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881B1 -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Google Patents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881B1
KR101424881B1 KR1020120105754A KR20120105754A KR101424881B1 KR 101424881 B1 KR101424881 B1 KR 101424881B1 KR 1020120105754 A KR1020120105754 A KR 1020120105754A KR 20120105754 A KR20120105754 A KR 20120105754A KR 101424881 B1 KR101424881 B1 KR 10142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locking
blocking wall
wall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9668A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ublication of KR2013003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준설장치가 제공된다. 물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파내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챔버는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고, 유입관은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며, 굴착부는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챔버의 하부에 구비된다.A dredging apparatus which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s provided. A dredging apparatus for digging sediments present in a water bottom, the chamber being installed in water and having an internal hollow shape, the inlet pipe connect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to a vacuum pump,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on portion.

Description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차단벽이 설치된 준설장치{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locking wall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 준설할 수 있는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d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edging apparatus capable of dredging without causing or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준설장치는 통상적으로 하천이나 바다 등을 굴착하여 굴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의 바닥에는 오염물이 쌓이게 되고, 따라서 준설장치의 활용도는 점점 요구되고 있다.A dredging device is a device for excavating a river or sea and discharging excavated material to the outside. As the industry develops, pollutants accumulate on the bottoms of rivers and seas, and thus the utilization of dredging equipment is increasingly required.

하지만, 종래의 준설장치의 경우 굴착과정에 발생되는 오염물이 퍼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edg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redging apparatus is inferior because the problem of the spreading of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excavation process can not be solved.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which can prevent or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적물 흡입 시 퇴적물이 주변으로 퍼져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device having a barrier wall for preventing secondary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depositing sediments when the sediment is inha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for more effective dredging by sucking sediments more smooth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locking wall for effectively dredging by adjusting the water suction amount according to various dredging floor environ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진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dging apparatus having a barrier wall for preventing an inhaled water from flowing back to a sediment suction hose, thereby enabling an effective dredg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파내는 준설장치는,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유입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edging device for digging sediments existing on the bottom of a water includes: a tubular chamber installed in water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n inlet pipe connect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and the vacuum pump; A drill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ng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제1지름을 가지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지름보다 큰 제2지름을 가지는 제2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1원통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each comprising a first cylinder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cylinder having a second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the second cylinder is slidable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제1원통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2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원통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기 돌기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hav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to stop sliding.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부를 구비한 메인 흡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굴착부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상기 메인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흡입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한다.And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each of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being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sucking sediments which are not sucked into the main inlets among the sediments suspended by the excavating portions, respectively, the main walls being connected to the chamber at one end and having the excavation portion at the other end, At least one hole is included.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챔버를 통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상기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through the chamber so that the sediment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is moved to the inflow pipe.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한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한 개의 관통홀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Whe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include one through-hole, the one through-hole is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blocking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슬릿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형태로 형성된다.When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having a slit shap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ier walls.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 각각에 구비되는 관통홀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to face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 상기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및 상기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include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thir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re connected to the main inlet Or the drilling s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ective dredging can be performed by sucking sediments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dredging operation by adjusting the water suction amount according to various dredging floor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 suction dredging can be performed by preventing the water to be sucked from flowing back to the sediment suction h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서로 연결(또는 접속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는 표현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매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expression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connected (or connected or fastened or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description and / or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directly connected or that one or more of the other components Quot; is used in the meaning including to be connected by an intermediar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가 선박(1)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다. 준설장치(100)는 선박(1)에 설치된 진공펌프(3)와 유입관(2)에 의해 연결되어, 하천, 바다, 호수, 또는 호소와 같이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in which a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hip 1 is shown. The dredg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vacuum pump 3 provided on a ship 1 by an inlet pipe 2 and sucks sediments such as sludge and contaminants present on the floor such as a river,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굴착부(60)를 구비하며,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물질을 파내며, 파낸 물질은 물과 함께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관(2)을 통해 이동되어 외부(예를 들면 선박)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ging unit 60 and digests substances such as sludge or contaminants existing on the floor, Can be moved through the inlet pipe 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a 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어 외부로 이송시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강한 조류가 존재하더라도 물 바닥을 팔 때 생길 수 있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주위로 퍼지지 않도록 하면서, 오염물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it does not contaminate the environment and dirt and dirt existing on the floo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contaminants or the like while preventing muddy water or contaminants, which may be generated when the bottom of the water is sol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낼 때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진공펌프로부터 생길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준설장치는 유압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바닥의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유압 진공펌프로부터 기름과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그러한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파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vacuum pump when dredging sludge or contaminants present on the floor and thus can prevent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from such a vacuum pump. For example, a conventional dredging apparatus performs an operation of digging sludge or contaminants on the floor by using a hydraulic vacuum pump. In this case,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oil are inevitably generated from the hydraulic vacuum pump. On the other hand, 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work of digging the floor without using such a vacuum pump, so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original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2 viewed from the other sid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edging device of Fig. 2 viewed from the other side.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챔버(50), 지지대(10a, 10b, 10c, 10d), 굴착부(60), 블레이드(41), 및 블레이드(41)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0a, 10b, 10c, 10d)는 경우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지지대가 없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술할 차단벽(20)들 중 일부가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처럼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차단벽(20)들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빗금친 차단벽들이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들 차단벽들은 다른 차단벽들과 같이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된 길이를 가지게 된다.Hereinafter, a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The dred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s the chamber 50 rotates, the support rods 10a, 10b, 10c, 10d, the excavation portion 60, the blades 41,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31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excavating portion 60. [ Here, the support rods 10a, 10b, 10c, and 10d are installed as occasion demands and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Figs. 14 to 16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is not provide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16, a part of the blocking walls 20 to be described later may serve as a support, and the blocking walls 20 serving as a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ixed length. Referring to FIG. 14, the shaded blocking walls can serve as supports, and these blocking walls have a fixed length without being slid like other blocking walls.

챔버(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며, 챔부(50)의 상부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16)와 진공펌프(3)는 유입관(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챔버(50)에 존재하는 오염물이나 물 등은 개구부(16) 및 유입관(2)을 통해서 진공펌프(3) 쪽으로 흡입된다.An opening 1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50. The opening 16 and the vacuum pump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let pipe 2, Contaminants or water present in the chamber 50 are sucked into the vacuum pump 3 through the opening 16 and the inflow pipe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의 개구부(16)와 진공펌프(3) 사이에는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챔버(50)의 상부에 개구부(16)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바(36)가 설치되며, 바닥에서 흡입된 오염물이나 물등은 챔버(50)의 개구부(16)와 원통형 바(3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유입관(2)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된다. 원통형 바(36)의 모양은 선택적인 것으로 당업자가 실시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원통형 바(36)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경우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진공펌프(3)와 챔버(50)의 개구부(16)가 직접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ade 4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pening 16 of the chamber 50 and the vacuum pump 3. 2 to 5, an opening 16 and a hollow cylindrical bar 36 ar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50, and contaminants or water sucked from the bottom are introduced into the openings of the chamber 50 16 and the cylindrical bar 36, and then i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pipe 2.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bar 36 is optional and needless to sa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urther, the cylindrical bar 36 is an optional component and may not necessarily be used.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vacuum pump 3 and the opening 16 of the chamber 50 are direct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바(36)와 유입관(2)이 만나는 부분에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물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서 블레이드(41)가 회전이 되며, 이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31)에 의해서 굴착부(60)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41 can be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cylindrical bar 36 and the inflow pipe 2 meet. The blade 41 is rotated by water and / or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2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xcavating portion 60 by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31 so that the excavating portion 60 Is rot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는 챔버(50) 내부에 위치되도록 변형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레이드는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물이나 오염물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유입관(2)의 내부에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동력 전달부(31)가 그러한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blade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chamber 50.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blade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blade can be rotated by the flow of water or contaminant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pump 3. [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a blade is installed inside the inflow pipe 2, and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31 must be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such a blade to the excavation portion 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는 챔버 본체(14)와 메인 흡입구(12)를 포함한다. 메인 흡입구(12)는 챔버 본체와 연결되며, 메인 흡입구(12)에 굴착부(60)가 위치된다. 도 5와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메인 흡입구(12)와 굴착부(60)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다. 즉, 굴착부(60)는 메인 흡입구(12)의 하단에 위치하며, 굴착부(60)에 의해 굴착되는 오염물이나 물의 대부분은 메인 흡입구(12)를 통해서 흡입되며, 흡입된 물질들은 챔버 본체(14)를 통과하여 유입관(2)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외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챔버 본체(14)와 메인 흡입구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50 includes a chamber body 14 and a main inlet 12. The main inlet 12 is connected to the chamber body and the excavation part 60 is located in the main inlet 12. Referring to Fig. 5 and Figs. 9A to 9D, the positions of the main inlet 12 and the excavation portion 60 can be understood. That is, the excavating portion 6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inlet 12, and most of the contaminants or water excavated by the excavating portion 60 is sucked through the main inlet 12, 14 to the inlet pipe 2 and thereby to the outside. Here, the chamber main body 14 and the main inlet may b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벽(20)을 포함한다. 이들 차단벽(2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챔버(50)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차단벽(20)은 메인 흡입구의 외주부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굴착부(60)를 둘러싸도록 챔버(50)의 하부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서, 메인 흡입구의 하단에 장착된 굴착부(60)가 굴착하면서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벽(wall)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50 includes at least one blocking wall 20. A plurality of these blocking walls 20 may be form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of the chamber 50, and may be coupled or detachably coupled. Preferably, the pipe-shaped blocking wall 20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50 so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main inlet or surround the excavation portion 60, And can serve as a wall for preventing muddy water or contaminants generated while the excavated portion 60 is excavated from spreading.

나아가, 차단벽(2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와 같은 통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21a, 22a)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굴착부(60)의 굴착에 의해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관통홀(21a, 22a)을 통해서 부가적/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벽(20)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높이(H)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단 구성에 대하여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물 바닥은 평평하지 못하며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할 수 있다. 2단으로 구성된 차단벽(20)들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이나믹하게 그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Further, at least a part of the blocking wall 20 has a cylindrical shape such as an empty pipe insid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21a, 22a. In this case, muddy water or contaminants generated by the excavation of the excavating portion 60 can be additionally / supplementally suck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a and 22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blocking walls 20 may be configured in two stages so that the height H thereof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is two-stag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can be seen in FIG. 11, the bottom of the water is not flat and there may be a topographical object such as a stone. The barrier walls 20 composed of two stages can be dynamically adjusted in height automatically when there is a topographic object such as a stone as shown in FIG. 11 (b).

또한, 차단벽(20)들은 도 11의 (a)와 같은 2단 구조(즉, 내부 슬라이드형 차단벽(20))를 가지거나, 또는 도 12와 같은 2단 구조(즉, 외부 슬라이드형 차단벽(20))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도 11의 (a)와 도 12와 같은 2단 구조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단벽(20)들끼리 보다 밀접하게 인접할 수 있다. 차단벽(20)들이 밀접하게 인접하게 되면, 굴착부(60)가 굴착한 바닥에서 주변으로 흩어지는 퇴적물들의 흩어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벽(well)으로서의 작용을 보다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walls 20 may have a two-tiered structure (i.e., the inner slide-type blocking wall 20) as shown in Fig. 11 (a) Wall 2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barrier walls 20 may be more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by arranging the two-stage structures as shown in FIGS. 11 (a) and 12 alternately. When the blocking walls 20 are closely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ore fully perform the action as a well that blocks the scattering of sediments scattered around from the excavated floor to the excavation part 60 .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제2원통(22)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2원통(2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1원통(21) 및 챔버(50)와 연결된 제2원통(22)으로 구성된다. 제2원통(22)의 지름인 제2지름은 제1원통(21)의 지름인 제1지름보다 크며, 제2원통(22)은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각 차단벽(20)은 제1원통(21)이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베어링 구(2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1 (a), the blocking wall 20 includes a first cylinder 21 and a chamber 50, which are located inside the second cylinder 22 and slide along the second cylinder 22, And a second cylinder 22 connected thereto. The second diameter which is the diameter of the second cylinder 22 is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which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cylinder 21 and the second cylinder 22 can slide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21 . Each blocking wall 20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23 so that the first cylinder 21 smoothly slide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

도 12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챔버(50)와 연결된 제1원통(21)과 제1원통(21)의 외부에 위치되어 제1원통(2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원통(22)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구(2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2, the blocking wall 20 includes a first cylinder 21 connected to the chamber 50 and a second cylinder 21 located outside the first cylinder 21 and sliding along the first cylinder 21, (22), and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hole (23) for smooth sliding.

지지대(10a, 10b, 10c, 10d)는 챔버의 본체와 결합되어 챔버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실시 환경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 내지 도 16처럼, 차단벽(20)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겸용토록 할 수 있다.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겸용하는 차단벽(20)들(도 14에서 빗금친 부분)은, 오염물 등을 흡입함과 동시에 웰(well)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지지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The supports 10a, 10b, 10c, and 10d may be combined with the body of the chamber to support the chamber. As described above, such a support is not essential and may not be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4 to 16, at least a part of the barrier walls 20 may be used to serve as a support. The blocking walls 20 (hatched portions in FIG. 14) serving also as a support stand serve as a well as well as sucking contaminants, etc., and also serve as suppor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차단벽(20)은 그 높이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0 serving as a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ixed height. This is in order to perform smoothly as a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32), 제1 회전축(32)과 결합된 제1기어, 제1기어와 결합된 체인(31), 체인(31)과 결합된 제2기어, 제2 기어와 결합된 제2 회전축(37)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회전축은 굴착부(6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인 흡입구와 차단벽(20)을 통해서 흡입된 물이나 오니 등과 같은 흡입물질은 진공펌프(3)에 의해 흡입되어 이동되면서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킨다. 블레이드(41)의 회전은 제1 회전축(32), 제1기어, 체인(31), 제2기어, 및 제2 회전축을 통해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41 to the excavation portion 60. [ 4 to 5,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31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32 connected to the blade 41, a first gear coupled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32, A second gear coupled with the chain 31, and a second rotational shaft 37 coupled with the second gear, wherein the second rotational shaft is connected to the excavating portion 6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uction material such as water or sludge sucked through the main inlet and the blocking wall 20 is sucked and moved by the vacuum pump 3 to rotate the blade 41. The rotation of the blade 41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rotary shaft 32, the first gear, the chain 31, the second gear, and the second rotary shaft so that the excavating portion 60 is rot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부는 반드시 체인일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나 복수 개의 기어들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not necessarily a chain, but may be constituted by a wire or a plurality of gears. That is, any componen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41 to the excavation portion 60 can operate as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러(80)는 유입관(2)과 원통형 바 사이에 위치되며, 유입관(2)과 원통형 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플러(80)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유입관이 원통형 바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coupler 80 is located between the inlet pipe 2 and the cylindrical bar and connects the inlet pipe 2 and the cylindrical bar. The coupler 8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let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41)는 원통형 바의 일단에 위치되어, 원통형 바를 통과하는 흡입물질의 흐름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중심축과, 그 중심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가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blade 41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ba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blade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and a central axis thereof to facilitate rotation by the flow of the suction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bar Lt; / RTI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동력 전달부가 굴착부로 전달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같이 도시한 이유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로 전달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conceptually show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is transmitted to the excavator by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The reason shown in Fig. 8 is to show that any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to the excavation portion.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9A to 9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흡입구(14)의 하단에 굴착부(60)가 설치되며,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즉, 오니나 오염물과 같은 퇴적물)은 물과 함께 메인 흡입구로 유입되어, 챔버 본체(14)를 통과하고, 이후,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키면서 유입관(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바(36)와 유입관(2)이 만나는 부분에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물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서 블레이드(41)가 회전이 되며, 이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31)에 의해서 굴착부(60)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9A, a chamber body 14, a main inlet and a blocking wall 20 are shown. 9A, the excavation portion 6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intake port 14, and the excavated material (i.e., sediments such as sludge and contaminants) Passes through the chamber main body 14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pipe 2 while rotating the blade 4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41 can be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cylindrical bar 36 and the inflow pipe 2 meet. The blade 41 is rotated by water and / or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2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xcavating portion 60 by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31 so that the excavating portion 60 Is rotated.

한편, 차단벽(20)은 메인 흡입구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도록 막는 벽의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보조적으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벽(2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통의 측면에는 관통홀(21a)이 복수 개 형성되어 그 관통홀(21a)들을 통해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 중 주변으로 흩어진 물질들이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wall 20 functions as a wall which is arranged to surround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60 so as to prevent the excavated material 60 from spreading to the surroundings, and at the same time, the excavation portion 60 ) Can be sucked in. For this, the blocking wall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so that the perforations 21a may be formed around the excavated portion 60 Can be supplemented further by the scattered substances.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21a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 20, or may be arranged in a row or mo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or 12.

차단벽(2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이 다각형들로도 구성이 가능하다.Although the blocking wall 20 is shown and described as cylindric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cking wall 20 can also be configured as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square, or a pentagon.

다음, 도 9b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b에 도시된 차단벽(20)은 속이 비어 있는 파이프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원통(22)의 측면에는 슬릿(25)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굴착부(60)가 굴착한 물질들 중 주변으로 흩어진 물질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릿(25)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릿(25)은 이 보조적으로 더 흡입될 수 있다. 슬릿(25)이 한 개 형성되는 경우, 슬릿(25)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슬릿(25)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슬릿(25)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병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B, the chamber body 14, the main inle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are shown. The ope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hamber main body 14, the main intake por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9B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A,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9B may have a hollow pipe or a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one slit 25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22. FIG. Therefore, among the materials excavated by the excavating portion 60, the materials scattered around can be further sucked into at least one slit 25. At least one of the slits 25 can be further sucked in this auxiliary. When a plurality of slits 25 are formed, the slits 25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When the plurality of slits 25 are formed,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음, 도 9c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c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차단벽(20)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9c의 경우, 굴착부(60)는 별도의 모터(61)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굴착 동작을 수행한다.Next, referring to FIG. 9C, the chamber body 14, the main inle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are shown. The ope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hamber main body 14, the main intake port 12, and the shutoff wall 20 shown in Fig. 9C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A,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9C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ocking wall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B. However, in the case of FIG. 9C, the excavating unit 60 is driven by a separate motor 61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while rotating.

다음, 도 9d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표시되어 있다. 도 9d에 도시된 챔버 본체(14),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의 동작 및 연결관계는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d에 도시된 차단벽(20)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도 9d의 경우, 준설장치(100)는 지상 또는 수면 위로부터 물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된 관(71)을 더 포함한다. 관(71)을 통해 높은 압력의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높은 압력의 물에 의해 굴착기(60)가 회전하면서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준설장치(100)는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퇴적물을 흡입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D, the chamber body 14, the main inle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are shown. The ope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hamber main body 14, the main intake por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9D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A,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9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ocking wall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B. In the case of FIG. 9D, the dredg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pipe 71 installed so as to face the ground from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high-pressure water falls to the bottom through the pipe 71, the excavator 60 can rotate by the high-pressure water to suck the sediment. Therefore, the dredging apparatus 100 can suck up sediments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motor.

도 9a 내지 도 9d에서 차단벽(20)에 형성된 홀의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도시한 것으로서, 차단벽(20)에 형성된 홀의 방향은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9A to 9D, the direction of the hole formed in the blocking wall 20 is oriented toward the front, but the direction of the hole formed in the blocking wall 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inlet 12 or It is preferable to dispose it so as to face the drilling section 6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진공펌프(3)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챔버와, 메인 흡입구(12)와 차단벽(20)까지 미치도록, 챔버, 메인 흡입구(12), 및 차단벽(20)이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The main suction por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so tha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 reaches the chamber and the main suction port 12 and the blocking wall 20,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barrier wall 20 used in the dred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벽(20)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단은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을 포함한다.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이거나 또는 내부가 사전에 정해진 물질로 채워져 있는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제1원통(21)은 챔버 본체(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14)의 하단과 연통된다. 다른 예로, 챔버 본체(14)의 일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화하여 제1원통(21)을 제작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locking wall 20 may be configured in two stages, and the second stage includes a first cylinder 21 and a second cylinder 22. In FIG. The first cylinder 21 and the second cylinder 22 may be in the form of an empty pipe or may be cylindrical in which the interior is filled with predetermined material. The first cylinder 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hamber body 1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21 is communic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hamber body 14.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ylinder 21 may be manufactured by shaping a part of the chamber body 14 as shown.

차단벽(20) 중 수중 바닥과 닿는 부분, 즉, 제2원통(22)은 도 10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차단벽(20)은 도 10의 (a)와 같이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이 모두 포개어져 있는 경우 최소 높이를 갖게 되며, 도 10의 (b)와 같이 제2원통(22)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원통(22)의 상부가 베어링 구(23)에 도달하는 경우 최대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차단벽(20)이 돌이 있는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 차단벽(20)의 높이는 자동적으로 돌의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blocking wall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nderwater floor, that is, the second cylinder 22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 10 (b). 10 (a), the blocking wall 20 has a minimum height when both the first cylinder 21 and the second cylinder 2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0 (b) When the two cylinders 22 are slid downwar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reaches the bearing orifices 23, the maximum height is obtained. Further, when the blocking wall 20 is in a position where the stones are located, the height of the blocking wall 2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one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차단벽(20)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단은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을 포함한다. 제1원통(21)과 제2원통(22)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제1원통(21)의 일측에는 제1원통(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이 일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굴착부(60)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메인 흡입구(12)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부가적으로 흡입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은 챔버(50)를 통해 유입관(2)과 연통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21a)들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1, the blocking wall 20 may be configured in two stages, and the second stage includes a first cylinder 21 and a second cylinder 22. The first cylinder 21 and the second cylinder 22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ylinder 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ylinder 21. [ ) May be formed in a line or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ine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additionally suck sediments which are not sucked into the main suction port 12 among the sediments floating by the excavating portion 60.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communicate with the inlet pipe 2 through the chamber 50 to allow the sediment to be suck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a to be moved to the inlet pipe.

도 11에 도시된 차단벽(20)이 한 개의 관통홀(21a)을 포함하는 경우, 한 개의 관통홀(21a)은 차단벽(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도 13과 같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11 includes one through-hole 21a, one through-hole 21a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 20 as shown in FIG. 13 .

또한, 차단벽(20) 중 물의 바닥과 닿는 부분은 도 11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의 (b)와 같이 돌이 있는 위치에 차단벽(20)이 위치되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높이가 원활하게 조절되도록 베어링 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blocking wall 20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water can be moved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 11 (b). When the blocking wall 20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rock as shown in FIG. 11 (b), th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Bearing spheres can be used to smoothly adjust the height, but this is exemplary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1원통(21)이 제2원통(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의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2원통(22)이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즉, 슬라이딩)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관통홀(22a)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원통(22)의 일측에 일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12, the first cylinder 21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ylinder 22,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ylinder 21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hamber bod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12, the second cylinder 22 is configured to move up (i.e., slide) about the first cylinder 21 to adjust its heigh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a may be formed in a line on one side of the second cylinder 2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ows.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은 제1원통(21), 제2원통(22) 및 돌기(24)를 포함한다. 제1원통(21)은 제2원통(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원통(21)의 상부는 챔버 본체의 내부와 연통한다. 도 13에 도시된 차단벽(20)의 경우 제2원통(22)이 제1원통(21)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3 (a), the blocking wall 20 includes a first cylinder 21, a second cylinder 22, and a projection 24. The first cylinder 2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22,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ylinder 21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hamber body. In the case of the blocking wall 20 shown in Fig. 13, the second cylinder 22 is configured to adjust its height while sliding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21. [

돌기(24)는 제1원통(21)의 하부 영역 중 사전에 정해진 영역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protrusion 24 protrudes from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cylinder 21.

제2원통(22)의 일측에는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25)(이하, 슬릿(25)이라 한다)이 마련된다. 슬릿(25)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 개의 슬릿(25)들은 제2원통(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된다. 슬릿(25)은 제2원통(22)이 아래 방향(즉, 바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돌기(24)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한다. At least one through hole 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lit 2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ylinder 2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When a plurality of slits 25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slits 25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22. The slit 25 is engaged with the projection 24 to stop the sliding when the second cylinder 22 slides downward (i.e., bottom).

도 13의 (b)에 도시된 측단면도를 참조하면, 돌기(24)는 제2원통(22)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원통(22)이 제1원통(21) 전체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2원통(22)은 제2원통(22)의 슬릿(25)이 돌기(24)에 걸릴 때까지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다만, 제2원통(22)의 슬릿(25)이 돌기(24)에 걸리기 이전에, 제2원통(22)의 바닥이 돌과 같은 장애물에 먼저 도달하면, 제2원통(22)은 더 이상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the side sectional view shown in FIG. 13 (b), the projection 24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second cylinder 22. Therefore, when the second cylinder 22 slides downward while wrapping the entirety of the first cylinder 21, the second cylinder 22 is positioned so that the slit 25 of the second cylinder 22 i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24 ) Until it is caught by the slider. However, if the bottom of the second cylinder 22 reaches the obstacle, such as a stone, before the slit 25 of the second cylinder 22 hits the protrusion 24, the second cylinder 22 is no longer Do not slide downward.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단벽(20)은 2단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벽(20)은 하나의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벽(20)이 하나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둥 내부는 비어 있거나 임의 재질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차단벽(20)의 내부가 비어져 있고, 차단벽(20)의 일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경우, 관통홀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를 갖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단벽(20)의 관통홀은 굴착부(60)의 굴착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퇴적물을 보조적으로 더 흡입할 수 있다. 차단벽(20)은 관통홀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을 챔버 본체(14)의 상부 및 개구부(16)를 통해 유입관(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차단벽(20)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blocking wall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relates to an embodiment having a two-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wall 20 may be formed of a single column. Further, when the blocking wall 20 is formed of one column, the inside of the column may be empty or filled with any material. When the inside of the blocking wall 20 is empty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ing wall 20, the through hole may have a hole shape as shown in FIG. 11, And may have a slit shape as shown in FIG. Further, the through-hole of the blocking wall 20 can additionally suck the sediment generated by the excavating operation of the excavating portion 60 further. The blocking wall 2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sediments sucked by the through-holes into the inlet tube 2 through the top of the chamber body 14 and the opening 16.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20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main inlet 12 or the excavation portion 60 and also to face the main inlet 12 or the excavation portion 60 Respectively.

도 14에서는 복수 개의 차단벽(20)들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과,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과,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22a) 또는 슬릿(25)은 이격된 공간을 통해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14,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20 surround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12 or the excavating portion 60,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 third blocking wall layer is forme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fined space, and the through holes 22a or the slits 25 formed 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nd is disposed to face the main intake port 12 or the excavation section 60 through the spaced apart spaces.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차단벽(20)들이 3개층으로 메인 흡입구(12) 또는 굴착부(60)를 둘러싸고 있지만, 4개층, 5개층,... 10개층... 등등 상황에 따라서 더 많은 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단벽(20)의 층이 많이 구성될 수도록, 굴착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20 surrounds the main intake port 12 or the excavation portion 60 in three layers, but four layers, five layers, ten layers, and so on. Layer. The movement of the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excavation section can be blocked so that a large number of layers of the blocking walls 20 can be constructed.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빗금친 부분)가 포함되며, 이들 차단벽(20) 역시 보조적으로 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빗금친 부분)는 도 10과 같이 높이가 조절되지 않고 고정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14, a blocking wall 20 (hatched portion) serving also as a support is included, and these blocking walls 20 can also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terial can be sucked in additionally. However, the blocking wall 20 (hatched portion) serving also as a support is configured to have a fixed length without being adjusted in height as shown in Fig.

도 14에서는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차단벽(20)이 메인 흡입구(12)의 최외곽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메인 흡입구(12)의 최외곽뿐만 아니라 메인 흡입구(12) 가까이를 둘러싸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Fig. 14, the blocking wall 20 serving as a support is shown only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main inlet 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not only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main intake port 12 but also the vicinity of the main intake port 12.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지 않는 차단벽(20)의 경우는, 도 11의 (a)나 도 1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차단벽(20)의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3의 도시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의 높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차단벽(20)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14, in the case of the blocking wall 20 which does not also function as a support,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11 (a) and 12, and this structure can be alternately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ing wall 2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S. 10 to 13, and can be used as the blocking wall 20 if the structure can be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loor will be.

도 1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벽(20)은 다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흡입구(12)를 둘러싸는 제1 차단벽층, 제1 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차단벽층과 제2차단벽층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차단벽층이 위치될 수 있고, 제2차단벽층과 제3차단벽층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차단벽층이 위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barrier walls 20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For example,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12,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thir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t least one blocking wall lay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nd at least one blocking wall lay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nd the third blocking wall layer.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벽(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단벽(20)의 관통홀의 위치가 다양하게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흡입구(12)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차단벽(20)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12)를 향하도록 하였고, 상대적으로 먼 차단벽(20)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12)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였다.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ing wall 20 used in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of the blocking wall 20 are variously positioned. That is, the blocking walls 20 relatively closer to each other around the main inlet port 12 direct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toward the main inlet port 12, while the relatively far blocking walls 20 allow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to be shifted from the main inlet port 1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ed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대를 구비하지 않은 준설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와 비교할 때 지지대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6의 준설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것으로 대치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6,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a dredging apparatus without a support, which is the same as the dredg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except that there is no suppor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dredging apparatus of Fig. 16 will be replaced by those of Figs. 2 to 5.

한편, 도2 내지 도4, 도16을 참조하여 도시한 준설장치에서,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 등의 부품과 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가 소정의 밀폐용 박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edger shown in Figs. 2 to 4 and Fig. 16, in order to prevent the parts such as bearings, chains, gears, and wire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water, Gears, and wires may be installed in a given enclosure box.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2: 유입관 3: 진공펌프
100: 준설장치 41: 블레이드
50: 챔버 14: 챔버 본체
12: 메인 흡입구 16: 개구부
20: 차단막 21: 제1원통
21a: 관통홀 22: 제2원통
23: 베어링 구 24: 돌기
25: 슬릿
2: inlet pipe 3: vacuum pump
100: dredging device 41: blade
50: chamber 14: chamber body
12: main intake port 16: opening
20: a shielding film 21: a first cylinder
21a: Through hole 22: Second cylinder
23: bearing sphere 24: projection
25: slit

Claims (10)

물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물을 파내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물속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에 형성된 개구부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유입관;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굴착 동작을 수행하는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 및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부를 구비한 메인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굴착부에 의해 부유되는 퇴적물 중 상기 메인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은 퇴적물을 흡입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In a dredging device for digging sediments present in the water bottom,
A tubular chamber installed in the water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n inlet pipe connect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chamber and the vacuum pump;
A drill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in a form surrounding the excavating portion; And
And a main inl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excavation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sucking sediments not sucked into the main suction port among the sediments suspended by the excav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제1지름을 가지는 제1원통; 및
상기 제1지름보다 큰 제2지름을 가지는 제2원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1원통을 중심으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s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A first cylinder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nd a second cylinder having a second diameter greater than the first diameter,
Wherein the second cylinder is slidable up and down about the first cylin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각각,
상기 제1원통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원통은 상기 제2원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원통이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기 돌기에 걸려 슬라이딩이 멈추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s a plurality of barrier walls,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so as to protrude therefrom,
Wherein the second cylinder comprise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ylinder so as to stop the sliding engagement with the projection when the second cylinder slides downward,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챔버를 통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관통홀로 흡입되는 퇴적물이 상기 유입관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ipe through the chamber so that sediments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are moved to the inflow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한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한 개의 관통홀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each include one through hole, the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wa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이 각각 슬릿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상기 각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barrier walls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having a slit shap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ier wa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 각각에 구비되는 관통홀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둘러싸는 제1차단벽층, 상기 제1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2차단벽층 및 상기 제2차단벽층을 둘러싸는 제3차단벽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은 사전에 정의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벽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차단벽들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 흡입구 또는 상기 굴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mprise:
A first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main inlet or the excavation section, a secon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nd a third blocking wall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first blocking wal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blocking walls constituting the second blocking wall layer are connected to the main inlet Or arranged to face the excavation section.
KR1020120105754A 2011-10-12 2012-09-24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1014248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37 2011-10-12
KR20110104237 2011-10-12
KR1020110109140 2011-10-25
KR20110109140 2011-10-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764A Division KR20140007506A (en) 2011-10-12 2014-01-03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668A KR20130039668A (en) 2013-04-22
KR101424881B1 true KR101424881B1 (en) 2014-07-31

Family

ID=4843979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43U KR200473799Y1 (en) 2011-10-12 2012-09-14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1020120105754A KR101424881B1 (en) 2011-10-12 2012-09-24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1020140000764A KR20140007506A (en) 2011-10-12 2014-01-03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2020140000048U KR20140000858U (en) 2011-10-12 2014-01-03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43U KR200473799Y1 (en) 2011-10-12 2012-09-14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764A KR20140007506A (en) 2011-10-12 2014-01-03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2020140000048U KR20140000858U (en) 2011-10-12 2014-01-03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47379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53B1 (en) * 2014-01-24 2014-06-03 김상환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KR101402571B1 (en) * 2014-01-24 2014-05-30 김상환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KR102582971B1 (en) * 2021-08-24 2023-09-26 엘티삼보 주식회사 Mud pump device, excavator for dredging and precision dredging equip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precision dredging method using th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740B2 (en) * 1989-03-22 1994-11-02 ヤマトボーリング株式会社 Inhalation head for sludge treatment equipment
JPH0932033A (en) * 1995-07-17 1997-02-04 Sanee Kogyo Kk Base rock surface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233A (en) * 1999-09-03 2001-04-06 김복중 Hydraulic dred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740B2 (en) * 1989-03-22 1994-11-02 ヤマトボーリング株式会社 Inhalation head for sludge treatment equipment
JPH0932033A (en) * 1995-07-17 1997-02-04 Sanee Kogyo Kk Base rock surface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668A (en) 2013-04-22
KR20140007506A (en) 2014-01-17
KR20140000858U (en) 2014-02-06
KR200473799Y1 (en) 2014-07-31
KR20130002396U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558B1 (en) Dredging apparatus without causing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N107630485A (en) Deepwater Open Sea first spreads rubble bedding face desilting system and dredger
JP6139540B2 (en) Underwater trench drilling rig
KR101424881B1 (en) Dredging apparatus having blocking well for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EP1270826A1 (en) Gravel-or-the-like removing device
KR102068673B1 (en) Cutter device for dredging
US8127474B2 (en) Dredging apparatus
JP3900532B1 (en) High concentration dredge equipment
KR101725973B1 (en) Dredge machinery unification dredging and transporting of dredging sand, and method for dredging dredging sand
KR102005683B1 (en) A dredging machine for a drain pipeline
US20140338233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ond remediation
JP4551788B2 (en) Lotus root excavation equipment
JP4551743B2 (en) Lotus root excavation equipment
JP5703110B2 (en) Fixed dredg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buried perforated pipe
JP2007177545A (en) Narrow place excavation/soil-removing apparatus, narrow place excavation/soil-removing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ion/soil-removing system
JP7252099B2 (en) Dredging attachments and dredging systems
EP3751057B1 (en) Material transfer system for a body of water
JP7319946B2 (en) Dredging equipment, dredging system, and dredging method
CN207499026U (en) Deepwater Open Sea first spreads rubble bedding face desilting system and dredger
KR101148748B1 (en) Soil dredging method using amphibious dredger
KR101402571B1 (en)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KR101402453B1 (en)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KR20150088517A (en) Excavating unit with excavating and forward-stepping functions and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KR20150088519A (en) Underwater Dredging Apparatus
CN209924005U (en) Harbour dredging system for confined working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