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921B1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2921B1 KR101422921B1 KR1020120106660A KR20120106660A KR101422921B1 KR 101422921 B1 KR101422921 B1 KR 101422921B1 KR 1020120106660 A KR1020120106660 A KR 1020120106660A KR 20120106660 A KR20120106660 A KR 20120106660A KR 101422921 B1 KR101422921 B1 KR 101422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l
- image
- frequency
- image level
- minim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는 입력영상을 전달받아 최소 영상레벨 및 최대 영상레벨을 산출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부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제1 구간 및 상기 제2 영상레벨에서부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빈도수와 비교하여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확장레벨 설정부 및 상기 확장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의 영상레벨을 수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 생성부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 기 설정된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산출하며,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트그램 스트레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에 제공되는 입력영상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의 히스토그램 생성부 의해 생성되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영상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200 : 히스토그램 생성부
210 : 구간설정부
220 : 구간 히스토그램 생성부
300 : 확장레벨 설정부
310 : 최소 확장레벨 설정부
320 : 최대 확장레벨 설정부
400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부
Claims (18)
- 입력영상을 전달받아 최소 영상레벨 및 최대 영상레벨을 산출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부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제1 구간 및 제2 영상레벨에서부터 상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빈도수와 비교하여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확장레벨 설정부; 및
상기 확장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의 영상레벨을 수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부; 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 생성부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 기 설정된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산출하며,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레벨은 최소 확장레벨 및 최대 확장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1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최소 확장레벨 설정부; 및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최대 확장레벨 설정부; 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빈도수는 기 설정된 제1 기준빈도수 및 기 설정된 제2 기준빈도수를 포함하고,
상기 최소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1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제1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제2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스트레칭부는,
상기 최소 확장레벨 및 최대 확장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의 영상레벨을 수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 중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제1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제1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 설정부는,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 중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생성부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산출된 상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산출된 상기 제2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2 구간을 설정하는 구간설정부; 및
상기 입력영상 중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레벨의 빈도수를 연산하여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구간 히스토그램 생성부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은 기 설정된 제1 기준영상레벨 및 기 설정된 제2 기준영상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설정부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 상기 제1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산출된 상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제2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산출된 상기 제2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2 구간을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은 서로 다른 영상레벨을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 입력영상의 최소 영상레벨 및 최대 영상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부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제1 구간 및 제2 영상레벨에서부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를 기 설정된 기준빈도수와 비교하여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의 영상레벨을 수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 기 설정된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산출하며,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레벨은 최소 확장레벨 및 최대 확장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빈도수는 기 설정된 제1 기준빈도수 및 기 설정된 제2 기준빈도수를 포함하고,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제1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구간의 영상레벨에 따른 빈도수 및 상기 제2 기준빈도수를 비교하여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확장레벨 및 최대 확장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영상의 영상레벨을 수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 중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제1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구간에 상기 제1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레벨을 최소 확장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최대 확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 중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가지는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구간에 상기 제2 기준빈도수보다 큰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영상레벨을 최대 확장레벨로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산출된 상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산출된 상기 제2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2 구간을 설정하는 구간설정 단계; 및
상기 입력영상 중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레벨의 빈도수를 연산하여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구간 히스토그램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레벨은 기 설정된 제1 기준영상레벨 및 기 설정된 제2 기준영상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구간설정 단계는 상기 최소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소 영상레벨에서 상기 제1 기준영상레벨을 더하여 산출된 상기 제1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최대 영상레벨에서 상기 제2 기준영상레벨을 빼서 산출된 상기 제2 영상레벨부터 상기 최대 영상레벨까지의 상기 제2 구간을 설정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은 서로 다른 영상레벨을 포함하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6660A KR101422921B1 (ko) | 2012-09-25 | 2012-09-25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
US13/735,688 US9159125B2 (en) | 2012-09-25 | 2013-01-07 | Histogram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6660A KR101422921B1 (ko) | 2012-09-25 | 2012-09-25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9870A KR20140039870A (ko) | 2014-04-02 |
KR101422921B1 true KR101422921B1 (ko) | 2014-07-23 |
Family
ID=5033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66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2921B1 (ko) | 2012-09-25 | 2012-09-25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159125B2 (ko) |
KR (1) | KR1014229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0587A1 (ko) * | 2016-10-14 | 2018-04-19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과형 lcd를 위한 저전력 대조비 개선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52531B2 (en) | 2014-07-11 | 2017-12-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2385A (ko) * | 2007-09-27 | 2009-04-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63173B1 (en) * | 1995-10-30 | 2002-10-08 | Hewlett-Packard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histogram-based image contrast enhancement |
JP4167097B2 (ja) * | 2003-03-17 | 2008-10-15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
US7359572B2 (en) * | 2003-03-26 | 2008-04-15 | Microsoft Corporation | Automatic analysis and adjustment of digital images with exposure problems |
US7474785B2 (en) * | 2004-07-20 | 2009-01-06 | Arcsoft, Inc. | Video auto enhancing algorithm |
JP4607006B2 (ja) * | 2005-12-27 | 2011-01-05 | 京セラ株式会社 | 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映像信号処理装置 |
US7835588B2 (en) * | 2006-11-29 | 2010-11-16 | Nokia Corporation | Contrast optimization of images |
US8537175B1 (en) * | 2009-05-07 | 2013-09-17 | Google Inc. | Video enhancement for large scale applications |
-
2012
- 2012-09-25 KR KR1020120106660A patent/KR10142292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07 US US13/735,688 patent/US915912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2385A (ko) * | 2007-09-27 | 2009-04-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0587A1 (ko) * | 2016-10-14 | 2018-04-19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과형 lcd를 위한 저전력 대조비 개선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086485A1 (en) | 2014-03-27 |
US9159125B2 (en) | 2015-10-13 |
KR20140039870A (ko) | 2014-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9298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tone control by applying different gain | |
JP4523926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US10127643B2 (en) | Inpa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segmentation of reference region | |
US9715722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that performs tone correc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 |
JP2019009730A5 (ko) | ||
JP6485068B2 (ja) |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 |
JP2015099546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US10438323B2 (en) | Image brightness correction and noise suppression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 |
JP5152203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補正装置 | |
US913568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etail enhancement | |
KR101422921B1 (ko) | 히스토그램 스트레칭 장치 및 방법 | |
JP2017091231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2014171133A (ja) |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 |
US952453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2017107366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US877454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6126054B2 (ja) | 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装置 | |
JP5447614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4947154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101307031B1 (ko) | 영상 방향을 고려한 국부 콘트라스트 향상 방법 | |
JP5111310B2 (ja) |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 |
US20120121191A1 (en) | Imag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2016192584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08146572A (ja) |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 |
JP4992438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