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415B1 -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415B1
KR101425415B1 KR20120064869A KR20120064869A KR101425415B1 KR 101425415 B1 KR101425415 B1 KR 101425415B1 KR 20120064869 A KR20120064869 A KR 20120064869A KR 20120064869 A KR20120064869 A KR 20120064869A KR 101425415 B1 KR101425415 B1 KR 101425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heat
solar
wat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843A (ko
Inventor
박창대
임병주
정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2006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415B1/ko
Priority to PT138074323T priority patent/PT2862842T/pt
Priority to SG11201408477PA priority patent/SG11201408477PA/en
Priority to US14/408,376 priority patent/US9884265B2/en
Priority to ES13807432.3T priority patent/ES2645976T3/es
Priority to EP13807432.3A priority patent/EP2862842B1/en
Priority to PCT/KR2013/003253 priority patent/WO2013191362A1/ko
Publication of KR2013014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B01D3/146Multiple effect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6Flash distillation
    • B01D3/065Multiple-effect flash distillation (more than two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시키되, 태양열 외에 발전설비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해수증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증기의 응축시 발생되는 응축열을 통해서도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할 수 있도록 하며, 해수면에서 반사됨으로써 사용하지 못하는 태양광을 해수 증발에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수반사체를 사용한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Ambient pressure type Multi Effect Distiller using Solar Thermal Energy and Multiple Heat Source}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와 함께 응축열 및 각종 발전장치의 폐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해수를 담수화하고, 다수의 흡수반사체를 이용해 해수를 증발시키는 태양에너지의 사용효율을 증대시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를 담수화하는 기술로서는 물의 증발현상을 이용하는 증발법과 막을 이용하는 막여과법이 있다. 상기 담수화기술은 주로 일일 1만톤 이상의 대용량 플랜트로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에너지 소모가 많고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담수화 기술에도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이 많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도서지역, 오지, 개발 도상국등과 같이 전력과 상수도 인프라가 동시에 부족한 곳이 많이 있다. 이러한 지역은 초기 구축비용 및 유지 관리비가 과다하고 운영/유지 보수기술의 보유가 어려우므로 대규모 담수화 플랜트의 구축과 운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서지역 등과 같이 에너지 수급이 어렵고 상수도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서는 태양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 담수화 기술이 절실하다.
태양열 증류기(Solar Still)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과거부터 사용되어온 기술이다. 하지만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할 시, 해수면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버려지는 태양에너지와 입사된 열에너지를 단 한번의 증발에만 이용하는 문제로 인하여 효율과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발전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그대로 대기로 버려지고 있는데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폐열을 담수화의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시키되, 상기 태양열과 함께 발전장치 등의 폐열을 통해 해수를 추가 또는 별도로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증발되는 해수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태양열을 통해 해수를 증발시킬 시, 사용되지 못하고 해수면에서 반사되어 버리는 태양광/태양열 에너지를 최대의 효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담수의 효율증대를 꾀할 수 있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단으로써, 태양열을 열원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응축되는 담수를 집수하는 태양열증류부(10);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흡수 및 반사하는 다수의 흡수반사체(20); 상기 태양열증류부(1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집수하고, 수증기의 응축잠열을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집수하는 다단효용 담수부(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열을 비롯하여, 발전장치의 폐열 및 해수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 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의 담수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열을 해수담수화의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담수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 없는 야간시에도 해수의 담수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적, 경제적 조건으로 인하여 전력시설이나 상수도시설이 부족한 도서, 해안지역, 오지의 친환경 소용량 담수화설비뿐만 아니라 물의 수송비용과 고유가를 고려하여 경제성이 확보되는 지역의 분산형 소규모 담수처리설비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하는 응용분야 중 오염수의 정수처리 및 하폐수 정화처리 등에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열뿐만 아니라 발전 폐열 등 다양한 열원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역삼투법 기반 또는 MED(Multi-Effect Distillation, 다단효용방식) 기반 신재생에너지 활용 Hybrid 담수시스템의 원천 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그로 인하여 초기 구축 비용 및 운영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용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효용 담수부의 작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나타낸 계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흡수반사체의 형상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태양열을 열원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응축되는 담수를 집수하는 태양열증류부(10);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흡수 및 반사하는 다수의 흡수반사체(20); 상기 태양열증류부(1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집수하고, 수증기의 응축잠열과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집수하는 다단효용 담수부(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열증류부(10)는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 내에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유동관(14)을 설치하여, 해수를 증발시키는데 폐열이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수반사체(20)는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에 설치되되, 일단이 해수면으로 돌출되어,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의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반사체(20)는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에 설치되고, 해수면 상부로 돌출되는 일단이 해수면을 향해 절곡되는 형태를 가지되, 절곡각도(β)는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반사체는 상기 태양열증류부(10)의 해수저장조(11)에 일단이 해수면으로 돌출되도록 다수 설치되되, 돌출되는 각 흡수반사체(20)의 일단 길이가 해수저장조(11)의 길이방향을 향할수록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반사체는 해수면과 대응되는 일면에서는 태양광의 열을 흡수하고, 타면에서는 다단효용 담수부(30)를 향해 태양광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단효용 담수부(30)는 상호간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효용단(3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효용단(31)은 상측 일면에는 해수가 채워지는 해수포켓(33)이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응축수가 모아지는 응축수 포켓(34)을 형성하는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의 후면에 부착되어 해수포켓(33)에서 해수를 흡입하여 흐르게 하는 윅(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효용단(31)은 상기 태양열증류부(10)와 인접되어 최초로 설치되는 제 1단 효용단(31a)의 경우, 상기 태양열증류부(10)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플레이트(32)에서 응축되어 응축수 포켓(34)에 낙하저장되되, 상기 수증기의 응축잠열과 플레이트(32)의 전면에 입사된 태양 복사에너지가 열원으로 사용되어 윅(35)에 흐르는 해수를 가열하도록 하고, 상기 제 1단 효용단(31a)에 대응되어 연속 설치되는 다수의 효용단(31)의 경우, 상기 각 플레이트(32)의 전면에 맺힌 응축수는 응축수 포켓(34)으로 흘러내리면서 응축잠열을 상기 윅(35)에 흐르는 해수에 전도시켜 해수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증기는 확산을 통하여 인접한 다음 단의 플레이트(32)의 전면에 응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100)는 태양열증류부(10), 흡수반사체(20), 다단효용 담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열증류부(10)는 태양열을 통해 해수를 가열하고, 이로 인해 증발된 해수가 응축되면 이를 집수하는 곳으로, 해수저장조(11), 투과체(12), 담수집수로(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수저장조(11)는 태양열증류부(10) 내 저면에서 해수가 저장되는 곳이다.
상기 투과체(12)는 해수저장조(11)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되,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길이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태양광(태양 복사에너지)가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ex: 유리 등)로 형성되어 해수저장조(11) 내 해수를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투과체(12)의 경사각도(α)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가 설치되는 대상지역의 계절별, 위도별 등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되어 설치될 수 있음이다.
상기 담수집수로(13)는 태양열증류부(10) 내 해수저장조(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투과체(12)를 통해 투과된 태양광을 통해 해수저장조(11)의 해수가 가열되고, 가열된 해수는 수증기가 되어 투과체(12)의 저면에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 된다. 이후, 상기 물방울 형태의 응축수는 하향경사진 투과체 일측을 향해 흘러내려, 상기 담수집수로(13) 내에 집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태양열증류부(10)는 해수저장조(11)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14)을 지그재그 형태 등 다양한 배치로 설치하여, 본 발명의 상압담수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발전설비(50)의 배기가스를 유동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폐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해수저장조(11) 내 해수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구성은 일조량이 적은 계절시 해수 담수화의 열원을 보조하거나, 또는 태양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야간시에도 해수 담수화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흡수반사체(20)는 전술된 태양열증류부(10)의 해수저장조(11) 내에 다수개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해수저장조(11) 내 해수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투과체(12)를 투과하여 해수저장조(11)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경우, 상기 해수저장조(11)의 해수면에서의 반사에 의해 입사에너지 손실이 많은 편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태양광이 가지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흡수반사체(20)를 해수저장조(11)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다수의 흡수반사체(20)가 해수저장조(11) 내에 직립 설치되되, 일단이 해수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이 흡수반사체(20)의 일면에 부딪히도록 하여 흡수반사체(20)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해수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통해 흡수반사체(20)가 가열되고, 이러한 흡수반사체(20)의 가열이 해수를 가열하는데 부가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수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 흡수반사체(20)의 일단을 해수면을 향해 설정각도로 꺽어 절곡시켜 절곡부(2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수면과 대향되는 일단의 일면(A)에는 흑색 코팅을 하고, 타면에는 백색코팅을 함으로써,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는 흑색 코팅된 일면으로 열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고, 절곡부(21)의 백색 코팅된 타면(B)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은 반사되어, 후술될 다단효용 담수부(30)의 제 1단 효용단(31a)의 전면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단 효용단(31a)는 전면에 입사되는 태양 복사에너지에 의해서도 가열된다.) 물론, 이러한, 상기 절곡부(21)의 절곡각도(β)는 조절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사용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수저장조(11)의 해수면 상부로 다수의 흡수반사체(20) 각각의 일단이 모두 돌출되도록 하되, 돌출되는 일단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흡수 및 반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는 일단이 절곡되지 않은 형태 또는 일단이 절곡된 형태 모두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다단효용 담수부(30)는 태양열증류부(10)의 일측(또는 해수저장조(11)의 타측)에 다수의 효용단(31)이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해수의 응축열을 통해 해수를 담수화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태양열증류부(10)와 인접되어 최초 설치되는 효용단(31)을 제 1단 효용단(31a)라 칭하겠으며, 상기 제 1단 효용단(31a)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또 다른 효용단(31)들을 제 2단 효용단(31b), 제 3단 효용단(31c), 제 4단 효용단(31d)… 라 칭하겠다.
이러한, 상기 다수의 효용단(31)은 플레이트(32)와 윅(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32)는 지면에 직립설치되며, 전면측 상단에는 해수탱크(40)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가 해수분배조(41)에 의해 공급되어 저장되는 해수포켓(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측 하단에는 응축된 담수를 모아 저장할 수 있는 응축수 포켓(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윅(35)은 각 효용단(31)의 플레이트(32) 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윅(35)은 최상단을 절곡하여 플레이트(32)의 해수포켓(33)에 담궈져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윅(35)이 해수포켓(33)의 해수를 표면장력으로 흡수하여 길이방향으로 해수를 흐르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다수 효용단(ex: 제 1, 2, 3, 4단 효용단(31a, 31b, 31c, 31d))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태양열증류부(10)와 인접되어 최초로 설치되는 제 1단 효용단(31a)의 경우, 상기 태양열증류부(10)(더욱 자세히는 해수저장조(11))에서 태양열에 의해 증발된 해수는 투과체(12)의 저면뿐만 아니라 상기의 제 1단 효용단(31a)의 전면에도 응축되는데, 제 1단 플레이트(32a)가 수직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제 1단 플레이트(32a)를 따라 전면에서 응축수(담수)가 응축되면서 하단으로 흘러내려 응축수 포켓(34)에 저장된 후 수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수저장조(11)의 해수가 증발된 후 제 1단 플레이트(32a)의 전면에서 응축될 시, 이때 발생하는 응축잠열이 제 1단 플레이트(32a)를 통해 제 1단 윅(35a)에 전도되어 제 1단 윅(35a)에 흐르는 해수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 1단 플레이트(32a)의 전면에는 투과체(12)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열이 흡수되기에(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제 1단 플레이트(32a)의 전면에는 흑색으로 코팅을 함으로써 흡수율을 높일 수도 있음이다.), 이러한 태양에너지가 제 1단 윅(35a)에 흐르는 해수의 가열에 필요한 추가 열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 1단 윅(35a)에서 증발한 증기는 증기확산을 통해 인접해 있는 제 2단 플레이트(32b)의 전면에 응축되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단 플레이트(32b)의 전면에 발생하는 응축잠열은 제 2단 플레이트(32b)를 통하여 제 2단 윅(35b)에 전도되고, 상기 제 2단 윅(35b)을 따라 흐르는 해수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적용된다. 이때 제 2단 윅(35b)에서 가열된 해수는 또다시 증발이 일어나고, 증기확산을 통해 인접한 제 3단 플레이트(32c)의 전면에서 응축되며, 이러한 응축잠열은 제 3단 윅(35c)의 가열 열원으로 전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응축, 전도, 증발, 확산, 응축의 과정이 이하 단의 플레이트(32)에서도 반복적으로 일어나서 이론적으로 플레이트(32)의 벽면온도가 외기온도가 될 때까지 반복해서 응축열을 회수하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제 4단 플레이트(32d)와 제 4단 윅(35d)로 이루어지는 제 4단 효용단(31d)까지 총 4개의 효용단(31)으로 이루어진 형태만을 도시하였지만, 설치되는 플레이트(32)의 단수는 제 1단 플레이트(32a)에 흡수되는 총 열량(태양복사에너지와 응축잠열), 해수온도 및 유량 및 외기온도 등을 고려하여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다단효용 담수부(30)의 윅(35)을 통해 하단으로 유동하면서, 증발되고 남은 잔여 해수는 상기 윅(35)의 최하단으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 'V'는 유량조절장치(MFC(Mass Flow Controller), ex: 유량조절밸브)로써, 상기 태양열증류부(10)의 해수저장조(11) 및 다수의 효용단(31) 각각의 해수포켓(33)에 공급되는 해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부호인 'S'는 해수, 'C'는 응축수, 'B'는 증발되고 남은 잔여 해수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태양열증류부 11: 해수저장조
12: 투과체 13: 담수집수로
14: 유동관 20: 흡수반사체
21: 절곡부 30: 다단효용 담수부
31: 효용단 31a: 제 1단 효용단
31b: 제 2단 효용단 31c: 제 3단 효용단
31d: 제 4단 효용단 32: 플레이트
32a: 제 1단 플레이트 32b: 제 2단 플레이트
33c: 제 3단 플레이트 33d: 제 4단 플레이트
33: 해수포켓 34: 응축수 포켓
35: 윅 35a: 제 1단 윅
35b: 제 2단 윅 35c: 제 3단 윅
35d: 제 4단 윅 40: 해수탱크
41: 해수분배조 50: 발전설비
51: 전력량계

Claims (8)

  1. 태양열을 열원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응축되는 담수를 집수하는 태양열증류부(10);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흡수 및 반사하는 다수의 흡수반사체(20);
    상기 태양열증류부(1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집수하고, 수증기의 응축잠열을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집수하는 다단효용 담수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반사체(20)는 태양열증류부(10) 내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에 설치되고, 해수면 상부로 돌출되는 일단이 해수면을 향해 절곡되는 형태를 가지되, 절곡각도(β)는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증류부(10)는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 내에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유동관(14)을 설치하여, 해수를 증발시키는데 폐열이 사용되도록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반사체(20)는
    상기 태양열증류부(10) 내 해수가 저장된 해수저장조(11)에 설치되되, 일단이 해수면으로 돌출되어,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의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반사체(20)는
    상기 태양열증류부(10)의 해수저장조(11)에 일단이 해수면으로 돌출되도록 다수 설치되되, 돌출되는 각 흡수반사체(20)의 일단 길이를 다르게 하여 태양열 흡수 및 반사 효과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반사체(20)는
    해수면과 대응되는 일면에서는 태양광의 열을 흡수하고, 타면에서는 다단효용 담수부(30)를 향해 태양광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효용 담수부(30)는
    상호간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효용단(3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효용단(31)은
    상측 일면에는 해수가 채워지는 해수포켓(33)이 형성되고, 하측 일면에는 응축수가 모아지는 응축수 포켓(34)을 형성하는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해수포켓(33)으로부터 해수를 흡입하여 흐르게 하는 윅(3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효용단(31)은
    상기 태양열증류부(10)와 인접되어 최초로 설치되는 제 1단 효용단(31a)의 경우, 상기 태양열증류부(10)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플레이트(32)에서 응축되어 응축수 포켓(34)에 낙하저장되되, 상기 수증기의 응축잠열과 플레이트(32)의 전면에 입사된 태양 복사에너지가 열원으로 사용되어 윅(35)에 흐르는 해수를 가열하도록 하고,
    상기 제 1단 효용단(31a)에 대응되어 연속 설치되는 다수의 효용단(31)의 경우, 상기 각 플레이트(32)의 전면에 맺힌 응축수는 응축수 포켓(34)으로 흘러내리면서 응축잠열을 상기 윅(35)에 흐르는 해수에 전도시켜 해수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증기는 확산을 통하여 인접한 다음 단의 플레이트(32)의 전면에 응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8. 삭제
KR20120064869A 2012-06-18 2012-06-18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KR10142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869A KR101425415B1 (ko) 2012-06-18 2012-06-18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PT138074323T PT2862842T (pt) 2012-06-18 2013-04-17 Dispositivo de dessalinização de efeitos múltiplos do tipo de pressão normal que utiliza calor solar e múltiplas fontes de calor
SG11201408477PA SG11201408477PA (en) 2012-06-18 2013-04-17 Multi-effect solar distiller with multiple heat source
US14/408,376 US9884265B2 (en) 2012-06-18 2013-04-17 Multi-effect solar distiller with multiple heat sources
ES13807432.3T ES2645976T3 (es) 2012-06-18 2013-04-17 Dispositivo de desalinización de efectos múltiples de tipo a presión normal que utiliza calor solar y fuentes de calor múltiples
EP13807432.3A EP2862842B1 (en) 2012-06-18 2013-04-17 Normal pressure-type multiple-effect desalination device using solar heat and multiple heat sources
PCT/KR2013/003253 WO2013191362A1 (ko) 2012-06-18 2013-04-17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869A KR101425415B1 (ko) 2012-06-18 2012-06-18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43A KR20130141843A (ko) 2013-12-27
KR101425415B1 true KR101425415B1 (ko) 2014-07-31

Family

ID=4976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4869A KR101425415B1 (ko) 2012-06-18 2012-06-18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84265B2 (ko)
EP (1) EP2862842B1 (ko)
KR (1) KR101425415B1 (ko)
ES (1) ES2645976T3 (ko)
PT (1) PT2862842T (ko)
SG (1) SG11201408477PA (ko)
WO (1) WO20131913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357B1 (ko) * 2015-05-22 2017-07-12 한국기계연구원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담수 장치
KR20210037306A (ko) 2019-09-27 2021-04-06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과 공정열을 동시 이용하는 복합 해수담수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106B1 (ko) * 2014-08-01 2016-10-28 장준형 수륙 부양형 증류 식수 생성장치
KR101582987B1 (ko) * 2014-09-03 2016-01-07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태양광발전판을 구비하는 담수화장치
KR101627454B1 (ko) * 2015-02-25 2016-06-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 처리 장치
KR101888631B1 (ko) 2016-04-06 2018-08-14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KR101721203B1 (ko) * 2016-05-31 2017-03-29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담수장치
KR101895462B1 (ko) * 2016-12-14 2018-09-06 김민호 태양광 및 폐열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장치, 담수 및 천일염 제조장치
US11312640B2 (en) * 2017-10-30 2022-04-26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enhanced water production in solar-powered devices
EA035985B1 (ru) * 2019-05-22 2020-09-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Автономная гелио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ая опресн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111547801A (zh) * 2020-04-14 2020-08-18 西安理工大学 一种苦咸水脱盐浓水光热蒸发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RU2768909C2 (ru) * 2020-05-28 2022-03-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Автономный самоориентирующийся солнечный опреснитель-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CN113023813B (zh) * 2021-05-07 2022-07-01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太阳能蒸馏的自灌溉海上漂浮式种植装置
CN113443672A (zh) * 2021-06-17 2021-09-28 浙江大学 一种太阳能驱动的多级海水淡化装置
CN113968599B (zh) * 2021-09-30 2023-06-20 中北大学 一种一体化太阳能界面蒸发装置
CN115215401A (zh) * 2022-07-22 2022-10-21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用于太阳能盐水淡化的蒸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341A (ja) * 1997-11-26 1999-06-15 Top Ecology:Kk 太陽熱蒸留装置
JP2005224699A (ja) * 2004-02-12 2005-08-25 Kozaburo Miyazaki 浄水装置
KR20100108875A (ko) * 2009-03-30 2010-10-08 한국기계연구원 폐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및 이에 따른 담수화방법
KR20110049551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 다중효용 담수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338A (en) * 1981-08-28 1989-07-25 Husson Jr Frank D Solar collector system with radiation concentrated on heat absorber vanes
US20040060808A1 (en) * 2000-08-09 2004-04-01 Laviolette Paul Alex Advective solar collector for use in multi-effect fluid distillation and power co-gene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341A (ja) * 1997-11-26 1999-06-15 Top Ecology:Kk 太陽熱蒸留装置
JP2005224699A (ja) * 2004-02-12 2005-08-25 Kozaburo Miyazaki 浄水装置
KR20100108875A (ko) * 2009-03-30 2010-10-08 한국기계연구원 폐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및 이에 따른 담수화방법
KR20110049551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 다중효용 담수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357B1 (ko) * 2015-05-22 2017-07-12 한국기계연구원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담수 장치
KR20210037306A (ko) 2019-09-27 2021-04-06 한국기계연구원 태양열과 공정열을 동시 이용하는 복합 해수담수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9686A1 (en) 2015-07-30
PT2862842T (pt) 2017-10-02
EP2862842A1 (en) 2015-04-22
SG11201408477PA (en) 2015-02-27
EP2862842A4 (en) 2015-11-11
KR20130141843A (ko) 2013-12-27
US9884265B2 (en) 2018-02-06
ES2645976T3 (es) 2017-12-11
WO2013191362A1 (ko) 2013-12-27
EP2862842B1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415B1 (ko) 태양열 및 다중열원을 이용한 다중효용 상압담수장치
Zhang et al. Application of solar energy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A review
KR101134421B1 (ko) 태양열 다중효용 담수화 장치
CN103964526B (zh) 一种太阳能微聚光毛细蒸发海水淡化膜
CN102167413B (zh) 一种带聚光功能的多效套管式太阳能海水淡化器
CN101219817B (zh) 单一利用太阳能淡化海水或苦咸水的多效蒸馏装置与方法
KR101425414B1 (ko) 친수성 플레이트를 이용한 태양열 다중효용 담수화장치
KR101218131B1 (ko)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상압 방식의 다중효용 담수장치
Sun et al. Optimal design for floating solar still by structural modification: A review
KR101425413B1 (ko) 투과체 플레이트 다단구조형 태양열 다중효용 담수화장치
Dev et al. Solar distillation
KR101232829B1 (ko) 전력 및 담수의 동시 생산 시스템
RU2655892C1 (ru) Солнечный опреснитель бассейнового типа
CN202030560U (zh) 一种带聚光功能的多效套管式太阳能海水淡化器
CN2928827Y (zh) 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102145926B (zh) 多凹面镜集成型蒸发式太阳能净水器
KR101133046B1 (ko) 태양열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Shivhare et al. Impact of various design parameters on solar still systems performance: a review
KR101721203B1 (ko)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담수장치
KR20150128378A (ko)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담수장치
RU191713U1 (ru) Секция солнечного опреснителя
KR20210037306A (ko) 태양열과 공정열을 동시 이용하는 복합 해수담수화 장치
Hilarydoss A detailed review on various aspects of inverted solar still desalination systems proposed for clean water production
Kabade et al. Portable Water Dispenser for Desalination Using Solar Energy.
CN104961180A (zh) 多效太阳能海水浓缩和淡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