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23B1 -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23B1
KR101424023B1 KR1020120075702A KR20120075702A KR101424023B1 KR 101424023 B1 KR101424023 B1 KR 101424023B1 KR 1020120075702 A KR1020120075702 A KR 1020120075702A KR 20120075702 A KR20120075702 A KR 20120075702A KR 101424023 B1 KR101424023 B1 KR 10142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ir
resin
shape
ai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481A (ko
Inventor
정명관
Original Assignee
정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관 filed Critical 정명관
Priority to KR102012007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가 작은 공기 주입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체중, 발모양, 선호도에 따라 부분별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고, 공기의 재주입이 용이하며, 신발 밑창의 어느 부분에든지 끼워 넣을 수 있고, 또한, 이 신발에서 저 신발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평면 형상의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1 시트, 제1 시트와 적어도 일 영역이 접착되도록 마련되어 제1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2 시트 및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며, 공기 주입부는 제1 삽입시트 및 제1 삽입시트와의 사이에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반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접착부에 의하여 접착된 제2 삽입시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에어백이 설치된 신발 깔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INSERT EQUIPPED WITH AIR-ADJUSTABLE AIR-BAG}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어백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함으로써 착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 깔창의 부분 높낮이와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되고, 중창(미드솔)이나 안창(인솔) 등 신발 밑창의 어느 부분에나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쿠션 기능을 가지는 신발 깔창으로서는 각종 합성 수지, 합성 수지의 발포시트나 부직포, 직물,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중창을 소정의 모양을 가지도록 하고 그 위에 안창을 적층시킨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하는 등록특허 10-080006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는 에어백이 장착된 미드솔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에어백의 탄성경도를 줄이고 완충효과를 위하여 에어백 안에 스프링을 넣은 스프링 장착백을 밑창의 뒷굽 부분 또는 앞꿈치 부위에 설치하였으나, 착용자가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깔창의 높낮이 및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는 없다.
선행기술문헌으로 또한 제시하는 공개특허 제10-2007-0025927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기재된 것은, 착용자가 자유자재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층 에어백 신발 깔창이다. 특허문헌 2에는 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또한 내부 공기는 밖으로 내보내서 발 냄새를 배출시키는 깔창이 기재되어 있다. 이 깔창은 여러 개의 돌기 에어백을 가지고 있어서 발이 지압되고, 각각 공기 유압 수단이 되는 5겹의 깔창으로 열 융착된 겹층을 포함하지만, 이 또한 에어백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필요에 따라 깔창의 높낮이 및 공기 부피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에, 부분적으로 쿠션을 보강하기 위해 중창(midsole)에 여러개의 밀폐된 공기 주머니가 형성된 신발 밑창에 있어서, 착용 시 착용자의 체중이나 도보에 의한 압박에 의하여 공기 주머니 속의 공기가 서서히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주머니의 주변에 기둥을 형성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공기의 유실 후 복구가 불가능하여 공기 주머니의 쿠션 기능을 잃어버리고, 결국 공기 주머니를 둘러싸고 있는 기둥에만 의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깔창에 공기 주입 펌프와 배기 밸브를 장착하여, 착용 후 압력에 의하여 공기 주머니의 공기가 유실되면 공기 주입 펌프의 피스톤을 작동시켜 추가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었으나, 한정된 크기의 신발 밑창 속에 적지 않은 부피를 차지하는 공기 주입 펌프와 배기 밸브를 모두 장착하는 데에는 공간적, 기계적 제한이 따라 미적 디자인 개발상의 장애는 물론이고 제화 공정상에까지 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계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체중, 발모양, 선호도에 따라 부분별로 공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장시간 착용에도 주입된 공기의 유실이 최소화되며, 또한 공기 유실 후 재주입이 용이하고, 동시에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신발의 구성요소로서 거의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 에어백이 장착된 깔창의 개발에 대한 요구는 아직까지도 전혀 충족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0800066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25927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체중, 발모양, 선호도에 따라 부분별로 공기 압력을 조절하고, 착용 후 주입된 공기의 유실이 거의 없으며, 장시간 착용에 따라 공기가 유실되더라도 재주입이 용이한 에어백이 장착된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의 공기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공간 집약적으로 컴팩트하게 형성되어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아니하여, 신발 전체의 디자인을 해치치 않으면서, 중창(미드솔)이나 안창(인솔)의 신발 밑창의 어느 부분에든지 끼워 넣을 수 있고, 또한, 이 신발에서 저 신발로의 교체 사용도 가능한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 형상의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1 시트, 제1 시트와 적어도 일 영역이 접착되도록 마련되어 제1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2 시트, 그리고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는 깔창에 있어서, 공기 주입부는 제1 삽입시트 및 상기 제1 삽입시트와의 사이에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접착된 제2 삽입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공기저장공간에 함유된 공기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소정형상, 예를 들면 소정 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형상,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반복적인 요철 형상의 접착부에 의하여 접착됨으로써, 공기저장공간에 함유된 공기가 장시간 유지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기저장공간을 두 개, 세 개, 네 개, 필요에 따라 여러 개로 구획화하여 포함하고, 각 공기저장공간 마다 공기 주입부를 따로 형성하여 공기저장공간에 함유된 공기의 부피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시트, 제2 시트,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의 재질은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PVC(폴리염화비닐) 수지, PP(폴리프로필렌) 수지, PE(폴리에틸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서로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접착되어 공기저장공간과 공기 주입부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저장공간에 함유된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를 접착하는 접착부는 펄스 파형이거나 산과 골, 이랑과 고랑, 부정형 높낮이를 갖는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융착되어, 공기저장공간에 함유된 공기를 장시간 유지하며, 또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체중, 발모양, 선호도에 따라 부분별로 공기 압력과 깔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착용 후에도 주입된 공기의 유실이 거의 없으며, 장시간 착용에 따라 공기가 유실되더라도 재주입이 용이한 에어백이 장착된 깔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의 공기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집약적으로 형성되어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신발 밑창의 어느 부분에든지 끼워 넣어 적층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교체 사용 또한 가능한 신발 깔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깔창이 적층된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깔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저장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된 깔창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이용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깔창(1)이 적층된 신발(2)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깔창(1)이 적층된 신발(2)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주입부가 자리를 거의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신발에 고정하거나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신발에 교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창에 적층시켜 착용할 수 있으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에 적층시켜 착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10)의 바람직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깔창의 분해사시도로서, 깔창(10)은 주로 신발의 발바닥 모양으로 재단된다. 깔창은,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1 시트(11)를 포함하며, 제1 시트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마련되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시트와 접착되어 상기 제1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저장공간(20)을 형성하는 제2 시트(12)를 포함하며, 이 때,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기 주입부(30)를 포함한다. 공기 주입부(30)는, 제1 삽입시트(31)와 제2 삽입시트(32)가 그 사이에서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접착부에 의하여 접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PVC(폴리염화비닐) 수지, PP(폴리프로필렌) 수지, PE(폴리에틸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같은 종류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좋고, 시트의 두께는 0.1mm~2.5mm, 바람직하게는 0.3mm~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4mm~1.2mm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삽입시트(31)와 제2 삽입시트(32)를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하여 접착부를 형성한다. 접착부는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를 반개구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선 형상 또는 복수의 직선 형상으로 융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3, 34, 35, 36, 37, 38)는 직선형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반복적인 요철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접착부(37, 38)는 직선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 이상의 직선이면 좋고, 이때 각 직선의 두께는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직선이어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3)의 적어도 일면은 반복적인 펄스 파형이면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4)의 적어도 일면은 반복적인 산 및 골 형상이어도 좋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5)의 적어도 일면은 반복적인 이랑과 고랑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6)의 적어도 일면은 부정형 높낮이를 갖는 요철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열융착 또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하여 서로 접착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개 이상의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접착된다. 또한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열융착 또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착된다.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한 접착부(33, 34, 35, 36, 37, 38)의 형상대로 형성된 몰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소정의 형상대로 형성된 융착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1 시트와 제2 시트 또는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에 열을 가함으로써, 열융착에 의한 접착을 수행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접착은 고주파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이 때 고주파 장치에 순간적으로 발생한 200이상의 열에 의하여 몰드가 가열되어 제1 시트와 제2 시트에 열을 가하며, 이로써 제1 시트와 제2 시트 또는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서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깔창(10)에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가 접착하여 형성하는 여러 개의 공기저장공간(20)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10)에는 두 개의 공기저장공간(21, 22)이 형성되면 좋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공기저장공간(23, 24, 25)이 형성되어도 좋고,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공기저장공간(26, 27, 28, 29)이 형성되어도 좋다. 공기저장공간(21, 22, 23, 24, 25, 26, 27, 28, 29)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구미에 맞게, 요구에 따라 커스텀-메이드 방식으로 다양한 모양과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공기저장공간(21, 22, 23, 24, 25, 26, 27, 28, 29)에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 제1 삽입시트(31)와 제2삽입시트(32)를 포함하는 공기 주입부(30)가 각각 형성된다. 공기 주입부는 공기의 공급양과 배출양을 조절하여 공기저장공간에 함유하는 공기의 양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 주입부를 통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복수개의 공기저장공간이 각기 상이한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9b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여러개의 공기저장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접하는 다른 공기저장공간과 서로 공기-연통할 수 있도록 통로(50)를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통하는 공기저장공간은 상호간에 공기의 이동 및 이에 따른 완충이 가능하다. 착용자는 의도적으로 각 공기저장공간이 함유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자의 착용 상태(도보, 달리기, 서있기 등)에 따라서 통로가 설치된 공기저장공간끼리 서로 자율적으로 공기가 이동하여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발의 모양, 특히 크기에 따라서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융착한다. 다소 큰 공기저장공간을 형성시키면, 이에 따라 공기저장공간이 과도하게 많은 공기를 함유하여 좌우상하의 공간상의 모든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평면상에서, 예를 들면 상하로 최대 팽창한 곳에서, 원형 또는 소정 형상으로 더 융착된 부분을 형성시켜서, 신발 밑창에 적합하게, 평면에 가깝되 착용자의 발바닥의 모양과 굴곡을 반영한 형상으로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와 그 작동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하게, 공기 주입부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 마련되며,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의 재질은, 서로 달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같으며, TPU 수지, PVC 수지, PP 수지, PE 수지, PC 수지 또는 PET 수지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의 두께는, 두께는 0.1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0.7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0.4mm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공기 주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살펴보면, 제1 시트, 제1 삽입시트, 제2 삽입시트, 제2 시트의 순서로 적층하고, 상기 제1 삽입시트와 상기 제2 삽입시트는 접착부에 의하여 일부분이 개구되어 반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영역에서 서로 접착하며, 이러한 접착부를 포함하도록 접착부의 상, 하에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가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접착한다.
이때 접착부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선형상, 소정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직선 형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분이 반복적인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접착부(33~37)에 의하여 반개구부(40)가 형성된다.
반개구부(40)를 통하여, 피스톤 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여하의 공기주입장치에 의하여 공기저장공간에 공기가 주입된다. 반개구부(40)의 길이는 신발, 공기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0mm 내지 10mm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70mm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50mm이며, 이 길이는 공기 주입 장치의 주입구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주입 장치보다 짧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를 피스톤 운동에 의하여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는 피스톤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농구공 같은 공에 바람을 넣는 미니 펌프이다. 공기저장공간이 공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반개구부(40)에 예를 들어 주사기의 바늘을 반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반개구부의 일부 길이 까지만 삽입한 후 피스톤 운동에 의하여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주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반개구부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입되는 위치의 반대 방향에서 주입 방향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5mm 떨어진 위치까지만 바늘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공기 주입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며, 소망의 부피까지 팽창하면 바늘을 분리한다. 바늘이 일단 분리되면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서로 붙어 공기저장공간의 공기가 유지된다. 반개구부에 바늘을 완전히 삽입하면 공기가 배출되며, 이때 공기저장공간에 수직으로 누르는 압력을 가해주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가로 세로 길이가 20mm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25mm 내지 50mm이며,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서로 달라도 좋고, 신발의 크기에 따라 또한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반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복적인 이랑과 고랑 형상을 가지도록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를 고주파 융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충격보완재를 더 삽입하여, 쿠션보강(double cushion)과 동시에 제1/2 시트가 서로 부딪혀 야기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보완재는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얇은 PU 폼(PU FOAM), PE 스폰지, EVA 스폰지 혹은 LATEX 스폰지가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10: 깔창
2: 신발
11: 제1 시트
12: 제2 시트
21, 22, 23, 24, 25, 26, 27, 28, 29: 공기저장공간
30: 공기 주입부
31: 제1 삽입시트
32: 제2 삽입시트
33, 34, 35, 36, 37, 38: 접착부
40: 반개구부
50: 통로

Claims (12)

  1. 평면 형상의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적어도 일 영역이 접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저장공간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주입부는,
    제1 삽입시트; 및
    상기 제1 삽입시트와의 사이에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접착부에 의하여 반개구부가 설치되면서 접착된 제2 삽입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반개구부는 공기 주입장치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는 적어도 일면에 소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소정 형상은 반복적인 요철 형상, 반복적인 펄스 파형, 반복적인 산 및 골 형상, 반복적인 이랑과 고랑 형상, 부정형 높낮이를 갖는 요철 형상, 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PVC(폴리염화비닐) 수지, PP(폴리프로필렌) 수지, PE(폴리에틸렌)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제1 삽입시트와 제2 삽입시트의 두께는 0.1~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고주파 융착에 의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10. 제1 항, 제8 항 또는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장공간을 복수개 포함하고, 각 공기저장공간마다 상기 공기 주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11. 제1 항, 제8 항 또는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장공간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저장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인접하는 공기저장공간과 연통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12. 삭제
KR1020120075702A 2012-07-11 2012-07-11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KR10142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02A KR101424023B1 (ko) 2012-07-11 2012-07-11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02A KR101424023B1 (ko) 2012-07-11 2012-07-11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481A KR20140010481A (ko) 2014-01-27
KR101424023B1 true KR101424023B1 (ko) 2014-07-28

Family

ID=5014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702A KR101424023B1 (ko) 2012-07-11 2012-07-11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44B1 (ko) 2021-11-16 2022-09-16 황재우 밀폐용 evoh층을 갖는 에어깔창 제조방법 및 에어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04A (ja) * 1997-12-25 1999-07-13 Minoru Tagami 扁平な弁装置及び換気機能を備えた靴内底部材及び靴
KR100664398B1 (ko) * 2006-04-13 2007-01-03 조종수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KR20090103001A (ko) * 2008-03-27 2009-10-01 서복희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지압용 신발깔창
WO2011128529A1 (fr) 2010-04-13 2011-10-20 Decathlon Premiere pour article chauss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04A (ja) * 1997-12-25 1999-07-13 Minoru Tagami 扁平な弁装置及び換気機能を備えた靴内底部材及び靴
KR100664398B1 (ko) * 2006-04-13 2007-01-03 조종수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KR20090103001A (ko) * 2008-03-27 2009-10-01 서복희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지압용 신발깔창
WO2011128529A1 (fr) 2010-04-13 2011-10-20 Decathlon Premiere pour article chauss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44B1 (ko) 2021-11-16 2022-09-16 황재우 밀폐용 evoh층을 갖는 에어깔창 제조방법 및 에어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481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62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CN110430775B (zh) 用于鞋类物品的缓冲构件及制造方法
US9894959B2 (en)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EP3338582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9420848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hamber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 system
EP2068668B1 (en)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JP4342553B2 (ja) クッション成分を加えた履物底の構造
KR102135439B1 (ko) 중심 인장 피처를 갖는 신발류 유체충전 챔버
JP5558443B2 (ja) 補強構造と流体で満たされた袋状部材とを有する履物
EP3037011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EP2449905B1 (en)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11622600B2 (en) Article of footwear
WO2016196995A1 (en) Mold apparatus, mold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sole component of article of footwear
KR101424023B1 (ko)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EP3302147A1 (en) Mold apparatus, mold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sole component of article of footwear
US20230404210A1 (en)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O2023245153A1 (en)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