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695B1 -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695B1
KR101422695B1 KR1020130030879A KR20130030879A KR101422695B1 KR 101422695 B1 KR101422695 B1 KR 101422695B1 KR 1020130030879 A KR1020130030879 A KR 1020130030879A KR 20130030879 A KR20130030879 A KR 20130030879A KR 101422695 B1 KR101422695 B1 KR 10142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housing
curvature
data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1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adius of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0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ound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률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는 설치물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측정부재;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측정부재; 및 상기 제 1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로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이 설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Curvature measuring apparatus and Curvature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 전선 등의 일정 길이를 갖는 설치물은 설치 과정에서 직선으로 제공되는 구간 및 휘어지게 설치되는 곡선 구간을 갖는다. 곡선 구간에서 설치물이 갖는 곡률 반경은 설치물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물이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 곡선 구간에서 작을 곡률반경을 갖도록 설치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곡선 구간에서의 곡률 반경은 작업 과정에서의 설치물의 파손 또는 설치물의 내구성과 관련된다. 즉, 곡선 구간에서 곡률 반경이 작아 질수록 설치물에 작용하는 응력(stress)이 증가되어, 파손의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설치물의 곡률 반경은 일정 설계값을 만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설계값은 곡률 반경의 크기와 설치물의 직경(또는 외주면의 둘레)의 일정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설치된 설치물이 설계값을 만족하는 알기 위해서는 설치물의 직경 및 곡선 구간의 곡률 반경이 각각 측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설치물의 곡률 반경과 설치물의 직경이 갖는 비율이 설계 값을 만족하는지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물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측정부재;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측정부재; 및 상기 제 1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로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이 설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곡률측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는 설치물의 외주면 둘레이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곡선구간 양단의 직선 거리 및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인출방향이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데이터로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데이터, 상기 제 2 데이터 또는 상기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설치물에 상기 하우징을 부착시키는 부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가 제공되는 상기 하우징의 면은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측정부재가 인출된 방향이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측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곡률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물의 곡률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률측정장치를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시작점에 인접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정부재가 상기 설치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단부를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종료점에 위치시켜 상기 제 2 데이터를 얻는 곡률측정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인출이 시작되는 지점이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시작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곡률측정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설치물의 곡률 반경과 설치물의 직경이 갖는 비율이 설계 값을 만족하는지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설계 값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측정에 용이하게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곡률측정장치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처리부의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곡률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7은 각도측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곡률측정장치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곡률측정장치(10)는 하우징(100), 제 1 측정부재(200), 제 2 측정부재(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곡률측정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구 형상, 원기둥 형상, 다면체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작업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게 콤팩트 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부착부재(110), 감지부재(120), 입력버튼(130) 및 디스플레이(140)가 제공된다.
부착부재(110)는 하우징(100)을 후술할 설치물(도 4의 S)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부착부재(110)는 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부착부재(110)는 제 1 개구(101) 및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과 상이한 방향의 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이 육면체로 제공되는 경우, 제 1 개구(101)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제 2 개구(102)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부착부재(11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개구(101), 제 2 개구(102) 및 부착부재(110)의 설치 위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재(120)는 제 1 측정부재(200)의 단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재(120)는 하우징(100)의 일면에 제공된다. 감지부재(120)는 제 1 개구(101)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측정부재(200)가 설치물(S)의 외주면을 한 바퀴 돈 후 제 1 측정부재(200)의 단부가 감지부재(120)에 접촉되면, 제 1 센서(410)는 데이터 값을 후술 할 처리부(도 3의 500)에 송신한다.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은 통해 후술할 처리부(500)에 입력되는 데이터 값을 집적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처리부(5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변경하거나, 처리부(500)에 자료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후술할 센서들(400)이 처리부(500)로 송신할 데이터 값의 특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곡률측정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입력된 값 또는 곡률측정장치(10)에서 처리된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측정부재(200)는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를 측정한다. 제 1 측정부재(200)는 줄자 형태로 제공된다. 제 1 측정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측정부재(2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 1 개구(101)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된다. 제 1 측정부재(200)의 단부에는 제 1 걸림부(21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걸림부(210)는 단면의 넓이가 제 1 개구(101) 보다 넓게 제공된다. 따라서, 제 1 걸림부(210)는 제 1 측정부재(20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걸림부(210)는 설치물(S) 또는 하우징(100)의 외면에 부착가능 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부(210)는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측정부재(300)는 설치물(S)에서 곡선 구간(C)의 시작점과 곡선 구간(C)의 종료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측정한다. 제 2 측정부재(300)는 줄자 형태로 제공된다. 제 2 측정부재(3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측정부재(3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 2 개구(102)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된다. 하우징(100)에서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은 제 1 개구(101)가 형성된 면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개구(101)가 형성된 면과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은 90°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 1 측정부재(200)의 인출방향은 제 2 측정부재(300)의 인출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룬다. 제 2 측정부재(300)의 단부에는 제 2 걸림부(31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걸림부(310)는 단면의 넓이가 제 2 개구(102) 보다 넓게 제공된다. 따라서, 제 2 걸림부(310)는 제 2 측정부재(30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2 걸림부(310)는 설치물(S)에 부착가능 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걸림부(310)는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처리부의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500)는 센서들(400), 입력버튼(130) 및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된다.
센서들(4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제공된다. 센서들(400)은 제 1 센서(410), 제 2 센서(420) 및 제 3 센서(430)를 포함한다.
제 1 센서(410)는 제 1 측정부재(200)와 연결되어, 제 1 측정부재(200)가 인출된 길이를 감지한다. 제 1 센서(410)는 제 1 측정부재(200)를 통해 측정된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인 제 1 데이터를 처리부(500)로 송신한다.
제 2 측정부재(300)와 연결된 제 2 센서(420) 및 제 3 센서(430)는 제 2 데이터를 처리부(500)로 송신한다. 제 2 데이터는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직선 길이 및 제 2 측정부재(300)가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포함한다.
제 2 센서(420)는 제 2 측정부재(300)가 인출된 길이를 감지한다. 제 2 센서(420)는 제 2 측정부재(300)를 통해 측정된 곡선 구간(C)의 시작점과 곡선 구간(C)의 종료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처리부(500)로 송신한다.
제 3 센서(430)는 설정 방향과 제 2 측정부재(300)의 인출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감지한다. 설정 방향은 제 1 개구(101)가 형성된 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센서(430)에서 감지된 각도는 처리부(500)로 송신된다.
도 4는 곡률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곡률측정장치(10)는 설치물(S)에서 곡선 구간(C)이 시작점에 인접하게 부착된다. 이 때, 제 2 측정부재(300)의 인출이 시작되는 지점이 곡선구간(C)의 시작점에 대응되도록,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은 곡선구간(C)의 시작점에 정렬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설치물(S)은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 전선 등일 수 있다.
작업자가 제 1 측정부재(200)를 인출하여 설치물(S)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싼 후, 제 1 걸림부(210)를 감지부재(120)에 부착 시키면, 제 1 센서(410)는 이때 제 1 측정부재(200)가 인출된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처리부(500)로 송신한다. 또한, 제 1 센서(410)는 제 1 측정부재(200)가 인출된 길이에 제 1 개구(101)에서 감지부재(120)까지의 길이를 더한 값을 데이터로 처리부(500)에 송신하여,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의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410)는 제 1 측정부재(200)의 단부가 감지부재(12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410)는 작업자가 입력버튼(130)을 누를 때, 제 1 측정부재(200)가 인출된 길이에 해당하는 값을 데이터로 처리부(500)에 송신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제 1 센서(410)에서 처리부(500)로 송신되는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물(S)이 위치된 환경에 따라 제 1 측정부재(200)로 설치물(S)의 외주면을 감싸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작업에 사용된 설계 도면, 자재 목록 등을 통해 확인한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 또는 설치물(S)의 직경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제 1 센서(410)에서 송신된 데이터, 작업자가 입력한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 또는 작업자가 입력한 설치물(S)의 직경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 2 측정부재(300)를 인출하여 제 2 걸림부(310)를 곡선 구간(C)의 종료점에 위치시킨다. 제 2 걸림부(310)가 자석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 2 걸림부(310)는 설치물(S)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을 눌러 제 2 센서(420) 및 제 3 센서(430)에서 각각 감지된 데이터가 처리부(500)에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제 2 센서(420) 또는 제 3 센서(430)에서 처리부(50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물(S)이 위치된 환경에 따라 제 2 측정부재(300)의 단부를 곡선 구간(C)의 종료점에 위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데이터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제 2 센서(420)에서 송신된 데이터, 제 3 센서(430)에서 송신된 데이터, 작업자가 입력한 곡선구간 양단의 직선거리 또는 작업자가 입력한 각도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수 있다.
처리부(500)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통해 설치물의 곡선구간이 설계 조건을 만족하는 판단한다.
먼저, 처리부(500)는 제 2 센서(420) 및 제 3 센서(430)에서 송신된 제 2 데이터로 곡선 구간(C)의 곡률반경을 계산한다.
Figure 112013025001040-pat00001
이때, R은 곡선 구간(C)의 곡률 반경, L은 제 2 센서(420)에서 송신된 곡선구간의 시작점과 곡선구간의 종료점 사이의 직선거리, θ는 제 3 센서(430)에서 송신된 설정 방향과 제 2 측정부재(300)의 인출방향이 이루는 각도이다. 이 때, 설정 방향은 제 1 개구(101)가 형성된 면에 수직하고, 제 2 개구(102)가 형성된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곡선 구간의 곡률 반경 중심을 지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설정 방향이 이와 달리 설정되어도, 제 2 센서(420) 및 제 3 센서(4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해 수학식 1과 유사한 방법으로 곡률 반경을 구할 수 있다. 처리부(500)에서 계산된 곡률 반경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처리부(500)는 곡률 반경(R)과 제 1 센서(410)에서 송신된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계산한다. 처리부(500)는 설치물(S)의 외주면 둘레 값과 곡률 반경(R) 사이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500)는 설치물(S)의 직경과 곡선구간의 곡률 반경(R) 사이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처리부(500)에서 계산된 비율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다. 또한, 계산된 비율이 설치물(S)의 설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의하면, 설치물(S)이 곡선구간에서 곡률 반경과 직경의 비율이 설계값을 만족 하는지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곡률측정장치(11)에 제공되는 제 1 측정부재(250) 및 제 2 측정부재(35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곡률측정장치(10)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곡률측정장치(11)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센서들, 처리부, 입력버튼, 디스플레이 및 감지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부착부재(112)가 제공되는 면이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오목한 부분의 곡률반경은 곡률측정장치(11)가 사용되는 설치물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물에 부착되는 면이 오목하게 제공되면, 곡률측정장치(11)는 설치물에 대한 부착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측정부재(250)가 설치물의 외주면의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설치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오차 값이 줄어 들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곡률측정장치의 사시도 이다.
곡률측정장치(12)에 제공되는 제 1 측정부재(260), 제 2 측정부재(360), 입력버튼(136) 및 디스플레이(146)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곡률측정장치(10)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곡률측정장치(12)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센서들, 처리부 및 감지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106)의 일면에는 각도측정부재(150)가 제공된다. 작업자는 각도측정부재(150)로 제 2 측정부재(360)의 인출 방향이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시각적을 인식할 수 있다. 각도측정부재(150)는 제 2 개구(107)가 형성된 면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6)이 육면체로 제공되는 경우, 제 2 개구(107)는 하우징(106)의 측면에 형성되고, 각도측정부재(150)는 하우징(106)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각도측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6)의 전면에서 바라보면, 제 2 개구(107)는 각도측정부재(150)의 원점(O)에 위치될 수 있다. 곡률측정장치(12)부재의 사용과정에서 제 2 측정부재(360)의 인출 방향은 설정 방향와 각도(θ1)를 형성한다. 작업자는 제 2 측정부재(360)의 가상적인 연장선을 통해, 제 2 측정부재(360)가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θ1)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01: 제 1 개구
102: 제 2 개구 110: 부착부재
120: 감지부재 130: 입력버튼
140: 디스플레이 200: 제 1 측정부재
210: 제 1 걸림부 300: 제 2 측정부재
310: 제 2 걸림부 400: 센서들
500: 처리부

Claims (9)

  1. 설치물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우징;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측정부재;
    줄자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측정부재; 및
    상기 제 1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제 2 데이터로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이 설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설치물의 외주면 둘레이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곡선구간 양단의 직선 거리 및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인출방향이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인 곡률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데이터로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을 계산하는 곡률측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데이터, 상기 제 2 데이터 또는 상기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이 제공되는 곡률측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설치물에 상기 하우징을 부착시키는 부착부재가 제공되는 곡률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가 제공되는 상기 하우징의 면은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곡률측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측정부재가 인출된 방향이 설정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측정부재가 제공되는 곡률측정장치.
  8. 제 1 항의 곡률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물의 곡률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률측정장치를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시작점에 인접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정부재가 상기 설치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단부를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종료점에 위치시켜 상기 제 2 데이터를 얻는 곡률측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정부재의 인출이 시작되는 지점이 상기 설치물의 곡선구간의 시작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곡률측정장치를 위치시키는 곡률측정방법.
KR1020130030879A 2013-03-22 2013-03-22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KR10142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79A KR101422695B1 (ko) 2013-03-22 2013-03-22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79A KR101422695B1 (ko) 2013-03-22 2013-03-22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95B1 true KR101422695B1 (ko) 2014-07-24

Family

ID=5174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79A KR101422695B1 (ko) 2013-03-22 2013-03-22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46U (ko) * 2017-07-19 2019-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정 장치
KR20200145425A (ko) 2019-06-21 2020-12-30 이소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곡률측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29A (ko) * 1997-09-25 1999-04-15 송창준 복합 측정 기능을 갖는 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29A (ko) * 1997-09-25 1999-04-15 송창준 복합 측정 기능을 갖는 줄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46U (ko) * 2017-07-19 2019-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정 장치
KR200490137Y1 (ko) * 2017-07-19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정 장치
KR20200145425A (ko) 2019-06-21 2020-12-30 이소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곡률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094B2 (ja) 超音波流量計
US20150276522A1 (en) Natural-frequency measurement and belt-tension calculation based thereon
US10858104B2 (en) Rescue hoist cable angle detection assembly
KR101422695B1 (ko) 곡률측정장치 및 곡률측정방법
US9551624B2 (en) Tensile force measuring device
GB2188423A (en) Steam leakage measuring device using vibration and temperature sensors
US9910070B2 (en) Compensating apparatus for a non-contact current sensor installing variation in two wire power cable
JP2014238386A (ja) 検出センサおよび測定装置
JP7245673B2 (ja) プローブ及び厚さ測定装置
JP2017524148A (ja) プロセス計測プローブボトミングインジケータ
KR101489921B1 (ko) 수도 계량기 원격검침 장치
US20140376597A1 (en) Measuring Instrument Assembly with Retainer Hook
EP2921864A1 (en) Current Sensor
CN102374880A (zh) 气体流量计、基于离子迁移的便携式检测设备、气体流量测量方法
CN111751030A (zh) 车辆闭合件压力传感器
KR101822866B1 (ko) 자기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JP2007305055A (ja) 測定器用通信ユニット
CN201844851U (zh) 气体流量计、基于离子迁移的便携式检测设备
KR101516194B1 (ko) 디지털 각도계
KR101874823B1 (ko) 밴딩 측정장치
JP6004095B2 (ja) 無線式センサシステム
US20170322104A1 (e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30021918A (ko) 자기변형원리를 이용한 초음파 방식의 온도 측정 장치 및 그의 측정 방법
JP7212586B2 (ja) 携帯型環境計測装置
CN209858120U (zh) 一种电子产品内部张力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