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881B1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Google Patents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881B1 KR101424881B1 KR1020120105754A KR20120105754A KR101424881B1 KR 101424881 B1 KR101424881 B1 KR 101424881B1 KR 1020120105754 A KR1020120105754 A KR 1020120105754A KR 20120105754 A KR20120105754 A KR 20120105754A KR 101424881 B1 KR101424881 B1 KR 1014248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blocking
- blocking wall
- walls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준설장치가 제공된다. 물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파내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챔버는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고, 유입관은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며, 굴착부는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챔버의 하부에 구비된다.A dredging apparatus which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s provided. A dredging apparatus for digging sediments present in a water bottom, the chamber being installed in water and having an internal hollow shape, the inlet pipe connect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to a vacuum pump,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on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 준설할 수 있는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준설장치는 통상적으로 하천이나 바다 등을 굴착하여 굴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의 바닥에는 오염물이 쌓이게 되고, 따라서 준설장치의 활용도는 점점 요구되고 있다.A dredging device is a device for excavating a river or sea and discharging excavated material to the outside. As the industry develops, pollutants accumulate on the bottoms of rivers and seas, and thus the utilization of dredging equipment is increasingly required.
하지만, 종래의 준설장치의 경우 굴착과정에 발생되는 오염물이 퍼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edg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redging apparatus is inferior because the problem of the spreading of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excavation process can not be solved.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which can prevent or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적물 흡입 시 퇴적물이 주변으로 퍼져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device having a barrier wall for preventing secondary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depositing sediments when the sediment is inha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for more effective dredging by sucking sediments more smooth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locking wall for effectively dredging by adjusting the water suction amount according to various dredging floor environ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for preventing an inhaled water from flowing back to a sediment suction hose, thereby enabling an effective dredg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파내는 준설장치는,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유입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edging device for digging sediments existing on the bottom of a water includes: a tubular chamber installed in water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n inlet pipe connect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and the vacuum pump; A drill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ng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제1지름을 가지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지름보다 큰 제2지름을 가지는 제2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1원통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each comprising a first cylinder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cylinder having a second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the second cylinder is slidable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제1원통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2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원통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기 돌기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hav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to stop sliding.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부를 구비한 메인 흡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굴착부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상기 메인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흡입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한다.And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each of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being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sucking sediments which are not sucked into the main inlets among the sediments suspended by the excavating portions, respectively, the main walls being connected to the chamber at one end and having the excavation portion at the other end, At least one hole is included.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챔버를 통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상기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through the chamber so that the sediment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is moved to the inflow pipe.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한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한 개의 관통홀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Whe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include one through-hole, the one through-hole is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blocking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슬릿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형태로 형성된다.When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having a slit shap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ier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 각각에 구비되는 관통홀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to face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 상기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및 상기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include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thir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re connected to the main inlet Or the drilling s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ective dredging can be performed by sucking sediments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dredging operation by adjusting the water suction amount according to various dredging floor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 suction dredging can be performed by preventing the water to be sucked from flowing back to the sediment suction h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서로 연결(또는 접속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는 표현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매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expression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connected (or connected or fastened or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description and / or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directly connected or that one or more of the other components Quot; is used in the meaning including to be connected by an intermediar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가 선박(1)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다. 준설장치(100)는 선박(1)에 설치된 진공펌프(3)와 유입관(2)에 의해 연결되어, 하천, 바다, 호수, 또는 호소와 같이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in which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굴착부(60)를 구비하며,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물질을 파내며, 파낸 물질은 물과 함께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관(2)을 통해 이동되어 외부(예를 들면 선박)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어 외부로 이송시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강한 조류가 존재하더라도 물 바닥을 팔 때 생길 수 있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주위로 퍼지지 않도록 하면서, 오염물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낼 때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진공펌프로부터 생길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준설장치는 유압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바닥의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유압 진공펌프로부터 기름과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그러한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파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2 viewed from the other sid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viewed from the other side.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챔버(50), 지지대(10a, 10b, 10c, 10d), 굴착부(60), 블레이드(41), 및 블레이드(41)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0a, 10b, 10c, 10d)는 경우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지지대가 없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술할 차단벽(20)들 중 일부가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처럼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차단벽(20)들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빗금친 차단벽들이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들 차단벽들은 다른 차단벽들과 같이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된 길이를 가지게 된다.Hereinafter, a
챔버(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며, 챔부(50)의 상부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16)와 진공펌프(3)는 유입관(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챔버(50)에 존재하는 오염물이나 물 등은 개구부(16) 및 유입관(2)을 통해서 진공펌프(3) 쪽으로 흡입된다.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의 개구부(16)와 진공펌프(3) 사이에는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챔버(50)의 상부에 개구부(16)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바(36)가 설치되며, 바닥에서 흡입된 오염물이나 물등은 챔버(50)의 개구부(16)와 원통형 바(3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유입관(2)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된다. 원통형 바(36)의 모양은 선택적인 것으로 당업자가 실시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원통형 바(36)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경우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진공펌프(3)와 챔버(50)의 개구부(16)가 직접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바(36)와 유입관(2)이 만나는 부분에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물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서 블레이드(41)가 회전이 되며, 이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31)에 의해서 굴착부(60)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는 챔버(50) 내부에 위치되도록 변형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레이드는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물이나 오염물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유입관(2)의 내부에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동력 전달부(31)가 그러한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blade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는 챔버 본체(14)와 메인 흡입구(12)를 포함한다. 메인 흡입구(12)는 챔버 본체와 연결되며, 메인 흡입구(12)에 굴착부(60)가 위치된다. 도 5와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메인 흡입구(12)와 굴착부(60)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다. 즉, 굴착부(60)는 메인 흡입구(12)의 하단에 위치하며, 굴착부(60)에 의해 굴착되는 오염물이나 물의 대부분은 메인 흡입구(12)를 통해서 흡입되며, 흡입된 물질들은 챔버 본체(14)를 통과하여 유입관(2)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외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챔버 본체(14)와 메인 흡입구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벽(20)을 포함한다. 이들 차단벽(2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챔버(50)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차단벽(20)은 메인 흡입구의 외주부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굴착부(60)를 둘러싸도록 챔버(50)의 하부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서, 메인 흡입구의 하단에 장착된 굴착부(60)가 굴착하면서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벽(wall)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나아가, 차단벽(2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와 같은 통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21a, 22a)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굴착부(60)의 굴착에 의해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관통홀(21a, 22a)을 통해서 부가적/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벽(20)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높이(H)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단 구성에 대하여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물 바닥은 평평하지 못하며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할 수 있다. 2단으로 구성된 차단벽(20)들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이나믹하게 그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Further, at least a part of the blocking
또한, 차단벽(20)들은 도 11의 (a)와 같은 2단 구조(즉, 내부 슬라이드형 차단벽(20))를 가지거나, 또는 도 12와 같은 2단 구조(즉, 외부 슬라이드형 차단벽(20))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도 11의 (a)와 도 12와 같은 2단 구조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단벽(20)들끼리 보다 밀접하게 인접할 수 있다. 차단벽(20)들이 밀접하게 인접하게 되면, 굴착부(60)가 굴착한 바닥에서 주변으로 흩어지는 퇴적물들의 흩어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벽(well)으로서의 작용을 보다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제2원통(22)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2원통(2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1원통(21) 및 챔버(50)와 연결된 제2원통(22)으로 구성된다. 제2원통(22)의 지름인 제2지름은 제1원통(21)의 지름인 제1지름보다 크며, 제2원통(22)은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각 차단벽(20)은 제1원통(21)이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베어링 구(2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1 (a), the blocking
도 12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챔버(50)와 연결된 제1원통(21)과 제1원통(21)의 외부에 위치되어 제1원통(2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원통(22)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구(2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2, the blocking
지지대(10a, 10b, 10c, 10d)는 챔버의 본체와 결합되어 챔버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실시 환경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 내지 도 16처럼, 차단벽(20)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겸용토록 할 수 있다.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겸용하는 차단벽(20)들(도 14에서 빗금친 부분)은, 오염물 등을 흡입함과 동시에 웰(well)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지지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차단벽(20)은 그 높이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32), 제1 회전축(32)과 결합된 제1기어, 제1기어와 결합된 체인(31), 체인(31)과 결합된 제2기어, 제2 기어와 결합된 제2 회전축(37)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회전축은 굴착부(6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인 흡입구와 차단벽(20)을 통해서 흡입된 물이나 오니 등과 같은 흡입물질은 진공펌프(3)에 의해 흡입되어 이동되면서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킨다. 블레이드(41)의 회전은 제1 회전축(32), 제1기어, 체인(31), 제2기어, 및 제2 회전축을 통해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부는 반드시 체인일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나 복수 개의 기어들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not necessarily a chain, but may be constituted by a wire or a plurality of gears. That is, any componen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러(80)는 유입관(2)과 원통형 바 사이에 위치되며, 유입관(2)과 원통형 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플러(80)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유입관이 원통형 바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41)는 원통형 바의 일단에 위치되어, 원통형 바를 통과하는 흡입물질의 흐름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중심축과, 그 중심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가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동력 전달부가 굴착부로 전달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같이 도시한 이유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로 전달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conceptually show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is transmitted to the excavator by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The reason shown in Fig. 8 is to show that any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to the excavation portion.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9A to 9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흡입구(14)의 하단에 굴착부(60)가 설치되며,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즉, 오니나 오염물과 같은 퇴적물)은 물과 함께 메인 흡입구로 유입되어, 챔버 본체(14)를 통과하고, 이후,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키면서 유입관(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바(36)와 유입관(2)이 만나는 부분에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물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서 블레이드(41)가 회전이 되며, 이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31)에 의해서 굴착부(60)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9A, a
한편, 차단벽(20)은 메인 흡입구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도록 막는 벽의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보조적으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벽(2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통의 측면에는 관통홀(21a)이 복수 개 형성되어 그 관통홀(21a)들을 통해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 중 주변으로 흩어진 물질들이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차단벽(2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이 다각형들로도 구성이 가능하다.Although the blocking
다음, 도 9b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b에 도시된 차단벽(20)은 속이 비어 있는 파이프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원통(22)의 측면에는 슬릿(25)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 중 주변으로 흩어진 물질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릿(25)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릿(25)은 이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슬릿(25)이 한 개 형성되는 경우, 슬릿(25)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슬릿(25)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슬릿(25)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병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B, the
다음, 도 9c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c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차단벽(20)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9c의 경우, 굴착부(60)는 별도의 모터(61)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굴착 동작을 수행한다.Next, referring to FIG. 9C, the
다음, 도 9d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d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d에 도시된 차단벽(20)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9d의 경우, 준설장치(100)는 지상 또는 수면 위로부터 물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된 관(71)을 더 포함한다. 관(71)을 통해 높은 압력의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높은 압력의 물에 의해 굴착기(60)가 회전하면서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준설장치(100)는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D, the
도 9a 내지 도 9d에서 차단벽(20)에 형성된 홀의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도시한 것으로서, 차단벽(20)에 형성된 홀의 방향은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9A to 9D, the direction of the hole formed in the block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진공펌프(3)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챔버와, 메인 흡입구(12)와 차단벽(20)까지 미치도록, 챔버,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벽(20)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단은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을 포함한다.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이거나 또는 내부가 사전에 정해진 물질로 채워져 있는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제1원통(21)은 챔버 본체(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14)의 하단과 연통된다. 다른 예로, 챔버 본체(14)의 일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화하여 제1원통(21)을 제작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locking
차단벽(20) 중 수중 바닥과 닿는 부분, 즉, 제2원통(22)은 도 10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차단벽(20)은 도 10의 (a)와 같이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이 모두 포개어져 있는 경우 최소 높이를 갖게 되며, 도 10의 (b)와 같이 제2원통(22)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원통(22)의 상부가 베어링 구(23)에 도달하는 경우 최대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차단벽(20)이 돌이 있는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 차단벽(20)의 높이는 자동적으로 돌의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blocking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도 11을 참조하면, 차단벽(20)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단은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을 포함한다.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제1원통(21)의 일측에는 제1원통(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이 일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굴착부(60)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메인 흡입구(12)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부가적으로 흡입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챔버(50)를 통해 유입관(2)과 연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1, the blocking
도 11에 도시된 차단벽(20)이 한 개의 관통홀(21a)을 포함하는 경우, 한 개의 관통홀(21a)은 차단벽(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도 13과 같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locking
또한, 차단벽(20) 중 물의 바닥과 닿는 부분은 도 11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의 (b)와 같이 돌이 있는 위치에 차단벽(20)이 위치되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높이가 원활하게 조절되도록 베어링 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blocking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도 12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1원통(21)이 제2원통(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2원통(22)이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즉, 슬라이딩)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관통홀(22a)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원통(22)의 일측에 일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locking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제1원통(21), 제2원통(22) 및 돌기(24)를 포함한다. 제1원통(21)은 제2원통(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의 내부와 연통한다. 도 13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2원통(22)이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3 (a), the blocking
돌기(24)는 제1원통(21)의 하부 영역 중 사전에 정해진 영역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제2원통(22)의 일측에는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25)(이하, 슬릿(25)이라 한다)이 마련된다. 슬릿(25)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 개의 슬릿(25)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된다. 슬릿(25)은 제2원통(22)이 아래 방향(즉, 바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돌기(24)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한다. At least one through hole 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lit 2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도 13의 (b)에 도시된 측단면도를 참조하면, 돌기(24)는 제2원통(22)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원통(22)이 제1원통(21) 전체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2원통(22)은 제2원통(22)의 슬릿(25)이 돌기(24)에 걸릴 때까지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다만, 제2원통(22)의 슬릿(25)이 돌기(24)에 걸리기 이전에, 제2원통(22)의 바닥이 돌과 같은 장애물에 먼저 도달하면, 제2원통(22)은 더 이상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the side sectional view shown in FIG. 13 (b), the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은 2단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벽(20)은 하나의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벽(20)이 하나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둥 내부는 비어 있거나 임의 재질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차단벽(20)의 내부가 비어져 있고, 차단벽(20)의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경우, 관통홀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를 갖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단벽(20)의 관통홀은 굴착부(60)의 굴착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퇴적물을 보조적으로 더 흡입할 수 있다. 차단벽(20)은 관통홀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을 챔버 본체(14)의 상부 및 개구부(16)를 통해 유입관(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차단벽(20)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blocking
도 14에서는 복수 개의 차단벽(20)들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과,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과,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22a) 또는 슬릿(25)은 이격된 공간을 통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14, a plurality of blocking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차단벽(20)들이 3개층으로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고 있지만, 4개층, 5개층,... 10개층... 등등 상황에 따라서 더 많은 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단벽(20)의 층이 많이 구성될 수도록, 굴착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locking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빗금친 부분)가 포함되며, 이들 차단벽(20) 역시 보조적으로 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빗금친 부분)는 도 10과 같이 높이가 조절되지 않고 고정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14, a blocking wall 20 (hatched portion) serving also as a support is included, and these blocking
도 14에서는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이 메인 흡입구(12)의 최외곽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메인 흡입구(12)의 최외곽뿐만 아니라 메인 흡입구(12) 가까이를 둘러싸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Fig. 14, the blocking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지 않는 차단벽(20)의 경우는, 도 11의 (a)나 도 1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차단벽(20)의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3의 도시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의 높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차단벽(20)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14, in the case of the blocking
도 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벽(20)은 다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흡입구(12)를 둘러싸는 제1 차단벽층, 제1 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차단벽층과 제2차단벽층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차단벽층이 위치될 수 있고, 제2차단벽층과 제3차단벽층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차단벽층이 위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의 관통홀의 위치가 다양하게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흡입구(12)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차단벽(20)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12)를 향하도록 하였고, 상대적으로 먼 차단벽(20)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12)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였다.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대를 구비하지 않은 준설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와 비교할 때 지지대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6의 준설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것으로 대치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6,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a dredging apparatus without a support, which is the same as the dredg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except that there is no suppor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16 will be replaced by those of Figs. 2 to 5.
한편, 도2 내지 도4, 도16을 참조하여 도시한 준설장치에서,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 등의 부품과 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가 소정의 밀폐용 박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edger shown in Figs. 2 to 4 and Fig. 16, in order to prevent the parts such as bearings, chains, gears, and wire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water, Gears, and wires may be installed in a given enclosure box.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2: 유입관 3: 진공펌프
100: 준설장치 41: 블레이드
50: 챔버 14: 챔버 본체
12: 메인 흡입구 16: 개구부
20: 차단막 21: 제1원통
21a: 관통홀 22: 제2원통
23: 베어링 구 24: 돌기
25: 슬릿2: inlet pipe 3: vacuum pump
100: dredging device 41: blade
50: chamber 14: chamber body
12: main intake port 16: opening
20: a shielding film 21: a first cylinder
21a: Through hole 22: Second cylinder
23: bearing sphere 24: projection
25: slit
Claims (10)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유입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 및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부를 구비한 메인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굴착부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상기 메인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흡입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In a dredging device for digging sediments present in the water bottom,
A tubular chamber installed in the water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n inlet pipe connect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and the vacuum pump;
A drill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ng portion; And
And a main inl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excavation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sucking sediments not sucked into the main suction port among the sediments suspended by the excavating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제1지름을 가지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지름보다 큰 제2지름을 가지는 제2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1원통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s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A first cylinder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nd a second cylinder having a second diameter greater than the first diameter,
Wherein the second cylinder is slidable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제1원통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2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원통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기 돌기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s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so as to protrude therefrom,
Wherein the second cylinder comprise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so as to stop the sliding engagement with the projection when the second cylinder slides downward, .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챔버를 통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상기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through the chamber so that sediments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are moved to the inflow pipe.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한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한 개의 관통홀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include one through hole, the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슬릿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having a slit shap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ier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 각각에 구비되는 관통홀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ng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 상기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및 상기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section,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thir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re connected to the main inlet Or arranged to face the excavation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237 | 2011-10-12 | ||
KR20110104237 | 2011-10-12 | ||
KR1020110109140 | 2011-10-25 | ||
KR20110109140 | 2011-10-2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0764A Division KR20140007506A (en) | 2011-10-12 | 2014-01-03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668A KR20130039668A (en) | 2013-04-22 |
KR101424881B1 true KR101424881B1 (en) | 2014-07-31 |
Family
ID=4843979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8243U KR200473799Y1 (en) | 2011-10-12 | 2012-09-14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KR1020120105754A KR101424881B1 (en) | 2011-10-12 | 2012-09-24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KR1020140000764A KR20140007506A (en) | 2011-10-12 | 2014-01-03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KR2020140000048U KR20140000858U (en) | 2011-10-12 | 2014-01-03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8243U KR200473799Y1 (en) | 2011-10-12 | 2012-09-14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0764A KR20140007506A (en) | 2011-10-12 | 2014-01-03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KR2020140000048U KR20140000858U (en) | 2011-10-12 | 2014-01-03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20047379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453B1 (en) * | 2014-01-24 | 2014-06-03 | 김상환 |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
KR101402571B1 (en) * | 2014-01-24 | 2014-05-30 | 김상환 |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
KR102582971B1 (en) * | 2021-08-24 | 2023-09-26 | 엘티삼보 주식회사 | Mud pump device, excavator for dredging and precision dredging equip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precision dredging method using the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6740B2 (en) * | 1989-03-22 | 1994-11-02 | ヤマトボーリング株式会社 | Inhalation head for sludge treatment equipment |
JPH0932033A (en) * | 1995-07-17 | 1997-02-04 | Sanee Kogyo Kk | Base rock surface clean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6233A (en) * | 1999-09-03 | 2001-04-06 | 김복중 | Hydraulic dredger |
-
2012
- 2012-09-14 KR KR2020120008243U patent/KR20047379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9-24 KR KR1020120105754A patent/KR10142488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1-03 KR KR1020140000764A patent/KR2014000750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1-03 KR KR2020140000048U patent/KR20140000858U/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6740B2 (en) * | 1989-03-22 | 1994-11-02 | ヤマトボーリング株式会社 | Inhalation head for sludge treatment equipment |
JPH0932033A (en) * | 1995-07-17 | 1997-02-04 | Sanee Kogyo Kk | Base rock surface clean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668A (en) | 2013-04-22 |
KR20140007506A (en) | 2014-01-17 |
KR20140000858U (en) | 2014-02-06 |
KR200473799Y1 (en) | 2014-07-31 |
KR20130002396U (en) | 2013-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2558B1 (en) | Dredging apparatus without causing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
CN107630485A (en) | Deepwater Open Sea first spreads rubble bedding face desilting system and dredger | |
JP6139540B2 (en) | Underwater trench drilling rig | |
KR101424881B1 (en)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
EP1270826A1 (en) | Gravel-or-the-like removing device | |
KR102068673B1 (en) | Cutter device for dredging | |
US8127474B2 (en) | Dredging apparatus | |
JP3900532B1 (en) | High concentration dredge equipment | |
KR101725973B1 (en) | Dredge machinery unification dredging and transporting of dredging sand, and method for dredging dredging sand | |
KR102005683B1 (en) | A dredging machine for a drain pipeline | |
US20140338233A1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ond remediation | |
JP4551788B2 (en) | Lotus root excavation equipment | |
JP4551743B2 (en) | Lotus root excavation equipment | |
JP5703110B2 (en) | Fixed dredg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buried perforated pipe | |
JP2007177545A (en) | Narrow place excavation/soil-removing apparatus, narrow place excavation/soil-removing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ion/soil-removing system | |
JP7252099B2 (en) | Dredging attachments and dredging systems | |
EP3751057B1 (en) | Material transfer system for a body of water | |
JP7319946B2 (en) | Dredging equipment, dredging system, and dredging method | |
CN207499026U (en) | Deepwater Open Sea first spreads rubble bedding face desilting system and dredger | |
KR101148748B1 (en) | Soil dredging method using amphibious dredger | |
KR101402571B1 (en) |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 |
KR101402453B1 (en) |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 |
KR20150088517A (en) |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 |
KR20150088519A (en) |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 |
CN209924005U (en) | Harbour dredging system for confined working surfa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