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660B1 -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660B1
KR100308660B1 KR1019980018612A KR19980018612A KR100308660B1 KR 100308660 B1 KR100308660 B1 KR 100308660B1 KR 1019980018612 A KR1019980018612 A KR 1019980018612A KR 19980018612 A KR19980018612 A KR 19980018612A KR 100308660 B1 KR100308660 B1 KR 10030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dial
telephone
phone
input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918A (ko
Inventor
전선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66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축 다이얼이 가능한 전화기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거나 그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어느 하나와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을 소정의 수순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어부와, 임의의 단축번호에 전화번호를 하나 대응시켜 저장할 때마다 다음 전화번호 입력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장치 및 방법{SPEED DIAL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원-터치(one-touch)번호 혹은 단축번호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사람에 관련된 2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소정 원-터치번호 혹은 단축번호의 단 1회 입력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연속 다이얼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혹은 두 숫자(two digit)키에 의한 다이얼링이 가능한 전화기를 사용하면 전체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 전화기는 물론이고,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도 채택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원-터치 키에 하나의 전화번호가 일대일 대응되어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때, 사용자는 특정 원-터치키를 입력한 후 대기모드에서 다른 특정 키를 약 1초 이상 눌러 다이얼링한다. 예를 들면, "단축 다이얼"키를 누르고 특정 번호(예: 3)를 눌러 탐색(search)한 다음 "SEND"키를 누르면 해당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된다.
통상적으로 한 사람에게는 휴대폰, 무선호출수신기(pager), 집 전화, 회사 전화 등 여러 개의 관련 전화번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하나의 그룹(group)으로 묶이지 못하고 각각에 대한 원-터치나 단축번호 입력을 통해 찾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여러 전화번호를 차례대로 1, 2, 3, 4번에 등록하였다면 찾기가 쉽겠지만 메모리에 저장할 당시 1, 2번만 입력을 하고 나중에 추가되어 7, 15번 등에 저장하게 되면 찾기가 쉽지 않다.
상대방(개인 혹은 단체)에게 관련 전화번호가 여러 개 있어도 원-터치나 두 숫자 리다이얼 버퍼(two digit redial buffer)에는 하나의 전화번호가 들어가 있어 막상 링크(link)가 형성되어도 상대방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기다려야 한다. 이럴 때 보통 회사의 경우는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가지므로 한쪽이 통화중이면 다른 번호를 눌러 통화하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중일 때 키 조작이 쉽지 않아 통화중인 경우 매번 다른 번호를 찾아 누르거나 다른 전화번호 전체를 다시 누르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터치번호 혹은 단축번호를 단 1회만 입력해도 동일한 사람에 관련된 각종 등록된 연락처로 통화가 될 때까지 연속해서 다이얼링을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사람에 관련된 2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소정 원-터치번호 혹은 단축번호의 단 1회 입력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연속 다이얼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이 가능한 전화기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거나 그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어느 하나와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을 소정의 수순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표시부에 전화번호 관련 메뉴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5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서 임의의 이름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읽어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Memory Map)이다. 상기 메모리 맵에는 하나의 원-터치번호에 2개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공간이 할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6바이트(byte) 크기로 하면, 이름(name)은 아스키(ASCII)코드의 형태로 12자리까지 저장할 수 있고 전화번호는 2진화 10진(Binary Coded Decimal: BCD)코드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32자리까지 저장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도 2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310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원-터치번호 0∼9중 하나를 선택하면 전화기의 제어부는 그 선택된 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311단계에서 상기 선택한 번호에 대응되는 첫 번째 전화번호(office-1 Tel No.)를 입력한다. 이어서 312단계에서 종료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종료키는 미리 정한 특정 키(예: "YES")로서 더 입력할 숫자가 없음, 즉 한 전화번호를 이루는 숫자들을 모두 입력을 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료키의 입력이 있으면 313단계에서 표시부에 두 번째 전화번호 입력 의사를 묻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문자메시지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것이다. 314단계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긍정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긍정 응답이 감지되면 315단계로 진행하여 두 번째 전화번호(office-2 Tel No.)를 입력한 후 316단계에서 종료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종료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317단계에서 이름을 등록한 다음 작업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도 2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410단계에서 전화기의 제어부는 키 스캔하여 임의의 원-터치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411단계에서 원-터치 키 입력이 감지되면 412단계에서 도 2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로부터 그 입력된 원-터치 키에 대응되는 첫 번째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다. 그리고 413단계에서 상기 첫 번째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에 대한 성공 여부(통화중인지 아닌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상기 첫 번째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에 대한 실패를 감지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로부터 상기 원-터치 키에 대응되는 두 번째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다. 415단계에서 상기 두 번째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에 대한 성공 여부를 체크하여 실패를 감지하면 417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 대기한 다음, 상기 412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성공한 경우에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처리루틴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낸도면이다.
전술한 도 2와 비교하면, 하나의 원-터치번호에 4개의 전화번호를 묶어 관리한다. 즉 사용자가 원-터치키 "O"을 누르면 4개의 전화번호에 공통인, n10 번지에 있는 이름(Name)과 n11번지에 있는 집 전화번호(TEL- HOME)가 표시되고 스크롤(scroll) 키를 누르면 n11번지에서 n14번지까지 루프되면서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도 5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610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원-터치번호 0∼9중 하나를 선택하면 전화기의 제어부는 그 선택된 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611단계에서 변수 k를 1로 설정한다. 상기 변수 k는 공통된 이름(동일인)으로 등록되는 전화번호의 개수를 나타낸다.
612단계에서 상기 선택한 원-터치번호에 대응되는 첫 번째 전화번호(TEL- HOME)를 입력한다. 이어서 613단계에서 표시부에 전화번호 종류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도 7의 (7A)는 상기 메뉴가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614단계에서 전화기의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 종류 선택 메뉴중 임의의 한 종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선택은 각 종류마다 부여된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예를 들어 612단계에서 어떤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 단계에서 숫자키 "1"을입력하면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가 집 전호번호로 등록되는 것이다.
615단계에서 표시부에 다음 전화번호 입력 의사를 묻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문자메시지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것이다. 616단계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긍정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긍정 응답이 감지되면 617단계로 진행하여 변수 k가 최대값 max1 보다 큰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변수 k가 최대값 max1 보다 작거나 같으면 전화번호를 더 입력해도 됨을 의미하므로 6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 k를 1 증가시킨 다음 상기 612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상기 변수 k가 최대값 max1 보다 크면 더 이상의 전화번호 입력이 불가능하므로 618단계에서 이름을 등록한 다음 작업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대값 max1는 '4'이므로 상기 k가 4일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이름에 4개의 전화번호, 즉 집 전화번호(TEL- HOME), 회사 전화번호(TEL- OFFICE), 휴대폰 전화번호(TEL- HHP), 무선호출수신기 전화번호(TEL- PAGER)가 등록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도 5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810단계에서 전화기의 제어부는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입력이 감지되면 811단계에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812단계에서 타이머를 세트한다. 이 타이머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시간내에 연속 다이얼링 순서가 정해지는지 여부를 알기 위한 것이다. 813단계에서 표시부에 상기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들의 종류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814단계에서 변수 Q를 1로 설정한다. 상기 변수 Q는 연속 다이얼 순서를 정하는 변수이다. 이어서 815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종류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체크한다.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전화번호들의 종류마다 번호를 매겨서 표시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815단계에서 전화번호 종류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으면 823단계에서 메모리로부터 해당 전화번호를 읽어 이름과 함께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824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 순서 정보를 상기 변수 Q번 째로 저장한 후, 다음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815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5의 (5B)를 참조하면, 1 바이트(byte)의 크기를 갖는 입력 플래그(input flag) f1, f2, f3, f4에 다이얼 순서 정보를 아스키코드 형태로 입력한다. 즉 선택이 되지 않았면 'FF'를 저장하고, 선택되었으면 01(HOME), 02(OFFICE), 03(HMP), 04(PAGER)와 같은 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815단계에서 전화번호 종류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816단계에서 타임 아웃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타임 아웃되었으면 825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이 경우는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저장 수순이거나 사용자가 디폴트(default)로 정해둔 수순이다. 반면에 타임 아웃되지 않았으면 81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에서 설정된 순서 정보를 읽는다. 그리고 그 순서 정보에 따라 818단계에서 첫 번째 전화번호와 이름을 표시한 다음, 819단계에서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그리고 820단계에서 통화로 형성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상대방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다음 전화번호를 상기 이름과 함께 표시한 후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동작을 통화로 형성에 성공하지 않는한 마지막 전화번호까지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821단계에서 다음 전화번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다음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822단계에서 다음 순서의 전화번호로 바꾸어 표시한 다음 상기 819단계로 되돌아간다. 하지만 다음 순서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825단계에서 일정 시간 대기한 다음, 826단계에서 다이얼링 순서를 초기화 한다. 그리고 827단계에서 변수 RC가 최대값 max2 보다 큰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변수 RC는 정해진 순서대로 해당 전화번호들을 모두 다이얼링했지만 통화에 성공하지 못하여 다시 그 순서대로 해당 전화번호들을 다이얼링하는 회수이고, 최대값 max2는 상기 변수 RC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미리 정해 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변수 RC가 최대값 max2 보다 크면 작업을 종료하고, 작거나 같으면 828단계에서 상기 변수 RC의 값을 '1' 증가시킨 다음 상기 819단계로 되돌아간다. 820단계에서 상대방이 통화중이 아니면 더 이상의 표시 및 다이얼링을 중지하고 통화처리루틴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도 5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910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911단계에서 저장키를 입력하면 전화기의 제어부는 상기 전화번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다. 그리고 912단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통해 원-터치번호 0∼9중 하나를 선택한 후, 913단계에서 저장키를 입력하면 상기 전화기의 제어부는 그 원-터치번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다. 이어서 91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메모리 영역을 액세스하여 그 원-터치번호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5의 (5A)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원-터치 키 '1'에 집 전화번호(TEL - HOME)만을 등록해놓았는데 추가로 회사 전화번호(TEL - OFFICE)를 더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910단계에서 회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913단계에서 원-터치 키 '1'을 입력하게 되면 어드레스 n11에 집 전화번호(TEL - HOME)가 이미 등록되어 있을 것인 바, 그들의 공통인 이름을 이를 읽어 923단계에서 표시부에 표시한다. 하지만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915단계에서 사용자가 이름을 입력하고 916단계에서 저장키를 입력하면 상기 이름을 일시적으로 버퍼링한다.
상기 923단계 혹은 916단계에 이어서 917단계에서 도 7의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전화번호 종류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그리고 918단계에서 임의의 한 종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선택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 종류마다 부여된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또한 이때 선택되는 종류는 전술한 910단계에서 입력한 전화번호에 대한 종류이다. 이렇게 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면, 91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저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고 입력이 감지되면 최종적으로 메모리의 원-터치번호 "1"에 대응되는 영역중 어드레스 n12에 상기 회사 전화번호(TEL - OFFICE)를 입력한다. 920단계에서 종료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 입력이 감지되면 더 이상 등록할 전화번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반면에 종료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다음 등록할 전화번호가 있는 것인 바, 921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922단계에서 저장키를 입력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버퍼링하고 상기 917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와 다르게, 910단계∼913단계와 같이 전화번호를 먼저 입력하고 원-터치 키를 나중에 입력하도록 한 것은 통화중에 상대방이 말하는 전화번호를 메모할 필요가 있을 때 텐(ten) 키를 입력하여 표시부에 그 전화번호가 표시되게 한 상태에서 바로 원하는 원-터치번호에 등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화기의 제어부에서 도 5에 도시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10단계에서 전화기의 제어부는 임의의 원-터치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원-터치 키 입력이 감지되면 112단계에서 해당 원-터치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사용자가 해당 키를 예를 들어 1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원-터치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에는 메모리의 상기 원-터치번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첫 번째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이 통화중이 아니면 그때부터는 통화처리루틴을 수행한다.
원-터치 키 입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이루어진경우 113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에 상기 입력된 원-터치 키에 대응되는 이름과 각 전화번호의 종류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114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종류들중 P(P〉0)개 이상 선택되었는지 체크한다. P개 이상 선택된 경우에는 그 선택된 순서대로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하되 어느 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이 통화중이 아닌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더 이상의 다이얼링을 중지하고 그때부터는 통화처리루틴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115단계에서 변수 M을 '1'로 설정한 다음 116단계에서 메모리로부터 M번째 전화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다. 그리고 116단계에서 상대방이 통화중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통화중이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 M을 '1' 증가시킨 다음, 119단계에서 상기 변수 M이 P 보다 큰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상기 P가 크거나 같으면 상기 116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P가 '1'이면 하나의 전화번호만 선택한 경우이므로 해당하는 전화번호만 다이얼링된다. 즉 도 7의 (7B)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키 "4"를 눌렀다면 무선 호출 수신기 번호만 읽어 다이얼링한다.
도 11은 도 5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에서 임의의 이름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읽어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형 무선 전화기에서 터보 다이얼(turbo dial)기능을 위한 키 "1" 혹은 "RCL"키와 함께 "1"을 1초 이상 누르면 (11A)와 같이 이름과 전화번호 및 그 전화번호의 종류(예: 집)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롤키를 입력하면 그때마다 (11B)→(11C)→(11D) 순으로 화면이 바뀌므로 원하는 전화번호가 표시되었을 때 송신키 "SEND"를 누르면 다이얼링이 된다.
본 제1∼제3실시예는 표시부가 있는 전화기[예: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휴대용 무선 전화기, 차세대 무선 전화기(Cordless Telephone 2: CT2),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전화기 및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전화기]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원-터치번호에 한 개인의 연락처 번호를 여러 개 기억시켜 원-터치 혹은 1회의 단축번호의 입력만으로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그 번호들을 연속적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동일한 사람의 여러 연락처 번호를 여러 개의 단축번호에 나누어 등록하지 않으므로 찾기가 쉽다.

Claims (15)

  1. 단축 다이얼이 가능한 전화기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거나 그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어느 하나와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을 소정의 수순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하는 제어부와,
    임의의 단축번호에 전화번호를 하나 대응시켜 저장할 때마다 다음 전화번호 입력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축번호에 할당된 메모리의 영역에는 이름을 저장하는 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이름은 그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을 모두 소유한 사람의 이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3.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를 선택하거나 그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며, 상기 전화번호들을 모두 소유한 사람의 이름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어느 하나와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을 소정의 수순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하는 제어부와,
    임의의 단축번호에 대응시켜 전화번호를 하나씩 저장할 때마다 다음 전화번호 입력 의사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임의의 단축번호에 등록되거나 등록된 이름과 전화번호들을 표시하고, 다이얼할 이름과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는 한 자리의 숫자로서, 원-터치 키로써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는 두 자리의 숫자로서, 두 개의 숫자키로써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순은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의 저장 수순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수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은 각각 고유의 번호와 그 번호끝자리에 이어지는 확장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자는 해당 번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확장자들을 메뉴 형태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어느 한 확장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선택되면 이를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에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의 해당 단축번호에 할당된 영역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 장치.
  9.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며, 상기 전화번호들을 모두 소유한 사람의 이름을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들의 종류를 표시하는 제2과정과,
    소정의 수순에 따라, 이름과 하나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통화로 형성에 성공하면 더 이상의 표시 및 다이얼을 중지하고, 실패하면 다음 전화번호를 상기 이름과 함께 표시한 후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는 동작을 통화로 형성에 성공하지 않는한 마지막 전화번호까지 실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수행후,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한 연속 다이얼 순서를 결정하는 제2-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과정은,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의 종류중 하나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해당 전화번호와 이름을 표시하고 그 순서를 저장한 다음, 다음 순서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제1단계로 되돌아가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혹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과정의 수행후,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한 연속 다이얼 순서를 메모리에서 읽고 그 다이얼 순서에 따라 전화번호와 이름을 표시하는 제2-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마지막 전화번호까지 실시해도 실패하면 다이얼 순서를 초기화하고 재다이얼을 시도하는 동작을 미리 정한 횟수까지 반복하는 제3-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제1과정에서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첫 번째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는 제1-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하나의 단축번호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며, 상기 전화번호들을 모두 소유한 사람의 이름을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들의 종류를 표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이름과 전화번호들의 종류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단축번호가 다시 입력되는지 체크하여, 그 입력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이름과 첫 번째 등록된 전화번호 및 그 전화번호의 종류만을 표시한 후 스크롤키가 입력될 때마다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의 종류를 바꾸어 표시하다가 송신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때 표시하고 있던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8612A 1998-05-22 1998-05-22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KR10030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12A KR100308660B1 (ko) 1998-05-22 1998-05-22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12A KR100308660B1 (ko) 1998-05-22 1998-05-22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18A KR19990085918A (ko) 1999-12-15
KR100308660B1 true KR100308660B1 (ko) 2001-10-19

Family

ID=3753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12A KR100308660B1 (ko) 1998-05-22 1998-05-22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6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879A (ja) * 1992-07-14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ヤル装置
KR960025055U (ko) * 1994-12-19 1996-07-22 원터치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879A (ja) * 1992-07-14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ヤル装置
KR960025055U (ko) * 1994-12-19 1996-07-22 원터치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18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JPH11331354A (ja) 通信端末機のダイヤル方法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US6370519B1 (en)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telephone numbers of communication terminals
EP0920168A2 (en) Speed dialing method and telephone apparatus
KR100308660B1 (ko) 전화기의단축다이얼장치및방법
KR20020096578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누적 전화사용횟수별 수신 및 발신표시방법
KR10031231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2829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 메시지 검색 및 표시 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KR100365615B1 (ko) 무선단말기에서기대값에따른다이얼링방법
KR10060583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단문서비스 수신자번호 입력을 단축하는방법
KR200200678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장치 및 방법
JPH11252234A (ja) 電話装置
KR100335415B1 (ko) 유무선단말기의지역번호자동표시방법
KR20000059719A (ko)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통신용 단말기 시스템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2005007912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5206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30032092A (ko) 예측 지능형 통화키가 부착된 통신 단말기
KR20000024984A (ko) 그룹 전화번호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JP3686800B2 (ja) メモリへの情報の格納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