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838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838B1
KR101425838B1 KR1020130069131A KR20130069131A KR101425838B1 KR 101425838 B1 KR101425838 B1 KR 101425838B1 KR 1020130069131 A KR1020130069131 A KR 1020130069131A KR 20130069131 A KR20130069131 A KR 20130069131A KR 101425838 B1 KR101425838 B1 KR 10142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topper
groove
fix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의 레이스웨이에 고정시키는 등기구의 뚜껑에 지지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지지대의 끝을 고정하는 홈을 이동하면서 등기구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등기구를 설치하거나 수리할 때, 작업자가 몸체를 원하는 만큼 열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몸체가 작업중에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LIGHTING APPARATUS MOUNTED ON THE CEILING WITH VARI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의 레이스웨이에 고정시키는 등기구의 뚜껑에 지지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지지대의 끝을 고정하는 홈을 이동하면서 등기구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는 주로 천장이나 벽면, 기둥 등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밝게 비추는 조명장치로서, 백열전구나 형광등, LED 등에 의해 빛을 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등기구를 천장 등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천장 내부에 매립되는 몸체를 고정하고, 아래쪽에서 몸체에 발광체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발광수단의 설치나 수리를 하는 경우, 만약 몸체의 아랫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가 있는 경우에는 커버를 벗기거나, 힌지 등에 의해 회전시킨 후에 작업을 하게 된다.
등기구를 설치하거나 수리할 때, 안전사고를 막고,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의 구조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등덮개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각기둥 형태로 일면이 개구된 고정플레이트(10)는 개구된 면이 하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천장에 상부가 수용된 채로 천장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 내측 상부에는 전류를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는 LED등이 안정적으로 고정거치 되는 홈이 구비된다.
이어서, 고정플레이트(10)의 하부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와 대응된 형태를 갖고, 고정플레이트(10)의 하부 테두리에 결합 및 분리되는 프레임몸체(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프레임몸체(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0)와 프레임몸체(20)는 고정플레이트(10)와 프레임몸체(20)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된다. 이어서, 고정플레이트(10)와 프레임몸체(20) 사이에는 프레임몸체(20)에 거치되어, LED등에서 발산되는 빛을 실내에 직접적으로 조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판 형태의 투명판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10) 일측 테두리에는 밀착편이 수용홈에 고정된 채로 회동편과 힌지 결합 되고, 회동편에서 굴곡되게 연장형성된 굴곡편이 프레임몸체(20)의 장홈(22)에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몸체(20)가 고정플레이트(10)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 타측 테두리에는 유동결합편이 고정홈에 고정된 채로, 유동결합편에서 돌출 형성된 유동핀이 프레임몸체(20)의 유동홈(24)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프레임몸체(20)가 고정플레이트(10)에서 고정 및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도 LED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프레임몸체(20)를 회전시켜 커버를 열고, 커버가 밑으로 늘어져 있는 상태에서 내부의 회로나 LED 보드를 교체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할 때,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설치나 수리가 끝났을 때 등기구를 하나씩 모두 고정시켜야 해서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54839 B1 KR 20-0446564 Y1 KR 10-1170437 B1 KR 10-0936942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LED가 설치되는 등기구의 윗부분을 천장의 레이스웨이에 고정시키고, 고정부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면서 몸체가 열리도록 하고, 몸체와 고정부 사이에 지지대를 2단계로 삽입하여 몸체가 열리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를 몸체의 안쪽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대의 다른쪽 말단부를 고정부의 밑면이나 돌출된 면의 꼭대기에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가 열리는 각도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밝히는 조명용 등기구로서, 윗면은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60)의 밑면에 기구용금구(140)에 의해 고정되며, 밑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천장고정부(110)와; 윗부분이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120)와;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내부의 윗면과 상기 몸체(120)의 윗부분의 중간을 연결하겨 상기 몸체(120)가 열리는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150);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고정부(110)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일측면 아래쪽 말단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회전홈(111)이 형성되며, 타측면 아래쪽 말단에는 안쪽으로 커버고정홈(112)이 요입 형성되며, 내부의 윗면에는 'ㄷ'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제1스토퍼(113)가 형성되며, 내부의 윗면에서 상기 제1스토퍼(113)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홈(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스토퍼(113)보다 더 높은 위치에 'ㄷ'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제2스토퍼(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20)는 단면이 타원형으로서, 윗부분은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며, 윗부분의 일측 말단에는 상기 회전홈(111)이 삽입되는 삽입회전부(121)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윗부분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커버고정홈(112)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턱(122)이 돌출 형성되며, 윗면 중간에는 U자 또는 C자 모양의 지지대삽입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150)는 단면의 일측 말단에는 원형의 회전돌기(151)가 형성되며, 타측 말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말단고정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151)는 상기 지지대삽입홈(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말단고정부(152)는 상기 제1스토퍼(113) 또는 상기 제2스토퍼(11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등기구를 설치하거나 수리할 때, 작업자가 몸체를 원하는 만큼 열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몸체가 작업중에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등덮개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등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등기구의 몸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몸체를 1단계만큼 연 상태에서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몸체를 2단계만큼 연 상태에서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과 같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이하, '등기구'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등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등기구의 몸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등기구(100)는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Race-Way; 60)의 밑면에 설치된다. 중공 사각기둥 형태의 레이스웨이(60)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기구용금구(140)에 의해 천장고정부(110)가 부착된다. 천장고정부(110)의 밑에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인 몸체(1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천장고정부(110) 내부의 빈 공간에는 전원공급장치나 안정기, 전원연결수단이 설치되며, 몸체(120) 내부의 빈 공간에는 다수의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다. 몸체(120)를 회전시켜 열면 천장고정부(110)의 내부가 밖으로 드러나게 되고, 작업자가 전기장치의 설치나 수리를 할 수 있다.
천장고정부(110)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철제 파이프로서, 윗면은 레이스웨이(60)의 밑면에 기구용금구(140)에 의해 고정되며, 밑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전원공급장치 등이 수납된다. 천장고정부(110)의 일측면 아래쪽 말단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휘어져서 회전홈(111)을 형성하며, 타측면 아래쪽 말단에는 안쪽으로 요입된 커버고정홈(112)이 형성된다. 회전홈(111)은 단면의 형상이 대략 원의 일부와 같은 모양이어서 몸체(120)가 회전홈(111)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커버고정홈(112)은 단면의 형상이 오목한 홈의 모양이어서 몸체(120)가 천장고정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천장고정부(110)의 내부의 윗면에는 돌출된 모양의 제1스토퍼(113)가 형성되며, 내부의 윗면에서 제1스토퍼(113)를 중심으로 회전홈(111)의 반대편에는 좀 더 높은 위치에 제2스토퍼(114)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113)는 천장고정부(110)의 내부 윗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제2스토퍼(114)는 내부 윗면에서 상대적으로 먼 아래쪽에 형성된다. 제1스토퍼(113)와 제2스토퍼(114)는 'ㄷ'자 모양의 홈을 가지며, 몸체(120)를 2단계로 열어서 고정시킬 때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몸체(120)는 단면의 모양이 대략 타원형인 구조물로서, 내부의 윗면에는 다수의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어 빛을 낸다. 몸체(120)의 밑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산판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LED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켜 좀 더 부드럽게 퍼져나가도록 한다.
몸체(120)의 윗부분은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에 결합된다. 몸체(120)의 윗부분의 일측 말단에는 회전홈(111)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회전부(121)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윗부분의 타측 말단에는 커버고정홈(112)에 끼워져서 몸체(12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턱(122)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회전부(121)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에 가깝게 만들어지며, 바깥쪽 모양이 회전홈(111)의 단면의 안쪽 모양과 유사해서 회전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20)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고정턱(122)은 천장고정부(110)의 타측면 아래쪽 말단, 즉 커버고정홈(112)이 형성된 부분을 바깥쪽에서 덮었을 때, 돌출된 부분이 커버고정홈(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턱(122)이 커버고정홈(112)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몸체(120)가 천장고정부(110)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몸체(120)의 윗부분, 즉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으로 들어가는 부분의 윗면 중간쯤에는 지지대삽입홈(123)이 형성된다. 지지대삽입홈(123)은 단면의 형상이 U자 또는 C자와 유사한 모양으로서, 윗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형태가 된다. 지지대삽입홈(123)은 제1스토퍼(113) 및 제2스토퍼(114)보다는 회전홈(111)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20)를 천장고정부(110)에 끼워서 닫은 상태에서는 지지대삽입홈(123)과 제1스토퍼(113)를 연결하는 직선거리가 지지대삽입홈(123)과 제2스토퍼(114)를 연결하는 직선거리에 비해서 더 길도록 만든다.
천장고정부(110)와 몸체(120)는 일반적으로 압출성형으로 제작되는데, 양쪽 가장자리 측면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는 측판(130)이 볼트나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등기구(10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커버를 1단계만큼 연 상태에서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등기구(100)를 설치하거나 수리할 때, 몸체(120)를 열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조명장치에서는 덮개를 완전히 떼어내거나, 조명장치를 천장에서 분리해야 작업이 가능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몸체(120)를 조금 또는 많이 열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와 6에서처럼, 몸체(120)를 1단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지지대(150)가 사용된다. 지지대(150)는 길쭉한 판 형상으로서, 천장고정부(110) 및 몸체(120)의 길이와 비슷하게 만들어지지만, 더 짧게 만들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0)의 단면의 형상은 가운데가 직선이며, 일측 말단은 원형이며, 타측 말단은 한쪽으로 약간 절곡된 형태가 된다. 지지대(150)는 단면의 형상이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판 형상으로서, 몸체(120)를 여는 각도에 따라서 탈착하면서 사용한다.
도 6과 같이 몸체(120)를 1단계만큼만 열 때에는 지지대(150)의 원형 부분인 회전돌기(151)를 지지대삽입홈(123)에 끼우고, 반대쪽의 절곡부인 말단고정부(152)를 제1스토퍼(113)에 끼운다. 지지대(150)의 양쪽 말단부가 각각 천장고정부(110)와 몸체(12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몸체(1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몸체(120)는 그 각도를 유지한 채 열려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커버를 2단계만큼 연 상태에서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과 같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0)의 원형 부분인 회전돌기(151)는 지지대삽입홈(123)에 끼운 상태에서 반대쪽의 말단고정부(152)를 제2스토퍼(114)에 끼우면, 몸체(120)가 더 회전하면서 열리는 각도가 더 커지게 된다. 즉, 천장고정부(110)의 안쪽 윗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스토퍼(114)에 말단고정부(152)를 끼우면, 지지대(150)의 길이는 일정한 상태에서 몸체(120)가 더 멀리 떨어져야 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이 회전하게 된다.
만약 지지대(150)를 몸체(1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게 되면 몸체(120)를 지탱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몸체(120)는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히게 될 것이다.
작업자는 설치나 수리가 끝나서 몸체(120)를 닫을 때에는 지지대(150)를 지지대삽입홈(123)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다. 그러면 몸체(120)와 천장고정부(110) 사이에 거리를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필요한 각도만큼 몸체(120)를 열어서 지지대(150)로 고정시키고 원활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60 : 레이스웨이 100 : 등기구
110 : 천장고정부 111 : 회전홈
112 : 커버고정홈 113 : 제1스토퍼
114 : 제2스토퍼 120 : 몸체
121 : 삽입회전부 122 : 고정턱
123 : 지지대삽입홈 130 : 측판
140 : 기구용금구 150 : 지지대
151 : 회전돌기 152 : 말단고정부

Claims (4)

  1.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밝히는 조명용 등기구로서,
    윗면은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60)의 밑면에 기구용금구(140)에 의해 고정되며, 밑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천장고정부(110)와;
    윗부분이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120)와;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내부의 윗면과 상기 몸체(120)의 윗부분의 중간을 연결하겨 상기 몸체(120)가 열리는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15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고정부(110)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일측면 아래쪽 말단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회전홈(111)이 형성되며, 타측면 아래쪽 말단에는 안쪽으로 커버고정홈(112)이 요입 형성되며, 내부의 윗면에는 'ㄷ'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제1스토퍼(113)가 형성되며, 내부의 윗면에서 상기 제1스토퍼(113)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홈(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스토퍼(113)보다 더 높은 위치에 'ㄷ'자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제2스토퍼(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는
    단면이 타원형으로서, 윗부분은 상기 천장고정부(110)의 밑면의 개방된 공간에 결합되며, 윗부분의 일측 말단에는 상기 회전홈(111)이 삽입되는 삽입회전부(121)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윗부분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커버고정홈(112)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턱(122)이 돌출 형성되며, 윗면 중간에는 U자 또는 C자 모양의 지지대삽입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50)는
    단면의 일측 말단에는 원형의 회전돌기(151)가 형성되며, 타측 말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말단고정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151)는 상기 지지대삽입홈(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말단고정부(152)는 상기 제1스토퍼(113) 또는 상기 제2스토퍼(11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KR1020130069131A 2013-06-17 2013-06-17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KR10142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31A KR101425838B1 (ko) 2013-06-17 2013-06-17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31A KR101425838B1 (ko) 2013-06-17 2013-06-17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838B1 true KR101425838B1 (ko) 2014-08-01

Family

ID=5174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31A KR101425838B1 (ko) 2013-06-17 2013-06-17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KR101754317B1 (ko) * 2015-04-24 2017-07-06 이희석 실외용 바 라이트
KR101754316B1 (ko) * 2015-04-14 2017-07-14 이희석 실외용 바 라이트
KR102581066B1 (ko) * 2023-08-17 2023-09-22 (주)케이에스컴 조명모듈의 콤팩트한 배치와 고정이 가능한 조명등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349Y2 (ja) 1991-07-15 1998-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100130381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
KR20130031003A (ko) * 2011-09-20 2013-03-28 (주)에스티씨네트웍스 개폐식 교통표시장치
KR101265162B1 (ko) 2012-11-30 2013-05-27 한빔 주식회사 배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led 가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349Y2 (ja) 1991-07-15 1998-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100130381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
KR20130031003A (ko) * 2011-09-20 2013-03-28 (주)에스티씨네트웍스 개폐식 교통표시장치
KR101265162B1 (ko) 2012-11-30 2013-05-27 한빔 주식회사 배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led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16B1 (ko) * 2015-04-14 2017-07-14 이희석 실외용 바 라이트
KR101754317B1 (ko) * 2015-04-24 2017-07-06 이희석 실외용 바 라이트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KR102581066B1 (ko) * 2023-08-17 2023-09-22 (주)케이에스컴 조명모듈의 콤팩트한 배치와 고정이 가능한 조명등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2101C (en) Recessed luminaire adjustment mechanism
KR10142583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천장 부착형 등기구
KR100934723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425014B1 (ko) 설치 각도의 가변이 가능한 엘이디 직착등
KR101726369B1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KR101696184B1 (ko) 조명커버 착탈용 탄지구
CA2906013C (en) Led architectural luminair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KR101746555B1 (ko) 가변 고정 수단을 갖는 led 조명장치
CN109073210B (zh) 用于照亮控制柜内部的控制柜灯
KR100680280B1 (ko)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
KR100843187B1 (ko) 엘이디형 조명기구
CN209458786U (zh) 一种可自适应调节的嵌入式灯具
KR20090002876U (ko) 천장 직착등용 커버틀
KR20150105702A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101780638B1 (ko) 설치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등용 고정 설치구
JP5360954B2 (ja) 照明器具
KR101580617B1 (ko) 빛의 조사구간 선택이 용이한 실외용 엘이디등기구
KR100997178B1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자동 고정장치
CN207716222U (zh) 筒瓦投光灯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KR200403472Y1 (ko) 전등커버의 설치구조
KR101879991B1 (ko) 매입형 조명램프
JP5051618B2 (ja) 角度可変型照明器具
CN216693344U (zh) 一种一体式太阳能墙壁吊灯
KR200473328Y1 (ko) 천정 매입형 조명등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