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29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290B1
KR101423290B1 KR1020120087644A KR20120087644A KR101423290B1 KR 101423290 B1 KR101423290 B1 KR 101423290B1 KR 1020120087644 A KR1020120087644 A KR 1020120087644A KR 20120087644 A KR20120087644 A KR 20120087644A KR 101423290 B1 KR101423290 B1 KR 10142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unit
vehicle body
crush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1330A (en
Inventor
차성일
배영환
Original Assignee
차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일 filed Critical 차성일
Priority to KR102012008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290B1/en
Publication of KR2014002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3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7/00Clod-crush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0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rotating tools such as weed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배지를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가능한 차체 프레임에 분쇄부를 설치하여 배자상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배지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rushing a culture medium capable of cultivating a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ushing apparatus for crushing a culture medium, Apparatus and method.

Description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쇄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배지를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가능한 차체 프레임에 분쇄부를 설치하여 배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배지를 분쇄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상기 배지를 분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ulverizing a medium capable of cultivating a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verizing apparatus for pulverizing the medium while moving the pulverizing unit in a movable body frame, Apparatus and method.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노지에 작물을 직접 파종하거나 모종을 이식하여 작물을 수확하는 방법과, 시기에 관계없이 각종 작물이 시중에 공급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작물 재배법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Generally, there are many ways to grow plants. However,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harvesting crops by directly sowing seeds or transplanting seedlings into open fields, and cultivating crops using vinyl houses that can be supplied to various crops It is the most widely known.

이중에 비닐하우스 재배법은 시기에 관계없이 각종 작물을 재배하여 수요자에게 신선한 상태의 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비닐하우스 재배법은 비닐하우스 내의 노지에 식물을 직접 파종하거나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배지를 재배법이 있다. Among them, the vinyl house cultivation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supply fresh crops to the consumer by cultivating various crops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the use thereof is spreading. In the vinyl house cultiv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ethod of direct sowing or formal cultivation and a cultivation method of medium.

이중에 전자는 식물의 속성 및 청정 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 즉, 배지를 이용한 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mong them, it is known that the latter method, that is, the method using a medium is preferable because the nature of the plant and the difficulty of cultivating the plant are difficult.

특히 딸기 수경 재배의 경우 배지는 코코넛 껍데기와 수확을 완료한 딸기의 뿌리가 서로 얽혀져 있는 상태이다.Especially in the case of strawberry hydroponics, the medium is entangled with the coconut shell and the roots of the harvested strawberries.

따라서 상기 배지에 딸기를 파종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코넛 껍데기와 뿌리를 커팅 및 분쇄(이하 분쇄라 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sow strawberries in the medium, it is necessary to cut and crush the coconut husks and roo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lverization).

종래에는 상기 배지의 분쇄 작업을 위해 대형의 분쇄기에 상기 배지를 투입한 후 분쇄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아래의 특허 문헌 참조)Conventionally, an apparatus for pulverizing the medium after putting the medium into a large-sized pulverizer for pulverizing the medium has been used (refer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쇄 장치는 배지를 분쇄기 등으로 이동한 후 분쇄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비닐 하우스로 반입을 해야 해서 작업이 불편하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rind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work and the efficiency is lowered, since the grinding apparatus is required to carry the grinding work after moving the medium by a grinder or the like.

한국 공개 특허 제2004-008613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86135 한국 공개 특허 제2010-00397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39756 한국 공개 특허 제2011-008749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87492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85250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8525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상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배지를 분쇄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도 효율적으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쇄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medium crushing apparatus and a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capable of crushing the medium while moving on a medium,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바퀴(W)가 다수 개 부착되는 차체 프레임(110)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분쇄부(C)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club head comprising a body frame 110 to whic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W are attached, and a crushing unit C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o crush the medium It is a feature of the mobile medium crushing apparatus.

이때,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배치되는 한편 배지에 접촉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차체 이동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체 이동 유닛(150)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상기 배지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구동 휠(151)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 휠(15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movement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body movement unit 15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o move the body frame 110 in contact with the medium, A drive wheel 151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10 and rotating in a state contacting the medium so as to move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a wheel driving unit 153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 151.

또한, 상기 분쇄부(C)는 디스크 형상의 원형 커터(131)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으로 설치한 후 회전시켜 상기 배지를 분쇄하는 제1분쇄부(130)와,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쇄부(130)를 구동하는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분쇄부(130)의 원형 커터(131)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는 메인 모터(M)와, 상기 원형 커터(131) 일 측에 장치되되 상기 메인 모터(M)에 연동되어 상기 원형 커터(131)를 회전시키는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를 연동시키는 제1동력 전달부(B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C includes a first crushing unit 130 for crushing the medium by installing a disk-shaped circular cutter 131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a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crushing unit 110 and driving the first crushing unit 130. The circular cutter 131 of the first crush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20, Wherein the first crusher driving unit 120 includes a main motor 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a second motor 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lar cutter 131 A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crankshaft and driven by the main motor M to rotate the circular cutter 131;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B1 for interlock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B1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B1.

또한, 상기 분쇄부(C)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제2분쇄부(140)와, 상기 제2분쇄부(140)를 구동하는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을 포함하되, 상기 제2분쇄부(140)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 바아(141)와,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 돌출되는 선형 컷터(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은 메인 모터(M)에 연동되는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와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162)와, 상기 회전 샤프트(162)와 회전 바아(141)를 연동하는 연동 기어부(BV)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를 연동시키는 제2동력 전달부(B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C includes a second crushing unit 14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provided to be inclined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to crush the medium, And a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driving the crushing unit 140. The second crushing unit 14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a linear cutter 143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rotary bar 141. The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includes a main crusher drive unit 160, A second crushing part driving pulley 161 interlocked with the motor M and a rotating shaft 16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rushing part driving pulley 161 and a rotating shaft 162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62 And the main motor M and the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can 2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unit (B2).

그리고, 상기 연동 기어부(BV)는 상기 회전 샤프트(162)에 형성되는 제1베벨 기어(162a)와, 상기 제1베벨 기어(162a)에 맞물리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설치되는 제2베벨 기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BV includes a first bevel gear 162a formed on the rotary shaft 162 and a second bevel gear 162b meshing with the first bevel gear 162a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ry bar 141 And the second bevel gear 16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evel gear 163.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장치(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 장치(170)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175)와 나사 결합하는 한편 상기 차체 프레임(110) 저면까지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이송 바아(171)와, 상기 이송 바아(17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에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연결 바아(176)와, 일 측은 상기 연결 바아(176)의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특정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 로드(172)와, 일 측은 상기 제1연동 로드(172)에 고정되되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이동 바퀴(W)에 설치되는 제2연동 로드(1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device 17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 conveying bar 171 which is threadedly coupled to a holder 175 formed on the body frame 110 and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110 and a body frame 110 A connecting bar 176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on which the conveying bar 171 is installed, A first interlocking rod 17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so as to be rotatable at a specific point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a second interlocking rod 172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And the other side And a second interlocking rod 173 installed on the mobile wheel W. [

그리고, 상기 연결 바아(176)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회전 링(176a)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홀더(175)는 주행방향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핀 결합될 수 있다.And a rotary ring 176a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bar 176 and having the transfer bar 171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while the holder 175 rotates forward and rearward in the running direction And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so as to be able to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1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배지를 분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S100)은 깊이 조절 장치(170)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분쇄부(C)가 배지로부터 이격 되도록 하는 제1단계(S110)와,In the method (S100),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is adjusted by the depth adjusting device (170) so that the crushing part (C) (S110) for separating from the first step

상기 제1단계(S110) 수행 후, 상기 분쇄부(C)를 구동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제2단계(S120)에 의해 상기 분쇄부(C)의 정상 작동이 확인된 경우, 상기 높이 조절 장치(170)에 의해 상기 분쇄부(C)가 배지에 닿도록 하여 분쇄 작업을 수행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제3단계(S130) 수행 후,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주행시키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하는 배지 분쇄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A second step S120 of driving the crushing unit C to check whether the crushing unit C is operating normally after the first step S110; A third step S130 of performing a crushing operation by bringing the crushing section C into contact with the medium b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when the operation is confirmed and a third step S130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S130, And a fourth step (S140) in which the vehicle body frame 110 is driven to ru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배지상에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보다 보다 편리하고도 효율적으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culture medium, so that the pulveriz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than in the prior ar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분쇄 장치의 측면 및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분쇄부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일부 사시도 및 개념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ide and bottom surfaces of a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apparatus for driving the crus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and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left", "right", "lateral",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lement does not indicate or imply that it should simply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100)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바퀴(W)가 다수 개 부착되는 차체 프레임(110)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분쇄부(C)를 포함한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10 to whic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W are attached, and a body frame 110 to whic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W are attached, And a crushing portion (C) for crushing the medium.

이때, 상기 차체 프레임(110)은 이동 바퀴(W)에 의해 주행하며, 배지는 상기 분쇄부(C)에 의해 분쇄 처리 된다.At this time, the vehicle body frame 110 is driven by the moving wheels W, and the medium is ground by the crushing unit C.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지의 분쇄 작업을 위해 대형의 분쇄기에 상기 배지를 투입한 후 분쇄하는 장치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비닐 하우스로 반입을 해야 해서 작업이 불편하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a device for feeding the medium into a large-sized pulverizer for pulverizing the medium and then pulverizing the medium has been used, and thereafter, it has to be brought into the vinyl house,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ork efficiency and efficienc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배지상에 본 발명의 분쇄 장치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배지를 분쇄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분쇄기에의 배지 투입 및 상기 배지의 분쇄와 상기 배지의 재투입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이 간단해지고 효율이 상승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crush the medium while running the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edium,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ut the medium into the grinder and crush the medium and re-insert the medium The work is simplified and the efficiency is increased.

한편,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용이하게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배치되는 한편 배지에 접촉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차체 이동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body movement unit 15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for easily running the body frame 110 and moving the body frame 110 in contact with the medium .

이때, 상기 차체 이동 유닛(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상기 배치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구동 휠(151)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 휠(15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body moving unit 150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ody frame 110 to move the body frame 110 And a wheel driving unit 153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 151. [

상기 구동 휠(1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된 원판 형상이되 다수 개 배치되어 배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riving wheel 151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disc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driving wheels 151 are disposed, and the driving wheel 151 rotates while contacting the medium to move the vehicle body frame 110.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이탈 방지 가이드(152)를 상호 이격 되게 설치한 후 그 사이에 상기 구동 휠(151)을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shaped escape prevention guides 152 protruding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iving wheels 151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휠 구동부(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 가이드(152)의 외측 면에 부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heel drive unit 153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parture prevention guide 152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휠 구동부(153)는 모터와 감속기가 내장된 일체형 단일축의 구조를 구비하여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wheel drive unit 153 may have a single-shaft structure with a motor and a speed reducer incorporated therein,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wheel drive unit.

배지를 분쇄 커팅하는 분쇄부(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부(130)와 제2분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C for crushing and cutting the medium may include a first crushing unit 130 and a second crushing unit 140 as shown in FIG.

상기 제1분쇄부(130)는 디스크 형상의 원형 커터(131)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으로 설치한 후 회전시켜 상기 배지를 분쇄하게 되며, 상기 제1분쇄부(130)의 원형 커터(131)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rush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disk-shaped circular cutter 131 installed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then rotated to crush the medium. The circular crusher 130 of the first crushing unit 130 The cutter 131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쇄부(130)를 구동하는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to drive the first crushing unit 130.

상기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는 메인 모터(M)와, 상기 원형 커터(131) 일 측에 장치되되 상기 메인 모터(M)에 연동되어 상기 원형 커터(131)를 회전시키는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를 연동시키는 제1동력 전달부(B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rusher driving unit 120 includes a main motor 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a second crusher driving unit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lar cutter 131, A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for rotating the circular cutter 131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portion B1 for interlocking the main motor M and the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hav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이 상기 제1분쇄부(130)를 구동하여 배지를 분쇄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20 drives the first crushing unit 130 to crush the medium.

이때 상기 제1동력 전달부(B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모터(M)에 설치되는 타이밍 풀리(121)와 상기 타이밍 풀리(121)에 연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배치되는 아이들 풀리(122)와, 상기 아이들 풀리(122)에 설치되어 같이 회전하되 상기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와 연동되는 피니언 풀리(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ortion B1 is connected to the timing pulley 121 installed at the main motor M and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in cooperation with the timing pulley 121 An idle pulley 122 and a pinion pulley 123 installed on the idle pulley 122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즉, 상기 메인 모터(M)의 회전력은 상기 타이밍 풀리(121)와 아이들 풀리(122)사이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수단(TT1)(예를 들어 벨트)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아이들 풀리(122)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피니언 풀리(123)가 회전한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motor M is transmitted by a power transmitting means TT1 (for example, a belt) provided between the timing pulley 121 and the idle pulley 122, So that the pinion pulley 123 rotates.

이때, 상기 피니언 풀리(123)는 또 다른 동력 전달 수단(TT2)에 의해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상기 제1분쇄부(130)의 원형 커터(131)가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inion pulley 123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by another power transmission means TT2, the circular cutter 131 of the first crusher 130 finally rotates .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제2분쇄부(140)와, 상기 제2분쇄부(140)를 구동하는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crushing unit 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so as to be inclined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to crush the medium. 2 crushing unit 140 and a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driving the second crushing unit 140.

상기 제2분쇄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차체 프레임(110)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 바아(141)와,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 돌출되는 선형 컷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second crushing unit 140 includes a rotation bar 141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110, And a linear cutter 143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otary bar 141.

즉, 상기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에 의해 상기 회전 바아(141)를 회전하면 상기 선형 컷터(143)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배지를 분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otary bar 141 is rotated by the second crusher driving unit 160, the linear cutter 143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crusher to crush the medium.

이때 상기 선형 컷터(1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아(141)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후 회전하여 배지를 분쇄하게 되어 상기 제1분쇄부(130)와 분쇄 방향이 다르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near cutter 143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bar 141 and then rotates to crush the medium, so that the crushing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rushing part 130.

상기 제1분쇄부(130)와 제2분쇄부(140)의 분쇄 방향을 다르게 한 것은 상기 배지에 잔존하는 코코넛 껍데기와 수확을 완료한 딸기의 뿌리가 서로 얽혀져 있는 상태인 관계로 일 방향의 분쇄만으로는 배지의 완전한 분쇄가 어렵기 때문이다.The crushing directions of the first crushing part 130 and the second crushing part 1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 coconut husks remaining in the medium and the roots of the strawberry which have been harvested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complete pulverization of the medium is difficult only by pulverization.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으로 분쇄하는 제1분쇄부(130)와, 상기 제1분쇄부(130)와 직교되는 평면상에서 회전하며 분쇄하는 제2분쇄부(140)를 포함한 것이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rushing part 130 for crushing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and the second crushing part 140 for crushing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rushing part 130 .

한편, 상기 제2분쇄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모터(M)에 연동되는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와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 일 측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162)와, 상기 회전 샤프트(162)와 회전 바아(141)를 연동하는 연동 기어부(BV)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를 연동시키는 제2동력 전달부(B2)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for driving the second crushing unit 140 includes a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pulley (not shown) coupled to the main motor M A rotating shaft 16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and an interlocking gear part BV interlocking the rotating shaft 162 and the rotary bar 141, And a second power transmitting portion B2 for linking the main motor M and the second pulverizing portion driving pulley 161 to each other.

즉, 상기 메인 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 제2동력 전달부(B2)를 통해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측으로 전달하여 회전 샤프트(162)를 회전시킨다.That i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motor M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ulverizing portion drive pulley 161 through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portion B2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162. [

이때, 상기 회전 샤프트(162)는 연동 기어부(BV)를 통해 회전 바아(141)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샤프트(1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바아(14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선형 컷터(143)가 최종적으로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rotary shaft 162 is interlocked with the rotary bar 141 through the interlocking gear part BV, the rotary bar 14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62, 143 are finally rotated.

상기 제2동력 전달부(B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풀리(123)와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 및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를 연동하는 동력 전달 수단(TT2)을 포함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3,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ortion B2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for interlocking the pinion pulley 123 with the first crush portion drive pulley 124 and the second crush portion drive pulley 161, RTI ID = 0.0 > (TT2). ≪ / RTI >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풀리(123)와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풀리(165)와, 상기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 및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사이에 설치되는 또 다른 텐션 풀리(164)를 설치하여 상기 동력 전달 유닛(TT2)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a tension pulley 165 installed between the pinion pulley 123 and the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and a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and a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other tension pulley 164 installe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T2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T2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T2.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 기어부(BV)는 상기 회전 샤프트(162)에 형성되는 제1베벨 기어(162a)와, 상기 제1베벨 기어(162a)에 맞물리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설치되는 제2베벨 기어(16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4, the interlocking gear portion BV includes a first bevel gear 162a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162 and a second bevel gear 162b meshing with the first bevel gear 162a, And a second bevel gear 16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evel gear 141.

즉, 상기 메인 모터(M)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회전 방향은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 평면상에서 선회하는 방향임에 비해, 상기 제2분쇄부(140)의 회전 방향은 이와 직교되는 방향이므로 상술한 기어 연동부(BV)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ain motor M is a direction of turning on the traveling direction plane of the body frame 110, whil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econd crushing unit 140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gear interlocking portion BV.

이때, 상기 제1베벨 기어(16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62)의 수직 평면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2베벨 기어(163)는 상기 제1베벨(162a)에 맞물리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장치된다.A plurality of the first bevel gears 162a may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ne of the rotary shaft 162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second bevel gears 16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evels 162a.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ry bar 141.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 샤프트(162)가 회전하면 상기 제1베벨 기어(162a)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2베벨 기어(163) 및 회전 바아(141)가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선형 컷터(143)가 회전하면서 배지를 분쇄한다.When the rotary shaft 162 rotates, the first bevel gear 162a rotates and interlocks with the second bevel gear 163 and the rotary bar 141 to rotate the linear cutter 143 crush the medium while rotat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벨기어(162a)와 제2베벨 기어(163)는 각각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아(141)가 2개 설치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만일 상기 회전 바아(141)가 3개이상 설치되면 그 개수에 따라 상기 제1베벨기어(162a)와 제2베벨 기어(163)를 설치하면 된다.As shown in FIG. 4, two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162a and 163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2, due to the provision of two rotary bars 141 If three or more rotary bars 141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162a and 163 may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rotary bars 141. [

이때, 상기 메인 모터(M)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는 조작반(CON)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motor M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operation panel C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장치(17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device 17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이때, 상기 높이 조절 장치(170)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형성되는 홀더(175)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차체 프레임(110) 저면까지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이송 바아(171)와, 상기 이송 바아(17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에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연결 바아(176)와, 일 측은 상기 연결 바아(176)의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특정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 로드(172)와, 일 측은 상기 제1연동 로드(172)에 고정되되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이동 바퀴(W)에 설치되는 제2연동 로드(1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includes a conveying bar 171 that is screwed to a holder 175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110, A connecting bar 171 which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110 to be transversely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and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with the conveying bar 171, A first interlocking rod 17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76 at one side and a second interlocking rod 172 rotatably install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on the other side, And a second interlocking rod 173 fixed to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and rotatable around the specific point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wheel W. [

즉, 상기 이송 바아(1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75)와 나사 결합한 상태로서 회전 방향에 따라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 또는 상부방향으로 승하강한다.That is, the feed bar 171 is screwed with the holder 175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bottom face direction or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이때, 파지부(179)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 바아(171)를 회전시키면 보다 편리하게 상기 이송 바아(171)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nveying bar 171 is rotated using the gripper 179, the conveying bar 171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conveniently.

한편 상기 연결 바아(176)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회전 링(176a)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 바아(171)가 주행방향 전후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a rotary ring 176a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bar 176 and having the conveying bar 171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conveying bar 17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unning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바아(171)가 주행방향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홀더(175) 역시 주행방향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port bar 171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holder 175 can als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so as to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unning direction.

이하 상술한 높이 조절 장치(170)에 의해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by the height adjuster 170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바아(176)의 양측 단에 제1연동 로드(172)가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5, a first interlocking rod 172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176.

상기 제1연동 로드(1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은 상기 연결 바아(176)의 양측 단에 각각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특정 지점(P)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76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installed on a specific point P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즉, 상기 이송 바아(171)가 하강을 하면 상기 연결 바아(176) 역시 하강을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연동 로드(172)가 특정 지점(P)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That is, when the conveying bar 171 is lowered, the connecting bar 176 also descends, so that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rotates clockwise about the specific point P and descends.

이때, 상기 제1연동 로드(172)에 제2연동 로드(173)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second interlocking rod 173 is installed on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상기 제2연동 로드(173)는 일 측은 상기 제1연동 로드(172)에 고정되되 상기 특정 지점(P)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이동 바퀴(W)에 설치된다.One end of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is fixed to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and is rotatable around the specific point P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on the moving wheel W.

즉, 제1연동 로드(172)의 회전에 따라 제2연동 로드(173) 역시 특정 지점(P)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이동 바퀴(W)가 승하강하여 최종적으로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also rotates about the specific point P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so that the moving wheel W ascends and descends, The height is adjusted.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동 로드(173)는 차체 프레임(110) 외측에 설치하는 한편 그 끝단부에 이동 바퀴(W)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연동 로드(172)는 차체 프레임(1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1 and 5,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the moving wheel W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In this case, The rod 172 can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frame 11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동 로드(173)사이에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 형상의 보강부(177)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bar-shaped reinforcing portion 177 provided between the second interlocking rods 17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so as to have a more stable structure It is possible.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연동 로드(172)와 제2연동 로드(173)는 일 측 끝 단이 상호 겹친 상태로 고정되되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호 겹친 부분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특정 지점(P)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6,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and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ar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ir one end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is of a specific point (P)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이때, 상기 제1연동 로드(17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172A->172B) 제2연동 로드(173)가 이에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173A->173B)하며 이동 바퀴(W)는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가 상승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rotates clockwise (172A-> 172B),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rotates clockwise (173A- > 173B)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rises.

반대로 상기 제1연동 로드(17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연동 로드(173)역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동 바퀴(W)는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가 낮아진다.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interlocking rod 173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moving wheel W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to move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Lt; / RTI >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171a는 상기 이송 바아(171)와 제1연동 로드(172)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An unillustrated reference numeral 171a i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veying bar 171 and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쇄 장치(100)를 이용하여 배지를 분쇄하는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S100) for pulverizing a medium using the grin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앞서 설명한 깊이 조절 장치(170)에 의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분쇄부(C)가 배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1단계(S110)를 수행한다.Firs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ody frame 110 i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depth adjusting device 170 to perform the first step S110 of separating the crushing portion C from the medium.

이때, 상기 깊이 조절 장치(170)의 이송 바아(171)를 회전시켜 차체 프레임(110) 저면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이동 바퀴(W) 역시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가 상승하고 상기 이송 바아(171)를 반대로 회전하면 차체 프레임(110)이 높이가 하강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When the transport bar 171 of the depth adjusting device 170 is rotated and lowered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the traveling wheel W also moves downward in the drawing to rais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when the transport bar 17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is lowered.

상기 제1단계(S110) 수행 후, 상기 분쇄부(C)를 구동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S120)를 수행한다.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S110, a second step S120 of driving the crushing unit C to check whether the crushing unit C is operating normally is performed.

즉, 상기 분쇄부(C)가 배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분쇄부(C)를 구동하면 고장 여부 체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에 의해 분쇄부(C)가 배지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분쇄부(C)를 구동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crushing unit C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crushing unit C is in contact with the medium, there may be a problem in checking for failur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drives the crushing unit C.

상기 제2단계(S120)에 의해, 상기 분쇄부(C)의 정상 작동이 확인된 경우, 상기 높이 조절 장치(170)에 의해 상기 분쇄부(C)가 배지에 닿도록 하여 분쇄 작업을 수행하는 제3단계(S130)를 수행한다.Whe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C is confirmed by the second step S120, the crushing unit C performs the crushing operation by contacting the crushing unit C b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A third step (S130) is performed.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배지상에 차체 프레임(110)을 주행시키면서 상기 배지를 분쇄하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한다.At this time, a fourth step (S140) of crushing the medium while driving the vehicle body frame 110 on the embryo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배지상에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보다 보다 편리하고도 효율적으로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medium, so that the pulveriz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than in the prior art.

100 : 분쇄 장치 110 : 차체 프레임
120 : 제1분쇄부 구동 유닛 130 : 제1분쇄부
140 : 제2분쇄부 150 : 차체 이동 유닛
160 : 제2분쇄부 구동 유닛 170 : 높이 조절 장치
100: Grinding device 110: Body frame
120: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30: first crushing unit
140: second crushing unit 150: vehicle body moving unit
160: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70: height adjusting device

Claims (10)

이동 바퀴(W)가 다수 개 부착되는 차체 프레임(110)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분쇄부(C)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배치되는 한편 배지에 접촉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차체 이동 유닛(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이동 유닛(150)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상기 배지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구동 휠(151)과,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 휠(15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부(153)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And a crushing unit (C)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for crushing a medium, wherein the vehicle body frame (110) has a plurality of wheels (W) And a vehicle body moving unit (150) arranged to move the vehicle body frame (110) in contact with the medium,
The vehicle body moving unit 150 includes a driving wheel 151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medium to move the body frame 110,
And a wheel driving unit (153)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rotating the driving wheel (15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C)는 디스크 형상의 원형 커터(131)를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주행 방향으로 설치한 후 회전시켜 상기 배지를 분쇄하는 제1분쇄부(130)와,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쇄부(130)를 구동하는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을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ing unit C includes a first crushing unit 130 for installing a disk-shaped circular cutter 131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then rotating the same to crush the medium, And a first crushing unit driving unit (1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and driving the first crushing unit (13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부(130)의 원형 커터(131)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분쇄부 구동 유닛(120)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배치되는 메인 모터(M)와, 상기 원형 커터(131) 일 측에 장치되되 상기 메인 모터(M)에 연동되어 상기 원형 커터(131)를 회전시키는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제1분쇄부 구동 풀리(124)를 연동시키는 제1동력 전달부(B1)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ircular cutter 131 of the first crushing unit 13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The first crusher driving unit 120 includes a main motor 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a second crusher driving unit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lar cutter 131, A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for rotating the circular cutter 131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portion B1 for linking the main motor M and the first crusher drive pulley 124, Movable medium crush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C)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지를 분쇄하는 제2분쇄부(140)와, 상기 제2분쇄부(140)를 구동하는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을 포함하되,
상기 제2분쇄부(140)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 바아(141)와,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 돌출되는 선형 컷터(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쇄부 구동 유닛(160)은 메인 모터(M)에 연동되는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와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 샤프트(162)와, 상기 회전 샤프트(162)와 회전 바아(141)를 연동하는 연동 기어부(BV)와, 상기 메인 모터(M) 및 상기 제2분쇄부 구동 풀리(161)를 연동시키는 제2동력 전달부(B2)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ing unit C includes a second crushing unit 1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provided to be inclined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to crush the medium, And a second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driving the crushing unit driving unit 160,
The second grinding part 140 includes a rotation bar 14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a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linear cutters (143) projecting radially in one side,
The second crusher drive unit 160 includes a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interlocked with the main motor M and a rotary shaft 16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rusher drive pulley 161, An interlocking gear part BV interlocking the rotary shaft 162 and the rotary bar 141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interlocking the main motor M and the second crush part drive pulley 161 B2). ≪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어부(BV)는 상기 회전 샤프트(162)에 형성되는 제1베벨 기어(162a)와, 상기 제1베벨 기어(162a)에 맞물리는 한편 상기 회전 바아(141) 일 측에 설치되는 제2베벨 기어(163)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terlocking gear part BV includes a first bevel gear 162a formed on the rotary shaft 162 and a second bevel gear 162b meshing with the first bevel gear 162a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ry bar 141 2 bevel gear (16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장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장치(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 장치(170)는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175)와 나사 결합하는 한편 상기 차체 프레임(110) 저면까지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이송 바아(171)와,
상기 이송 바아(171)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저면에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연결 바아(176)와,
일측은 상기 연결 바아(176)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110)의 특정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 로드(172)와,
일측은 상기 제1연동 로드(172)에 고정되되 상기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이동 바퀴(W)에 설치되는 제2연동 로드(173)를 포함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17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frame 110,
The height adjusting device 170 includes a conveying bar 171 which is screwed to a holder 175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moves up and down to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110,
A connection bar 171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0, A bar 176,
A first interlocking rod 17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176 at one side and rotatably install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body frame 110 at the other side,
And a second interlocking rod (173) fixed to the first interlocking rod (172)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wheel (W)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specific point,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176)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일 측에 상기 이송 바아(171)가 설치되는 회전 링(176a)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175)는 주행방향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110) 일 측에 핀 결합되는 이동형 배지 분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rotary ring (176a)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bar (176) and having the transfer bar (171)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Wherein the holder (17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so as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unning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120087644A 2012-08-10 2012-08-10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KR101423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44A KR101423290B1 (en) 2012-08-10 2012-08-10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44A KR101423290B1 (en) 2012-08-10 2012-08-10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30A KR20140021330A (en) 2014-02-20
KR101423290B1 true KR101423290B1 (en) 2014-07-30

Family

ID=5026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644A KR101423290B1 (en) 2012-08-10 2012-08-10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2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1A (en) * 1999-08-02 1999-11-05 유영길 Movable crusher for twing
JP2004041166A (en) * 2002-07-11 2004-02-12 Nagai Kk Tilling machine for elevated culture b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1A (en) * 1999-08-02 1999-11-05 유영길 Movable crusher for twing
JP2004041166A (en) * 2002-07-11 2004-02-12 Nagai Kk Tilling machine for elevated culture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30A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0656B (en) Fruit tree stock shearing processor
CN203896734U (en) Sweet potato stem shredder
CN202476106U (en) No-line cutting device with vertical roll type corn harvesting table
CN210381917U (en) Weed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forage
CN211792731U (en) A multi-functional rotary cultivator for astragalus is planted
CN202514324U (en) Furrow straw clearing device
KR101391402B1 (en) King rotary cultivator
CN201629953U (en) Multifunctional miniature cultivator
KR1014232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rying medium of moving type
KR101656020B1 (en) A Crusher for Twing being Able to Moving on Rail
CN202907511U (en) Hedge seedling pruning cutter with branch discharging function
CN106489416B (en) Weeding machine
CN201995374U (en) Tobacco seedling lateral blade trimming device with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KR101693499B1 (en) Plant roots crushing apparatus for high-position cultivation)
CN108718758A (en) A kind of chopping and returning formula rose pruning machine
CN105165241A (en) Cutting mechanism for vegetable cutting on vegetable harvester
CN210808277U (en) Weeding machine
KR101602616B1 (en) Plants pulverizer for controlled horticulture
CN110558030A (en) Weeding machine
CN202663785U (en) Electrically-driven and engine-driven dual-purpose seeding equipment
CN203261799U (en) Grass chopper
CN210016848U (en) Rotary cultivator
CN210113767U (en) Corn is planted and uses soil leveling device
CN102668794A (en) Electrically driven and engine driven seeding unit
CN215121808U (en) Bearing anti-blocking device for rubber garden wee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