에서는, 다음에 오는 열차의 도어 위치 정보를 사전에 취득하여, 열차가 진입하기 전에 미리 다음에 오는 열차에 맞추어 천천히 부드럽게 도어 위치를 이동해 둔다. 미리 움직이는 것에 의해, 열차 도착시의 도어 위치 조정 시간이 최소한이면 되어, 쓸모 없이 소요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위치의 조정에는 도어의 개폐와 같은 재빠름은 필요없고, 천천히 이동할 수 있으면 되므로, 도어 포켓체의 구동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In one form, the do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ext train is acquired in advance, and the door position is smoothly moved smoothly in accordance with the next train before the train enters. By moving in advance, the tim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when the train arrives can be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quired time from being extended unnecessaril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driving device of the door pocket bod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sum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as long as it can be moved slowly.

하나의 형태에서는, 홈 도어를 열차 대기 중의 폐쇄 상태에서는 항상 저속(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0 내지 80㎜/s)으로 이동시킨다. 대다수의 사람에게, 만지지 말자, 거리를 두자고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하는 것은 안전상 바람직하다. 홈 도어를 열차 대기 중인 폐쇄 상태에서는 항상 저속으로 이동시킴으로써(예를 들어, 홈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고, 열차의 도래에 맞추어 소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 부주의하게 접촉하거나 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어, 움직일 때에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서 경고 램프나 경고음을 부가할 필요도 없어진다.In one form, the door is always moved at a low speed (for example, 40 to 80 mm / s as described later) in the closed state in the train air. It is for the sake of safety that it is natural for most people to avoid touching and distancing. When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while the train is waiting, the door is always moved at a low speed (for example,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moving toward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arrival of the train) And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warning lamp or a warning sound to notify the danger when moving.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서는, 홈 도어 전체가 이동하기 때문에, 홈 상의 여객에 대하여 열차로부터 가까운 곳에 이동체가 존재하게 되어, 홈 도어의 동작에 수반하여, 종래 이상의 불쾌감·불안감·위화감·공포감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들 감각은 속도뿐만 아니라, 승객과의 거리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승객이 불쾌감 등을 피하여 홈 도어 등으로부터 떨어지면, 그만큼 홈의 유효폭이 작아져, 공간 효율이나 혼잡율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since the entirety of the door is moved, a moving object is present near the passenger in the groove close to the train.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an unpleasantness, anxiety, discomfort, . These senses are thought to affect not only speed, but also distance to passengers. For example, if the passenger is away from the door or the like avoiding discomfort, the effective width of the groove becomes smaller, which may adversely affect space efficiency and congestion rate.

본 발명자들이, 이용자에게 불쾌감 등을 부여하지 않는 홈 도어(높이가 낮은 홈 펜스)의 이동 속도와 승객의 거리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피험자 실험을 행한 바, 40 내지 80㎜/s 사이에 승객의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은 적절한 속도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기존 홈 펜스에서는 800㎜ 정도 떨어져 기다리는 사람이 많고, 실험의 어느 조건에서도 평균값·중앙값은 700㎜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정도의 속도라면 극단적으로 홈의 유효 이용 폭이 좁아지는 일은 없다고 생각된다.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speed of the groove door (the low-height home fence) and the distance of the passenger which does not give the user discomfort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experiments, Suggesting that there is a reasonable rate of relatively low stress. In the conventional home fence, there are many people waiting about 800 mm apart. Since the mean value and the median value are less than 700 mm under any condition of the experi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ive use width of the groove is not extremely narrowed at this speed.

[C]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C] Correspondence between elevator position variable door and trai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와 열차의 대응짓기를 행하는 장치는, 입력부, 기억부, 연산부,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고,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정보 및/또는 기억부에 기억된 기억 정보를 사용하여 연산부가 소정의 계산을 행하고, 계산 결과를 출력부로부터 출력하게 되어 있다. 대응짓기 장치의 각 수단은,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door and the train will be described. The apparatus for making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type door and the train correspond to each other includes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an arithmetic unit, and an output unit.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and / or stor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alculation result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Each means of the mapping apparatus can be constituted by a computer, and each step in this embodimen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C-1] 기본 개념의 설명[C-1] Explanation of basic concepts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A concept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1) Lifting position variable door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플랫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기재 및 관련되는 도면에서는 높이가 낮은 유닛을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의 높이 치수는 상관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는, 소위 홈 펜스 타입의 것, 풀 스크린 타입의 것이 포함된다.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is constituted by a unit consisting of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and one or more door bodies on the platform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longitudinal directions. Although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 and related drawings disclose a unit having a low heigh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unit (door pocket, door body) does not mat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alled home fence type or a full screen type.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열차가 플랫홈에 정차하여 승강구가 개방되고 있을 때 이외(열차 진입시, 통과시, 출발시, 대기시)에는, 폐쇄 상태가 유지되어 플랫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한편, 열차에의 여객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train is stopped on the platform and the door is opened (when the train enters, when passing, when starting, when waiting),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pace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orbit is closed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passenger hovers and rides on the train.

여객이 안전 또한 원활하게 오르고 내리기 위해서는,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는, 대응하는 승강구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승강구를 폐쇄하는 열차측의 2매의 도어 몸체에 대하여 홈 도어측의 2매의 도어 몸체가 대응하는 경우에는, 홈 도어의 유닛의 1매의 도어 몸체의 폭 치수는, 차량 도어의 1매의 도어 몸체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In order for the passenger to safely and smoothly ascend and descend,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units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hatch opening. Therefore, when two door bodies on the side of the door are corresponding to two door bodies on the train side for closing the door, the width dimension of one door body of the unit of the door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of the vehicle do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body of the piece.

예를 들어 M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각 유닛(각 도어 포켓·각 도어 몸체)에는 M개의 도어 포켓 및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를 식별하는 ID가 부여되어 있다. 각 유닛, 즉, 각 도어 포켓, 각 도어 몸체는, 기억부에 기억된 각 ID에 의해 특정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유닛(도어 포켓)에 ID1, 2, 3, 4, 5, 6··이 부여되고, 유닛(1)의 전방측의 도어 몸체에 ID11, 유닛(1)의 후방측의 도어 몸체에 ID12가 부여되어 있다. 유닛(2) 이후의 도어 몸체도 마찬가지로 ID가 부여된다.For example, in an elevating / lowering position movable door composed of M units, each unit (each door pocket, each door body) is provided with IDs for identifying M door pockets and door bodies of the respective door pockets. Each unit, that is, each door pocket and each door body is specified by each ID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example of Fig. 10, ID1, 2, 3, 4, 5, 6 ... are assigned to units (door pockets) in order from the front, ID11, unit 1 is attached to the door body on the front side of the unit 1, The ID 12 is attached to the door body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The door body after the unit 2 is similarly given an ID.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은, 기본이 되는 유닛의 구성, 총 유닛수,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로부터 특정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에 의해, 어떤 시점에 있어서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상태가 특정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플랫홈과 궤도 사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맞추어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승강 위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specifi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basic unit, the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 door body). The state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at a certain point of time is specified by the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 door body) constituting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The elevating position can be vari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 door body)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orbit 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

각 유닛(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는, 각 이종 열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각 열차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x(k)(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열차의 선두를 원점으로 함)로 취득된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 상에 설치되므로, 실제의 제어에서는 플랫홈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X(k)(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홈의 전단부를 원점으로 함)로 특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실제로는, 열차마다 목표 정차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플랫홈 상의 열차의 정차 위치의 검출 장치는 기지이므로, 플랫홈에 대한 열차의 정지 위치를 알면, 열차에 대한 좌표와 플랫홈에 대한 좌표는 변환 가능하다.The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 door body) is determined such that the relative coordinates x (k) relative to each trai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Since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provided on the platform, it is convenient to specify the coordinate X (k) relative to the platform in the actual control (for example,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as the origin as shown in Fig. 10) Do. In practice, since the target stop position is often determined for each train, and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on the platform is known, knowing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the coordinates for the train and the coordinates Can be converted.

도 10a는, 플랫홈 PF의 길이 LPF,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 PFD의 길이 LPFD, 3개의 이종 열차 T1, T2, T3의 길이 L1, L2, L3의 (L1이 최장)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형적으로는, LPF≥LPFD≥L1이다. 최장 열차 L1과 짧은 열차 L2의 길이의 차는, L12F+L12R이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 PFD의 길이 LPFD와 열차 L3의 길이의 차는, LPFD3F+LPFD3R이다. 후술하는 공백 부분의 길이는, L12F+L12R을 가리키는 경우(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와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와, LPFD3F+LPFD3R을 가리키는 경우(예를 들어, 기설치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새롭게 도입 예정인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가 있다. 도 10a에서는 길이의 차를 전후로 분배하여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열차의 정차 위치 등에 따라서 차의 전후의 분배는 상이하다.Figure 10a, of the platform PF length L PF, riding position variable groove length L PFD, 3 of two kinds of train doors PFD T 1, T 2, T 3 length L 1, L 2, L 3 of the (L 1 is up to Fig. Typically, L PF ≥L PFD ≥L 1 .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longest train L 1 and the shortest train L 2 is L 12F + L 12R .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L PFD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door PFD and the length of the train L 3 is L PFD 3F + L PFD 3R . The length of the blank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L 12F + L 12R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length of the longest train and the total length of the short train) and L PFD3F + L PFD3R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length of the position-variable-type door and the total length of a new train to be introduced). In Fig. 10A, the difference in length is shown as divided back and forth, but in actuality, the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differs depending on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and the like.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는, 열차의 일부에만 대응하여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설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lthough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longest train that typically stops on the platfor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here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only a part of the train .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 상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최장의 길이는 플랫홈 전체 길이이다. 또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설치되는 플랫홈의 전체 길이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의 전체 길이는 당해 플랫홈보다도 짧고, 플랫홈 전체 길이-최장 열차 전체 길이의 빈 부분(전방 및/또는 후방에 발생함)이 플랫홈 상에 발생한다. 이러한 빈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될 필요는 없고, 도어 몸체를 구비한 고정 도어 포켓, 도어 몸체가 없는 고정 펜스나 고정 벽 등의 차폐체에 의해 폐쇄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 도어 몸체(11)의 전방측에 고정 펜스(점선으로 나타냄)를 설치하고, 도어 몸체(11)의 선단의 좌표를 고정해도 된다(이 경우에도 도어 포켓(1)은 도어 몸체(11)를 인입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음).Since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provided on the platform, the longest length is the entire length of the platform. The total length of the platform on which the lift-position variable-type door is install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ypically, the total length of the longest train that stays in the platform is shorter than that of the platform, and an empty portion (occurring in front and / or rear) of the entire length of the platform-the longest train is generated on the platform. The empty portion is not necessarily closed by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but may be closed by a fixed door pocket provided with the door body, a fixed fence without the door body, or a shielding member such as a fixed wall. 10, a fixed fence (indicated by a dotted lin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body 11, and the coordinates of the front end of the door body 11 may be fixed (in this case, Can move forward while pulling the door body 11).

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유닛에 있어서, 도어 포켓의 위치를 항상 고정해 둠으로써, 도어 몸체를 구비한 고정 도어 포켓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랫홈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설치하고, 전방측, 후방측의 1개 이상의 유닛을 고정하여 차폐체로서 사용해도 된다.Alternatively, the unit may be used as a fixed door pouch having a door body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door pockets in the units loca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if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at the entire length of the platform, and fix at least one unit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o use it as a shielding body.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 상에 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고정 도어 포켓(고정 펜스이어도 됨)을 설치하고,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전후의 고정 도어 포켓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고정 도어 포켓간의 거리를 폐쇄 가능함과 함께, 고정 도어 포켓간에서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위치를 정하여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one form, a fixed door pocket (which may be a fixed fence)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provided on the platform, and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tween the front and rear fixed door pockets It i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can clo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door pockets, and the door pockets and the door body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door pockets to open the door body, have.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기술 사상은, 유닛의 이동 범위와는 독립하여 성립되는 것이지만,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범위는, 도어 포켓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어 포켓이 레일측에 설치한 구동 수단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왕복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그 가동 범위를 초과하여 도어 포켓이 이동할 수 없다. 한편, 각 도어 포켓이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접한 도어 포켓에 겹치거나, 앞지르거나 할 수 없다는 제한을 제외하고, 각 도어 포켓의 이동의 자유도가 크다.The moving range of each unit (door pocket) of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influenced by the mechanical range of movement of the door pocket. Can receive. For example, when each door pocket is reciprocally mov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driving means provided on the rail side, the door pocket can not move beyond the movable ran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each door pocket is equipped with the driving means, there is a great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each door pocket, except for the restriction that the adjacent door pockets can not overlap or overtake.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각 유닛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있는 경우에는, 계산상 얻어지는 각 유닛에 필요한 이동 범위를 각 유닛의 가동 범위와 비교하는 공정을 마련하면 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또는,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기지인 경우에, 계산을 행할 때의 조건으로서 가동 범위를 사용하여 계산을 행해도 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한정된 가동 범위를 구비한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f there is a mechanical operating range of each unit, a step of comparing the moving range required for each unit obtained by calculation with the operating range of each unit may be provided. I can understand.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mechanical operation range is know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operation range as a condition for performing the calculation.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unit having a limited movable range.

(2)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2) Maximum width and minimum width of base units

1개의 도어 포켓과 1개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은, 모든 도어 몸체가 도어 포켓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된 제1 자세와, 모든 도어 몸체가 가능한 한 도어 포켓 내에 수납된 제2 자세를 취한다. 제1 자세에 있는 유닛의 폭 치수를 최대폭 치수, 제2 자세에 있는 유닛의 폭 치수를 최소폭 치수라고 한다.A unit comprising one door pocket and one or more door bodies takes a first posture in which all the door bodies project maximum from the door pockets and a second posture in which all the door bodies are accommodated in the door pockets as far as possible. The width dimension of the unit in the first posture is referred to as the max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unit in the second posture is referred to as the minimum width dimension.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The maximum width dimension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the unit are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유닛의 구성 형태로서는,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된 타입, 도어 포켓의 편측으로부터만 도어 몸체가 돌출된 타입이 예시된다.As a configuration of the unit, there is a type in which the door body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door pocket, and a type in which the door body protrudes only from one side of the door pocket.

전자의 형태, 즉, 기본 유닛이, 하나의 도어 포켓과, 당해 도어 포켓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2매의 도어 몸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포켓의 폭 치수를 「a」라고 하고, 각 도어 몸체의 유효 치수(최대 돌출시의 치수)를 모두 「b」라고 하면,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는 「a+2b」로 된다. 각 도어 몸체는 완전히 도어 포켓 내에 퇴피 가능한 것으로 하면, 기본 유닛의 최소폭 치수는 「a」가 된다.In the case where the main unit is composed of one door pocket and two door bodi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door pocket,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pocket is set to "quot; a " and the effective dimension of each door body (the dimension at the time of maximum protrusion) is " b ",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basic unit is " a + 2b ". Assuming that each door body is completely retractable in the door pocke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the basic unit is " a ".

기본 유닛의 최대폭 치수 및 최소폭 치수는, 기본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maximum width dimension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the basic uni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asic unit.

(3) 목표 대기 위치(3) Target waiting position

목표 대기 위치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플랫홈에 정차한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를 형성하기 직전의 위치를 말한다. 플랫홈에 대한 각 이종 열차의 승강구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가 설정된다.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opening / closing position variable door is formed to match an entrance of a train stopped in a platform. Since the positions of the hatches of the respective different types of trains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can be different,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is set for each different kind of trai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서는,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양쪽이 가동이기 때문에,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since both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are movable,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is determined by the door pockets of the respective units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body.

실제의 제어 형태예에서는, 이종 열차마다, 모든 도어 포켓·도어 몸체에 대하여 ID와 관련지어 목표 대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각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현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대상으로 되는 이종 열차가 정차할 때까지, 각 도어 포켓·도어 몸체가 목표 대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모터에 명령을 내린다.In the actual control form example,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of each door pocket / door body in addition to setting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ID for every door pocket / door body for each kind of train , Commands each motor to move each door pocket / door body to the target standby position until the target heterogeneous train stops.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목표 대기 위치간의 각 유닛의 이동 거리는, 당해 유닛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 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moving distance of each unit between the target wait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is set to be within the mechanical operating range of the unit.

[C-2]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C-2] Thinking about coping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으로 되는 열차의 어느 승강구에 대응하여 어느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될지를 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을 이종 열차마다 대응지을 필요가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of the units of the target train the opening is to be formed with, so that the units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here is a need.

본 발명에서는,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어떤 열차가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이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후 양단은 구획선에 의해 구획되게 된다. N-1개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이들을 식별하기 위한 ID가 붙여진다. 예를 들어, 열차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연번으로 ID를 붙인다. 도 11 내지 도 13의 예(본원의 각 도면에 있어서, 좌측이 진행 방향, 즉 전방이며, 우측이 후방임)에서는, 9개의 승강구 D1 내지 D9를 구비한 열차를, 전단 부위 F, 8개의 중간 부위 I1 내지 I8, 후단 부위 R로 분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train which stops on a target platform has N elevators, this train is partitioned at each elevator opening so that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one rear end portion .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line. Each of the N-1 intermediate parts,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is given an ID for identifying them. For example, an ID is assigned in sequence from the front of a train.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1 to 13 (the left side in the drawings is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ight side are rear), the train having nine elevators D 1 to D 9 is referred to as a front end portion F, 8 The intermediate portions I1 to I8, and the rear end portion R, respectively.

N-1개의 각 중간 부위 I1 내지 I8, 전단 부위 F, 후단 부위 R의 길이 치수 l0 내지 l9가, 각 부위의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전단 부위 F의 길이 치수가 l0이며, 각 중간 부위 I1 내지 I8의 길이 치수가 각각 l1 내지 l8로 되어 있고, 후단 부위 R의 길이 치수가 l9이다.The length dimensions l 0 to l 9 of the N-1 intermediate portions I 1 to I 8 , the front end portion F and the rear end portion R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s of the respective portions. In the example of Figure 11, and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F l 0, a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 I 1 to l the length of the I 8, each one to be a l 8, and the length of the rear portion R l 9.

각 구획은, 예를 들어 열차의 선두를 원점으로 한 좌표로 특정되어 있고, 각 부위의 길이는 좌표값의 차로서 취득된다.Each section is specified by, for example, a coordinate with the origin of the train as the origin, and the length of each section is obtained as the difference of the coordinate values.

각 승강구에도 ID가 부여되어 있고, 각 승강구의 폭 치수가,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다.IDs are also assigned to the respective elevator hatches, and the width dimensions of the respective hatching doors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s.

N-1개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가, 각 부위의 ID와 각 승강구의 ID를 관련지어서 기억된다.The entrance of each of the N-1 intermediate parts,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D of each part and the ID of each entrance.

전형적으로는, 승강구 ID는 차량 도어 ID이며, 차량 도어가 복수매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예를 들어 양쪽 개방 도어) 경우에는, 각 도어 몸체에도 ID가 붙여진다. 또한, 차량 도어가 1매의 한쪽 개방 도어인 경우에는, 차량 도어 ID=승강구 ID로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Typically, the door ID is a vehicle door ID, and when the vehicle door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door bodies (for example, both door openings), an ID is also attached to each door body. Further, when the vehicle door is one open door, it can be handled as the vehicle door ID = hatch ID.

전형적으로는, 차량 도어는 분리 접촉 가능한 2매의 도어 몸체를 구비한 양쪽 개방 도어이며, 각 도어 몸체는 승강구의 폭 방향의 절반부를 각각 폐쇄하게 되어 있고, 당해 2매의 도어 몸체의 도어 선단부끼리가 접촉된 상태로 폐쇄 자세로 되어 차량 승강구를 폐쇄하고, 2매의 도어 몸체가 이격됨으로써 승강구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각 도어 몸체에 ID를 붙임으로써, 2개의 도어 ID에 의해, 각 승강구의 특정 및 승강구의 어느쪽의 절반부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Typically, the vehicle door is a two-way door having two door bodies that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Each door body is adapted to close a half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way, and door ends of the two door bodies The door is closed and the door body is separated from the door so that the door is opened. For example, by attaching an ID to each door body,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identification of each of the doors and the half of the doors by using the two door IDs.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9개의 승강구 D1 내지 D9에 있어서, 승강구 D1을 형성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D11, D12로 한다. D11+D12로 승강구 D1을 특정할 수 있고, D11로 승강구 D1의 전방측 절반부, D12로 승강구 D1의 후방측 단부를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2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21, D22, D3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31, D32, D4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41, D42, D5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51, D52, D6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61, D62, D7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71, D72, D8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81, D82, D9에 대응하는 2매의 도어 몸체를 D91, D92로 한다.For example, in the nine elevators D 1 to D 9 shown in FIG. 11 , the two door bodies forming the elevator door D 1 are D 11 and D 12 , respectively, in order from the front.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elevator door D 1 at D 11 + D 12 , specify the front-side half of the elevator door D 1 at D 11 , and identify the rear-side end of the elevator door D 1 at D 12 . Similarly, two door bodies corresponding to D 2 are denoted by D 41 , two door bodies corresponding to D 21 , D 22 and D 3 are denoted by D 41 , two door bodies corresponding to D 31 , D 32 and D 4 , D 42, the two sheets of the door body which corresponds to D 5 D 51, D 52, D 6 D to two of the door body which corresponds to 61, D 62, D 7 to two of the door body which corresponds to D 71 , D 72 and D 8 are denoted by D 91 and D 92 , respectively, and the two door bodies corresponding to D 81 , D 82 and D 9 are denoted by D 91 and D 92 , respectively.

여기서, 승강구란, 당해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했을 때에 여객의 승강을 목적으로 하여 실제로 개방되는 승강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량에 4개의 승강구(차량 도어)를 구비한 열차의 어느 차량에 있어서, 어떤 플랫홈에 정차했을 때에 4개 중 3개의 승강구밖에 개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제로 개방되는 3개의 승강구가 구획 대상으로 된다.Here, the elevator means a hatch which is actually open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passenger when the train stops on a target platform. For example, in a vehicle having four elevator hatches (vehicle doors) in one car, when three of the four hatches are opened only when a certain platform is stopped, three hatches It becomes a compartment target.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한다」라는 것은, 승강구의 폭 내의 부위 혹은 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이며, 이하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The phrase " compartment in each of the compartments " means a compartment at a portion within the width of the compartment or at an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ollowing form can be exemplified.

승강구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1 참조).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trance door (see Fig. 11).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중앙으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중앙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방 단부, 후방 단부에는 승강구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ortion refers to the area from the center of the hatch to the center of the adjacent hat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include an entrance portion.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전방측 절반부 D11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후방측 절반부 D92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The front end portion, the zone from the train head corresponds to the portion of the front to the side of half unit D 11 of the D 1 of the foremost vehicle hatch, a rear end portion is to from the end back side half portion D 92 of the room vehicle hatch D 9 train rearmost As shown in FIG.

승강구의 후방(진행 방향과 반대) 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2 참조).And is located at the rear edge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hatch (see Fig. 12).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후단부에는 승강구가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ortion refers to the area from the rear end edge of the hatching to the rear end edge of the adjacent hatching. The rear end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includes an entrance.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The front end por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from the front of the train to the rear end edge of the vehicle access port D 1 at the foremost posi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from the rear end edge of the rear vehicle access port D 9 to the rear end of the train .

승강구의 전방(진행 방향) 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구획한다(도 13 참조).And is partitioned at the front (forward direction) end edge of the hatch (see Fig. 13).

이 경우,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인접한 승강구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각 중간 부위의 전방 단부에는 승강구가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ortion refers to the area from the front end edge of the hatching to the front end edge of the adjacent hatching. The front end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includes an entrance.

전단 부위는, 열차 선두로부터 최전방의 차량 승강구 D1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 후단 부위는, 최후방의 차량 승강구 D9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열차 최후미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으로 된다.The front end por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rom the front of the train to the front end edge of the vehicle access port D 1 at the foremost posi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corresponds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rom the front end edge of the rear vehicle access port D 9 to the rear end of the train .

승강구를 개폐하는 차량 도어(양쪽 개방 도어)의 폐쇄시의 도어 선단측 부위(2매의 도어 몸체의 도어 선단측끼리의 접촉 부위)에 있어서 구획해도 된다. 이 경우, 폐쇄 자세에 있는 2매의 도어 몸체의 돌출 폭 치수가 동일하면, 폐쇄 자세에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선단부는, 상기 차량 승강구의 개구폭 중앙과 일치하고 있고, 승강구의 중앙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과 동일해진다.(The contact portions of the door front ends of the two door bodies) at the time of closing of the vehicle door (both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this case, if the protruding width dimensions of the two door bodies in the closed posture are the same, the door front end of the vehicle door in the closed posture coincides with the opening width center of the vehicle entrance, .

승강구의 상기 이외의 위치(폭 내에서 중앙이 아닌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중간 부위를 구획해도 된다. 이 경우, 승강구의 폭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분할되었는지를 기억함과 함께, 전방측 부분, 후방측 부분 각각의 폭 치수를 기억해 둔다.The middle portion may be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ther than the above (a portion which is not the center within the width) of the entrance. In this case, it is memorized at which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trance, and the width dimension of eac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is stored.

또한,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차를 전단 부위, 중간 부위, 후단 부위로 구획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획 방법으로 통일적으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respective drawings, when the train is divid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in is unifiedly divided by the same partitioning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하는」 것에 의해, 각 중간 부위는, 승강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게 된다.In this way, by "partitioning in each hatch," each middle portion includes part or all of the hatch.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형태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예시된다.Examples of the form of "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are as follows.

중간 부위의 양단에 각각 승강구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2개의 승강구 부분의 폭의 합계 치수이다(도 11 참조). 도 11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도어 몸체 D12의 폭 치수와 도어 몸체 D21의 폭 치수의 합계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일단부측의 승강구의 일부 및 타단부측의 승강구의 일부가 모두 승강구(동일 폭)의 절반의 폭 치수이면, 결과적으로,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1개의 승강구의 폭 치수(1/2+1/2)로 된다. 또는, 양단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의 합계(예를 들어, 2/5+3/5)가 1개의 승강구의 폭 치수로 되도록 구획해도 된다.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entrance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is the total dimension of the widths of the two entrance portions (see FIG. 11).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 1 of Figure 11, the "width of the hatch" included in the middle region is a sum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body D width of 12 and a door body D 21. In this case, for example, if a part of the entrance of the one side and a part of the entrance of the other end are both widths of half the width of the entrance (the same width),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 And the width dimension (1/2 + 1/2) of one hatch. Alternatively, the total width (for example, 2/5 + 3/5) of the width of the entrance portion included at both ends may be partitioned into a width dimension of one entrance.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각 승강구의 폭 치수를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각 승강구의 폭 치수는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이종 차량의 혼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경우도 있다. 승강구의 폭 치수가 상이한 예로서는, 폭이 좁은 승강구를 1매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width dimensions of the respective cages are the same, but the width dimensions of the cages are not necessarily constan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train is composed of hybrid vehicles, the width dimensions of the entrance doors may be different. As an example in which the width dimension of the hatch is different, there is a case where a single sliding door opens and closes a narrow hatch.

도 11a에 있어서, 연속되는 중간 부위 In(길이 ln), In+1(길이 ln+1)에 있어서, In은 승강구 Dn의 중앙 부위로부터 승강구 Dn+1의 중앙 부위, In+1은 승강구 Dn+1의 중앙 부위로부터 승강구 Dn+2의 중앙 부위까지를 구획하고 있지만, 승강구 Dn의 폭 치수와 승강구 Dn+1, Dn+2의 폭 치수는 상이하다.In Figure 11a, a continuous intermediate region I n (length l n), I n + 1 ( length l n + 1) according to, I n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hatch D n + 1 from the center of the hatch D n, I n + 1 is hatch D n + While defining the center up to a position of the hatch D n + 2 from the center of first, entrance D n width as the hatch D n + 1, is different from a width of D n + 2 of Do.

또한,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중간 부위의 일단부에 승강구(Dn)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고, 타단부에 승강구(Dn+1)의 전부가 위치하고 있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re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elevation gate D 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ll of the elevation gate D n + 1 is located at the other end portion.

중간 부위의 전후 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만 승강구의 전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그 승강구의 폭 치수이다(도 12, 도 13 참조). 도 12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승강구 D2의 폭 치수이다. 도 13의 중간 부위 I1에 있어서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는, 승강구 D1의 폭 치수이다.In the case where all of the entrance doors are located at only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opening"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is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opening (see FIGS. 12 and 13).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 1 of Figure 12, the "width of the hatch" included in the middle portion is a width of the doorway D 2.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 1 of Figure 13, "the width of the hatch" included in the middle portion is a width of the doorway D 1.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일부 또는 전부(예를 들어, 도어 몸체 ID로 특정됨)에 대해서, 위치(중간 부위의 양단,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폭 치수가 당해 중간 부위의 ID와 관련지어져서 기억부에 기억된다.(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width dimension are related to the I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in relation to a part or all of the hatches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for example, specified by the door body ID) It is built and memorized.

전단 부위 F, 후단 부위 R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형태로서는,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13),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1), 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2),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12),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1), 후단 부위에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13)가 있다.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included in the front end portion F and the rear end portion R includes the case where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is not included in the front end portion (FIG. 13) and the front end portion includes a part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Fig. 11). In the case where the front end portion includes all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Fig. 12), the rear end portion does not include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Fig. 12) (Fig. 11), and the rear end portion includes all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hatch (Fig. 13).

이와 같이, 차량 도어마다나 차량마다가 아니고, 열차를, 승강구로부터 승강구의 부위(중간 부위)로 나누어 생각한다. 중간 부위는 차량과는 완전히 독립해서 설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도 있고, 동일한 열차에 있어서도 중간 부위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각 중간 부위에 대하여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유닛군)을 할당한다. 즉, 플랫홈에 정차한 열차의 인접하는 승강구간의 구역에, 유닛군을 대응시킨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는, 주로, 도 11의 구획 형태에 도 7의 (A)의 유닛을 대응시키는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열차의 구획 형태와 유닛의 구성 형태의 조합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의 (B)의 유닛을 도 12, 도 13의 구획 형태에 대응시켜도 된다.In this manner, the train is considered not to be per vehicle door or per vehicle, but to be divided into a portion from the entrance and a portion (middle portion) of the entrance. Since the intermediate portion is set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vehicle, there are some that includ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not constant even in the same train. One or a plurality of units (unit groups)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That is, a unit group is made to correspond to a zone between adjacent hatches of a train stopped on a platform.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mainly, a description is given based on a mode in which the unit of Fig. 7 corresponds to the unit of Fig. 11, but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unit of FIG. 7 (B)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gment form of FIGS. 12 and 13.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중간 부위에 유닛군을 대응시키는데 있어서,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는, 유닛의 구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고, 미리 기억부에 기억된다. 예를 들어, 도어 포켓a의 양측으로부터 도어 몸체가 돌출되는 것에 있어서,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가 b이고, 도어 몸체가 완전히 도어 포켓 내에 인입되어 수납되는 경우에는, 유닛의 최대폭 치수는, a+2b, 최소폭 치수는 b가 된다(도 9 참조). 예를 들어, a=1400㎜, b=1100㎜이면, 최대폭 치수는 3600㎜, 최소폭 치수는 1400㎜로 된다.In one form,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s of the unit are used to correspond the unit groups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width dimension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the un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and ar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section. For example, when the door body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door pocket a and the maximum protruding dimension of the door body is b and the door body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door pocket,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unit is a + 2b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is b (see Fig. 9). For example, when a = 1400 mm and b = 1100 mm, the maximum width dimension is 3600 mm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is 1400 mm.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취득함으로써 행한다. 취득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각각 기억부에 기억해 둔다. 최대 개수=최소 개수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e allocation of the unit group to the intermediate reg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one uni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minimum number. The acquired maximum number and minimum number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respectively. There may be a maximum number = minimum number of cases.

취득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한다. 취득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어떻게 선택할지에 대해서서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이며,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지시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단계에서는 모든 조합을 선택하여 기억부에 기억해 두고, 후속 공정에서 조건을 부과하여 좁혀도 된다. 또는, 초기값으로서, 최소 개수 또는 최대 개수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A unit group consisting of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acquired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is assigned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How to select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acquired is a matter that can be suitably se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can be specified as a program in advance. For example, in the first step, all the combinations may be selec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ditions may be imposed on the subsequent steps to narrow them down. Alternatively, the minimum number or the maximum number may be selected as the initial value.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구역을 폐쇄할 수 있음과 함께, 대응하는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The unit group consisting of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can close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portion and can also close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opening corresponding thereto.

최대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버림). 여기서는,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 중에 가능한 한 많은 유닛을 넣는 것을 생각한다.The maximum number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by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decimal point trimming). Here, it is considered to put as many units as possible in the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k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k×최소폭 치수+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이다. a=1400㎜, b=1100㎜,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1300㎜의 예로 말하면, 1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1400+1300=2700㎜이며, 2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2800+1300=4100㎜이고, 3개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는, 4200+1300=5500㎜이다.The minimum dimension for accommodating k units is " k x minimum width dimension + width dimension of hatchway included in intermediate portion ". In the example of a = 1400 mm, b = 1100 mm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in the intermediate portion = 1300 mm, the minimum dimension for accommodating one unit is 1400 + 1300 = 2700 mm, The minimum dimension for accommodating the three units is 4200 + 1300 = 5500 mm.

도 14의 (A)에서 설명하면, 중간 부위 In의 치수가 ln이며, 중간 부위 In의 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d/2이고, 중간 부위 In의 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d/2이며, 1유닛의 최소폭 치수가 a이다. 최대 개수의 유닛이 수용되기 위한 최소 치수 ln´=ln-d/2-d/2이며, 최대 개수는, (ln-d)/a(소수점 버림)로 된다.Is described in (A) of Fig. 14, the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and l n, the width of the entrance part includ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is a d / 2, and the middle portion rear side of I n The width dimension of the included part of the hatch is d / 2,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is a. The minimum dimension l n '= l n -d / 2-d / 2 to be the maximum number of units is received, the maximum number is, it is a (l n -d) / a (decimal abandoned).

도 14의 (A)의 예에서는, 중간 부위 In에는 3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이 대응지어지게 된다. 3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적어도 양단의 2개의 유닛이 도어 몸체를 돌출시킴으로써, 당해 유닛군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당해 유닛군이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4 (A), a unit group composed of three units is associat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 The unit group consisting of three units can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unit group by protruding at least the two units at both ends of the door body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4A, It is possible to clos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portion on the front side and the entrance portion on the rear side included in the region I n . Further, as shown in Fig. 14 (A), the unit group can form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s of the rear sid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

하나의 형태에서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당해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에서 다시 δ를 뺀 값을 1유닛의 최소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해도 된다(소수점 버림). 여유δ의 값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In one form, the margin?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gain from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by dividing the value by the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 The value of the margin? Can be appropriately se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최소 개수는, 각 중간 부위의 치수를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된다(소수점 절상). 여기서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유닛으로 적어도 중간 부위의 치수에 대응시키는 것을 생각한다.The minimum number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by the maximum width of one unit (decimal point rounding). Here, it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dimension of at least the intermediate portion with as few units as possible.

k개의 유닛을 대응할 수 있는 최대 치수는, 「k×최대폭 치수」이다. a=1400㎜, b=1100㎜의 예로 말하면, 1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1400+2200=3600㎜이며, 2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7200㎜이고, 3개의 유닛이 대응 가능한 최대 치수는, 10800㎜이다.The maximum dimension that k units can correspond to is " k x maximum width dimension ". In the example of a = 1400 mm and b = 1100 mm, the maximum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one unit is 1400 + 2200 = 3600 mm, the maximum size that two units can accommodate is 7200 mm, The maximum possible dimension is 10800 mm.

도 14의 (B)의 예에서는, 중간 부위 In에는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이 대응지어지게 된다.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은, 도 14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적어도 양단의 2개의 유닛이 도어 몸체를 도어 포켓측에 인입함으로써,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유닛군은 중간 부위 In에 포함되는 전방측의 승강구 부분, 후방측의 승강구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4 (B), a unit group composed of two units is associat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 Unit group composed of two units, from the state shown in (B) of Figure 14, by at least an incoming two units door body at both ends of the door pocket side, the art unit group has a front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region I n-side It is possible to form an opening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entrance of the car and a part of the entrance of the car on the rear side. Further, as shown in Fig. 14 (B), the unit group can close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entrance portion on the front side and a portion of the entrance portion on the rear sid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 n .

하나의 형태에서는, 미리 여유δ를 설정해 두고, 각 중간 부위의 치수에 δ를 첨가한 값을 1유닛의 최대폭 치수로 나눔으로써 취득해도 된다(소수점 절상). 여유δ의 값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In one form, the margin? May be set in advance, and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o the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may b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by the maximum width of one unit (decimal point rounding). The value of the margin? Can be appropriately se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요약하면,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을 위한 장치는,In summary, a device for assigning a group of units to an intermediate site,

열차에 있어서의 제1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1 구획선과 제1 승강구의 이웃에 위치하는 제2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2 구획선 사이에 규정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length dimension of an intermediate portion defined between a first partition line in a first elevator opening of a train and a second partition line in a second elevation opening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elevation opening;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included in the front end portion and / o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Calculat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by using all or part of the length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one unit, Sudan,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d unit group assigning means for assigning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unit group ") calculated by the unit number calculating means to the intermediate portion.

그리고,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상기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In one form, the number-of-units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portion,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상기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이다.The unit group assigning unit assigns a unit group composed of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to the intermediate portion.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단 부위에의 유닛군(단부 유닛군)의 할당, 후단 부위에의 유닛군(단부 유닛군)의 할당에 대해서도,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부 유닛군의 할당에 대해서는, 중간 부위에의 유닛군에 비해서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The allocation of the unit groups (end unit groups)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allocation of the unit groups (end unit groups) to the rear end portion are the same as the maximum width, minimum width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same method by using the dimens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llocation of the end unit group may be various types as compared with the unit group at the intermediate portion.

예를 들어, 승강구의 중앙에서 구획하는 경우에는,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유닛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도 11 참조).For example, in the case of partitioning at the center of the entrance, it is necessary to allocate at least one unit to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see FIG. 11).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전체에 대응하는 구역을 유닛으로 폐쇄할지 여부에 따라서도, 단부 유닛군의 구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또는 후단 부위를 1개 이상 유닛+다른 고정 차폐체로 폐쇄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nd unit group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ni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closed by the unit. For example,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shear zone or the rear zone is closed with one or more units + other fixed shields.

또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각각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랫홈에 대한 열차의 정지 위치와의 관계로, 플랫홈 상에 전방측, 후방측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전단 부위의 길이, 상기 후단 부위의 길이를 초과하여 복수의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ear end portion are assign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respectively, , And if there is a margin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n the platform, a plurality of units can be provided beyond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rear end portion.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각 유닛을 대응짓는다.For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that stop on the target platform, each unit of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associated as described above.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열차에는 ID가 부여되어 있고, 또한,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각 승강구(차량 도어)의 ID가 설정되고, 또한, 이들 치수가 각 열차의 각 ID에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다.The IDs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trains stopped on the target platform and the IDs of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the front end portions, the rear end portions, and the respective elevator openings (vehicle doors) are set for each train, And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respective IDs.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각 유닛(각 도어 포켓·각 도어 몸체)에는 각 도어 포켓 및 각 도어 포켓의 도어 몸체를 식별하는 ID가 부여되어 있다. 각 유닛, 즉, 각 도어 포켓, 각 도어 몸체는, 기억부에 기억된 ID에 의해 특정되어 있고, 이 ID를 사용하여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지어진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each unit (each door pocket, each door body) is given an ID identifying each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of each door pocket. Each unit, that is, each door pocket and each door body is specified by the I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is associated with each intermediate portion, front end portion, and rear end por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using this ID.

[C-3] 유닛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C-3] How to determine the number of units

고정 도어 포켓을 구비한 기존의 홈 도어의 경우에는, 홈 도어와 열차의 승강구가 1대 1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플랫홈에 정차하는 1종류의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도어를 설치하고, 각 도어간을 고정 도어 포켓 또는 고정 벽체로 폐쇄하면 된다. 이에 비해,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경우에는, 플랫홈에 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당해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것이 전제로 되기 때문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최초에 플랫홈에 설치할 때에, 유닛수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결정할지가 중요하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oor with a fixed door pocket, doors a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of one kind of train, which stops at the platform, and a door is provided between each door May be closed with a fixed door pocket or a fixed wall.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t is assumed tha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provided in the platform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so tha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first installed in the platform , It is important how to determine the number of units efficiently.

유닛수의 결정에 있어서도, 상기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이 사용된다.Also in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units, the way of thinking of the correspondence is 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의 길이 부분만과 궤도 사이를 폐쇄하는 경우도 포함하지만(어떠한 이유로 일부라도 좋은 경우, 혹은, 고정 펜스 등과 조합하는 경우 등),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의 적어도 전체 길이와 궤도 사이를 폐쇄한다.Further, although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here only the length portion of the train standing on the platform is closed between the trajectory (for some reason, for some reason, or in combination with a fixed fence, etc.) , Typically closes between at least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and the trajectory that stops in the platform.

하나의 형태에서는,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와,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취득하고,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총 유닛수로 한다. 제1 유닛수는,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더함으로써 얻어진다.In one form, the first unit numbe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second unit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acquired, and the sum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is set to the elevation position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variable-type door. The first unit number is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제1 유닛수는,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의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를 폐쇄할 수 있는 유닛의 수이다.The first unit number is the number of units capable of closing the lengt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ngest heterogeneous train stopped in the target platform.

제2 유닛수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할 수 있는 유닛의 수이지만, 고정 펜스이나 고정 벽체 등과 조합하여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각각 1개의 유닛을 할당하고, 1유닛+고정 차폐체(고정 펜스 등)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를 폐쇄하는 것일 수도 있다.The second unit number is typically the number of units that can close the length dimension of at least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However, even if the length dimension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clo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xed fence, do. For example, one unit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length dimension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may be closed by one unit + fixed shield (fixed fence or the like).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수의 결정은,In one form,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스텝과,In the longest train that stops on the platform, the trains are partitioned at each entrance to divide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a rear end portion to obtai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and correspond to the length dimension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Determining a first number of units to be used;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에 적어도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스텝과,A step of determining a second number of units at least corresponding to length dimensions of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총 유닛수로 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And a step of setting the total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as the total unit number, and these steps are executed by each means constituted by a computer.

제1 유닛수, 제2 유닛수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의 평균 치수를 사용하여 개수를 산출해도 된다.In the case of calculating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using the maximum width, the minimum width, and the like can be used. Alternatively, the number may be calculated using an average dimension of the maximum width dimension and the minimum width dimens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In one form, the first number of units may comprise: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스텝과,A step of dividing each of the hatches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to obtain a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in each of the different trains straddling the platform,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취득하는 스텝과,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obtained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region for each heterogeneous train And,

이종 열차마다,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스텝과,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each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for each different train;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Determin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the respective different types of trains as the first unit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and these steps are executed by each means constituted by a computer.

최대 개수, 최소 개수의 취득은, 상기 대응짓기에 있어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For the acquisition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the description in the correspondence can be referred to.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간의 길이가 상이한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opping on the target platform are different.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기 전에,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해 둔다.In this case, in one form,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short train are corrected to the longest train before obtain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보정 방법으로서는 몇 가지의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As a method of correcting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short train, several methods can be exemplified.

하나의 형태에서는,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를 구하는 스텝과,In one form, a step of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trains to be corrected and the longest train,

1유닛의 최소폭 치수 및 최대폭 치수를 사용하여, 상기 차에 대응하는 유닛의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구하는 스텝과,Obtaining a virtual maximum number and a virtual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y using a minimum width dimension and a max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상기 가상 최대수와 가상 최소수를 각각 가산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And adding the virtual maximum number and the virtual minimum number to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the train to be corrected, respectively.

하나의 형태에서는, 보정 대상의 열차와 최장 열차의 길이의 차는,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와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의 차이다.In one fo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trains to be corrected and the longest train is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train to be corrected and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ngest train.

각 열차의 전체 길이, 각 열차의 각 부위의 치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길이의 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미리 길이의 차를 계산해 두고, 길이의 차를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The total length of each train and the dimensions of each part of each train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difference in length can be calculated using some or all of them. Alternatively, the difference in length may be calculated in advance and the difference in length may be stored in advance.

다른 보정 방법으로서는, 최장 열차와 보정 대상의 열차의 전체 길이의 비를, 보정 대상의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에 곱해도 된다.As another correction method, the ratio of the total length of the longest train to the correction target train may be multiplied by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the train to be corrected.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중복 범위의 유닛 최소 총 수이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보다 적은 개수의 유닛으로 구성하는 것은,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제조 비용, 관리 비용을 억제함과 함께, 구성을 보다 심플하게 함으로써 각 유닛의 제어를 보다 심플하게 행할 수 있다.In one form, the first unit number is a unit minimum total number of the overlapping range. Constructing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with a smaller number of units can simplify the control of each unit 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while suppres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agement cost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

상기한 형태에서는,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고 있지만, 우선,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제1 유닛수, 제2 유닛수의 전체수의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구하여 기억해 두고,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전체의 유닛 총 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유닛수의 산출에 있어서는, 전단 부위의 길이 치수, 후단 부위의 길이 치수, 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한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하여 제1 유닛수와 마찬가지로 산출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is determined, and the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is set as the first unit number. , The maximum total number of the total number of the second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and obtains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the respective different types of trains, It may be water. For example, in the calculation of the second unit number, calcul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nit number by using the length dimension of the front end portion, the length dimension of the rear end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unit, You can.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각 열차간의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기 전에, 열차의 길이 차이에 기초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train before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total number of the trains is found, similarly to the above.

최장 열차에만 기초하여 제1 유닛수를 결정해도 된다.The first unit numb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only the longest train.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유닛수를,Specifically, the number of the first units is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The length of each por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longest trai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opping on the platform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each of the inlets,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고,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each unit in the longest train Acquire,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한다.In the longest train, the maximum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are obtained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unit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unit minimum total number is set as the first unit number.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유닛수는,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인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적어도 최장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또한, 소정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홈 도어가 플랫홈의 길이에 수용되는, 개수로 결정된다.In one form, the number of the second units is such that a groove door compris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which is the sum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longest train total length, The number of the doors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platform.

[C-4] 유닛 배치 결정에 대해서[C-4] About unit placement decisio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총 유닛수가 결정되면, 이어서, 유닛의 배치를 결정한다. 유닛의 배치는, (1) 각 유닛의 할당 스텝과, (2) 할당된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 스텝으로 이루어진다.Once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elevation position variable door is determined, the arrangement of the units is then determined. The arrangement of the units is made up of (1) an allocation step of each unit, and (2) a step of determining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of the allocated units.

[C-4-1] 각 열차의 각 부위에 대한 각 유닛의 할당[C-4-1] Assignment of each unit to each part of each train

각 유닛을 각 열차의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할당한다. 이 작업에 의해,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각각에 유닛군, 단부 유닛군이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ID와 각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 ID를 대응시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Each unit is assigned to the middle part,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of each train. By this operation, a unit group and an end unit group are assigned to eac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each train. More specifically, the IDs of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the front end portions, and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trains are associated with the IDs of the respective units (door pockets and door bodies) and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우선, 이종 열차마다, 제1 유닛수의 유닛을, 각 차량 도어의 각 중간 부위에 배분한다. 할당할 때에는, 유닛수를 결정할 때에 기억한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그 중간 부위에 할당할 수 있는 유닛의 상한, 하한으로 된다.First, the unit of the first unit number is distributed to each middle portion of each vehicle door for each different kind of train. When allocat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train stored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unit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are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units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하나의 형태에서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스텝은, 총 유닛수 중 제1 유닛수의 유닛을 할당함으로써 행해진다.In one form, the step of allocating the unit group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is performed by allocating the unit of the first unit number out of the total number of units.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소 개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스텝과,Assigning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분의 유닛을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배분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스텝은, 컴퓨터로 구성되는 각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And a step of distributing the redundant units in order from the one having the larger length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when the redundant unit occurs, and these steps are executed by each means constituted by a computer.

이때,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최대 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aximum number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intermediate portion is not exceeded.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여분의 유닛을 상기 전단 부위 및/또는 상기 후단 부위에 할당하도록 한다.In one form, when an extra unit not alloca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ccurs in the unit of the first unit number, the redundant unit is allocated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 or the rear end portion.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간의 길이가 상이한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opping on the target platform are different.

이 경우, 하나의 형태에서는, 짧은 열차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할 때에는,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의 유닛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도록 한다.In this case, in one form, when assigning the unit group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in a short train, a part of the number of units of the first unit is assigned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는 할당 전에 결정해 두어도 되고, 그 경우의 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해 짧은 열차의 최소 총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의 차를 유닛의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의 평균으로 나누어 빈 부분의 개수를 산출하고, 제1 유닛수로부터 상기 빈 부분의 개수를 뺀 수를 사용하는, 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비를 제1 유닛수에 곱한 수를 사용하는,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 number of the first unit numbers " may be determined before the allocation, and the number of such case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number of empty portions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from the longest train using the minimum total number of the short trains by the average of the maximum and minimum dimensions of the unit, and the number of empty portions The number obtained by multiplying the first unit number by the ratio of the longest train to the short train is used.

또는,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개수의 유닛을 할당한 결과로서 얻어진 합계가 「제1 유닛수의 일부의 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짧은 열차에 있어서, 제1 유닛수의 유닛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할당되지 않은 여분의 유닛은, 최장 열차와의 차(공백 부분), 전단 부위 및/또는 후단 부위에 할당되게 된다.Alternatively, the sum obtained as a result of assigning the number of units within the range from the maximum number to the minimum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may be " the number of partial numbers of the first units ". In this case, in the short train, the extra unit not alloca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unit of the first unit number is allocated to the difference (blank portion) with the longest train, the front end portion and / or the rear end portion.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플랫홈에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최장 열차와 당해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에 의해 발생함)을 폐쇄할 필요가 있고, 공백 부분에 유닛을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When the short train stops on the platform when the total lengt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target platform is differen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hort train,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train and the length of the short train) needs to be closed, and the unit needs to correspond to the blank part.

전형적으로는, 홈 도어는,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각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의 각각에는,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최장 열차 이외의 열차에 있어서는, 최장 열차와의 길이의 차인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각 열차의 전단 부위에는, 당해 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고, 각 열차의 후단 부위에는, 당해 후단 부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유닛을 구비한 단부 유닛군이 할당되어 있다.Typically, the groov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is closed by a groove door, and a unit group is allocated to each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respective trains. In the train other than the longest train, And a unit group corresponding to a blank portion which is a difference in length from the longest train is assigned to each of the train units. An end unit group having a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is assign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each train, An end unit group having a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ear end portion is assign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train.

[C-4-2] 할당된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C-4-2] Determining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assigned unit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에 대하여 유닛군(1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짐)이 할당되면,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When a unit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units) is assigned to each middle portion,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of each kind of train,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is determined for each different train.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경우에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는,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열차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가 홈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Assuming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is closed by the groove door,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the respective units and the trains of the door body is set so th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tal length of the train The area is closed by the groove door and the respective waiting holes are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from the target standby position.

도 15의 (E)에, 열차의 승강구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됨과 함께, 승강구에 대응하여 인접하는 유닛 k, k-1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었을 때의, 홈 도어측의 개구 폭 d´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개구 폭 d의 관계를 나타낸다. 홈 도어측의 개구 폭 d´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개구 폭 d의 차(rk-1, αk)를 개구부 여유라고 한다. 이들에 요구되는 조건은, d´≥d, rk-1≥0, αk≥0이다. 여기서, rk-1은 k-1번째의 유닛과 k번째의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전방측 단부(도시하는 예에서는, k-1번째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αk는 k-1번째의 유닛과 k번째의 유닛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후방측 단부(도시하는 예에서는, k번째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전방측 단부)와 대응하는 승강구의 후방측 단부의 거리이다.15E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width d 'of the door door and the opening width d' of the door when the door of the train is fully opened and the opening is formed between adjacent units k and k-1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And the opening width d of the entrance. The difference (r k-1 ,? K ) between the opening width d 1 of the door door side and the opening width d of the corresponding entrance door is referred to as an opening margin.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se are d? D, r k-1 ? 0, and? K ? 0. Here, r k-1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k-1) -th unit and the k-th unit (the rear end of the door pocket of the (k- And the front side end portions of the front side. k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k-th unit and the kth unit (the front end of the door pocket of the k-th unit in the illustrated example) to be.

즉,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기」 위해서는, 형성되는 개구부의 전후단부와 승강구의 전후단부(폭 방향 단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일치하는 경우(후자의 경우에는, 개구부의 폭 d´와 승강구의 폭 d가 동일)도 포함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one or bot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ning portion formed and the front and rear ends (width direction end portions) of the entrance and exi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latter case, , The width d of the opening and the width d of the hatch are the same).

개구 폭 d´를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개구부 여유를 크게 할 수 있다. 대응하는 승강구가 개방되기 전에 개구 폭 d´의 공간이 폐쇄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개구부 형성 시에 도어 포켓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면, 개구 폭 d´의 크기는,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로 제한된다.By making the opening width d as large as possible, the opening margin can be increased. It is necessary that the space of the opening width d 1 be closed before the corresponding door is opened. Assuming that the door pocket does not move at the time of forming the opening, the size of the opening width d 1 is determined by the protruding dimension of the door body Is limited.

하나의 형태에서는, 개구부 여유는 승강구의 좌우에 있어서 균등하게 설치되는, 즉, rn-1n인데, rn-1=0 또는 αn=0이어도 된다.In one form, the opening margin is uniformly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entrance, that is, r n-1 =? N , and r n-1 = 0 or? N = 0.

어떤 1개의 중간 부위에 대하여 말하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가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가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포함되는 승강구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 및/또는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대응하는 승강구와의 사이에 개구부 여유를 형성하도록 결정한다.The intermediate body is closed by the unit group at the target standby position and the door body positioned at the front end side and / or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group at the closed posture is closed By opening the door body corresponding to a door included in the front end side and / or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group and located at the front end side and / or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group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So as to form an opening margin.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하나의 형태에서는, 최대 돌출 치수 b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대응하는(즉, 당해 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의 부위(부분 또는 전부)의 폭을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어 몸체의 돌출 치수가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보다도 크면, 개구부 여유를 형성 가능하다.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body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based on the protruding dimension of the door body (in one form, the maximum protruding dimension b but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responding (that is, (Part or whole) of the doorway to be closed, and if the protruding dimension of the door body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of the doorway to be closed, an opening margin can be formed.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In one form, the door pockets of each unit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door body,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각 유닛군의 길이 치수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일치하고 있고,The length dimension of each unit group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coincides with the length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middle portion,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도어 몸체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각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By moving only the door body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each of the doors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은, 각 부위에 있어서, 차량 승강구에 대한 유닛의 개구부의 여유가 최대가 되도록 각 부위에 분배된 유닛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행해진다.In one form, the determination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made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nit distributed to each portion so that the margin of the opening of the unit relative to the vehicle entrance is maximized in each portion.

도 15에 있어서, 어떤 중간 부위에 2개의 유닛이 할당된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최소폭 치수(도어 포켓의 폭 치수)가 a, 중간 부위의 치수가 l(n), 중간 부위의 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치수가 d/2, 중간 부위의 후방측에 포함되는 승강구 부분의 치수가 d/2인 것으로 한다.In Fig. 15, it is assumed that two units are assign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A, when the unit minimum width dimension (the width dimension of the door pocket) is a, the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region is l (n), the dimension of the entrance portion includ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termediate region D / 2, and the dimension of the entrance portion included in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d / 2.

또한, 중간 부위의 전방측의 승강구의 후방측 단부와 전방측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α, 전방측의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와 후방측 유닛의 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β, 중간 부위의 후방측의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γ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side door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pocket of the front side unit is α,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pocket of the front side unit, Is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side entran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pockets of the rear side unit.

α+β+γ는 도어 포켓으로부터 돌출된 도어 몸체로 커버되는 길이이며, α+β+γ=l(n)-d-2a로 된다.α + β + γ is the length covered by the door body protruding from the door pocket, and α + β + γ = 1 (n) -d-2a.

개구 여유를 크게 하는 것은, α과 γ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포켓으로부터 돌출된 도어 몸체의 길이가 충분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Increasing the opening margin i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And?. Here, as shown in Fig. 15 (B),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length of the door body protruding from the door pocket is sufficient.

α의 상한은,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 b-당해 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 d/2이다.The upper limit of? is the maximum protruding dimension b - of the door body, and the width dimension d / 2 of the portion of the doorway to be closed by the door body.

즉, 0≤α≤b-d/2이다.That is, 0?? B-d / 2.

γ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The same can be said for?.

가령, 중간 부위의 전후의 개구 여유를 균등하게 하는 것을 생각하면, α+β+γ의 절반이 b-d/2보다 작은 경우에는, β=0이 된다(도 15의 (C)).If half of the opening angle alpha + beta + gamma is smaller than b-d / 2, then beta = 0 (FIG. 15C).

α+β+γ의 절반이 b-d/2보다 큰 경우에는, 이들의 차가 β가 된다(도 15의 (D)). 거리β분만큼 도어 몸체를 돌출시키게 되지만, 인접하는 유닛의 어떤 유닛의 도어 몸체를 어느만큼 돌출시킬지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각 도어 몸체에 β/2만큼 균등하게 돌출시킨다.When half of? +? +? is larger than b-d / 2,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FIG. 15D). The door body is protruded by the distance?. However, how much the door body of the unit of the adjacent unit is projected can be appropriately set. In one form, it protrudes equally to each door body by? / 2.

도 15의 (C), 도 15의 (D)의 형태는, 개구부 여유를 최대로 하는 것이며,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문제로 되지 않는 개구부 여유의 범위에서, 각 유닛(도어 포켓, 도어 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조정 시에 필요로 되는 정보는,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에 있어서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이다. 이들은 각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각 유닛에 있어서의 도어 포켓과 도어 몸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유닛의 폭 치수를 취득하고,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15 (C) and 15 (D) are intended to maximize the margin of the opening. In the range of the opening margin which is not a problem in actual use, the shape of each unit (door pocket, door body) You can adjust the position. The information required at the time of position adjustment is the protruding distance and the receivable distance of the door body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n each unit for each kind of train. These acquire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in each unit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unit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rom the door pocket and the door body target waiting position in each unit and calculate the maximum width dimension, I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inimum width dimension.

예를 들어, 개구부 여유를 가능한 한 균등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모든 승강구에 대한 개구부 여유를 비교하여, 개구부 여유가 가능한 한 균등해지도록 위치 조정을 행해도 된다.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equalize the opening margin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opening margin with respect to all the doors and adjust the position so as to make the opening margin equal as much as possible.

또한, 개구부 여유의 설정은, 열차의 구획 형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예는, 도 11에 도시하는 구획 형태에 기초하는 것이지만, 동일한 유닛으로 생각하면, 예를 들어 도 13의 구획 형태에서는, 0≤γ≤b의 범위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즉, 유닛군의 후단부의 도어 몸체에 대응하는 승강구가 없는(도어 몸체에 의해 폐쇄되어야 할 승강구 부분의 폭 치수가 0) 경우에 γ=b를 취할 수 있고, γ=0의 경우에는, 승강구의 전방측 단부와 유닛의 도어 포켓의 후방측 단부가 일치하여 개구부 여유가 0이 된다.Further, the setting of the opening margin may be influenced by the form of the partition of the train. The above example is based on the division form shown in Fig. 11, but when considering the same unit, for example, in the division form of Fig. 13, a value of 0? That is, it is possible to take γ = b when there is no door corresponding to the door body at the rear end of the unit group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portion to be closed by the door body is 0), and when γ = 0, The front side end portion and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door pocket of the uni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opening margin becomes zero.

또한, 도 12이나 도 13의 구획 형태에 대하여, 도 7의 (B)의 유닛을 대응시킬 수 있다(2단의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승강구의 폭 치수). 이 경우에, 목표 대기 위치의 유닛군이 커버하는 범위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도 12의 경우에는 전방측, 도 13의 경우에는 후방측에 개구부 여유가 형성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 각 구획된 중간 부위에 유닛군을 대응시킨 후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최적화 스텝에서, 승강구의 전후의 양쪽에 개구부 여유가 형성되도록, 목표 대기 위치의 유닛군이 커버하는 범위가 대응하는 중간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개구부 여유만큼 이동시켜도 된다(혹은, 열차 정지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어긋나게 해도 됨).In addition, the unit of Fig. 7B can be matched to the partition form of Fig. 12 or Fig. 13 (the maximum protruding dimension of the two-stage door body? The width dimension of the hatching). In this cas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ange covered by the unit group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coincides with a corresponding intermediate position, or a case where the range does not coincide. In the case of the former, no opening margi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in the case of Fig. 12, and on the rear side in the case of Fig. In the latter cas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fter associating the unit groups with the divided intermediate portions, for example, in the optimization step, the unit group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s is set such that the opening margi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entrance (Or the train stop position may be shifted forward or backward) from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portion to the front or rear.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복수의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짧은 열차가 정차한 경우에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짧은 열차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부위 및 플랫홈 상의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공백 부분에 대응하는 유닛은 승강구에 맞추어 개구할 필요가 없고 폐쇄 상태가 유지 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또한,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이고 있어도 된다.When a short train is stopped, when the total lengt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a target platform is differen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corresponds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hort train and a blank portion on the platform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and door body). The unit corresponding to the blank portion need not be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hatch, and the position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Further, it may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열차마다 열차를 기준으로 한 좌표로 취득된다. 전형적으로는, 열차의 선단을 원점으로 하지만, 반드시 선단이 원점일 필요는 없다.In one form, the target waiting positions of the door pockets and the door body are acquired on a train-by-train-based coordinate basis. Typically, the origin of the train is the origin, but the origi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origin.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있어서의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는,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로 취득된다. 전형적으로는, 플랫홈의 전단부를 원점으로 하지만, 반드시 전단부가 원점일 필요는 없다.In one form, a target stop position of each train in the platform is assigned, and the target stand-by position is acquired in coordinates based on the platform. Typically, the front end of the platform is the origin, but the front e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origin.

하나의 형태에서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각 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고, 도어 포켓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각 이동 거리와 가동 범위를 비교한다. 즉, 얻어진 목표 대기 위치간의 이동 거리가 가동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a moving distance) between a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door pocket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kind of train stopped on a platform, and when a mechanical operating range of the door pocket is set, Compare each travel distance with the range of motion. That is, it includes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target waiting positions is within the operation range.

필요로 되는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도어 포켓의 가동 범위 내이면, 홈 도어는, 각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가동 범위와 필요로 되는 이동 거리의 차는, 홈 도어의 오버런 가능 거리로 된다.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quired unit (door pocket) is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door pocket, the door can be adapted to each different kind of tr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able range and the required moving distance is the overrun distance of the door.

필요로 되는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도어 포켓의 가동 범위 밖의 경우에는, 구성 결정 스텝의 전부 혹은 일부를 반복해서 행한다. 또는, 후술하는 최적화 수단을 사용하여 대응한다.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quired unit (door pocket) is out of the movable range of the door pocket, all or part of the configuration determining step is repeated. Alternatively, it is dealt with using the optimization means described later.

미리 가동 범위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 결정 스텝의 계산 단계에서 가동 범위를 제한 조건으로서 사용해도 된다.If the operation range is known in advance, the operation range may be used as the restriction condition in the calculation step of the configuration determination step.

복수의 이종 열차가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정차하는 경우에, 이종 열차마다 각 유닛(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목표 대기 위치는 상이하다. 즉, 플랫홈에 정차하는 열차에 따라서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가 이동할 필요가 있다.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rains are stopped on the target platform, the target waiting posi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door pockets and door bodies) are different for each different train. In other words, all or a part of the unit needs to move along a train stopped on the platform.

각 이종 열차의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of each different kind of train can be optimized.

최적화란, 목적에 맞춘 목표 대기 위치의 조정이다.Optimization is the adjustment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예를 들어, 목적이 이동 시간의 단축이면, 유닛의 이동 시간이 짧아지도록 목표 대기 위치를 조정한다. 즉, 목표 대기 위치의 차(최장 이동 거리)가 가장 큰 유닛(도어 포켓), 내지, 이동 거리가 큰 유닛을 큰 순서대로 복수 특정하고, 이동 거리가 큰 1개 혹은 복수의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가 작아지도록 목표 대기 위치를 조정한다.For example, if the purpose is shortening of the moving time,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moving time of the unit is shortened. That is, a unit (door pocket) having the largest difference in target waiting position (the longest moving distance), and a unit having a large moving distance are specified in a large order and one or a plurality of units (door pockets)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target position is reduced.

목적이 총 이동량의 단축(에너지 절약)이면,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일)의 대상 플랫홈에 있어서의 이종 열차간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총 이동량을 각 유닛의 이종 열차마다의 목표 대기 위치의 함수로서 설정하고, 총 이동량이 최소로 되도록 이종 열차마다의 목표 대기 위치를 최적화한다.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각 열차의 정차 빈도, 정차의 순서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Door pockets)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ains in a target platform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one day) when the total amount of movement is shortened (energy saving) As a function of position, and optimizes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each different train so that the total movement amount is minimized. When considering the total energy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requency of stopping of each train, the order of stopping, and the like.

목표 대기 위치의 최적화를 행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following variables can be exemplified as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the optimization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가)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차(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A) Difference (target distance) between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and moving direction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거리는, 이종 열차마다의 플랫홈을 기준으로 한 각 유닛(도어 포켓)의 목표 대기 위치의 좌표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The moving distance of each unit (door pocket) can be obtained from the coordinates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door pocket) based on the platform for each different train.

(나) 최장 이동 거리 및 유닛(도어 포켓)(B) Maximum travel distance and unit (door pocket)

(가)로부터 가장 이동 거리가 큰 유닛(도어 포켓)을 특정할 수 있다.  (Door pockets) having the greatest moving distance from (A) can be specified.

(다) 이동 거리의 평균값 또는 총합(C) The average or total of travel distance

(가)로부터 계산으로 구할 수 있다.  (A) can be obtained by calculation.

(라) 이종 열차마다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전방 개구부 여유, 후방 개구부 여유(D) Front opening margin in each part of each kind of train, rear opening margin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Can be obtained from the target standby position of each unit.

(마) 이종 열차마다의 각 유닛에 있어서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door body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n each unit for each different train and the receivable distance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도어 포켓의 위치와 도어 몸체의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door pocket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body) of each unit.

목표 대기 위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 및 이들 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As a method of adjusting the target waiting position, the following methods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considered.

(가) 이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필요로 되는 개구부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어 포켓·도어 몸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A) The position of the door pocket / door body is adjusted so a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in order to shorten the moving distance, and to secure the required opening margin.

예를 들어, 최장 이동 거리를 갖는 유닛과, 당해 유닛의 인접한 유닛(전후의 유닛의 양쪽 혹은 한쪽)의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의 도어 몸체의 돌출 가능 거리 및 수납 가능 거리, 최장 이동 거리를 갖는 유닛 및 당해 유닛의 인접한 유닛에 관련되는 개구부 여유를 사용하여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목표 대기 위치를 변경한다.For example, a unit having a protruding distance and a receivable distance of a door body from a target standby position of a unit having the longest moving distance and an adjacent unit (both or one of the front and rear units of the uni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distance can be shortened by using the opening margin related to the adjacent unit of the unit.

(나) 이동량이 과도하게 큰 부위에 유닛을 추가한다.(B) Add units to areas where the movement amount is excessively large.

이동량이 큰 유닛을 포함하는 유닛군에 유닛을 추가한다. 모든 열차에 있어서, 유닛의 배분,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의 결정을 다시 한다.Add units to a group of units containing a unit with a large movement amount. In all trains, the allocation of unit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are repeated.

(다) 열차의 정지 위치를 어긋나게 한다.(C)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is shifted.

유닛의 이동 거리가 크게 되어 있는 이유가, 어떤 열차의 정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유효하다.The reason wh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nit is large is effective when the train is at a stop position.

어떤 열차의 정지 위치를 변위시켰을 때의 각 유닛의 이동 거리는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 유닛의 이동 거리의 총합이 작아지도록 열차의 정차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The travel distance of each unit when the stop position of a certain train is displaced can be calculated, and for example,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can be optimized so that the sum of the travel distances of the respective units becomes small.

[C-5] 신이종 열차에의 대응[C-5] Response to the Shin trains

본 발명에 따른 대응짓기의 사고 방식은, 기설치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 새로운 이종 열차의 도입의 가부 및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한 홈 도어의 목표 대기 위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The m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home door of the pre-installed type,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a new heterogeneous train and the fact that the new can be used to efficiently determine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home door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train have.

대상으로 되는 플랫홈에 기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있어서는, 당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 당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가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의해 폐쇄 가능한 최대 길이를 말한다.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이 최대 길이를 초과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할 수는 없다. 또한, 각 유닛(도어 포켓)의 이동 범위에 기계적인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각 유닛의 가동 범위(기계적)도 결정되어 있다.The total number of units constituting the rid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and the total length of the riding position variable-type door are determined 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provided in the target platform. Here,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a maximum length that can be closed by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can not extend beyond the maximum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when there is a mechanical limit in the moving range of each unit (door pocket), the operating range (mechanical) of each unit is also determined.

일반적으로는, 어떤 플랫홈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플랫홈에 장래적으로 정차할 수 있는 열차를 포함시켜 최장 열차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새로운 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 보다도 짧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Generally, in the case where a lift door is provided in a certain platform, it is considered that a length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ongest train is included in the platform including a train which can be stopped in the future, And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provided on the groove.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는,A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a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on a groove is applicable to a new kind of longitudinal train,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respective length dimens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M-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dividing a new-type longitudinal train having M cooperating doors at each entrance,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a train included in each portion of the slave train,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도 10a의 LPFD에 상당하는 유닛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the total number of units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L PFD in Fig. 10A) constituting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여기서의 공백 부분의 길이 치수는 도 10a의 LPFD3F+LPFD3R에 상당함),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The length dimension of the blank portion in this case is the same as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the front end portions, the rear end portions,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door and the total length of the long- ( Corresponding to L PFD3F + L PFD3R in Fig. 10A),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site are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width, the minimum width,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each unit Sudan,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calculated portion,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Means for 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new longitudinal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상기 기설치의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d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home door of the base installation is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longitudinal train.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결정된 후에는 대응짓기 장치의 유닛군 할당 수단,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당해 신이종 열차에 대응하는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position of the ride-on position variable door can be introduced to the longitudinal trai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train using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and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of the coordinating apparatus.

또한, 도입이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당업자가 대응 수단을 적절히 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에 유닛을 추가하고, 신이종 열차를 포함하는 전체 열차에 대하여 대응짓기를 다시 해도 된다.Fur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roduction is not possible, it is understood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take countermeasures. For example, a unit may be added to the ride-position variable door, and God may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entire train including the longitudinal train.

가령,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가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 보다도 긴 경우에는, 신이종 열차의 일부의 승강구에 대응시켜서 기설치의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sub train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groove door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rt of the elevator train.

또한, 긴 신이종 열차에 맞추어 유닛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신이종 열차의 최소 총 수와 기설치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유닛 총 수의 차를 취함으로써, 추가 설치해야 할 유닛수를 최소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닛의 추가 설치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플랫홈의 바닥면 내에 추가 설치 시에 사용하는 가이드 레일 등을 미리 설비해 둠으로써, 단시간 또한 용이하게 유닛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by t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total number of longitudinal trains and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variable installation type door, the number of units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inimum value.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unit can be anticipated in advance, the un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short time and easily by providing the guide rail or the like to be used in the additional installation in advanc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C-6] 실시예[C-6] Example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1량의 차 길이가 상이한 열차에도 대응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열차 길이 전체를 고려하여 배치·동작을 검토하고 있다.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유닛의 수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자동화·일반화가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accommodate trains with different lengths of one car i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nevitably, the arrangement and operation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trai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capable of automation and generalizat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units of the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도 16a에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의 결정의 전체의 흐름을 예시한다(본 발명은 도 16a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Fig. 16A illustrates an overall flow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shown in Fig. 16A).

K: 유닛수K: Number of units

l(n): 차량의 도어의 중앙으로부터 인접한 도어 중앙까지의 길이(중간 부위의 길이)l (n):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door of the vehicle to the center of the adjacent door (length of the middle portion)

d(n): n번째의 차량 도어(승강구)의 폭d (n): width of the nth vehicle door

n: 차량 도어(승강구) 번호(n=1, 2, 3…)n: vehicle door number (n = 1, 2, 3 ...)

a: 도어 포켓의 폭 치수a: Width dimension of the door pocket

b: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b: Maximum protruding dimension of the door body

i: 열차 번호(i=1, 2, 3…)i: train number (i = 1, 2, 3 ...)

t: 차량 부분t: vehicle section

s: 빈 부분(=홈 전체 길이-t=전방 빈 부분f+후방 빈 부분r)s: blank portion (= groove full length -t = front blank portion f + rear blank portion r)

Kt: 차량 부분의 유닛수K t : the number of units in the vehicle section

Ks: 빈 부분의 유닛수(=전방 빈 부분의 유닛수 Kf+후방 빈 부분의 유닛수 Kr)K s: number of units of the part blank (= number of units of the front blank section K f + K r number unit of the rear blank portion)

x(k): 유닛 위치(각 열차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x (k): unit position (coordinate value based on each train)

X(k): 유닛 위치(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X (k): unit position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platform)

스텝1: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의 치수 l(n), 차량 도어(승강구)의 폭 치수 d(n), 유닛을 구성하는 도어 포켓의 폭 치수 a, 도어 몸체의 최대 돌출 치수 b를 입력으로 해서,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을 산출한다.Step 1: Inputting the dimension l (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train, the width dimension d (n) of the vehicle door (entrance), the width dimension a of the door pocket constituting the unit and the maximum protrusion dimension b of the door body The maximum number K max (i) and the minimum number K min (i)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respective trains are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unit.

스텝2: 각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을 열차마다 더한 유닛 총 수의 중복 범위 Kmax, Kmin을 취득한다. 짧은 열차가 있는 경우에는, 최장 열차의 길이와의 차를 폐쇄 가능한 가상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고, 유닛 최대 개수 Kmax(i), 최소 개수 Kmin(i)에 가산한다. 최대 개수, 최소 개수의 산출에는 예를 들어, 유닛의 최대폭 치수와 최소폭 치수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Step 2: Obtain the overlapping range K max , K min of the total number of units by adding the maximum unit number K max (i) and the minimum number K min (i) corresponding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train on a train-by-train basis. When there is a short train, the maximum and minimum number of virtual closures that can be closed with the length of the longest train are calculated and added to the unit maximum number K max (i) and the minimum number K min (i).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by using the average of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unit.

스텝3: 각 열차의 유닛 총 수의 중복 범위로부터 최소 개수 Kmin을 선택하고,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에 유닛을 배분한다. 모든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 K(i, n)가 얻어진다.Step 3: Select the minimum number K min from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total number of units for each train, and distribute the unit to each middle area for each train. The number of units K (i, n) corresponding to all intermediate portions is obtained.

스텝4: 각 중간 부위에 있어서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열차의 승강구에 대한 홈 도어의 개구의 개구부 여유가 승강구의 좌우(전방측, 후방측)에서 균등해지도록 한다. 또한, 좌우의 개구부 여유가 최대(b-0.5dn)로 되도록 한다. 개구부 여유가 (b-0.5dn) 이상인 경우에는,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어 몸체가 돌출됨으로써 치수(ln-Ka-2b)를 확보한다. 예를 들어, 어떤 중간 부위에 2개의 유닛이 대응하는 경우에, 각 유닛의 도어 몸체가 균등하게 돌출되는 경우에는, 각 도어 몸체의 도어 돌출 치수는 (ln-Ka-2b)/2이다. 스텝(4)에 있어서, 열차마다 각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 x(k)가 결정된다.Step 4: Determine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unit at each intermediate position. Here, the opening margin of the opening of the groove door relative to the entrance of the train is made uniform on the left and right (front side and rear side) of the entrance. Also, the left and right opening margins are set to be maximum (b-0.5 dn). When the opening margin is (b-0.5dn) or more, the door body protrudes to secure the dimension ln-Ka-2b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wo units correspond to an intermediate portion, the door protruding dimension of each door body is (ln-Ka-2b) / 2 when the door bodies of the respective units protrude evenly. In step (4), the target waiting position x (k) of each unit is determined for each train.

스텝5: 여기서는, 홈 도어가 오버런 대응하는 것을 고려해서(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 가능), 빈 부분에의 유닛의 배분을 행한다. 또한, 빈 부분에 있어서의 유닛의 목표 대기 위치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Step 5: In this step, allocation of the unit to the vacant portio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hang of the home door (moving forward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target waiting position of the unit in the empty portion.

스텝6: 반드시 스텝5 후에 오는 것은 아니고, 스텝4 다음에 스텝6을 실행할 수 있다. 각 열차 플랫홈에 대한 목표 정지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플랫홈을 기준으로 하는 홈 도어의 각 유닛의 위치 X(k)가 결정된다.Step 6: It is not necessarily after Step 5, but Step 4 can be followed by Step 6. By setting the target stop position for each train platform, the position X (k) of each unit of the groove door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is determined.

[C-6-1] 유닛의 수·배치의 결정 방법의 개요[C-6-1] Outline of how to determine the number and placement of units

방법의 전체는 3개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 신설시의 검토에 대해서, 결정의 수순을 설명한다. 이미 도입된 상태의 홈에 있어서 새로운 열차에 대응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이 수순을 응용함으로써 확인이 가능하다.The whole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Here, the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when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newly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hether or not a new train can be accommodated in a groove already introduced can be confirmed by applying this procedure.

(1) 스텝1: 유닛수의 결정(1) Step 1: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units

각 열차 모두, 선두에 가장 가까운 도어의 선두측인 「전단 부위」, 도어와 도어 사이에 끼워진 복수의 「중간 부위」, 최후방 도어의 바로 뒤의 「후단 부위」의 3개로 나누어 검토한다.Each train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 "front end portion"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door closest to the hea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and a "rear end portion" immediately behind the rear end door.

우선 각 중간 부위에 배치 가능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최대 개수·최소 개수)를 구한다. 최소수는, 유닛이 도어를 완전히 돌출시킨 상태에서 중간 부위의 전후에 위치하는 열차의 도어의 중심 사이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수, 최대수는 유닛이 도어를 수납한 상황에서 중간 부위의 전후에 위치하는 열차의 도어에 걸리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최대수로부터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First, the minimum number and maximum number (maximum number, minimum number) of units that can be arranged in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sitions are obtained. The minimum number is the minimum number of times that the unit can close the center of the door of the train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intermediate portion in a fully protruding state of the door, Is calculated from the maximum number that can be plac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door of the located train.

Figure 112013048762263-pct00001
Figure 112013048762263-pct00001

i: 열차 번호, j: 열차 도어 번호i: train number, j: train door number

a: 유닛 도어 포켓체 폭, b: 유닛 도어 몸체 폭, δ: 여유a: unit door pocket width, b: unit door body width, δ: clearance

li(j): j번째와 j+1번째의 열차 도어의 중심간 거리 li (j)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jth and j + 1th train doors

di(j): j번째의 열차 도어의 개구폭di (j): opening width of the jth train door

ki(j): j번째와 j+1번째의 도어간의 중간 부위에 들어가는 유닛수(정수)ki (j) is the number of units (integer) in the middle between the jth and j + 1th doors.

계속해서, 전단 부위·후단 부위에 대해서도, 필요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를 구한다. 일반적으로는, 최전방부·최후방부 도어의 절반부를 커버하기 위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닛이 필요하다. 전단 부위·후단 부위에 사용하는 승무원실 도어가 있는 경우에는, 도어 포켓체를 승무원실 도어의 앞에서부터 움직이게 하여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도 17). 이것에 대해서는, 실제의 운용시의 제어에서도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최전방의 유닛이 커버하는 범위를 편의상 「보정 전단 부위」라고 하고, 「전단 부위」와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Subsequently, the minimum number and the maximum number of necessary units are obtained for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Generally, at least one unit is required in order to cover the half of the foremost part and the rearmost part door.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crew seal door used at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the door pocket body may be moved from the front of the door of the crew chamber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Fig. 17). It is considered that this can be coped with in actual operation control. In Fig. 17, the range covered by the foremost unit is referred to as a " corrected front end portion " for convenience,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 front end portion ".

또한, 열차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최장 열차는 멈추지만 짧은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 부위(이하 「공백 부위」)가 있다. 그 부분도 유닛을 배열하여 폐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그 때문에 필요한 유닛의 최소수·최대수도 마찬가지로 산출한다.Further, when the lengths of the trains are different,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longest train stops but the short train does not s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lank portion"). The unit must also be closed by arranging the unit. Therefore, the minimum number and the maximum number of necessary units are similarly calculated.

Figure 112013048762263-pct00002
Figure 112013048762263-pct00002

i: 열차 번호, δ: 여유i: train number, δ: allowance

a: 유닛 도어 포켓체 폭, b: 유닛 도어 몸체 폭a: unit door pocket width, b: unit door body width

lis: 최장 열차에 대한 열차 i의 공백 부위의 길이lis: length of blank part of train i for longest train

Kis: 공백 부위에 들어가는 유닛수(정수)Kis: the number of units in the blank space (integer)

이들 열차마다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후단 부위, 공백 부위의 최소수·최대수를 각각 합계한 것이, 그 열차가 필요한 유닛수의 최소수·최대수가 된다. 그리고 모든 열차의 최소수·최대수 사이에 있는 수가, 이 홈에 필요한 유닛수이다. 산출된 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그 중 최소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The sum of the minimum number and the maximum number of the intermediate parts, the front end part, the rear end part, and the blank part of each train becomes the minimum number and the maximum number of units required for the train. And the number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number of all trains is the number of units required for this groov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alculated numbers, the minimum one of them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2) 스텝2: 유닛 배치의 결정(2) Step 2: Determination of unit placement

홈 상에 배치하는 유닛수가 결정되면, 다음은 각 열차의 각 부위에 몇개의 유닛을 배치해 갈지를 결정한다. 열차간에서의 유닛의 이동 거리를 불필요하게 연장시키지 않기 위해서, 평균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우선, 공백 부위와 그 이외를 길이로 비례 배분한다. 단, 비례 배분에서는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는, ±2개 정도를 공백 부위와 주고받는 것도 생각된다. 전단 부위·후단 부위·각 중간 부위는, 각 최소수를 배치한 후에, 나머지 치수가 큰 부위의 순서대로 유닛을 추가해 간다.Once the number of units to be placed on the groove is determined, the next step is to determine how many units are to be placed on each part of each train.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extend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unit between the trains,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m on the average. For that reason, first, the blank part and the others are proportionally distributed in length. However, when the balance is poor in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it is also considered that about ± 2 pieces are exchanged with the blank region. After placing the minimum number of shear, rear end, and intermediate parts, add the units in the order of the remaining large dimensions.

각 부위의 배치 개수가 정해지면,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는 각 열차의 선두로부터의 거리 좌표로 표현한다. 열차의 도어 앞을 가능한 한 크게 개구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다. 이것은, 스텝3에서 홈 형상 등에 의한 미세 수정의 폭을 확보하기 위함과, 실용시에 열차의 정지 위치의 오차를 흡수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When the number of positions of each part is determined, the waiting position of each unit is determined. The position is expressed by distance coordinates from the head of each train. The basic way of thinking is to open the front door of the train as large as possible. This is for securing the width of the fine correction by the groove shape or the like in step 3 and for easily absorbing the error of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in practical use.

지금까지는, 열차 도어의 중심에 좌우 유닛의 도어 몸체의 마중대(meeting stile) 부분이 오는 것을 원칙으로 해 왔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치수적인 여유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 여밈대 위치를 도어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것을 검토하는 경우도 있다.Up to now, in principle, the meeting stile portion of the door body of the right and left units comes to the center of the train door. However, in some cases, in order to equalize the above-mentioned dimensional margin, In some cases.

(3) 스텝3: 홈 상의 위치의 결정(3) Step 3: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n the groove

마지막으로, 각 열차의 홈 상의 목표 정지 위치에 따라서,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홈 상에 설정한다. 동시에 선로의 곡률이나 캔트의 상황에 따라서 대기 좌표를 수정하고, 대기 위치의 분포나 동작 범위 등으로부터 물리적·기계적으로 성립되는 배치인지 확인한다.Finally, the standby position of each unit is set on the groove according to the target stop position on the groove of each train. At the same time, the atmospheric coordinates are correc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line or the cant situation, and it is confirmed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atmospheric position, the operating range, and the like that the arrangement is physically and mechanically established.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는, 개찰이나 계단 등의 위치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되고, 임시로 정한 복수의 위치에 대해서 검토하여 가장 적당한 것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시간 최소(유닛 이동량의 최대값의 최소화), 이동 에너지 최소(전체 이동량 최소화) 등의 선택지를 생각할 수 있다.The target stop position of each train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icket gate, the stairs,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plurality of temporarily determined position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For example, an option such as a movement time minimum (minimization of the maximum value of the unit movement amount) and a minimum movement energy (minimization of the total movement amount) can be considered.

또한, 최장 열차의 전후에 있는 홈 전후단 부위의 폐쇄 방법에 대해서도 결정한다. 정위치 정지 장치가 장비되어 있으면 간단한 고정 펜스이면 된다. 오버런이나 직전 정차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본 유닛을 추가하여 배열해도, 예를 들어 주름 상자 형상으로 신축하는 상시 폐쇄의 가동 펜스를 설치해도 되지만, 오버런 등에의 대응 한계 거리를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It is also determined how to clos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grooves before and after the longest train. A simple fixed fence is sufficient if the exact stop device is equipped. In the case of coping with an overrun or a preceding stop,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normally closed movable fence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ellows, even if this unit is additionally arranged.

만약 적당한 결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2에서 정한 배분의 개수나 대기 위치에 대하여 다른 안을 선택하여, 상기 확인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If the result is not proper,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above confirmation by selecting another plan for the number of the allocations and standby positions determined in step 2.

[C-6-2] 검토예[C-6-2] Review example

예로서, 이하의 조건에서 얻어진 유닛 배치의 검토 결과를 나타낸다.As an example, the examination result of the unit arrangement obta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is shown.

·열차: [열차1] 20m 4도어차×4량· Train: [train 1] 20m 4 door car × 4 car

[열차2] 20m 3도어차×3량        [Train 2] 20m 3 door car × 3 car

[열차3] 18m 3도어차×3량의 3종류        [Train 3] 3 kinds of 18m 3 door cars × 3

·유닛의 치수: a=1400㎜· Dimensions of unit: a = 1400㎜

b=1100㎜               b = 1100 mm

·홈: 길이 90m의 직선 형상· Groove: Straight shape with a length of 90m

·기타: 운전사·차장 모두 승강 가능성 있음· Others: Possible to ascend / descend for both driver and driver

오버런·직전 정차에의 대응은 하지 않음        Overrun · Does not respond to stopover immediately

기타는 도 18 참조See Figure 18 for others

(1) 스텝1: 유닛수의 결정(1) Step 1: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units

[열차1]은, 전체 중간 부위에서 최소·최대수 모두 2개로 되고, 전단 부위·후단 부위 모두 1개, 공백 부위는 최장 열차이므로 0개로 된다. 따라서, 필요 유닛수는 32개의 1가지이다.[Train 1] has two minimum and maximum numbers in the entire middle area, one in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0 in the blank area because it is the longest train. Therefore, the number of necessary units is one of 32 ones.

[열차2]는, 각 부위 모두 수에 여유가 있고, 합계하면 25개 내지 44개로 된다.In [Train 2], there is a margin in the number of all the parts, and in total, it is 25 to 44 pieces.

[열차3]도 마찬가지로, 26개 내지 44개로 된다. 따라서, 3열차에 공통되는 것은 32개의 1가지뿐이며, 유닛수는 32개라고 결정되게 된다(도 18).Similarly, [train 3] is 26 to 44. Therefore, only 32 of the three trains are common, and the number of units is determined to be 32 (Fig. 18).

(2) 스텝2: 유닛 배치의 결정(2) Step 2: Determination of unit placement

[열차1]에서는 1가지밖에 없기 때문에, 배치는 자동으로 결정한다.Since there is only one train in [train 1], the placement is determined automatically.

[열차2]는, 공백 부위 22.80m는 전체 길이로부터의 비율로는 유닛 8.9개에 해당하지만, 20m차 1량 8개의 원칙에 따라 소수 이하 절사해서 8개가 배분되고, 나머지 24개로 3량을 커버한다. 최소수인 18개를 뺀 나머지 6개를 균등하게 배분한다. 우선, 나머지 치수가 큰 연결부의 3·6번의 중간 부위(=2900㎜=7100-650×2-100-1400×2)에 1개씩 추가한다. 다음으로 나머지 치수가 큰 중간 부위 1·2·4·5·7·8번(=2250㎜=6450-650×2-100-1400×2) 중 4곳에 유닛을 추가하는데, 길이당 유닛수가 평균화되도록 고려하여 1·4·5·8번에 추가한다(도 18).[Trains 2], the space 22.80m from the total length is equivalent to 8.9 units in the ratio, 20m by 1 8mill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8 truncated to fewer than the distribution of 8, do. Allocate the remaining six minus the minimum number of 18, equally. First, add one to the middle part (= 2900 mm = 7100-650 × 2-100-1400 × 2) of the connecting part with the remaining large dimension. Next, the unit is added to four of the middle parts 1, 2, 4, 5, 7, 8 (= 2250 mm = 6450-650 × 2-100-1400 × 2) And added to 1, 4, 5, 8 (Fig. 18).

[열차3]은, 공백 부위는 26.17m로 약간 길어지고, 10개의 배분을 받는다. 나머지 22개 중, 최소수 합계 18개를 뺀 4개를 배분한다. 우선, 나머지 치수가 큰 연결부의 중간 부위 3·6번(=1940㎜=6140-650×2-100-1400×2)에 1개씩 추가한다. 나머지를 동일 치수의 중간 부위 1·2·4·5·7·8번 중에서, 배치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1·8번에 추가한다.[Train 3] is slightly longer, with a gap of 26.17m, and receives 10 shares. Of the remaining 22, a minimum of four is subtracted from the total of 18. First, one is added to the middle part 3 · 6 (= 1940 mm = 6140-650 × 2-100-1400 × 2) of the connection part having the remaining large dimension. Add the rest in the middle of the same dimension 1, 2, 4, 5, 7, 8, taking into account the balance of the layout.

다음으로 유닛의 배분에 따라서, 각 유닛의 대기 위치를 산출해 낸다. [열차1]은 도어간의 거리가 좁고, 도어 앞의 도어 몸체를 전부 다 내놓는 것(=여유 편측 450㎜를 취하는 것)은 양단부·연결부 이외는 할 수 없지만, 2m 개구에 상당하는 여유 편측 350㎜는 거의 확보되어 있다. [열차2]에서는, 모든 도어에서 ±450㎜의 여유가 취해져 있다. [열차3]에서는, 일부 여유 치수 215㎜로 적은 것이 있지만 실용상은 문제 없다.Next,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the units, the waiting posi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are calculated. [Train 1] has a narrow distance between the doors and is not capable of releasing the entire door body in front of the door (= 450 mm on the side of the leeway) except for both ends and the connecting portion. However, Is almost secured. In [Train 2], a margin of ± 450 mm is taken from all doors. In [Train 3], there are few spare dimensions of 215mm, but there is no problem in practical use.

또한, [열차1] [열차3]에서는, 승무원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 포켓체가 열차 단부보다 외측으로 850·765㎜ 밀려나온다(도 4). 반대로 [열차2]에서는, 열차 단부로부터 550㎜ 들어간 곳까지 본 유닛이 있으면 된다.Further, in [Train 1] [Train 3], when the crew door is used, the door pocket body is pushed outwardly by 850 · 765 mm from the end of the train (FIG. 4). On the other hand, in [train 2], this unit may be required to extend 550 mm from the end of the train.

(3) 스텝3: 홈 상의 위치 결정(3) Step 3: Positioning on the groove

각 열차의 목표 정지 위치에 대해서는, 최장인 [열차1]은 홈 전단부로부터 5m의 위치에 설정하고, [열차2]·[열차3]은 그곳에서 10m 뒤로 내려간 위치로 하였다(도 5). 이 조건에 따라서 공백 부위를 열차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개로 나누고, 치수에 따라서 유닛의 개수를 배분한다.For the target stop position of each train, the longest [train 1] was set at a position 5 m from the front end of the groove, and [train 2] and [train 3] were set at a position 10 m backward therefrom (Fig. According to this condition, the blank par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train, and the number of units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덧붙여서 말하면, 본 예에서는, 가장 이동 범위가 큰 유닛에서 2480㎜이었다. 또한, 전체의 이동 총량은, [열차1]←→[열차2]에서 26660㎜, [열차1]←→[열차3]에서 20250㎜, [열차2]←→[열차3]에서 28520㎜로 되었다. 이들은 결정된 목표 정지 위치에 대한 값이며, 상기 수치를 최적화하는 목표 정지 위치는 별도로 존재하고 있다.Incidentally, in this example, it was 2480 mm in the unit having the largest moving range.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total movement is 26,060 mm in [train 1] -> [train 2], 20250 mm in [train 1] -> [train 3], 28520 mm in [train 2] . These are values for the determined target stop position, and target stop positions for optimizing the values exist separately.

또한, 도 18에 있어서, 전단 부위, 후단 부위의 치수는, 도 17에 있어서의 보정 전단 부위, 보정 후단 부위의 치수가 기입되어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공백 부위의 치수도 보정되어 있다.In Fig. 18, the dimensions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written with the dimensions of the corrected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n Fig. 17,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imension of the blank portion is also corrected.

<산업상 이용 가능성>&Lt; Industrial applicability >

본 발명은 플랫홈에 설치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이나 기설치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가 신규 열차에 대응 가능한지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provided in the platform or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is installed in a new train.

1 : 플랫홈
2 : 가이드 레일
3 : 가동 도어 포켓
4, 4´ : 제1 도어 몸체
5, 5´ : 제2 도어 몸체
1: Platform
2: Guide rail
3: movable door pocket
4, 4 ': first door body
5, 5 ': second door body

Claims (13)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며,
상기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홈의 일부와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N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N-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 중 적어도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N-1개의 중간 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의 각 중간 부위에,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복수의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An apparatus for matching a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to a train,
The groove do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which comprises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on the groove, thereby closing at least a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Means for storing length dimensions of at least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N-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partitioning a train having N elevator openings in each of the elevation openings,
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a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The number of units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middle portion is calculated by using all or part of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one uni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Sudan,
A unit for assigning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unit group &quot;) calculated by the unit number calculation means to each middle portion of a plurality of consecutive intermediate portions of at least a part of N-1 intermediate portions Group allocation means,
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a door pocket and a train of a door body of each unit of the unit group assigned by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is set to a target waiting posi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secutive middle portions are arranged by the assigned unit group And a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at the entrance is located within an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adjacent unit groups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산출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는, 당해 유닛의 최대 개수 및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기억된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각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of-units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ntermediate portions ar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the units,
Wherein said unit group assigning means assigns a unit group composed of a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stored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부위, 상기 후단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1개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단부 유닛군을 할당하는 단부 유닛군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과 상기 단부 유닛군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유닛군과 상기 중간 부위의 유닛군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end unit group allocation means for allocating an end unit group composed of one or more units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Wherein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at the unit group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end unit group are kept closed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nd th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the end unit group and th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ntrance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the groups.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유닛수를 결정하는 유닛수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유닛수 결정 수단은,
각 이종 열차에 대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서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닛수는, 상기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를 폐쇄 가능한 유닛수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an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longitudinally extending units on the groove, each unit compris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there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The apparatus includes unit number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units,
The number-of-
Means for storing respective length dimens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partitioning each of the hatche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a hatchway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And
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ntermediate portions,
Means for obtain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each of the heterogeneous trains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for each heterogeneous train,
And means for determining an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and determining the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as the first unit number, Wherein the total number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longest train is capable of being clo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열차는, 적어도 1개의 길이가 상이한 열차를 포함하고,
최장 열차와 짧은 열차의 길이의 차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길이의 차에 기초하여, 당해 짧은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최장 열차에 맞추어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보정 후의 최대 총 수 및 최소 총 수를 사용하여 중복 범위가 구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terogeneous train comprises at least one train of different lengths,
Means for obtaining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longest train and the short train,
Means for correcting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short train according to the longest train based on the difference in length,
Wherein the redundant range is obtained by using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after correction.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수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대상 홈에 정차하는 전체 이종 열차에 대응 가능한 유닛수를 결정하는 유닛수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수 결정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고, 전체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제2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제1 유닛수와 제2 유닛수의 합계를 소정수로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an elevat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longitudinally extending units on the groove, each unit compris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there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The apparatus includes unit numb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units that can be accommodated for all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that stop in the target groove,
Wherein said unit number determination means comprises:
In the longest train that stops on the platform, the trains are partitioned at each entrance to divide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a rear end portion to obtai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and correspond to the length dimension of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st number of units to be used,
Means for determining a second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And means for setting the sum of the first unit number and the second unit number as a predetermined nu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이종 열차마다,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각 열차에 있어서의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각 이종 열차의 유닛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중복 범위를 구하고, 당해 중복 범위로부터 선택한 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number of units comprises:
Means for obtaining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by dividing into a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a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each of the elevation openings in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acquired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region for each heterogeneous train And
Means for 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in each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for each different train,
And means for obtaining an overlapping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and using the number selected from the overlapping range as the first unit nu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수를 결정하는 수단은,
플랫홈에 정차하는 각 이종 열차의 최장 열차에 있어서,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1개의 전단 부위, 복수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로 분할하여 각 부위의 길이 치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수, 최소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최장 열차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 최소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유닛 최대 총 수, 최소 총 수를 취득하고, 유닛 최대 총 수와 유닛 최소 총 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유닛수를 제1 유닛수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number of units comprises:
Means for obtaining a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by dividing the longest trai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standing on the platform into one front end por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ortions, and one rear end portion by partitioning each of the inlet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each intermediate reg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each unit in the longest train Means for acquiring,
Means for obtaining the maximum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in the longest train respectively and setting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of units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as the first number Wherein the movable door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 배치 결정 수단은,
이종 열차마다, 상기 제1 유닛수의 유닛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내지 최소 개수의 범위 내의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과,
할당된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열차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각 이종 열차의 전체 중간 부위가 상기 할당된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인접하는 유닛군간에 형성되는 개구 폭 내에 승강구가 위치하도록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구성 결정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8,
The apparatus includes unit arrangement determining means,
The unit arrangement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All or a part of the units of the first number of units are assigned to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unit groups &quot;)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to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termediate portions Unit group assignment means for assigning unit group assignment means,
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door pockets of the assigned units and the trains of the door body is set such that the entire intermediate por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trains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closed by the assigned unit group, And a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at the entrance is positioned within the opening width formed between the adjacent unit groups from the opening / closing unit group.
홈 상에 설치된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신이종 열차에의 적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장치이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함으로써, 홈과 궤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함과 함께, 열차에의 승강시에 열차의 승강구에 맞추어 유닛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M개의 승강구를 구비한 신이종 열차를 각 승강구에 있어서 구획함으로써 얻어진, 1개의 전단 부위, M-1개의 중간 부위, 1개의 후단 부위의 각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를 구성하는 유닛 총 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신이종 열차의 각 중간 부위, 전단 부위, 후단 부위, 상기 승차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전체 길이와 신이종 열차의 전체 길이의 차인 공백 부위의 각 부위의 길이 치수,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사용하여,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계산하는 수단과,
계산된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각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각각 가산함으로써,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설치된 홈 도어의 유닛 총 수가, 신이종 열차의 유닛수의 최대 총 수와 최소 총 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을 구비한,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of a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on a groove is applicable to a new kind of train,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type door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nits including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ar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roove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and the orbit ,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of the train when the train ascends and descends,
Means for storing respective length dimensions of one front end portion, M-1 middle portion, and one rear end portion obtained by dividing a new-type longitudinal train having M cooperating doors at each entrance,
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of a train included in each portion of the slave train,
Means for storing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stituting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Means for storing the total length of the ride position variable type door,
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A length dimension of each portion of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longitudinal train, a front end portion, a rear end portion, a total length of the riding position variable door and a total length of the longitudinal train, a maximum width of one unit, Means for calculat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using the width dimensions of the hatches included in the respective portions,
Means for storing a maximum number and a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calculated portion,
Means for acquiring a maximum total number and a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new longitudinal train by adding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rtions,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installed door is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total number and the minimum total number of units of the longitudinal train
.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이며,
상기 홈 도어는,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도어 포켓과 1매 이상의 도어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홈 상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열차에 있어서의 제1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1 구획선과 제1 승강구의 이웃에 위치하는 제2 승강구에 있어서의 제2 구획선 사이에 규정되는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와 후단부측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부위의 길이 치수와, 1유닛의 최대폭 치수, 최소폭 치수, 각 중간 부위에 포함되는 승강구의 폭 치수의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각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수를 산출하는 유닛수 산출 수단과,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1개 혹은 복수의 유닛(이하 「유닛군」이라고 함)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유닛군 할당 수단
을 구비한,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An apparatus for matching a lift door position variable door to a train,
The groove doo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units of a movable door pocke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and one or more door bodie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roove,
Means for storing a length dimension of an intermediate portion defined between a first partition line in a first elevator opening of a train and a second partition line in a second elevation opening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elevation opening;
Means for storing a width dimension of a hatching opening included in at least one of a front end side and a rear end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Means for stor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minimum width dimension of one unit,
Calculating the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each intermediate portion by using all or part of the length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the minimum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entrance door included in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one unit, Sudan,
Unit group allocation means for assigning one or a plurality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unit group &quot;) calculated by the unit number calculation means to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position of the movable do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수 산출 수단은, 상기 중간 부위에 대응하는 유닛의 최대 개수, 최소 개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은, 상기 최대 개수와 최소 개수의 범위로부터 선택한 개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닛군을 상기 중간 부위에 할당하는 것인,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nit number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of units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portion,
Wherein said unit group assigning means assigns a unit group consisting of the number of units selected from the range of the maximum number and the minimum number to the intermediate portion.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는, 상기 유닛군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된 유닛군의 각 유닛의 도어 포켓 및 도어 몸체의 상기 중간 부위에 대한 목표 대기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목표 대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목표 대기 위치를, 당해 목표 대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위가 상기 유닛군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폐쇄 자세에 있어서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가 상기 중간 부위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승강구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당해 목표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군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도어 몸체를 개방함으로써, 대응하는 승강구와의 사이에 개구부 여유를 형성하도록 결정하는, 승강 위치 가변형 홈 도어의 열차에의 대응짓기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apparatus for associating the elevating position variable door with the train comprises a door pocket of each unit of the unit group assigned by the unit group assigning means and 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determining a target waiting position for the middle portion of the door body Determining means,
The target wait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Wherein the target waiting position is set such that the middle portion is closed by the unit group at the target waiting position and the door body located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group in the closed posture is in the middle By opening the door body located at one or more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group from the target wai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a door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allowance is determined so as to form an opening margin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KR1020137014125A 2010-12-03 2011-11-08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KR1014270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0944A JP5311313B2 (en) 2010-12-03 2010-12-03 Entry / exit position variable type platform door associating device with train and platform position variable type platform door configuration determining apparatus
JPJP-P-2010-270944 2010-12-03
PCT/JP2011/075680 WO2012073658A1 (en) 2010-12-03 2011-11-08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545A KR20130087545A (en) 2013-08-06
KR101427058B1 true KR101427058B1 (en) 2014-08-13

Family

ID=4617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25A KR101427058B1 (en) 2010-12-03 2011-11-08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11313B2 (en)
KR (1) KR101427058B1 (en)
CN (1) CN103237708B (en)
WO (1) WO201207365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718B2 (en) * 2012-11-07 2016-09-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Movable fence system
JP5940959B2 (en) * 2012-11-07 2016-06-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Movable fence system
JP6162202B2 (en) * 2015-11-30 2017-07-12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latform door equipment
JP6165228B2 (en) * 2015-12-21 2017-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Home door device
EP3455116A4 (en) * 2016-05-09 2020-01-08 Tal Leizer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JP6934798B2 (en) * 2017-10-19 2021-09-15 株式会社京三製作所 Vehicle door position detector
JP6934799B2 (en) * 2017-10-19 2021-09-15 株式会社京三製作所 Platform screen door system
WO2019245453A1 (en) * 2018-06-20 2019-12-26 St Engineering Electronics Ltd Variable pitch platform screens or sliding doors in transit stations
CN111547070B (en) * 2020-05-25 2021-02-26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High-speed railway platform door based on telescopic movable unit
CN111547071B (en) * 2020-05-25 2021-07-06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High-speed railway platform door with adjustable door opening position
CN111852249B (en) * 2020-07-30 2021-08-27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Front-back staggered high-speed rail platform door control method
CN112441024B (en) * 2021-01-29 2021-04-09 成都唐源电气股份有限公司 Platform door design method based on vehicle type projection distribution and high-speed rail platform door
CN113222298B (en) * 2021-06-10 2023-04-14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Platform door configuration method based on determined vehicle type and platform door
KR102589550B1 (en) * 2022-04-04 2023-10-13 임창원 Movable platform screen door
EP4286235A1 (en) 2022-06-03 2023-12-06 Masats, S.A. Platform door, system comprising the platform door and method of actuating the platform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034A (en) 2003-05-28 2004-12-16 Kawasaki Heavy Ind Ltd Connection platform door drive
JP2005145372A (en) 2003-11-19 2005-06-09 Hitachi Ltd Flexibly movable fence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vehicle
JP2007030659A (en) 2005-07-26 2007-02-08 East Japan Railway Co Platform gate system
JP2009262628A (en) 2008-04-22 2009-11-12 Nabtesco Corp Platform do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589A (en) * 1991-07-31 1993-10-19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Folding door apparatus for a railway platform
DE19803991C2 (en) * 1998-02-02 2002-01-31 Juergen Rauch Flexible platform door system
JP4353683B2 (en) * 2002-07-31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tform door control device
JP2004291742A (en) * 2003-03-26 2004-10-21 Hitachi Ltd Platform door controlling equipment
JP4599140B2 (en) * 2004-02-17 2010-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How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fence and movable fence
GB2413133A (en) * 2004-04-16 2005-10-19 Westinghouse Brakes Barrier and barrier door for a railway platform
WO2007140501A1 (en) * 2006-06-08 2007-12-13 Alexander Lechner Station for gondola cablew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058940A1 (en) * 2009-11-12 2011-05-19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Automatic platform g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034A (en) 2003-05-28 2004-12-16 Kawasaki Heavy Ind Ltd Connection platform door drive
JP2005145372A (en) 2003-11-19 2005-06-09 Hitachi Ltd Flexibly movable fence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vehicle
JP2007030659A (en) 2005-07-26 2007-02-08 East Japan Railway Co Platform gate system
JP2009262628A (en) 2008-04-22 2009-11-12 Nabtesco Corp Platform do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37708A (en) 2013-08-07
WO2012073658A1 (en) 2012-06-07
CN103237708B (en) 2015-07-22
KR20130087545A (en) 2013-08-06
JP5311313B2 (en) 2013-10-09
JP2012116449A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058B1 (en) Associating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with trai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device of loading/unloading position variable platform door
AU2015326986B2 (en) Lift system having individually driven cars and a closed track
RU2577445C2 (en) System with several cabins in elevator shaft
US6955245B2 (en)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 number of individually propelled cars in at least three adjacent hoistways
JP4882659B2 (en) Multi car elevator
CN104229575A (en) Passenger guiding device of elevator and method for guiding passenger in elevator
CN101568482A (en)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single hoistway
TWI568659B (e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20100326791A1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goods
AU2011355671A1 (en)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20170355564A1 (en) Elevator system
US6896105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control panel within hoistway
US11541942B2 (en) Vehicle bottom structure
RU2481262C2 (en) Elevator system and its counterweight
CN111954634B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CN105293249B (en) Lift appliance
CN102883984B (en) Elevator system having a counterweight and counterweight guide
RU2378180C2 (en) Elevator
JP2016223085A (en) Parking device
AU2015201264C1 (en)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EP3281872B1 (en) Aeroplane lavatory
JPH03297783A (en) Operation passage for main-cableless elevator
JP2018043878A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