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78B1 -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78B1
KR101426478B1 KR1020130056220A KR20130056220A KR101426478B1 KR 101426478 B1 KR101426478 B1 KR 101426478B1 KR 1020130056220 A KR1020130056220 A KR 1020130056220A KR 20130056220 A KR20130056220 A KR 20130056220A KR 101426478 B1 KR101426478 B1 KR 10142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old
holder
main body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성
Original Assignee
박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성 filed Critical 박영성
Priority to KR102013005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파일양생용 몰드(거푸집)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를 서로 체결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접합되는 스프링 지지부재(30)와,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에 접합되는 홀더(40)와, 홀더(40)에 장착되는 너트(50)와, 스프링 지지부재(30)를 통해 너트(50)에 체결되는 볼트(60)와, 볼트(60)에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70)으로 구성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40)는 "U" 형상의 본체(45)의 안쪽면에 걸림턱(43)이 형성되고, 걸림턱(43)에 너트(50)의 헤드부(51)가 걸리게 되며, 걸림턱(43) 앞에 형성된 핀구멍(44)에 핀(80)이 끼워짐으로써, 너트(50)가 핀(80)에 걸려, 본체(45)의 개구부(42)로 너트(5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본체(45)에서 핀(80)이 장착되는 개구부(42)의 반대편에 절취부(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FIXTURE OF FILE-CURING MOLD}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파일양생용 몰드(거푸집)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를 서로 체결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에 부착되는 홀더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절취부가 개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2672호(2002년 10월 8일, 출원)에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는 "ㄷ" 형상의 브라켓에 너트가 끼워진 후, 상기 너트의 헤드부가 브라켓의 내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지지되는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에 있어서, 브라켓의 양측면 전단부에 장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 일자형 클립이 끼워져 브라켓의 걸림턱에 헤드부가 지지된 너트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는 브라켓의 걸림턱에 시멘트 모르타르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걸림턱에 쌓인 시멘트 모르타르을 청소하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에 부착되는 홀더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절취부가 개구부의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거푸집에서 누출되는 모르타르액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홀더의 내부로 유입되어도 절취부를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고, 홀더의 내부에서 굳은 모르타르를 꼬챙이 등을 이용하여 긁어내면, 홀더에서 떨어진 모르타르를 절취부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의 헤드부와 걸림턱 사이에 여유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볼트가 너트의 바로 윗부분이 절단되면, 여유 간극에 의해 볼트의 파단 부위를 하부 플랜지부의 볼트구멍에서 쉽게 뺄 수 있어, 너트를 교체하기 편리한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는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부에 접합되는 스프링 지지부재와,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에 접합되는 홀더와, 홀더에 장착되는 너트와, 스프링 지지부재를 통해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와, 볼트에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U" 형상의 본체의 안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에 너트의 헤드부가 걸리게 되며, 걸림턱 앞에 형성된 핀구멍에 핀이 끼워짐으로써, 너트가 핀에 걸려, 본체의 개구부로 너트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본체에서 핀이 장착되는 개구부의 반대편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부는 본체의 경사부 사이에 걸림턱과 같은 높이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하부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상부면에서 걸림턱 까지의 높이가 너트의 헤드부 높이 보다 높아, 너트가 볼트와 체결되면, 너트의 헤드부와 걸림턱 사이에 여유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유 간극은 4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는 거푸집에서 누출되는 모르타르액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홀더의 내부로 유입되어도 절취부를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고, 홀더의 내부에서 굳은 모르타르를 꼬챙이 등을 이용하여 긁어내면, 홀더에서 떨어진 모르타르를 절취부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볼트가 파단되었을 때, 홀더의 여유 간극에 의해 볼트의 파단 부위를 하부 플랜지부의 볼트구멍에서 쉽게 뺄 수 있어, 너트를 교체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파일 양생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가 고정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상세도
도 2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의해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의해 상부 몰드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몰드의 하부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볼트가 절단되었을 때 홀더에 장착된 너트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는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접합되는 스프링 지지부재(30)와,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에 접합되는 홀더(40)와, 홀더(40)에 장착되는 너트(50)와, 스프링 지지부재(30)를 통해 너트(50)에 체결되는 볼트(60)와, 볼트(60)에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는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에 볼트 구멍(22)이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부(21)의 볼트 구멍(22) 둘레에 홀더(40)의 상부면(41)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홀더(40)의 개구부(42)를 통해 너트(50)가 홀더(40)로 인입되어, 너트(50)의 헤드부(51)가 홀더(40)의 걸림턱(43)에 걸리게 됨으로써, 너트(50)의 헤드부(51)가 걸림턱(43)과 하부 플랜지부(21) 사이에 배치되고, 너트(50)가 홀더(40)의 개구부(42)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80)이 홀더(40)의 핀구멍(44)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볼트구멍(12)이 하부 플랜지부(21)의 볼트구멍(22)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부(11)의 볼트구멍(12) 둘레에 스프링 지지부재(30)가 용접되고, 스프링(70)이 끼워진 볼트(60)가 스프링 지지부재(30), 상부 플랜지부(11)의 볼트구멍(12), 하부 플랜지부(21)의 볼트구멍(22)을 통해 홀더(40)의 너트(50)에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가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홀더(40)는 "U" 형상의 본체(45)의 안쪽면에 걸림턱(43)이 형성되고, 걸림턱(43)에 너트(50)의 헤드부(51)가 걸리게 되며, 걸림턱(43) 앞에 형성된 핀구멍(44)에 핀(80)이 끼워짐으로써, 너트(50)가 핀(80)에 걸려, 본체(45)의 개구부(42)로 너트(5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본체(45)에서 핀(80)이 장착되는 개구부(42)의 반대편에 절취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46)는 본체(45)의 경사부(47, 48) 사이에 걸림턱(43)과 같은 높이로 절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의 홀더(40)는 본체(45)의 상부면(41)이 하부 플랜지부(21)에 용접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파일양생 몰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양생할 때,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 사이로 모르타르액이 누출되며, 누출된 모르타르액이 하부 플랜지부(21)에 용접된 홀더(40)로 유입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모르타르액이 개구부(42)를 통해 본체(45)의 내부로 유입되면, 본체(45)로 유입된 모르타르액은 절취부(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체(45)의 내부에서 굳은 모르타르를 꼬챙이 등을 이용하여 긁어내면, 본체(45)에서 떨어진 모르타르가 절취부(46)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40)의 본체(45)는 하부 플랜지부(21)에 용접되는 상부면(41)에서 걸림턱(43) 까지의 높이(h1)가 너트(50)의 헤드부 높이(h2) 보다 높아, 너트(50)가 볼트(60)와 체결되면, 너트(50)의 헤드부(51)와 걸림턱(43) 사이에 여유 간극(S1)이 형성된다.
상기 여유 간극(S1)은 4mm ~ 10mm 이다.
이것에 의해, 너트(50)에 체결된 볼트(60)가 파손되면, 일반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60)는 너트(50)의 바로 윗부분이 절단되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다. 이때, 본 발명은 너트(50)의 헤드부(51)와 걸림턱(43) 사이에 여유 간극(S1)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50)의 헤드부(51)가 걸림턱(43)에 밀착되도록, 너트(50)의 헤드부(51)를 걸림턱(43)까지 내리면, 볼트(60)의 파단 부위가 하부 플랜지부(21)의 볼트구멍(22)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핀(80)을 제거하고 너트(50)를 본체(45)의 개구부(42)로 빼내고 새로운 너트로 교체할 수 있다.
10 : 상부 몰드 11 : 상부 플랜지부
20 : 하부 몰드 21 : 하부 플랜지부
30 : 스프링 지지부재 40 : 홀더
50 : 너트 60 : 볼트
70 : 스프링 80 : 핀

Claims (4)

  1. 상부 몰드(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접합되는 스프링 지지부재(30)와, 하부 몰드(20)의 하부 플랜지부(21)에 접합되는 홀더(40)와, 홀더(40)에 장착되는 너트(50)와, 스프링 지지부재(30)를 통해 너트(50)에 체결되는 볼트(60)와, 볼트(60)에 끼워져 스프링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70)으로 구성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40)는 "U" 형상의 본체(45)의 안쪽면에 걸림턱(43)이 형성되고, 걸림턱(43)에 너트(50)의 헤드부(51)가 걸리게 되며, 걸림턱(43) 앞에 형성된 핀구멍(44)에 핀(80)이 끼워짐으로써, 너트(50)가 핀(80)에 걸려, 본체(45)의 개구부(42)로 너트(5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본체(45)에서 핀(80)이 장착되는 개구부(42)의 반대편에 절취부(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46)는 본체(45)의 경사부(47, 48) 사이에 걸림턱(43)과 같은 높이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5)는 하부 플랜지부(21)에 용접되는 상부면(41)에서 걸림턱(43) 까지의 높이(h1)가 너트(50)의 헤드부 높이(h2) 보다 높아, 너트(50)가 볼트(60)와 체결되면, 너트(50)의 헤드부(51)와 걸림턱(43) 사이에 여유 간극(S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 간극(S1)은 4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KR1020130056220A 2013-05-20 2013-05-20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KR10142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20A KR101426478B1 (ko) 2013-05-20 2013-05-20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20A KR101426478B1 (ko) 2013-05-20 2013-05-20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478B1 true KR101426478B1 (ko) 2014-08-05

Family

ID=5174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220A KR101426478B1 (ko) 2013-05-20 2013-05-20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77B1 (ko) * 2016-08-09 2016-12-12 김소현 콘크리트파일 몰드 제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제작방법
KR101934506B1 (ko) * 2017-07-17 2019-01-02 박영성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12Y1 (ko) * 2001-09-28 2002-01-16 최진협 콘크리트 파일형틀의 체결장치
KR200419782Y1 (ko) * 2006-03-31 2006-06-28 추만엽 콘크리트 거푸집용 볼트 어셈블리
KR200439245Y1 (ko) * 2006-11-01 2008-03-28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20110139917A (ko) * 2010-06-24 2011-12-30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12Y1 (ko) * 2001-09-28 2002-01-16 최진협 콘크리트 파일형틀의 체결장치
KR200419782Y1 (ko) * 2006-03-31 2006-06-28 추만엽 콘크리트 거푸집용 볼트 어셈블리
KR200439245Y1 (ko) * 2006-11-01 2008-03-28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20110139917A (ko) * 2010-06-24 2011-12-30 박영성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77B1 (ko) * 2016-08-09 2016-12-12 김소현 콘크리트파일 몰드 제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제작방법
KR101934506B1 (ko) * 2017-07-17 2019-01-02 박영성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11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
KR101426478B1 (ko) 파일양생 몰드용 고정구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101866164B1 (ko) 내화충전재 장착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US7163288B1 (en) Structure for fixing side shield of glasses
KR20160000446U (ko) 탈착이 용이한 방진 커터휠
JP2016044763A (ja) ホース継手
EP2009299A2 (en) Anchor bolt
KR200439129Y1 (ko) 커텐걸이막대 설치용 까치발
KR101752029B1 (ko) 탈거가 용이한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JP2011067372A (ja) 浴室の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KR101207210B1 (ko) 프레임 연결구조
KR101284372B1 (ko) 볼트 고정 클립
KR101464526B1 (ko) 볼트 및 너트없이 바퀴를 고정하는 바퀴 고정구
CN104386195B (zh) 摩托车的碟刹线夹的安装结构
CN201447908U (zh) 一种拉手
JP2010070994A (ja) 手摺りブラケット
CN210631049U (zh) 一种拆装方便的紧固件
KR101569701B1 (ko) 카메라 및 그립 유닛
KR101280447B1 (ko) 낚시대 받침틀과 낚시대 거치대의 결속장치
JP2014009504A (ja) 排水栓装置
KR20037012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CN103727732A (zh) 冰箱
KR101874855B1 (ko) 조립이 간편한 의자
KR100488504B1 (ko) 자동차의 사이드 글라스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