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762B1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762B1
KR101424762B1 KR1020130010107A KR20130010107A KR101424762B1 KR 101424762 B1 KR101424762 B1 KR 101424762B1 KR 1020130010107 A KR1020130010107 A KR 1020130010107A KR 20130010107 A KR20130010107 A KR 20130010107A KR 101424762 B1 KR101424762 B1 KR 10142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blade
power supply
hydraulic pressure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호
박지상
이학구
김진봉
문진범
정문규
김홍관
강민규
이우경
김지훈
박중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2Vibration control arrangements, e.g. for generating random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6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55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waves, e.g. acou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는, 풍력 블레이드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Resonance linkage apparatus for hydraulic and power line of fatigue test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blade and Resonance linkage generation method of hydraulic and power line using of it}
본 발명은 풍력 블레이드(Blade)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발생장치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거동 시에 공진발생장치와 연결된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시켜 공진 효율의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진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블레이드(Blade)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기모터를 회전시키기에 필요한 회전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하며, 회전익 항공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는 항공기가 비행에 필요한 양력, 추력 및 조종력 등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한다.
블레이드는 회전으로 인해 블레이드 주위의 공력분포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블레이드 자체에 굽힘하중과 비틀림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블레이드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공력하중 모니터링과 블레이드 반경 방향으로의 공력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력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력하중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진발생장치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US2010/0263448호에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피로시험장비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블레이드의 상면에 프레임(7)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7)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엑츄에이터(5)가 구비되며, 상기 엑츄에이터(5)의 하단에는 웨이트(6)를 매달아 상/하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흔들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2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또 다른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좌우측에 각각 엑츄에이터(8)가 구비되고, 상기 엑츄에이터(8)는 웨이트(9)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진폭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진 시험 장치는 엑츄에이터나 센서 등의 동작을 위한 유압 호스나 전원선 등의 라인이 다수 구비되며, 이러한 라인들은 블레이드의 대형화로 인해 가진력이 상승함에 따라 더욱 거대한 유압 및 전원선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진 시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블레이드는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목표한 진폭과 응력 분포를 얻기 위해 중량물을 추가로 설치 한 후 100만 ~ 200만회 가량 가진하게 되며, 블레이드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혹은 상/하와 좌/우 동시에 가진 하는 방법으로도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비대칭적인 구조의 특성과 결부되어 불규칙한 블레이드 거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유압호스나 전원선 또한 블레이드 거동에 따라 불규칙한 거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추가 라인의 거동은 블레이드의 가진력을 감소시키고 블레이드 피로 모션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가진력의 감소는 이에 대응하는 가진 효율의 감소를 유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시험을 위해 가진 횟수를 증가시켜야 하고 시험 기간을 연장해야만 하므로 경제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압 호스나 전원선 등의 라인은 공진 시험장치나 블레이드를 타격하여 파손을 유발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진발생장치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거동시에 공진발생장치와 연결된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시켜 공진 효율의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 및 전원 라인이 블레이드의 피로 거동에 맞추어 다수 방향 왕복 운동이 가능하고, 감지부를 구비하여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력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하여 공진 연동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는, 풍력 블레이드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진 연동 장치는 공진발생장치로부터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진발생장치 또는 블레이드 일측에는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다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는, 풍력 블레이드에 고정 결합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어 평면운동 또는 공간운동하는 연동수단과, 상기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상기 연동수단 및 엑츄에이터의 변위를 동시에 제어하여 유압 및 전원 라인과 블레이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에는,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수직 방향 투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풍력 블레이드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연동하는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공진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진발생장치 또는 블레이드 일측에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유압 및 전원 라인에 일측이 직선 왕복운동하는 연동수단을 결합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공진발생장치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거동시에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연동수단을 동작시켜 유압 및 전원 라인을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에 대응하도록 연동하는 연동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일측에는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발생장치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거동시에 공진발생장치와 연결된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진 효율의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압 및 전원 라인의 다수 방향 왕복 운동이 가능하고, 감지부를 구비하여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대해 유압 및 전원 라인을 보다 정밀하게 연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력 조절 유닛을 더 구비하여 공진 연동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공진발생장치 및 유압 및 전원 라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미국특허공보 US2010/0263448호에 개시된 피로시험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또 다른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와 공진 연동 장치(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공진발생장치(100)는 크게 고정유닛(200)과 동작유닛(300)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블레이드(B)의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된 다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며, 동작유닛(300)은 엑츄에이터(150)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B)에 대하여 동작하는 다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공진발생장치(100)는 피로시험 대상인 블레이드(B)의 외면에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는 블레이드(B)가 관통한 상태로 죄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진발생장치(100)는 좌/우측에 웨이트(W)가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W)는 블레이드(B)의 크기, 형상,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발생장치(100)는 블레이드(B)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공진을 발생하는 동작유닛(300)이 외측에 폐루프(closed loop)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동작유닛(300) 내측에는 블레이드(B)에 대하여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유닛(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유닛(300)은 공진발생장치(100) 전체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가 전/후 방향으로 뚫려있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이 차폐된 폐루프(Closed loop) 구조를 이루어 굽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동작유닛(300)의 외측에는 웨이트(W)가 구비되며, 상기 웨이트(W)는 선택적으로 가감될 수 있고, 상기 동작유닛(30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에는 엑츄에이터(150)가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동작유닛(300)과 결합하여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공진발생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선택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시에는 블레이드(B)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진발생장치(100)에는 다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이하 "라인(152)"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상기 라인(152)은 엑츄에이터(150)의 길이 가변을 위한 유압 작동유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유압 라인과, 상기 공진발생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인(152)은 엑츄에이터(150) 및 전기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B)의 거동시에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인(152)의 움직임에 의해 블레이드(B)에 가해지는 가진력의 감소를 차단하기 위한 공진 연동 장치(400)가 구성된다.
상기 공진 연동 장치(400)는 상기 라인(152)과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B)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라인(152)을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진연동장치(400)는 풍력 블레이드(B)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100)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는 연동수단(410)과, 상기 블레이드(B)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420)와, 상기 연동수단(410) 및 엑츄에이터(150)의 길이를 동시에 제어하여 라인(152)과 블레이드(B)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반(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4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실린더가 적용되었으며, 길이가 가변하는 단부는 라인(152)과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420)는 블레이드(B)의 위치 및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연동수단(410)이 연동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B) 또는 공진발생장치(100) 일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420)는 제어반(430)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반(430)은 연동수단(410)을 동작시켜 상기 라인(152)과 블레이드(B)가 연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인(152) 일측에는 장력 조절 유닛(4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력 조절 유닛(440)은 라인(152)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라인(152)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력 조절 유닛(440)은 상기 라인(152)의 움직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라인(152)이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라인(152)이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력 조절 유닛(440)은 라인(152)에 제공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공진 연동 장치(4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이다.
도면과 같이, 다른 실시예의 공진 연동 장치(400)는 감지부(420)를 구비하지 않고 제어반(430)을 이용하여 연동수단(410)에 공급되는 유압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인(152)의 움직임 방향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공진 연동 장치(400)는 연동수단(410)과, 제어반(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반(430)은 연동수단(410)과 엑츄에이터(150)의 길이 신장 방향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블레이드(B)와 라인(152)이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반(430)은 엑츄에이터(150)의 길이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제어시에 상기 연동수단(410)은 축소되도록 하여 상기 라인(152)이 블레이드(B)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150)가 동작하더라도 블레이드(B)와 라인(152)은 소정의 시간 차를 가지고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연동수단(410)의 길이 신축 시점은 엑츄에이터(150)의 신축 시점과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430)은 감지부(42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연동수단(410)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라인(152)과 블레이드(B)가 연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동수단(41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변경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로서, 상기 연동수단(410)은 라인(152)과 감지부(420)가 동일한 위치 및 속도를 갖도록 연동시키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연동수단(410)은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랙과 피니언 기어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라인(152)이 2차원 평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후 방향의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한 랙과 피니언을 더 구성하여 3차원 공간상에 라인(152)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다수의 실린더를 서로 링크 결합하여 상기 라인(152)의 2차원 평면 이동 및 3차원 공간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진 연동 장치(400)를 이용한 공진 연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먼저 도 3과 같은 실시예를 이용하여 라인(152)을 연동하는 방법은, 상기 공진발생장치(100) 또는 블레이드(B) 일측에 블레이드(B)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420)를 설치하고, 유압 및 전원 라인(152)에 일측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연동수단(410)을 결합하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공진발생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B)가 거동 시에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S200)와, 상기 연동수단(410)을 동작시켜 유압 및 전원 라인(152)을 블레이드(B)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에 대응하도록 연동하는 연동단계(S3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152)의 일측에는 유압 및 전원 라인(152)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4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S10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반(430)의 제어에 의해 엑츄에이터(150)가 신축하게 되며, 상기 동작유닛(300)은 이와 연동하여 블레이드(B)를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거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감지부(420)는 블레이드(B)의 움직임 방향, 속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반(430)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동단계(S300)를 실시하여 상기 라인(152)과 블레이드(B)를 연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반(430)은 동작유닛(30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라인(152)을 하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동작유닛(300)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라인(152)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라인(152)의 연동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공진 연동 장치(400)가 도 4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엑츄에이터(150)와 연동수단(410)에 공급되는 유압 작동유 등의 압력부재는 제어반(430)에 의해 동시 또는 일정 시차를 두고 공급 및 순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감지부(420)를 더 구비하고 감지부(420)가 블레이드(B)의 변위를 감지하며, 감지한 변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동수단(4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라인(152)을 연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연동수단(410)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더라도, 상기 감지부(420)가 감지한 변위 데이터를 제공받은 제어반(430)에 의해 연동수단(4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블레이드(B)와 라인(152)을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공진발생장치 150. 엑츄에이터
152. 라인 200. 고정유닛
300. 동작유닛 400. 공진 연동 장치
410. 연동수단 420. 감지부
430. 제어반 440. 장력 조절 유닛
B . 블레이드 S100. 준비단계
S200. 감지단계 S300. 연동단계
W . 웨이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풍력 블레이드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진 연동 장치는 공진발생장치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상기 공진발생장치 또는 블레이드 일측에는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다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6. 풍력 블레이드에 고정 결합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과 결합되어 평면 운동 또는 공간 운동하는 연동수단과,
    상기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토대로 상기 연동수단 및 엑츄에이터의 길이를 동시에 제어하여 유압 및 전원 라인과 블레이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 일측에는,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수직 방향 투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9. 풍력 블레이드에 고정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와 대응하도록 연동하는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공진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진발생장치 또는 블레이드 일측에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유압 및 전원 라인에 일측이 직선 왕복운동하는 연동수단을 결합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공진발생장치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거동시에 움직임 방향 및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연동수단을 동작시켜 유압 및 전원 라인을 블레이드의 움직임 방향 및 변위에 대응하도록 연동하는 연동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일측에는 유압 및 전원 라인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 유닛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KR1020130010107A 2013-01-29 2013-01-29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KR10142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107A KR101424762B1 (ko) 2013-01-29 2013-01-29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107A KR101424762B1 (ko) 2013-01-29 2013-01-29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762B1 true KR101424762B1 (ko) 2014-08-04

Family

ID=5174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107A KR101424762B1 (ko) 2013-01-29 2013-01-29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17A1 (ko) * 2014-10-17 2016-04-21 한국기계연구원 페어링 및 이를 이용한 피로 시험 장치 및 방법
CN114526901A (zh) * 2022-02-24 2022-05-24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风电叶片测试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680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피로시험장치
KR20110078999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터 블레이드 공력하중 측정장치 및 측정장치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680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피로시험장치
KR20110078999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터 블레이드 공력하중 측정장치 및 측정장치 보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417A1 (ko) * 2014-10-17 2016-04-21 한국기계연구원 페어링 및 이를 이용한 피로 시험 장치 및 방법
CN114526901A (zh) * 2022-02-24 2022-05-24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风电叶片测试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561B2 (en) Resonance test system
CN104132795B (zh) 一种可实现风洞虚拟飞行的模型绳索支撑系统
EP3198255B1 (en) Fatigue testing of a wind turbine blade
CN102680215B (zh) 风轮机叶片测试机
CN103466109B (zh) 一种空间微重力环境地面模拟实验装置
US2009016937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vanced wind energy capture system
EP26314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borne wind energy production
US9557255B2 (en) Tension member fatigue tester using transverse resonance
CN102089520A (zh) 用于测试风力涡轮机叶片的测试设备
CN105190284A (zh) 用于叶片疲劳测试的具有减少的侧向负载的共振发生装置
KR101879722B1 (ko) 단일 스트럿을 가지는 수직면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모형시험장치
CN104697761A (zh) 一种可动翼面的随动加载方法
KR101424762B1 (ko)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유압 및 전원 라인을 위한 공진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및 전원 라인의 공진 연동 방법
KR101438801B1 (ko)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안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Richards et al. Effect of the stiffness, inertia and oscillation kinematics on the thrust generation and efficiency of an oscillating-foil propulsion system
KR20130116737A (ko) 초음속 풍동시험용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풍동시험장치
KR20170079144A (ko) 대변형 구조에 적합한 하중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분포 하중 시험 시스템
KR20160082921A (ko) 가속도 제어 기반의 공진 피로 시험 방법 및 장치
KR101310244B1 (ko)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CN206540783U (zh) 一种适用于风电叶片的电动往复式疲劳加载试验装置
CN106715262A (zh) 具有在机身和机翼之间的液压支撑柱的飞行器
CN109323834A (zh) 一种六维动态力产生装置
Berg et al. Fabrication, integration and initial testing of a smart rotor
CN112145346A (zh) 风力发电机组及仰角调节装置、系统、方法、介质和设备
CN218916745U (zh) 一种光伏组件用振动试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