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74B1 - 북 스캐너 - Google Patents

북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74B1
KR101425574B1 KR1020130126696A KR20130126696A KR101425574B1 KR 101425574 B1 KR101425574 B1 KR 101425574B1 KR 1020130126696 A KR1020130126696 A KR 1020130126696A KR 20130126696 A KR20130126696 A KR 20130126696A KR 101425574 B1 KR101425574 B1 KR 10142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housing
sides
photographing
photograp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주)이어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어존 filed Critical (주)이어존
Priority to KR102013012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역 V자형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기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투명창 및 제 2 투명창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 중앙에 양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는 제 1 촬영수단 및 제 2 촬영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함입되어 설치되는 전체 조명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보상 조명 수단과, 상기 제 1 촬영수단 및 상기 제 2 촬영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기계적 작동 부위가 없는 효율적인 구성으로 더욱 신속하게 양면 또는 단면의 선택적 스캔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광원이 카메라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며,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에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더욱 균일하고 정확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북 스캐너{Book Scanner}
본 발명은 북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공간을 갖는 하우징(110)과, 역 V자형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기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 중앙에 양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는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창(120a)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140a)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창(120b)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140b)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저면판(150)과,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과,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에 함입되어 설치되는 전체 조명 수단(152)과,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외측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상 조명 투과공(155)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투사광이 상기 보상 조명 투과공(155)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광량 보상부(B)에 각각 전달되도록 하는 보상 조명 수단(156)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에 출력된 그림이나 문자 등의 이미지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데이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프로잭터 및 컴퓨터 등을 통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그림이나 문자 등의 이미지가 도시된 종이를 스캐너를 사용하여 스캔한다.
이러한 스캐너는, 대부분 투명한 테이블 위에 스캔 대상물을 뒤집어서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미지센서를 갖는 스캐닝 헤드가 테이블 하부를 이동하면서 스캔 대상물을 스캔하도록 된 것이었다.
따라서 스캐닝 헤드의 이동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스캔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해상도를 높여 스캔할수록 스캔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특징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스캐너는 책의 안쪽 면을 스캔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데, 이는 그림이나 문자 등이 도시된 종이가 투명한 테이블에 밀착되어야 원활한 스캔이 이루어지는데 책의 경우 제본되어 있어 그 중앙부가 테이블에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6411호)과 같이 테이블이 " ∧" 형으로 되어 있는 책 스캐너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 스캐너 역시 이미지 센서를 갖는 스캐닝 헤드를 통해 스캔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신속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책의 좌측 면 또는 우측 면만을 스캔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2("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107호)에는 상부면이 " ∧ "형으로 된 테이블과; 렌즈가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테이블의 우측면에 발생되는 책의 이미지가 모이고 굴절되어 디지털 카메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좌측굴절미러와; 테이블의 좌측면에 발생되는 책의 이미지가 모이고 굴절되어 디지털 카메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우측굴절미러와; 좌, 우 회전되어 좌측굴절미러나 우측굴절미러에 의해 굴절된 이미지가 다시 굴절되어 디지털 카메라 렌즈에 결상되도록 하는 회전미러와; 회전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보다 높은 위치의 테이블 전방에서 테이블의 후방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의 스캐너가 개시되어 제안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존 발명의 경우, 스캔하고자 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 스캐닝 헤드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에 의해 비교적 신속한 스캔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나, 책의 양면을 모두 스캔하기 위해서는 회전 미러를 회전시켜야 하는 작동이 필요하므로 양면 스캔에는 역시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 미러는 이미지가 정확하게 각각의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에 전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단히 정확한 각도로 작동이 가능하여야 하기에 회전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구성이 대단히 정교하고 복잡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기계적 작동이 가능한 기구적 요소를 필요로 하는 구성이기에 그 내구성 및 운영/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램프로부터 나온 광선이 카메라의 렌즈로 직접 유입되어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641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1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계적 작동 부위가 없는 효율적인 구성으로 더욱 신속하게 양면 또는 단면의 선택적 스캔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북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스캔하는 부분에 광량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균일한 스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북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북 스캐너는,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공간을 갖는 하우징(110)과, 역 V자형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기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 중앙에 양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는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창(120a)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140a)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창(120b)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140b)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저면판(150)과,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과,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에 함입되어 설치되는 전체 조명 수단(152)과,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외측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상 조명 투과공(155)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투사광이 상기 보상 조명 투과공(155)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광량 보상부(B)에 각각 전달되도록 하는 보상 조명 수단(156)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 근접하는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는 다수의 조명원(1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은, 그 투사광이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양측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전체 광량 투사면(A)에 각각 전달될수 있는 깊이로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 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좌측 영상, 우측 영상, 양측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과 더 연결되며, 상기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영시에만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기계적 작동 부위가 없는 효율적인 구성으로 더욱 신속하게 양면 또는 단면의 선택적 스캔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광원이 카메라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며,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에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더욱 균일하고 정확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 스캐너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 스캐너의 정면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 스캐너의 상면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북 스캐너의 구성 블럭 다이어그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북스캐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북 스캐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하우징(110),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 제 1 반사경(140a) 및 제 2 반사경(140b), 저면판(150), 전체 조명 수단(152), 보상 조명 수단(156) 및 주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하우징(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북 스캐너의 외관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도록 하는 본체의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역 V자형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기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스캔할 책자를 얹어 놓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 중앙에 양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반사경(140a) 및 제 2 반사경(140b)을 통해 반사된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 상의 책자의 이미지를 각각 촬영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은 기계적 작동을 하는 구성요소가 아니라 고정되어 있는 구성요소로서, 언제나 그 상대적 위치가 상기 제 1 투명창(120a), 제 2 투명창(120b), 제 1 반사경(140a) 및 제 2 반사경(140b)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정확한 위치에서 선명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은 각각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을 통하여 투사되는 책자의 이미지를 각각 또는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면 촬영은 물론 양면 촬영도 동시에 가능하므로 대단히 신속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반사경(140a) 및 제 2 반사경(140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반사경(14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창(120a)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 2 반사경(140b)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창(120b)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 1 투명창(120a), 제 2 투명창(120b)에 위치한 책자의 영상이 상기 제 1 반사경(140a) 및 제 2 반사경(140b)을 각각 거쳐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 각각 전달되는 경로에 관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으로부터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까지의 경로를 예로 들어 도 2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현하였다.
다음으로, 저면판(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면판(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며,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 조명 수단(152)이 함입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은, 그 투사광이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양측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전체 광량 투사면(A)에 각각 전달될수 있는 깊이로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에 의한 조명의 경우,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의 전체 구역에 대하여 투사되기는 하나,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특성에 의해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광량이 부족한 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 전체를 통하여 광량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균일한 스캔 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외측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보상 조명 투과공(155)이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투사광이 도 2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상 조명 투과공(155)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광량 보상부(B)에 각각 전달되도록 하는 보상 조명 수단(156)을 더 포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상 조명 수단(156)에 의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 전체를 통하여 광량 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균일한 스캔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촬영하고자 하는 책자가 위치하는 상기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에 균일한 광량 분포를 가지면서 빛이 투사되되,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는 직접적으로 광선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은 도 3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 근접하는 중앙부(151)에는 배치되지 않는 다수의 조명원(1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주제어장치(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장치(160)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 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좌측 영상, 우측 영상, 양측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작 입력수단(17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영상 선택 버튼(171), 우측 영상 선택 버튼(172), 양측 영상 선택 버튼(173) 및 전원 버튼(174)을 포함하여 구성된느 것이 바람직하다.
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과 더 연결되며, 상기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영시에만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촬영되어 처리된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유에스비(USB)를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규격에 의한 입출력 포트 또는 입출력 커넥터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북 스캐너
110: 하우징
120a: 제 1 투명창 120b: 제 2 투명창
130a: 제 1 촬영수단 130b: 제 2 촬영수단
131: 촬영수단 장착대
140a: 제 1 반사경 140b: 제 2 반사경
150: 저면판
151: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
152: 전체 조명 수단
155: 보상 조명 투과공 156: 보상 조명 수단
157: 조명원
160: 주제어장치 170: 조작입력수단
180: 컴퓨터수단

Claims (5)

  1.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공간을 갖는 하우징(110);
    역 V자형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기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투명창(120a) 및 제 2 투명창(120b);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 중앙에 양측을 향하여 각각 설치되는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투명창(120a)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140a);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투명창(120b)으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140b);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는 저면판(150);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에 함입되어 설치되는 전체 조명 수단(152);
    상기 저면판(150)의 양측에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외측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상 조명 투과공(155);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그 투사광이 상기 보상 조명 투과공(155)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광량 보상부(B)에 각각 전달되도록 하는 보상 조명 수단(156);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상기 제 2 촬영수단(130b)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 1 촬영수단(130a) 및 제 2 촬영수단(130b)에 근접하는 중앙부에는 배치되지 않는 다수의 조명원(1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은, 그 투사광이 상기 전체 조명 수단 설치공(151)의 양측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기 제 1 투명창(120a) 또는 제 2 투명창(120b)의 각각의 전체 광량 투사면(A)에 각각 전달될수 있는 깊이로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
  4.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 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좌측 영상, 우측 영상, 양측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장치(160)는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과 더 연결되며,
    상기 조작 입력수단(170) 또는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영시에만 상기 전체 조명 수단(152) 및 상기 보상 조명 수단(156)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스캐너(100).
KR1020130126696A 2013-10-23 2013-10-23 북 스캐너 KR10142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96A KR101425574B1 (ko) 2013-10-23 2013-10-23 북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96A KR101425574B1 (ko) 2013-10-23 2013-10-23 북 스캐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574B1 true KR101425574B1 (ko) 2014-08-01

Family

ID=5174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96A KR101425574B1 (ko) 2013-10-23 2013-10-23 북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583A (ja) * 1995-03-27 1996-10-11 Nippondenso Co Ltd 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JP2009143141A (ja) 2007-12-14 2009-07-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100114198A (ko) * 2009-04-15 2010-10-25 탐투스 주식회사 역 브이자형 테이블을 갖는 스캐너로부터의 신호를 음성출력하는 학습장치
KR101164218B1 (ko) 2012-03-14 2012-07-10 탐투스 주식회사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민편익증진 독서도우미 시스템을 위한 조도필터패널을 구비한 북 스캐너
KR20120080745A (ko) * 2011-01-10 2012-07-18 김정훈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583A (ja) * 1995-03-27 1996-10-11 Nippondenso Co Ltd 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JP2009143141A (ja) 2007-12-14 2009-07-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100114198A (ko) * 2009-04-15 2010-10-25 탐투스 주식회사 역 브이자형 테이블을 갖는 스캐너로부터의 신호를 음성출력하는 학습장치
KR20120080745A (ko) * 2011-01-10 2012-07-18 김정훈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
KR101164218B1 (ko) 2012-03-14 2012-07-10 탐투스 주식회사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민편익증진 독서도우미 시스템을 위한 조도필터패널을 구비한 북 스캐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023B2 (en) Image-reading apparatus
JP4767964B2 (ja) 画像読取装置
WO2005119336A2 (en) An optical imaging device
CN101867676A (zh) 照明装置以及图像读取装置
US6796502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6473206B1 (en) Image scanner
US20050206772A1 (en) Optical imaging device
US8702280B2 (en) Light source device
JP2008278418A (ja) 画像読取装置
JP6435790B2 (ja) 光照射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89870B2 (en) Dual-mode scanner capable of performing transmissive and reflective scanning with single side lamp
JP2005252646A (ja) 画像読取装置
KR101425574B1 (ko) 북 스캐너
KR20080067150A (ko) 스캐너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이미지 스캐닝장치
JP6479286B2 (ja) 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1353260B1 (ko) 북 스캐너
US11184501B2 (en) Reading device
JP201423639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プリンタ装置
JP2009273000A (ja) イメージセンサ
TW201621265A (zh) 光學系統
JP6571348B2 (ja) 導光体、照明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TW478277B (en) Image scanning method to set the photosensitive module at different positions for scanning images
WO2016157840A1 (ja) 照明装置
US7554703B2 (en) Optical reading device of scanning apparatus
KR101433001B1 (ko) 고품질 스캐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