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28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281B1
KR101422281B1 KR1020070101407A KR20070101407A KR101422281B1 KR 101422281 B1 KR101422281 B1 KR 101422281B1 KR 1020070101407 A KR1020070101407 A KR 1020070101407A KR 20070101407 A KR20070101407 A KR 20070101407A KR 101422281 B1 KR101422281 B1 KR 10142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phone number
record
abbreviat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308A (ko
Inventor
신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0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2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에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에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행태를 반영하여 자동적으로 단축번호가 재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축번호 기능의 효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단축번호, 재구성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METHOD OF DYNAMIC RECONFIGURING SHORTCUT DIALING NUMBER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OF USING DYNAMIC RECONFIGURED SHORTCUT DIALING NUMBER IN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단축번호를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으로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품의 차별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작용하여 왔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급격한 저변 확대와 발전은 통신접속기술 및 대량생산에 따른 저비용화에 힘입은 바가 크지만,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발전에도 힘입은 바가 큰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보편화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에는 단축번호 기능이 있다. 단축번호 기능이라 함은 자주 사용되는 전화번호들을 직접 입력하거나, 전화번 호부에서 검색하여 입력하는 등의 조작이 없이, 한 번 또는 두 번의 키패드 누름만으로 입력하여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단축번호 기능은 10여 개 내지는 100여 개의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서 지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주 사용되는 집 전화번호를 단축번호('1')에 등록시켜 놓은 경우에는 키패드'1'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집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전화 걸기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회사의 전화번호를 단축번호('20')에 등록시켜 놓은 경우에는 키패드'2'를 짧게 누르고, 연속적으로 '0'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사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전화걸기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축번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10개 내지는 100개의 단축번호들을 일일이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들과 연결시켜 지정해놓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용 행태는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들은 계속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우선순위가 높은 단축번호(예컨대, 한번의 키패드 누름으로 연결 가능한 한자릿수 단축번호)로 지정된 경우에도 자주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단 우선순위가 낮은 단축번호(예컨대, 두 번의 키패드 누름으로 연결 가능한 두 자릿수 단축번호)로 지정된 경우가 오히려 자주 이용되는 경우가 빈발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전화 또는 메시지 발신 및 수신 기록(call history)들을 1000여 개 내외 저장하고 있는 기능들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오히려 최근에 자주 전화를 거는 상대방에 대한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데에는 상기 발신 및 수신 기록을 검색하여 전화를 거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축번호 기능의 효용성이 감소되는 측면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동적으로 단축번호를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동적으로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N은 0이상의 자연수)부터 M(M은 N이상의 자연수)까지의 순위번호를 가지는 (M-N+1)개의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에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에 상기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순위번호를 가진 단축번 호를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단축번호로서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소정 개수 이상의 새로운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저장될 때마다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전화 발신 기록 및/또는 전화 수신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메시지 발신 기록 및/또는 메시지 수신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N은 0이상의 자연수)부터 M(M은 N이상의 자연수)까지의 순위번호를 가지는 (M-N+1)개의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에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에 상기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서 상기 입력된 재구성 단축번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음성 전화 또는 영상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순위번호를 가진 단축번 호를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단축번호로서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전화 발신 기록 및/또는 전화 수신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메시지 발신 기록 및/또는 메시지 수신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는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키와 상기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는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키와 상기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반영하여 자동적으로 단축번호가 재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단축번호 기능의 효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동적으로 재구성된 단축번호와 종래 기술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를 병행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재구성이 필요 없는 필수적인 전화번호와 재구성이 필요한 전화번호들을 유연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S100) 및 저장된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에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은 N(N은 0이상의 자연수)부터 M(M은 N이상의 자연수)까지의 순위번호를 가지는 (M-N+1)개의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대상으로 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S100)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call history)들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최근에 수신 또는 발신된 전화번호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기능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을 위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사용자의 전화 발신 기록 및/또는 전화 수신 기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전화 발신 기록만을 동적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전화 수신 기록만을 동적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전화 발신 기록과 전화 수신기록을 모두 이용하여 동적 단축번호를 재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화 발신 기록 및/또는 전화 수신 기록은 음성전화와 영상전화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포괄할 수도 있으며, 음성전화와 영상전화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록만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을 위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은 메시지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발신 및 수신 기록이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S110)는 상술한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 저장한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을 바탕으로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단계이다.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을 바탕으로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바람직한 예로서는,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 상에 기록된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토대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전화번호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단축번호(예컨대, '0' 또는 '1')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우선순위가 높은 단축번호일수록 가장 자주 연락을 취하게 되는 상대방을 연관하게 되는 직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십여 개가 넘는 단축번호를 이용할 경우에는 두 번의 키패드 동작으로 단축번호를 이용하여야 되므로, 자주 이용하는 전화번호일수록 한자리수대의 순위번호를 가지는 단축번호를 부여하여 한번의 키패드 동작만으로 단축번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적 재구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음성전화 기록만으로 한정할 경우에는 음성전화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전화번호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단축번호로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마 찬가지로, 동적 재구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영상전화 기록만으로 한정할 경우에는 영상전화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전화번호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단축번호로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발신기록과 수신기록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함으로써 가장 많은 발신이 이루어진 전화번호 또는 가장 많은 수신이 이루어진 전화번호를 토대로 하여 단축번호가 재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상에 나타나는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토대로 하여 단축번호를 재구성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빈번한 단축번호의 재구성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추가될 때마다, 단축번호의 재구성이 일어난다면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혼란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한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한가지 방법으로는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소정 개수이상으로 새롭게 누적될 때마다 단축 번호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300개 이상의 새로운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저장될 경우마다 단축 번호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300번째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저장된 경우에 단축번호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고, 600번째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이 저장된 경우에 다시 단축번호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는, 가능한 한 많은 수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 함으로써 몇 번의 발신 또는 수신에 의하여 단축번호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1000개 정도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유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보다는 2000~3000개 정도의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유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 보다 안정적이고 의미 있는 단축번호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때에는, 관리대상이 되는 단축번호의 수만큼의, 발생빈도수에서 높은 순위를 가지는 전화번호 후보군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적 카운팅을 하여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이 추가가 되는 즉시로 각 전화번호들에 대한 발생비율을 산출해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 저장된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210)과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S110)에서 관리되는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220)는 제1열(221)에는 단축번호의 번호가 나열되며, 제 2 열(222)에는 각 단축번호에 맵핑(mapping)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210)은 소정개수의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여기에서 소정개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1000여 개 내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210)에서 가장 발생빈 도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 전화번호(예컨대, 010-4444-1111)에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단축번호('1')에 지정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발신 및/또는 수신기록(210)에서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 전화번호(예컨대, 010-5555-3333)에 두 번째로 우선순위가 높은 단축번호('2')가 지정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방법에 의하여 동적으로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S300) 및 저장된 발신 및/또는 수신 기록에서 발신 및/또는 수신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S310)를 포함하여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S320) 및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서 상기 입력된 재구성 단축번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음성 전화 또는 영상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S33)를 포함하여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S300)와 단계(S31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의 단계(S100) 및 단계(S110)와 각각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된다.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S320)는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은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방식의 단축번호 운영방법을 대체해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방식의 단축번호 운영방법과 병행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단축번호와 동적 재구성에 의하여 변경되는 단축번호를 구별하여 입력 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가장 간단한 구현으로서, 특정번호의 단축번호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전화번호가 재구성 없이 고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고, 특정번호의 단축번호들에 대해서는 동적 재구성 방법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전화번호가 지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 내지 9까지의 단축번호들에 대해서는 동적 재구성이 적용될 필요가 없는 필수적인 전화번호(집, 회사, 배우자)들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고, 10 이후의 단축번호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재구성 방법에 의하여 전화번호가 유동적으로 지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운영되는 단축번호와는 별도의 재구성 단축번호를 관리하되, 그 입력 방식에 차이를 두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도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와 재구성 단축번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운영되는 단축번호와 별개의 재구성 단축번호를 운용하는 경우에, 두 가지 방식의 단축번호 입력을 구별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입력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특정 키와 숫자 키패드의 순차 입력을 통한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410)를 먼저 입력하고(좌측 편), 숫자 키패드(420)를 이용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하는(우측 편)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리 지정된 특정키(410)는 도 4a에서는 숫자 키패드(420)와는 별개의 키로서 편의상 도시되었으나, 숫자 키패드 중의 하나의 키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지정된 두 개 이상의 특정키들을 순차적으로 연속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재구성 단축번호가 입력될 것임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특정키의 입력을 통하여 이후에 재구성 단축번호가 입력될 것임을 지시한 이후의 재구성 단축번호의 입력 방법은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단축번호 입력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부터 9까지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하나의 키패드를 길게 누르거나, 10부터 99까지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십의 자릿수 키패드를 짧게 누른 다음, 일의 자릿수 키패드를 길게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재구성 단축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도 4b는 특정 키와 숫자 키패드의 동시 입력을 통한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 예시되어 있다.
도 4a에서 예시한 입력 방식과 비교하면, 도 4b의 방식은 별도의 특정키를 이동통신단말기내에 할당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특정키(410)를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숫자 키패드(420)를 이용하여 재구성 단축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재구성 단축번호의 입력 방법은 특정키(410)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종래기술 및 도 4a에서 설명된 단축번호 입력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부터 9까지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하나의 키패드를 길게 누르거나, 10부터 99까지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십의 자릿수 키패드를 짧게 누른 다음, 일의 자릿수 키패드를 길게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재구성 단축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음성 전화 또는 영상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S340)는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서 상기 입력된 재구성 단축번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음성 전화 또는 영상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는 특정 키와 숫자 키패드의 순차 입력을 통한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특정 키와 숫자 키패드의 동시 입력을 통한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N(N은 0이상의 자연수)부터 M(M은 N이상의 자연수)까지의 순위번호를 가지는 (M-N+1)개의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발신 전화번호 기록 및 수신 전화번호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전화번호 기록 중에서 동일한 전화번호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전화번호에 상기 순위번호를 부여하여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축번호를 재구성하고,
    키패드를 통하여 재구성 단축번호 입력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키와 재구성된 단축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서 상기 입력된 재구성 단축번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음성 전화 또는 영상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 기록 및 수신 전화번호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소정 개수 이상의 새로운 전화번호 기록이 저장될 때마다 실행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전화번호 등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전화번호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은 순위번호를 가진 단축번호를 전화번호의 단축번호로서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번호 기록은 전화 발신 기록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화번호 기록은 전화 수신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번호 기록은 메시지 발신 기록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전화번호 기록은 전화 수신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재구성 단축번호 이용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101407A 2007-10-09 2007-10-09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KR10142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07A KR101422281B1 (ko) 2007-10-09 2007-10-09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07A KR101422281B1 (ko) 2007-10-09 2007-10-09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08A KR20090036308A (ko) 2009-04-14
KR101422281B1 true KR101422281B1 (ko) 2014-07-22

Family

ID=4076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07A KR101422281B1 (ko) 2007-10-09 2007-10-09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70B1 (ko) * 2009-12-14 2014-10-13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다기능 버튼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전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862A (ko)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20050054508A (ko) * 2003-12-05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우선권과 빈도를 이용한 전화번호부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862A (ko) * 2002-11-12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20050054508A (ko) * 2003-12-05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우선권과 빈도를 이용한 전화번호부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08A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2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3437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최근통화목록 표시 방법
US20030022698A1 (en) Dialing method for dynamically simplifying international call in cellular phone
US20020187815A1 (en) Contact lookup by partial string entry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283180B1 (ko)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기능 선택방법
CN101141738A (zh) 一种按使用频率访问便携终端电话本的方法
KR1014222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적 단축번호 재구성 방법 및 동적재구성 단축번호 이용방법
KR20020096578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누적 전화사용횟수별 수신 및 발신표시방법
CN104717345A (zh) 实现一键快速拨号的方法与装置
EP2116018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calls with a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KR100690709B1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345767B1 (ko) 호출자 아이디를 이용한 통화 상대자 정보 화면 표시 장치및 방법
CN103905465B (zh) 网关设备的语音呼叫方法和装置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100966558B1 (ko) 통화이력의 번호를 폰북에 저장하는 방법
KR200300301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정보 및 개인정보 자동 등록 방법
US20090207993A1 (en) Temporally defined contact default number for telephone
KR101099482B1 (ko) 기록 매체에 연속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1494680A (zh) 移动通信装置之间的数据交换方法
JP3942281B2 (ja) 携帯電話機
KR2005007912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KR100308660B1 (ko)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