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511B1 -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511B1
KR101422511B1 KR1020120119780A KR20120119780A KR101422511B1 KR 101422511 B1 KR101422511 B1 KR 101422511B1 KR 1020120119780 A KR1020120119780 A KR 1020120119780A KR 20120119780 A KR20120119780 A KR 20120119780A KR 101422511 B1 KR101422511 B1 KR 10142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zzle
warhead
unit
disposed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624A (ko
Inventor
최영우
Original Assignee
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우 filed Critical 최영우
Priority to KR102012011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5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26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coil reinforcement, e.g. f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구의 커버가 가능하도록 상기 총구에 연결되어 발사된 탄두와 장약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총신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수용부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총기의 총구에 장착되어 공포탄 사용 시 연속적인 총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오발 사고 시 총구에서 탄두가 발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Safety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firing with blank cartridge adaptor in gun}
본 발명은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포탄 사용시 총기의 연속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총기 오발 시 탄두를 수용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포탄은 소부대 훈련시 실전과 같은 상황을 부여하기 위하여 실제의 인마살상용의 실탄과 구별되게 훈련목적을 위하여 실탄에서 탄자(bullet)만을 제거한 것으로, 그 구성은 뇌관, 탄피, 장약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포탄은 방아쇠를 당길 때 공이가 뇌관을 쳐서 뇌관이 기폭되어 장약을 폭발시킴으로써 폭음소리만 나게 하는 훈련용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훈련 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공포탄을 발사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전과 같은 효과를 기하고 있다.
연발식 총기는 장약의 기폭 시 발생된 가스에 의해 공이를 원위치로 복귀 시켜 계속적인 사격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공포탄은 탄자가 제거되어 있어 장약의 기폭 시 발생된 가스는 총열 전방으로 모두 누출되어 공이가 원위치 되지 않으므로, 이를 위해 공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계속적인 발사가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총기의 사용 도중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발사되는 오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오발 사고 발생 시, 인명 손상의 위험이 크므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오발 시, 탄두의 발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311241호와 공개특허 2004-60948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총기의 총구에 장착되어 공포탄 사용 시 연속적인 총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오발 사고 시 총구에서 탄두가 발사되지 않도록 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총구의 커버가 가능하도록 상기 총구 선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총구들 통해 발사된 탄두와 장약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후 상기 총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총신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수용부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는, 관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총구 선단으로 배치되고, 내측 중간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는 제1 단위 수용부와, 홈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이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제2 단위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와 상기 제2 단위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및 상기 탄두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와, 관 형태로서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와 상기 총구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상기 총구 측 단부를 통해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결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의 돌출 높이는 사용하는 탄두의 구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어댑터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총구측 단부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높이가 증가하는 유도단이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도단의 높이는 상기 걸림턱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위 수용부와 상기 연결 어댑터는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가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상에 돌출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서로 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착 수단은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가 연결되며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부 상에 돌출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상에 상기 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핀은, 상기 지지핀의 단부 주위에 상기 관통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대향하는 면에 스프링 배치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배치홈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직각 삼각형 형태이고, 그 경사면이 상기 연결 로드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총기의 총구에 장착되어 공포탄 사용 시 연속적인 총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 오발 사고 시, 총구에서 탄두가 발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의 선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총기 오발 방지를 위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공포탄용 어댑터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100)는 수용부재(110) 및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수용부재(110)는 총기(1)의 총구(3)에 밀착되어 연결되어 총기 오발 시 발사된 탄두의 수용 및 공포탄 격발 시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여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 압력에 의해 공이(미도시)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원위치로 복귀한 공이는 계속적으로 공포탄을 격발할 수 있다. 수용부재(1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면 총구(3)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권총, 소총 등 다양한 총기에 적용될 수 있다.
수용부재(110)는 제1 단위 수용부재(120), 연결 어댑터(122), 제2 단위 수용부재(130) 및 차단 부재(126) 를 포함한다.
제1 단위 수용부재(120)는 원형 관 형태로서, 일단은 총구(3)에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후술하는 제2 단위 수용부재(130)가 연결된다.
제1 단위 수용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태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외주면은 사각형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내주면은 원형 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내측 중간부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림턱(121)이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된다. 걸림턱(121)은 후술하는 연결 어댑터(122)의 삽입을 일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걸림턱(121)은 후술하는 유도단(124)의 높이와 유사하게 설정되어 있으나, 연결 어댑터(122)의 삽입을 제한할 수 있고, 탄두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라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일단으로는 연결 어댑터(122)가 연결된다.
연결 어댑터(122)는 총구(3)를 향하는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일단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 어댑터(122)는 소정의 외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서, 그 일단이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일단부 내측으로 나사 결합된다. 연결 어댑터(122)의 삽입 정도는 걸림턱(121)에 의해 제한된다.
연결 어댑터(122)는 제1 단위 수용부재(120)와의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정하여 총구(3)와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공포탄용 어댑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결 어댑터(122)가 총구(3)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총기오발방지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총구(3)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어댑터(122)의 총구(3)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그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유도단(124)이 내주면 중간부 둘레를 따라 연결 어댑터(122)의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된다.
여기서, 유도단(124)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총구측 단부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돌출 높이가 점차 증가하므로, 유동단(124)의 상단부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좁아져, 연결 어댑터(122)의 내주면의 직경은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도단(124)은 실탄의 오발 시, 탄두(4)를 후술하는 차단 부재(126)로 유도한다. 즉,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는 소정의 범위로 회전하며 진행하고, 이때, 탄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며 회전한다. 따라서, 유도단(124)은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회전하며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도 이를 차단 부재(126)로 유도한다.
또한, 후술하는 유도단(124)에 의해 유도된 탄두(4)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도단(124)의 높이는 사용하는 탄두의 구경에 반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하는 탄환이 22 구경인 경우, 탄두의 통과를 위해 유도단(124)은 높이가 높게 돌출되도록 하여 유도단(124) 상단부의 이격 거리가 22 구경 탄환의 탄두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하는 탄두가 45구경이라면, 탄두의 통과를 위해 유도단(124)은 높이가 낮게 돌출되도록 하여 유도단(124) 상단 간의 이격 거리가 45 구경 탄환의 탄두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단위 수용부재(120)와 후술하는 제2 단위 수용부재(130)의 사이에는 차단 부재(126)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 부재(126)는 사용자가 공포탄을 격발하였을 경우, 발생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단 부재(126)는 유도단(124)을 통과한 탄두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 부재(126)는 탄두와의 충돌 시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위 수용부재(130)는 제1 단위 수용부재(120)의 타단으로 연결된다. 제2 단위 수용부재(130)는 일단측으로는 중심축 상에 소정의 홈이 형성된다. 제2 단위 수용부재(130)의 일단 즉, 홈이 형성된 부위가 제1 단위 수용부재(120) 측으로 연결된다.
제1 단위 수용부재(120)와 제2 단위 수용부재(130)의 연결은 나사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총신(2)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수용부재(110)가 총구(3)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재(140)는 연결부 본체(150)와 연결 로드(160)를 포함한다.
연결부 본체(150)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 본체(150)는 총신(2)의 일측에 총신(2)과 평행하게 배치된 후 총신(2)에 고정된다. 연결부 본체(150)의 고정은 볼트 고정과 같이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고정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로드(160)는 연결부 본체(150)와 수용부재(110)를 연결한다.
연결 로드(160)의 일단은 연결부 본체(150)의 일측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수용부재(110)의 외주측에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오발에 의해 발사된 탄두가 수용부재(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수용부재(110)는 연결 로드(16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탄두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탄두의 운동 에너지 감소 정도를 더 크게 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우선, 연결부 본체(150)의 연결 로드(160)의 회전축에 근접한 부위에서 총구측으로 제1 지지부(170)가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70)는 직육면체의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70)와 연결 로드(160) 상에는 수용부재(110)의 총구(3)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수단이 배치된다.
고정 수단은 제1 지지부(170)에 배치되는 제1 자석(172a)과 연결 로드(160) 상에 배치되는 제2 자석(17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용부재(110)가 총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의 자성은 가능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은 수용부재(110)에 수용된 탄두의 탄속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은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부착 상태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도의 강한 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 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다른 형태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고정 수단은 제1 지지부(170) 상에 연결 로드(160)를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핀(174)과 지지핀(174)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62)이 형성된 연결 로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핀(174)의 단부에는 양측으로 역삼각형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걸림단이 돌출된다. 따라서, 지지핀(174)이 관통홀(162)에 삽입되면 걸림단에 의해 지지핀(174)이 관통홀(1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 본체(150)의 양측으로는 제2 지지부(180)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80) 상에는 연결 로드(160)가 걸리면 연결 로드(160)의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탄성 지지부(190)가 복수개로 배치된다.
탄성 지지부(190)는 수용부재(110)가 탄두(4)를 수용한 후, 탄두(4)의 발사 에너지에 의해 수용부재(110)에 연결된 연결 로드(170)가 회전할 때, 연결 로드(170)에 걸리며 연결 로드(17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지지부(19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배치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 선의 선단면도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탄성 지지부(19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190)의 배치를 위해 제2 지지부(180) 상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깊이와 크기를 배치홀(192)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지지부(190)는 배치홀(192)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스프링(196), 스프링(196)의 단부에 연결되고 배치홀(19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걸림단(194)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단(194)은 그 단면 형태가 직각 삼각형 형태이고, 그 경사면은 연결 로드(160)를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발 방지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총기 오발 방지를 위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총기 오조작에 의해 탄두(4)가 발사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발사된 탄두는 수용부(120)의 유도단(124)을 통과하지만, 차단 부재(126)에 걸리며 탄속이 감소된다. 이때, 연결 어댑터(122)는 총구(3)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이다.
여기서, 연결로드(160)는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에 의해 제1 지지부(170)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탄두(4)가 차단 부재(126)에 걸린 상태에서, 탄두(4)의 탄속은 더욱 감소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탄속이 1차적으로 감속된 탄두(4)는 그 남은 탄속에 의해 제1 자석(172a)과 제2 자석(172b)의 부착 상태가 해제되고, 연결 로드(16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알 수 있다.
연결 로드(160)는 제2 지지부 상의 걸림단(194)에 접촉하며 회전력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탄두(4)의 탄속은 더욱 감소된다. 또한, 제2 지지부(180) 상에는 복수의 걸림단(194)이 배치되므로, 연결 로드(160)는 복수의 걸림단(194)에 의해 탄속이 계속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탄두(4)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오발에 의해 예기치 않은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의 공포탄용 어댑터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어댑터(122)의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연결 어댑터(122)의 일단이 총구(3)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연결 어댑터(122)와 총구(3)가 밀착되면 공포탄 격발 시 발생된 가스는 수용부(120)와 차단 부재(126)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스의 압력에 의해 총기는 다음의 격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총기의 총구에 장착되어 공포탄 사용 시 연속적인 총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오발 사고 시 총구에서 탄두가 발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110: 수용부
120: 제1 단위 수용부
130: 제2 단위 수용부
140: 연결부

Claims (13)

  1. 총구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총구를 감싸며, 총기 오발 시 발사되는 탄두를 수용하거나 또는 공포탄 격발 시 발생되는 가스를 수용하는 수용부재;
    상기 총기의 옆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고, 일측은 총신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관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총구 선단으로 배치되고, 내측 중간부에 걸림턱이 돌출되는 제1 단위 수용부와,
    홈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이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제2 단위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와 상기 제2 단위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및 상기 탄두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와,
    관 형태로서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와 상기 총구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상기 총구 측 단부를 통해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결 어댑터를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돌출 높이는 상기 탄두의 구경에 반비례하여, 사용하는 상기 탄두의 통과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댑터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총구측 단부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높이가 증가하는 유도단이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단의 서로 대향하는 상단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탄두의 구경에 비례하여, 사용하는 상기 탄두의 통과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수용부와 상기 연결 어댑터는 상기 제1 단위 수용부에 나사 결합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재가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돌출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서로 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착 수단은 자석인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부재 상에 돌출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상에 상기 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상기 지지핀의 단부 주위에 상기 관통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돌출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대향하는 면에 스프링 배치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배치홈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직각 삼각형 형태이고, 그 경사면이 상기 연결 로드를 향하여 배치되는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KR1020120119780A 2012-10-26 2012-10-26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KR10142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80A KR101422511B1 (ko) 2012-10-26 2012-10-26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80A KR101422511B1 (ko) 2012-10-26 2012-10-26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24A KR20140053624A (ko) 2014-05-08
KR101422511B1 true KR101422511B1 (ko) 2014-07-24

Family

ID=5088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780A KR101422511B1 (ko) 2012-10-26 2012-10-26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683B1 (ko) 2018-06-21 2019-01-17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12B1 (ko) * 2014-05-14 2014-10-22 고려화공 주식회사 발사효과를 제공하는 묘사탄을 구비한 박격포용 축사기
KR102566011B1 (ko) * 2021-07-30 2023-08-11 대한민국 공포탄 어댑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53B1 (ko) * 1984-06-15 1988-02-20 안영일 소총의 비실탄 사격을 위한 사격 숙달 장치
JPH085287A (ja) * 1994-06-16 1996-01-1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発射装置の遅発災害の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54480B1 (ko) 2001-10-24 2006-12-05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공포탄 장치 및 자동 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53B1 (ko) * 1984-06-15 1988-02-20 안영일 소총의 비실탄 사격을 위한 사격 숙달 장치
JPH085287A (ja) * 1994-06-16 1996-01-1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発射装置の遅発災害の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54480B1 (ko) 2001-10-24 2006-12-05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공포탄 장치 및 자동 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683B1 (ko) 2018-06-21 2019-01-17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24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123B2 (en) Magnetic accessory mounts
US10345082B2 (en) Entangling projectile deployment system
KR101422511B1 (ko) 공포탄용 어댑터 겸용 총기오발방지장치
US8171850B2 (en) Conditional activation of a cartridge
US8398256B2 (en) Magnetic accessory mounts
WO2015057361A1 (en) Live-round prevention with built-in blank firing adapter
WO2009025575A1 (fr) Arme de poing à électrochocs à cartouches multiples, fonctionnant par contact et à distance, et cartouche standard pour cette arme
RU27633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US92008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mproved firing assembly
Giusti et al. Weapon design patterns in shooter games
US9500450B2 (en) Special cartridge (variants)
RU2413169C1 (ru) Легка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ая пуля
WO2012027413A2 (en) Laser aimed small arms ammunition
KR20180100165A (ko) 비치사적 무력 장치
JP6552014B2 (ja) 磁気的なチャンバーを備える完全自動化エアガン
CN217483358U (zh) 手枪的非致命附加辅助射击装置
KR101214449B1 (ko) 연습용 포탄
CN201066257Y (zh) 92式手枪标记弹训练装置
RU2459175C1 (ru) Патрон
RU105983U1 (ru) Патрон
KR200190350Y1 (ko) 사격훈련용 빔탄
RU77413U1 (ru) Пуля
KR100549300B1 (ko) 전차용 모의탄
BR202022013631U2 (pt) Cuspida rápida para emprego
KR101648841B1 (ko) 신궁 폐 발사관을 활용한 신궁 훈련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