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051B1 -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051B1
KR101423051B1 KR1020120149051A KR20120149051A KR101423051B1 KR 101423051 B1 KR101423051 B1 KR 101423051B1 KR 1020120149051 A KR1020120149051 A KR 1020120149051A KR 20120149051 A KR20120149051 A KR 20120149051A KR 101423051 B1 KR101423051 B1 KR 10142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healing cap
cushion
implant fixtur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890A (ko
Inventor
권지용
강민정
권지민
Original Assignee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12014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0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은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하단부;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HEALING CAP FOR IMPLANT AND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치아를 조정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임플란트(implant)는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치아의 뿌리 형태를 갖는 금속을 턱뼈에 심어 뼈와 유착되게 한 다음 치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인공 치아의 시술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태핑(tapping) 과정을 거쳐 임플란트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임플란트 상부에 픽스츄어 마운트를 체결한다.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한 후, 픽스츄어 마운트를 임플란트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임플란트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상기 덮개 나사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잔존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임플란트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 ~ 5개월이 소요된다.
이후,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임플란트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이후,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잇몸이 덮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캡(healing cap)을 임플란트 상부에 체결하고, 일정 기간 동안 기다린다.
마지막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에 상기 힐링캡을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용 코핑을 임플란트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impression)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인상용 코핑을 제거한다. 기공소 등에서 지대치 및 상부 보철물을 완성한다. 그리고 임플란트 상부에 지대치를 체결하고, 지대치 위에 보철물을 고정하여 인공 치아를 완성한다.
이러한 인공 치아 시술과정에서, 치아가 발치되고 시간이 흐르면 대합치가 정출되어 발치공간에 임플란트 시술시 대합치 정출에 의한 공간 부족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대합치 정출뿐 아니라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한 공간 부족 현상의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해결할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한 수직적 공간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은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하단부;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힐링캡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은 이중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은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하단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특정 범위 내로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쿠션 본체;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쿠션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쿠션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가 특정 범위 내로 위 아래로 움직일 때 쿠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상술한 임플란트용 힐링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의하면, 환자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한 수직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의하면, 환자가 음식물을 씹는 경우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의하면,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힐링캡 및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힐링캡 및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2)는 골융합을 통해 골조직에 고정되며, 임플란트 픽스츄어(2)의 상부에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잇몸이 덮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캡(1)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힐링캡(1)과 임플란트 픽스츄어(2)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힐링캡(1)의 하단부(11)는 임플란트 픽스츄어(2)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체결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 도 2a 및 도 2b에 따른 힐링캡(1) 및 임플란트 픽스츄어(2)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설명된 체결 방식으로 인하여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힐링캡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한 수직적 공간 부족 문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자연치아들(3,4,5,6,7), 힐링캡(1), 임플란트 픽스츄어(2) 및 보철물(8)이 도시된다.
도 3a를 참고하면, 자연치아가 발치가 되고 장시간이 흐르면 대합치에 해당하는 자연치아(6)는 정출이 되어 수직적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힐링캡(1)은 잇몸이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인공치아가 위치할 공간이 덮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가지므로,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적 공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형성된 임플란트의 보철물(8)은 주위의 자연 치아(3,4)에 비해 d길이 만큼 낮다.
그로 인해, 환자는 음식물을 씹을 때 불편을 겪을 수 있으며, 음식 압입, 임플란트의 보철물의 탈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힐링캡 및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힐링캡(100)은 본체(110), 쿠션부(130) 및 하단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120)는 상부 방향에 상기 힐링캡(100)과의 체결을 위한 내부로 패인 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쿠션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로는 하단부(112)가 구성된다. 상기 하단부(112)의 직경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상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힐링캡(100)의 본체(110), 쿠션부(130)와 하단부(112)는 둥근 형태인 원기둥 형태 또는 사각 형태인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모든 모양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직경에 맞게 상기 쿠션부(130)가 그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112)가 원형의 형태로 상기 본체(110)의 하부의 중심부에 상기 본체(110)의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일 예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그 전체적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예컨대, 깔대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본체(110)는 벌어진 잇몸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하단부(112)는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120)의 체결부(121)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부(112)와 체결부(121)의 직경은 체결을 위해 적합하도록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부(112)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120)의 체결부(121)는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120) 내부로 상기 하단부(112)의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패여있을 수 있다.
상기 하단부(112)는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1)는 그 내부가 상기 하단부(112)의 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단부(11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산은 이중 나사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11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부(121)와 결합되는 경우, 결합을 위한 회전 회수를 조절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츄어(120)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힐링캡(100)의 높이는 변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힐링캡(100)이 체결된 임플란트 픽스츄어(12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130)는 러버(rubber)와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에 해당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을 씹을 때 상기 쿠션부(130)와 맞닿는 자연 치아(예컨대, 도3의 도면부호 6)를 쿠션작용을 통해 위쪽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추후 임플란트의 보철물을 위한 수직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130)는 그 재질을 통해 상기 쿠션부(130)와 맞닿는 자연 치아(예컨대, 도3의 도면부호 6)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힐링캡 및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힐링캡(200)은 가이드 레일(210), 쿠션본체(235), 쿠션부(230) 및 하단부(212)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픽스츄어(220)는 상부 방향에 상기 힐링캡(200)과의 체결을 위한 내부로 패인 체결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힐링캡(200)의 가이드 레일(210), 쿠션 본체(235), 쿠션부(230)와 하단부(212)는 둥근 형태인 원기둥 형태 또는 사각 형태인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모든 모양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하부로는 하단부(212)가 구성된다. 상기 하단부(212)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하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쿠션본체(235)는 상기 가이드 레일(210)에 맞물려 특정 범위 내로 위 아래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235)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7 또는 238)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7 또는 238)을 통해 쿠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7 또는 238)의 위치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한 변형을 통해 쿠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쿠션본체(235)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235)의 상부에는 쿠션부(230)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쿠션부(230)는 러버(rubber)와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에 해당하며, 쿠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쿠션부(23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7 또는 238)을 통해 상기 쿠션부(230)와 맞닿는 자연치아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추후 임플란트의 보철물을 위한 수직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단부(212)는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220)의 체결부(221)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부(212)와 체결부(221)의 직경은 체결을 위해 적합하도록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단부(212)는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하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220)의 체결부(221)는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220) 내부로 상기 하단부(212)의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패여있을 수 있다.
상기 하단부(212)는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21)는 그 내부가 상기 하단부(212)의 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단부(21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부(2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산은 이중 나사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21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부(221)와 결합되는 경우, 결합을 위한 회전 회수를 조절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츄어(220)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힐링캡(200)의 높이는 변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힐링캡(200)이 체결된 임플란트 픽스츄어(22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인공 치아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하단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특정 범위 내로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쿠션 본체; 및
    탄성을 가지며 상기 쿠션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쿠션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쿠션 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가 특정 범위 내로 위 아래로 움직일 때 쿠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힐링캡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체결되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힐링캡.
  7.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제4항의 임플란트용 힐링캡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힐링캡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임플란트용 힐링캡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체결되는 임플란트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은 이중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20120149051A 2012-12-20 2012-12-20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142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51A KR101423051B1 (ko) 2012-12-20 2012-12-20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51A KR101423051B1 (ko) 2012-12-20 2012-12-20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890A KR20140079890A (ko) 2014-06-30
KR101423051B1 true KR101423051B1 (ko) 2014-07-24

Family

ID=5113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051A KR101423051B1 (ko) 2012-12-20 2012-12-20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54B1 (ko) * 2015-04-21 2016-03-08 박병활 자성체를 이용한 틀니 어태치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8066B (zh) * 2019-08-27 2024-01-30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用于口腔种植修复前压低伸长的对颌牙齿的基台矫正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4714A1 (en) * 2003-05-16 2005-09-29 Wohrle Peter S Dental impla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4714A1 (en) * 2003-05-16 2005-09-29 Wohrle Peter S Dental impla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54B1 (ko) * 2015-04-21 2016-03-08 박병활 자성체를 이용한 틀니 어태치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890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AU2006227608B2 (en) Transfer coping for dental implants
KR20150036467A (ko)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WO2001085050A2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US9883926B2 (en) Conversion abutment for dental implants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109135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KR101423051B1 (ko) 임플란트용 힐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20170139414A (ko) 의료용 임플란트
KR100988355B1 (ko) 인상 채득용 캡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CN114652469A (zh) 一体型种植体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5003399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CN107669358A (zh) 愈合帽、愈合帽组件及其选择方法
US20210220095A1 (en) Gingiva former, bite support and dental healing system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435551B1 (ko)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1886901B1 (ko) 잇몸 부형 캡 및 잇몸 부형 캡 키트
US20100233656A1 (en) Dual function system for dental implants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KR101454410B1 (ko) 어버트먼트 삽입형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