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167B1 -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 Google Patents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167B1
KR101426167B1 KR1020120154645A KR20120154645A KR101426167B1 KR 101426167 B1 KR101426167 B1 KR 101426167B1 KR 1020120154645 A KR1020120154645 A KR 1020120154645A KR 20120154645 A KR20120154645 A KR 20120154645A KR 101426167 B1 KR101426167 B1 KR 10142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torage space
upper portion
fasten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4784A (en
Inventor
문무경
김환희
최서빈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67B1/en
Publication of KR2014008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 수납장은 각각 체결 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 수단을 천정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홀을 구비한 상부, 상기 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 그리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옷이나 책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바닥에 존재하지 않고 천정에 매달려 있으므로 수납장으로 인해 소모되는 공간, 특히 바닥 공간이 감소한다. 따라서, 수납장으로 인해 감소하는 공간이 줄어듦으로 공간 활용이 좀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harvesting cabine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each having fastening means inserted therein and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o the ceiling, a lower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a storage space. Because of this,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clothes and books is not present on the floor but hangs on the ceiling, so space consumed by the storage space, especially floor space, is reduced. Therefore, space utilization is made more efficient by reducing the space to be reduced due to the storage space.

Description

공간 활용 수납장{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본 발명은 공간 활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utilized cabinet.

옷장이나 책장과 같은 수납장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갖고 있고, 수납되는 옷이나 책 등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납장에 형성된 각 수납 공간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이 정해지므로, 옷이나 책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은 정해진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게 된다.Since a storage space such as a closet or a bookcase generall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width and the vertical width of each storage space formed in the storage space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clothes or books to be stored, Has a siz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또한 이러한 수납장은 일반적으로 바닥에 위치하며 한 면이 벽과 접하게 배치된다.  These cabinets are generally located on the floor, with one side facing the wall.

따라서, 이러한 수납장은 좁은 공간에 배치할 경우, 배치의 어려움이 발생하며 또한 이런 수납장으로 인해 여유 공간의 크기가 크게 감소한다. Therefore, when such a storage space is arranged in a narrow space, difficulty arises and the size of the space is greatly reduced due to such a storage space.

이로 인해, 좁은 공간에 옷장이나 책장과 같은 수납장을 설치할 경우, 깔끔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주거 공간이나 생활 공간에 크게 감소하여 그곳에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제공한다.Therefore, when a cabinet such as a closet or a book shelf is installed in a small space, it is impossible to produce a clean indoor atmosphere, and it is greatly reduced in a living space or a living space, thereby providing inconvenience to people living there.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19223(등록일자: 2006년 06월 12일, 고안자: 정용주)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9223 (Registered Date: June 12, 2006, inventor: Jung Yong-joo)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간 활용을 좀더 효율적으로 하는 수납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inet that makes space utilization more efficient.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은 각각 체결 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 수단을 천정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홀을 구비한 상부, 상기 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 그리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The space-enabled cabi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to which fastening means are inserted and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o the ceiling, a lower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at are located.

상기 하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에서 돌출되어 있는 테두리 부분, 상기 테두리 부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원, 그리고 상기 테두리 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을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The lower portion includes a body, a rim protru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body,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loc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rim portion, and a cover coupled to the rim portion to protec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do.

상기 덮개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may be made of a light diffusing plate.

상기 특징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은 상기 공간 활용 수납장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enabled cabine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pace-utilized cabinet.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옷이나 책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바닥에 존재하지 않고 천정에 매달려 있으므로 수납장으로 인해 소모되는 공간, 특히 바닥 공간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수납장으로 인해 감소하는 공간이 줄어듦으로 공간 활용이 좀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is feature,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clothes or books is not present on the floor but hangs on the ceiling, so that the space consumed by the storage space, especially the floor space, is reduced. As a result, space utilization is made more efficient by reducing the space to be reduced due to the storag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의 다른 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a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공간 활용 수납장은 상부(10), 상부(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20), 수납장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부(30), 수납장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교차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구획부(41)과 복수의 수평 구획부(51)를 구비한다.1 and 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utilizing cabinet includes an upper portion 10, a lower portion 2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portion 10, a side portion 30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plurality of vertical dividing sections 4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dividing sections 51 which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storage space.

상부(1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portion 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n ellipse or a rectangle.

이러한 상부(10)는 핀(pin)이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이 삽입되어 상부(10)를 천정에 부착하는 복수의 체결홀(11)을 구비한다.The upper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 for fastening the upper portion 10 to the ceiling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pin or a screw.

이때, 복수의 체결홀(11)의 개수와 각 지름은 공간 활용 수납장의 무게에 따라 정해진다.At this time, the number and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space-utilized cabinet.

이러한 하부(10)는 나무판이나 플라스틱판(plastic plate) 등으로 이루어 수 있다.The lower portion 10 may be formed of a wooden plate or a plastic plate.

하부(20)은 본체(21)와 본체(21)를 덮고 있는 덮개(22)를 구비한다.The lower portion 20 has a main body 21 and a lid 22 covering the main body 21. [

이때 본체(21)는 란돌트 고리(Landolt ring)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이 경우 적어도 일부가 란돌트 고리처럼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21 has a sectional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Landolt 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21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ed have.

이와 같이, 본 예의 경우, 하부(20)의 평면 형상은 상부(10)의 평면 형상의 평면과 상이하지만, 이와는 달리,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planar shape of the lower portion 20 is different from the planar shape of the upper portion 10, but the planar shape of the lower portion 20 may have the same planar shape.

본체(21)는 본체(21)의 외측 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테두리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테두리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본체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Since the main body 21 has a rim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uter end of the main body 21,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surrounded by the rim.

이러한 본체 내부의 공간에는 복수의 광원(23)이 장착되어 있고, 복수의 광원(23)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are mounted in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따라서 공간 활용 수납장은 복수의 광원(23)의 점등 및 소등 상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상태가 변하여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가 변한다.Therefore, the space-utilized cabinet has at least one switch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light-on and light-off state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At least one of the switches is changed in state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ON or OFF state of the switch is changed.

테두리 부분을 구비한 본체(21) 역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body 21 having the rim portion is also made of wood or plastic.

덮개(22)는 본체(21)의 테두리 부분과 나사, 볼트(bolt)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본체(21)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원(23)을 보호한다.The lid 22 is coupled to the rim of the main body 21 by means of fastening means using screws, bolts or the like to protec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located in the main body 21.

이때, 덮개(22)는 빛이 투과되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거나 복수의 광원(23)에서 출력되는 광을 확산시켜 색상이나 밝기를 균일하게 하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d 2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plastic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or may be a light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light output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to uniformize hue and brightness.

따라서, 덮개(22)를 통해 방안으로 조사되는 복수의 광원(23)은 조명 역할을 하므로, 수납장이 설치된 공간에 별도의 조명이 생략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irradiated in the room through the cover 22 serves as a lighting, so that separate illumination can be omitted in the space where the storage space is installed.

측면부(30)는 상부(10)와 하부(20) 사이에 존재하는 양 측면에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판을 위치시켜 수납장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The side surface portion 30 forms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by placing a plate made of wood or the like on both side surfaces existing between the upper portion 10 and the lower portion 20. [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양 측면부(30) 사이에 봉(60)이 설치되어 있어, 옷 등을 걸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rod 60 is provid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3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clothes or the like can be hanged.

복수의 수직 구획부(41)는 상부(10)와 하부(20) 사이에서 측면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dividing portions 41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portion 10 and the lower portion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side surfaces.

이때, 각 수직 구획부(41)는 상부(10)의 외측 단부와 하부(20)의 외측 단부에서부터 내측으로 길게 위치하고, 내측 방향으로의 수직 구획부(41)의 연장 정도에 따 각 수납 공간의 깊이가 정해지며, 인접한 수직 구획부(41) 사이의 간격에 의해 각 수납 공간의 가로폭이 정해진다. At this time, each vertical partition 41 is long i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portion 10 and the outer end of the lower portion 20, and the vertical partition 41 in the inner direction The depth is determined, and the horizontal width of each storage space is determined by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partition portions 41. [

복수의 수평 구획부(51)는 상부(10)와 하부(20) 사이에 상부(10)의 면과 하부(20)의 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각 수평 구획부(51)는 복수의 수직 구획부(41) 중 적어도 하나를 가로 지르게 위치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dividing sections 51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part 10 and the lower part 20 in parallel to the faces of the upper part 10 and the lower part 20, And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ing portions (41).

이때, 복수의 수평 구획부(51)의 개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수납 공간의 개수와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dividing sections 51 depends on the number and size of the storage space to be installed.

따라서 하나의 수평 구획부(51)와 복수의 수직 구획부(41) 중 적어도 하나가 교차함에 따라 복수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즉, 각 수납 공간은 하나의 수평 구획부(51)와 두 개의 수직 구획부(41) 또는 하나의 수평 구획부(51), 하나의 수직 구획부(41) 및 하나의 측면부(30)로 에워싸여져 형성된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re formed as one horizontal partition 51 and at least one vertical partition 41 cross each other. That is, each containing space is surrounded by one horizontal partition 51, two vertical compartments 41 or one horizontal compartment 51, one vertical compartment 41 and one side 30, Respectively.

이때,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두 수평 구획부(51) 사이의 간격 및 세로 방향으로 수평 구획부(51)와 상부(10) 또는 하부(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각 수납 공간의 세로폭이 정해진다.At this time, the vertical width of each storage spa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orizontal partition portions 51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partition portion 51 and the upper or lower portion 10 or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공간 활용 수납장은 상부(1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1)을 통해 체결 수단이 삽입되어, 상부(10)가 천정에 부착된다.In the space-utilizing cabine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asten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10, and the upper portion 10 is attached to the ceiling.

이로 인해, 공간 활용 수납장은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이 아닌 천정에 설치되므로, 설치 공간에서 본 예의 공간 활용 수납장이 차지하는 부분이 크게 줄어든다.As a result, the space-occupying cabinet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installed.

따라서, 공간 활용 수납장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여유가 발생하므로, 좀더 여유롭게 공간을 활용하게 된다.Therefore, space is cre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pace utilization cabinet and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pace is utilized more easily.

또한, 하부(20)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23)이 수납장의 설치 공간의 조명을 대신하므로, 인테리어 효과가 향상되며 조명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23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20 replace the illumin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torage space, the interior effect is improved and the additional inconvenience of installing additional illumination is eliminated.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수납장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space-utilized cabin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공간 활용 수납장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and 2,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한 공간 활용 수납장은 수납장의 외부면에 수납장의 외부면을 따라가면서 가리개(80)가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공간 활용 수납장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The space-utilized cabinet shown in Fig. 3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pace-utilized cabinet shown in Figs. 1 and 2 except that the shield 80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가리개(80)는 측면부(30)의 외측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직 구획부의 외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shield 8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end of the side portion 30 and the outer end of at least one vertical partition.

이때, 밸크로(Velcro), 단추, 고리 등과 같은 다양한 탈부착 가능한 결합 수단(81)을 통해 가리개(80)는 수납장의 외부면에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cover 8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via various detachable coupling means 81 such as a Velcro, a button, a ring and the like.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리개(80)는 공간 활용 수납장에 부착되거나 수납장에서 제거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the visor 80 can be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space utilization storage space.

이때, 가리개(60)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eld 60 may be made of a fabric.

이러한 가리개(60)로 인해 각 수납 공간으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이 줄어들어,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옷이나 책 등을 보호하게 된다.Such a cover 60 reduces the insertion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nto each storage space, thereby protecting clothes, books,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상부 11: 체결홀
20: 하부 21: 본체
22: 덮개 23: 광원
41: 수직 구획부 51: 수평 구획부
60: 봉 80: 가리개
81: 결합 수단
10: upper part 11: fastening hole
20: Lower part 21:
22: cover 23: light source
41: vertical partition 51: horizontal partition
60: Rod 80: Covering
81: Coupling means

Claims (4)

각각 체결 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 수단을 천정에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홀을 구비한 상부,
상기 상부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에 의해 보호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하부, 그리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 공간
을 포함하는 공간 활용 수납장.
An upp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o the ceiling,
A lower portion located opposite the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 body, a cover coupled to the body, and a light source positioned between the body and the cover and protected by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 space-use cabinet containing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덮개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공간 활용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light diffusion plate.
제1항에서,
상기 공간 활용 수납장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리개를 더 포함하는 공간 활용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iel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pace utilization storage space.
KR1020120154645A 2012-12-27 2012-12-27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KR101426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45A KR101426167B1 (en) 2012-12-27 2012-12-27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45A KR101426167B1 (en) 2012-12-27 2012-12-27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84A KR20140084784A (en) 2014-07-07
KR101426167B1 true KR101426167B1 (en) 2014-08-01

Family

ID=5173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45A KR101426167B1 (en) 2012-12-27 2012-12-27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16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48B1 (en) * 2005-12-12 2006-06-2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xing funiture construction of entrance for bui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348B1 (en) * 2005-12-12 2006-06-2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xing funiture construction of entrance for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84A (en)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16B2 (en) Lamp
CA120005S (en) Double dome light with ceiling fan
US20170038058A1 (en) Vertical Linear Cabinet Lights
JP2017093925A (en) shelf
KR101426167B1 (en) Storage closet for using space
KR20130003394U (en) Ceiling finish molding having indirect illumination therein
USD639415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combining upper and downward lighting
US8070327B1 (en) Display lamp, in particular easily assembled display lamp with hidden light source
KR20160061051A (en) Partition of traditional window form
KR100875542B1 (en) Bed
US10047947B1 (en) Salt lamp with salt crystal supporting arrangement
JP6355228B2 (en) Shelf equipment
KR20140132592A (en) Partition for a section of the room
US2800577A (en) Corner light
KR200477283Y1 (en) Chest of drawers without side panel
WO2019228223A1 (en) Plant cultivating machine
JP6817832B2 (en) Functional pole
KR20120113603A (en) Led light
JP3231961U (en) Multi-function shelf
KR200467569Y1 (en) side cover fixing device for ceiling lamp
KR102647849B1 (en) Dual Lighting System
KR101714958B1 (en) A charnel plate
KR101298455B1 (en) System furniture having perpendicular areal illumination
JP2511870Y2 (en) Storage rack for unit room
JP2009095479A (en) Entrance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