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06B1 -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06B1
KR101426606B1 KR1020120109721A KR20120109721A KR101426606B1 KR 101426606 B1 KR101426606 B1 KR 101426606B1 KR 1020120109721 A KR1020120109721 A KR 1020120109721A KR 20120109721 A KR20120109721 A KR 20120109721A KR 101426606 B1 KR101426606 B1 KR 10142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butadiene
vegetable oil
polym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634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3893 priority patent/WO2014054846A1/en
Publication of KR2014004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30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 C08C19/42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08C19/44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of polymers containing metal atoms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F297/0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using a coup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는 석유 유래 고분자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석유화학-천연물의 하이브리드 소재로 가공성이 우수하여 의료, 신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의 소재 산업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biomass elastomer based on vegetable oil}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ㆍ부타디엔 함유 중합체를 식물성 오일과 커플링 반응시켜 가공성 및 탄력성이 향상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성체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외부의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인 탄성을 지닌 물체로 고무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고무는 고무나무라는 천연소재로부터 얻어지는 천연고무와, 이소프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천연고무와 동일한 구조의 합성고무가 있다.
산업이 발달됨에 따라 산업 여러 분야에서 고무의 소비는 증가되고 있다. 천연물기반 소재의 천연고무는 원료 수급, 물성 및 내열성에 있어 부품 소재로 응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석유화학 유래 소재의 합성고무는 석유 자원이 유한하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로 지구온난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바이오매스(Biomass)는 태양에너지를 받는 식물과 미생물, 광합성으로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체로 재생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고분자를 비롯한 화학소재 산업은 가격과 환경보호라는 두 가지 점에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바이오매스-기반 플라스틱(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개발 및 생산으로 흘러가고 있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그 원료인 바이오매스가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탄소배출저감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소재이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예로는 전분을 이용한 전분계 플라스틱과 옥수수로부터 포도당, lactic acid, lactide 등으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 생산된 폴리락티드(PLA)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면서 동시에 생분해성도 나타낸다.
화학합성에 의해 얻어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유산,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가 있고 필름과 섬유로 성형 가공되어, 주로 범용플라스틱 분야에 용도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내열성 등이 요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에는 피마자유의 리시놀산을 원료로 하는 폴리아마이드 11(융점 187℃)과 폴리아마이드 610(융점 215℃) 등의 폴리아마이드계가 있고, 폴리아마이드 4(융점 260℃)는 고성능 물성이 요구되는 부가가치 높은 용도에서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석유를 원료로 한 기존의 플라스틱에 비해 아직까지 난연소성, 내충격성, 내열성, 성형성 등 물성이 낮으므로 현재로서는 식품용기나 포장재 등 몇몇 제품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원을 재사용하면서 가공성 및 탄성력 향상 등의 물성이 개량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제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스티렌ㆍ부타디엔 함유 공중합체를 식물성 오일과 커플링 반응시켜 가공성이 우수하고 탄성력이 향상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렌ㆍ부타디엔 함유 중합체를 식물성 오일과 커플링 반응시켜 가공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향상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티렌ㆍ부타디엔 함유 중합체를 식물성 오일과 커플링 반응시켜 가공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향상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block)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제조방법은 식물성 오일을 스티렌ㆍ부타디엔 함유 중합체와 커플링 반응시켜 스티렌 부타디엔 분자구조를 제어함으로써 가공성 및 탄력성이 향상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제조방법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여 환경친화적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는 석유 유래 고분자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석유화학-천연물의 하이브리드 소재로 가공성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의료, 신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의 소재 산업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순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GPC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이용)의 GPC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순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이용)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의 GPC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이용)의 GPC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의 1H-NMR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이용)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의 GPC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 이용)의 GPC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의 1H-NMR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일실시예(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 이용)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 및 비교예의 중합체들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미가황), (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기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바이오매스 탄성체(미가황), (c)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미가황), (d)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기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바이오매스 탄성체(미가황), (e)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미가황), (f)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기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바이오매스 탄성체(미가황), (g)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기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바이오매스 탄성체(가황), (h)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가황), (i)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기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바이오매스 탄성체(가황) 및 (j)는 순수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가황)의 사진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단계 1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 용매를 35~45℃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용매에 사용될 전체 스티렌 모노머 량 중 30 내지 70 중량%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스티렌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개시제를 투여하고 이어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타디엔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나머지 스티렌 모노머 30 내지 70 중량%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 용매를 35~45℃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용매에 스티렌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스티렌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개시제를 투여하고 이어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 용매에 스티렌 모노머와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고 35~45℃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제조단계(단계 1)에서 개시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n-부틸리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1 : 0.8 ~ 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 ~ 2.5이다.
다음으로, 단계 2는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식물성 오일은 카놀라유, 옥수수유, 목화씨유, 아마씨유, 올리브유, 평지씨유, 대두유 및 해바라기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한 식물성 오일의 폐식물성 오일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반응 단계(단계 2)에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중합체와 상기 식물성 오일의 혼합비율은 몰비(molar ratio)를 기준으로 1 : 0.2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와 식물성 오일의 보다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몰비 기준으로 1 : 0.5 ~ 2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1 : 0.7 ~ 1.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반응 단계는 25~55℃의 온도에서 30~14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45℃의 온도에서 60~12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4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량은 상기 중합체 분자량의 1.5 내지 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반응 후 얻어진 바이오매스 탄성체에 산화아연(ZnO),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산화방지제, 황(S) 및 가황촉진제를 혼합하여 가황하는 단계(단계 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오매스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1 내지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5 내지 2.5 중량부, 황 0.5 내지 5.0 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0.5 내지 5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가황시 온도는 140 내지 22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온도는 170 내지 18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Dibutyl Hydroxy Toluene: BHT)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가황촉진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조일 설펜아마이드(N-cyclohexyl-2-benzothiazoyl sulfenamide) 또는 CBS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바이오매스 탄성체는 가황처리를 통하여 인장강도가 높아지고 부풀림이나 마모에 잘 견디며 탄성을 유지하는 온도 범위가 넓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BS/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
시클로헥산을 용매로 하고 n-부틸리튬을 개시제로 하며 개시온도는 40℃에서 시작하였다. 시클로헥산 380 ml를 40℃로 가열하고 가열된 시클로헥산에 스티렌 모노머 25 ml를 투여하고, n-부틸리튬 3 ml, 부타디엔 모노머 70g 순으로 투여하였다. 상기 부타디엔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스티렌 모노머 25 ml를 투여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SBS 블록 공중합체에 폐대두유 3 g을 주입하여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이 끝나면 반응 종결제로 메틸알코올 5 ml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바이오매스 탄성체 제조의 반응과정(반응식 1 ~ 4)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 Styrene과 n-Butyl Lithium의 반응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1

반응식 2 : Styrene-Butadiene diblock copolymer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2

반응식 3 : 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3

반응식 4 : Styrene-Butadiene-Styrene / 폐식물성 오일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4

<시험예 1> SBS/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이용
<1-1> GPC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1에 순수 SBS 블록 공중합체의 GPC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S/폐식물성 오일)의 GPC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분자량 25,000의 순수 SBS 블록 공중합체의 GPC이고, 도 2는 분자량 50,000의 SBS/폐식물성 오일의 GPC이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여 보면, 분자량이 25,000에서 50,000으로 2배 증가하였으므로 식물성 오일과 중합체가 2가 반응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식물성 오일(구조상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은 세 개의 사슬로 되어 있는데 두 개의 사슬에서 결합반응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1-2> 1H-NMR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자기공명분광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3에 순수 SBS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S/폐식물성 오일)의 1H-NMR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비교하여 보면, 도 4에서 3.6 ppm 부근에서 SBS 블록 공중합체와 식물성 오일과는 다른 새로운 피크가 나타났다. 이는 SBS 블록 공중합체와 식물성 오일이 결합됨으로써 식물성 오일의 -C=O 이중결합이 -C-O- 단일결합으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1-3> 물성 분석
SBS 블록 공중합체와 SBS/폐식물성 오일의 물성 비교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5

<실시예 2> SB 블록/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
시클로헥산을 용매로 하고 n-부틸리튬을 개시제로 하며 개시온도는 40℃에서 시작하였다. 시클로헥산 380 ml를 40℃로 가열하고 가열된 시클로헥산에 스티렌 모노머 50 ml를 투여하고, n-부틸리튬 3 ml, 부타디엔 모노머 70 g 순으로 투여하여 스티렌-부타디엔(SB) 블록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SB 블록 중합체에 폐대두유 3 g을 주입하여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이 끝나면 반응 종결제로 메틸알코올 5 ml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바이오매스 탄성체 제조의 반응과정(반응식 1, 2 및 5)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 Styrene과 n-Butyl Lithium의 반응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6

반응식 2 : Styrene-Butadiene diblock polymer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7

반응식 5 : Styrene-Butadiene diblock polymer / 폐식물성 오일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8

<시험예 2> SB 블록/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이용
<2-1> GPC 분석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GPC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5에 순수 SB 블록 중합체의 GPC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 블록/폐식물성 오일)의 GPC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분자량 25,000의 순수 SB 블록 중합체의 GPC이고, 도 6은 분자량 50,000의 SB 블록/폐식물성 오일의 GPC이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하여 보면, 분자량이 25,000에서 50,000으로 2배 증가하였으므로 식물성 오일과 중합체가 2가 반응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식물성 오일(구조상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은 세 개의 사슬로 되어 있는데 두 개의 사슬에서 결합반응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2-2> 1H-NMR 분석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1H-NMR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7에 순수 SB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스펙트럼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 블록/폐식물성 오일)의 1H-NMR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비교하여 보면, 도 8에서 3.6 ppm 부근에서 SB 블록 중합체와 식물성 오일과는 다른 새로운 피크가 나타났다. 이는 SB 블록 중합체와 식물성 오일이 결합됨으로써 식물성 오일의 -C=O 이중결합이 -C-O- 단일결합으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2-3> 물성 분석
SB 블록 중합체와 SB 블록/폐식물성 오일의 물성 비교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2080112526-pat00009
SB 블록 중합체와 SB 블록/폐식물성 오일의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유동계(rheometer)로 최대토크(Maximun torque), 스코치 시간(scorch time) 및 경화시간(cure time)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0

<실시예 3> SB 랜덤/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
시클로헥산을 용매로 하고 n-부틸리튬을 개시제로 하며 개시온도는 40℃에서 시작하였다. 시클로헥산 380 ml에 스티렌 모노머 50 ml와 부타디엔 모노머 70g을 투여하고 40℃로 가열하였다. 가열된 혼합물에 n-부틸리튬 3ml를 투여하여 스티렌-부타디엔(SB) 랜덤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SB 랜덤 중합체에 폐대두유 3 g을 주입하여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이 끝나면 반응 종결제로 메틸알코올 5 ml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바이오매스 탄성체 제조의 반응과정(반응식 6 ~ 7)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6 : Styrene- Butadiene random polymer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1

반응식 7 : Styrene-Butadiene random polymer / 폐식물성 오일 형성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2

<시험예 3> SB 랜덤/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이용
<3-1> GPC 분석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GPC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9에 순수 SB 랜덤 공중합체의 GPC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 랜덤/폐식물성 오일)의 GPC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분자량 25,000의 순수 SB 랜덤 중합체의 GPC이고, 도 10은 분자량 50,000의 SB 랜덤/폐식물성 오일의 GPC이다.
도 9와 도 10을 비교하여 보면, 분자량이 25,000에서 50,000으로 2배 증가하였으므로 식물성 오일과 중합체가 2가 반응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식물성 오일(구조상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은 세 개의 사슬로 되어 있는데 두 개의 사슬에서 결합반응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3-2> 1H-NMR 분석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분자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1H-NMR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11에 순수 SB 랜덤 중합체의 1H-NMR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SB 랜덤/폐식물성 오일)의 1H-NMR 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비교하여 보면, 도 12에서 3.6 ppm 부근에서 SB 랜덤 중합체와 식물성 오일과는 다른 새로운 피크가 나타났다. 이는 SB 블록 중합체와 식물성 오일이 결합됨으로써 식물성 오일의 -C=O 이중결합이 -C-O- 단일결합으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3-3> 물성 분석
SB 랜덤과 SB 랜덤/폐식물성 오일의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유동계(rheometer)로 최대토크(Maximun torque), 스코치 시간(scorch time) 및 경화시간(cure time)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3

<실시예 4> SB 블록/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가황)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 100g, 산화아연 5.0g, 스테아린산 1.5g, BHT 1.0g, S 1.25g, 및 CBS 2.0g을 혼합하여 160~170℃에서 열처리하여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SB 블록 중합체와 가황된 SB 블록/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물성 비교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4

<실시예 5> SB 랜덤/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가황)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바이오매스 탄성체 100g, 산화아연 5.0g, 스테아린산 1.5g, BHT 1.0g, S 1.25g, 및 CBS 2.0g을 혼합하여 160~170℃에서 열처리하여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SB 랜덤 중합체와 가황된 SB 랜덤/폐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물성 비교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2080112526-pat0001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커플링 반응시켜 바이오매스 탄성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 반응 후 얻어진 바이오매스 탄성체에 산화아연(ZnO), 스테아린산, 산화방지제, 황(S) 및 가황촉진제를 혼합하여 가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반응 단계에서 상기 중합체와 상기 식물성 오일의 혼합비율은 몰비 기준으로 1 : 0.2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반응 단계는 25~55℃의 온도에서 30~14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화수소 용매를 35~45℃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용매에 사용될 전체 스티렌 모노머 량 중 30 내지 70 중량%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스티렌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개시제를 투여하고 이어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타디엔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나머지 스티렌 모노머 30 내지 70 중량%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화수소 용매를 35~45℃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용매에 스티렌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스티렌 모노머가 투여된 용매에 개시제를 투여하고 이어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중합체는,
    n-헥산, n-헵탄, iso-옥탄, 시클로헥산 및 메틸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화수소 용매에 스티렌 모노머와 부타디엔 모노머를 투여하고 35~45℃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물에 개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
KR1020120109721A 2012-10-02 2012-10-02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KR10142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1A KR101426606B1 (ko) 2012-10-02 2012-10-02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PCT/KR2013/003893 WO2014054846A1 (en) 2012-10-02 2013-05-06 Method of producing vegetable-oil-based biomass elastomer and elastomer produc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1A KR101426606B1 (ko) 2012-10-02 2012-10-02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34A KR20140043634A (ko) 2014-04-10
KR101426606B1 true KR101426606B1 (ko) 2014-08-05

Family

ID=5043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21A KR101426606B1 (ko) 2012-10-02 2012-10-02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6606B1 (ko)
WO (1) WO2014054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53B1 (ko) * 2014-05-14 2016-10-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폐식물성 오일로부터 제조된 바이오매스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신발 아웃솔
CN104710801B (zh) * 2015-03-26 2017-04-05 北京中海顺达科技有限公司 一种再生胶软化剂及其制备方法
CN115624955B (zh) * 2022-10-25 2024-05-28 李智强 一种生物炭土壤重金属修复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155B1 (ko) 2000-01-12 2006-01-24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S-b-s조성물
KR100558496B1 (ko) * 1997-04-21 2006-10-24 엘프 앙타르 프랑스 중합체/비투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외장재에의 응용
KR101154178B1 (ko) 2010-03-29 2012-06-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탄성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96B1 (ko) * 1997-04-21 2006-10-24 엘프 앙타르 프랑스 중합체/비투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외장재에의 응용
KR100545155B1 (ko) 2000-01-12 2006-01-24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S-b-s조성물
KR101154178B1 (ko) 2010-03-29 2012-06-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탄성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ELASTOMER AND COMPOSIT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846A1 (en) 2014-04-10
KR20140043634A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Improvement of compatibility and mechanical performances of PLA/PBAT composites with epoxidized soybean oil as compatibilizer
CN105121476B (zh) 充油官能化的苯乙烯‑丁二烯共聚物
Rahman et al. Designing block copolymer architectures toward tough bioplastics from natural rosin
Wei et al. Tough bio‐based elastomer nanocomposites with high performance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Tsujimoto et al. Maleated trans-1, 4-polyisoprene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with dynamic network structure and its shape memory property
Tan et al. Biodegradable waste frying oil-based ethoxylated esters as highly efficient plasticizers for poly (lactic acid)
CN101848949A (zh) 用于橡胶用途的纳米颗粒和液体聚合物的一步合成
KR101426606B1 (ko) 식물성 오일 기반 바이오매스 탄성체의 제조방법
Lei et al. Pendant Chain effect on the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e–property relations of poly (di-n-alkyl itaconate-co-isoprene) biobased elastomers
Wang et al. Robust, reprocessable, and reconfigurable cellulose-based multiple shape memory polymer enabled by dynamic metal–ligand bonds
L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poly (butylene succinate) by multifunctional toluene diisocyanate–trimethylolpropane polyurethane prepolymer
Voet et al. Plastics in the circular economy
CN102391552A (zh) 一种含酚醛增粘树脂的橡胶材料
Hu et al. Toughening biosourced poly (lactic acid) and poly (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blends by a renewable poly (epichlorohydrin-co-ethylene oxide) elastomer
Song et al. Green and catalyst-free cross-linking of bio-based elastomers toward robust, reprocessable abilities and improved thermal aging resistance enabled by β-hydroxyl esters
Ji et al. Green routes toward cross-linkable and robust elastomers derived from biobased fumaric acid
CN102295718A (zh) 一种生物基高度支化聚酯及其制备方法
Hao et al. Semi-Interpenetrating Polyurethane Network with Fatigue Elimination and Upcycled Mechanical Performance
Kang et al. Tough and Recyclable Polybutadiene Elastomer Based on Quadruple Hydrogen Bonding
KR101154178B1 (ko)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탄성체의 제조방법
Zhao et al. Homogenizing blends of cross-linked polymers by interfacial exchange reactions
Zou et al. Biobased Recyclable Rubbers With Shape Memory, Self-welding, and Damping Properties by Cross-Linking Epoxidized Natural Rubber with Succinic Anhydride
Ji et al. Development of sustainable tire tread using novel biobased itaconate elastomers
CN103360736A (zh) 一种腐植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Tang et al. High-Performance Stimulus-Healable Sustainable Multiblock Copolymer Elastomers with Magnetothermal and Phototherm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