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170B1 -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70B1
KR101422170B1 KR1020120137357A KR20120137357A KR101422170B1 KR 101422170 B1 KR101422170 B1 KR 101422170B1 KR 1020120137357 A KR1020120137357 A KR 1020120137357A KR 20120137357 A KR20120137357 A KR 20120137357A KR 101422170 B1 KR101422170 B1 KR 10142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lecting plate
collecting
sunl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718A (ko
Inventor
윤휘종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윤지영
윤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영, 윤휘종 filed Critical 윤지영
Priority to KR102012013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12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9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spaced and opposed interacting reflective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는: 태양광을 포집하여 반사하고, 중심부에 통과공이 형성되는 포집판과, 포집판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통과공으로 조사하는 집광판과, 통과공을 거쳐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와, 집광부에서 공급되는 태양광을 이송하는 메인광케이블과, 메인광케이블에서 공급되는 광을 모아주고, 수요처로 분배하는 분배부와, 분배부에 다수 구비되고, 분기된 태양광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하는 분기광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DEVICE FOR DOLLECTING AND DISTRIBUTING SUNLIGHT}
본 발명은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수요처에 효과적으로 분배 공급하도록 하는 태양광 집광 및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은 외부로부터 별도의 추가 에너지원의 투입 없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무한 동력원으로서, 건물 실내를 조명하거나 난방하는 용도, 전기를 발전하는 용도, 또는 각종 육상 및 해양 식물을 생육시키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기존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실내를 조명하는 방법은 태양광 집광장치의 짐광판에서 태양광을 수집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수요처에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태양광 집광장치는 집광판을 통해 모여진 태양광을 수집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되므로 수요처의 개수에 따라 집광판을 설치해야함으로써 설치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636호(발명의 명칭: 광파이프 태양광 채광장치 및 분배 짐광장치)가 제시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포집판 및 집광판에서 수집된 태양광을 집광부를 통해 광케이블로 이송하고, 건물 내부에 설치된 분배부를 통하여 각각의 수요처로 분리 공급함으로써, 태양광을 수요처에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설치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단가를 줄여주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2개의 반원부재를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합체 구성함으로써, 분배부의 내측 공간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집광판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조명부재를 이용하여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태양전지판를 이용해 축전지에 축적된 전기를 이용하여 비춰주므로 24시간 활용이 가능한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는, 태양광을 포집하여 반사하고, 중심부에 통과공이 형성되는 포집판; 상기 포집판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통과공으로 조사하는 집광판; 상기 통과공을 거쳐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에서 공급되는 태양광을 이송하는 메인광케이블; 상기 메인광케이블에서 공급되는 광을 모아주고, 수요처로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에 다수 구비되고, 분기된 태양광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하는 분기광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판은 상기 태양광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고, 상기 집광판은 상기 포집판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며, 상기 집광판은 상기 포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집광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브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판의 둘레에는 평면형상의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충전하며,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야간에 사용하도록 상기 집광부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집광판의 중심부 또는 상기 포집판의 통과공 후면에 조명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집광판의 후면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구비된 조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온/오프되고, 상기 조명부재는 고휘도 엘이디이며, 상기 조명부재의 전면은 상기 집광판의 곡률에 맞게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광부는, 상기 포집판의 통과공의 후면 둘레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용하는 깔대기 형태의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에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공을 거쳐 유입된 태양광을 모아주어 증폭하는 볼록렌즈; 및 상기 수용부재의 내면에 코팅형성되는 거울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메인광케이블과 연결되고,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된 제1반원부재; 상기 제1반원부재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광케이블이 구비되며,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되는 제2반원부재: 및 상기 제1,제2반원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반원부재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2반원부재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 및 상기 제1,제2플랜지부를 상호 관통하여 결속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1,제2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이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시일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시일링부재는 상기 제1,제2플랜지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제2플랜지부에는 제1,제2반원부재의 결합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상기 시일링부재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단착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는, 포집판 및 집광판에서 수집된 태양광을 집광부를 통해 광케이블로 이송하고, 건물 내부에 설치된 분배부를 통하여 각각의 수요처로 분리 공급함으로써, 태양광을 수요처에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설치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단가를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반원부재를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합체 구성함으로써, 분배부의 내측 공간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집광판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조명부재를 이용하여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태양전지판를 이용해 축전지에 축적된 전기를 이용하여 비춰주므로 24시간 조명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판의 상세 구성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상세 구성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재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판의 상세 구성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상세 구성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재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는, 포집판(10), 집광판(20), 집광부(30), 메인광케이블(38), 분배부(40) 및 분기광케이블(50)을 포함한다.
포집판(10)은 태양광을 포집하여 전측 중심방향으로 반사하고, 중심부에 통과공(12)이 형성된다.
포집판(10)은 태양광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다.
포집판(10)은 투명판(미도시)이 전측에 덮여져 태양광은 통과하고, 이물질은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투명판은 포집판(10)의 전체 테두리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포집판(10)의 전체면을 커버 할 수 있다.
포집판(10)은 직경이 1500 ~ 2100mm 정도의 대구경으로 형성되어 태양광 포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포집판(10)의 최적 직경은 1800mm이다.
포집판(10)의 후측에는 바닥에 놓여지는 지지부재(2)가 구비된다.
지지부재(2)에는 태양광을 따라 포집판(10)이 추적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추적유닛(4)이 구비된다. 추적유닛(4)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집광판(20)은 포집판(10)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통과공(12)으로 조사한다.
집광판(20)은 포집판(10)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다.
집광판(20)은 소구경으로 형성되므로 포집판(10)으로 이동하는 태양광의 차단을 최소화하고, 포집판(10)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이 집중하여 모여지도록 해준다.
집광판(20)은 포집판(10)의 가장자리와 집광판(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브리지(14)에 의해 지지된다.
브리지(bridge, 14)는 태양광이 포집판(1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집광판(20)은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인 2 ~3개 정도의 개수를 구비하도록 한다,
브리지(14)는 투명재질이 파이프로 형성되어 태양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투명재질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 포집판(10)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굵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집판(20)의 둘레에는 평면형상의 테두리부(16)가 형성된다.
테두리부(16)에는 태양전지판(18)이 설치되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19)에 충전한다.
축전지(19)는 지지부재(2)의 지지판 상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포집판(20) 후명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축전지(19)에 저장된 전기를 야간에 사용하도록 집광부(30)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집광판(20)의 중심부에 조명부재(22)가 설치된다.
조명부재(22)는 집광판(20)의 중심부이면서 집광판(20)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집광지점에 약간 벗어난 주변에 고리형태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명부재(22)는 집광판(20)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집광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집판(10)에서 반사되어 모여지는 태양광을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치하도록 한다.
조명부재(22)는 조도감지센서(24)를 이용하여 온/오프 된다.
조도감지센서(24)는 포집판(10)의 테두리부(16) 또는 집광판(20)의 후면에 구비된다. 이때, 저녁 또는 흐린 날씨에 태양광이 약화된 상태를 감지한 조도감지센서(24)는 제어부(26)를 통해 조명부재(22)를 온(ON)함으로써, 태양광이 비추지 않을 때에도 항상 태양에너지를 조명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낮 또는 날씨가 맑아지면 태양광이 강화된 상태를 감지한 조도감지센서(24)는 제어부(26)를 거쳐 조명부재(22)를 오프(OFF)하고, 다시 태양광을 집광하여 조명으로 사용한다.
조명부재(22)는 고휘도 엘이디이다. 물론, 조명부재(22)는 고휘도 엘이디를 제외한 다른 조명부재일 수 있다.
조명부재(22)의 전면은 집광판(20)의 내면 곡률에 맞게 가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포집판(10)에서 모여지는 태양광이 곡률의 차이에 의해 산란되거나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집광판(20)의 중심부에 조명부재(22)가 설치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축전지(19)에 저장된 전기를 야간에 사용하도록 집광부(30)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포집판(30)의 통과공(12) 후면에 조명부재(122)가 설치된다.
조명부재(122)는 포집판(30)의 통과공(12) 후면 둘레면에 구비되는 기판(120)에 다수 개 설치되어 집광부(30)의 수용부재(32) 내측으로 직접 빛을 조사함으로써, 빛이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빛을 유실을 줄여주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집광판(20)에 구비되는 조명부재(22)의 경우, 집광판(20)의 중심부위에서 집광부(30)의 수용부재(32)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거리로 인해 효율이 저하될수 있으나, 포집판(30)의 후면에 구비된 조명부재(32)는 가까움 거리에서 수용부재(32)의 볼록렌즈(34)로 직접 조사함으로써 빛이 이동경로를 줄여주어 빛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조명부재(122)는 통과공(12)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기판(120)의 원형으로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부(30)는 포집판(10)의 통과공(12)을 거쳐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구성이다.
집광부(30)는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태의 외형을 갖는 구성이다.
집광부(30)는 포집판(10)의 통과공(12)의 후면 둘레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용하는 수용부재(32)와, 수용부재(32)에 내부에 설치되고, 통과공(12)을 거쳐 유입된 태양광을 모아주어 증폭하는 볼록렌즈(34)와, 수용부재(32)의 내면에 코팅형성되는 거울코팅부(36)를 포함한다.
볼록렌즈(34)는 집광판(20)의 집광지점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다시 모아주어 메인광케이블(28)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메인광케이블(28)은 모여진 태양광을 분배부(40)로 이송하게 된다.
거울코팅부(36)는 금속 박막 형태로 얇게 코팅되어 형성된다.
분배부(40)는 메인광케이블(38)에서 공급되는 광을 모아주고, 다수 개의 수요처로 분배 공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수요처는 건물 내의 룸(room) 또는 복도뿐만 아니라 야외의 가로등일 수 있다. 수요처는 빛을 활용하는 모든 장소일 수 있다.
분배부(40)는, 메인광케이블(38)과 연결되고,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된 제1반원부재(42)와, 제1반원부재(42)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분기광케이블(50)이 구비되며,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되는 제2반원부재(44)와, 제1,제2반원부재(42)(44)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부(50)를 포함한다.
제1,제2반원부재(42)(44)는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대칭되게 형성될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제2반원부재(42)(44)의 합체 구성의 직경은 40 ~ 60 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직경은 50 mm 정도이다.
분배부(40)에서, 메인광케이블(38))이 출구 측에는 제1반원부재(42)의 내부에 배치되고, 메인광케이블(38)에서 출사되는 빛이 분배부(40)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확산시켜 주는 확산렌즈(39)가 구비된다.
확산렌즈(39)는 오목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반원부재(44)에서 분기광케이블(50)이 장착된 입구부에는 빛을 모아주는 볼록 렌즈가 각각 하나 씩 구비된다. 이 볼록렌즈는 유입되는 빛을 분기광케이블(50) 입구부에서 모여지게 하여 각각의 방에 구비된 산광부(62)로 잘 전달되게 해준다.
결합부(50)는 제1반원부재(42)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제1플랜지부(52)와, 제2반원부재(44)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54)와, 제1,제2플랜지부(42)(44)를 상호 관통하여 결속되는 조임부재(56)를 포함한다.
제1,제2플랜지부(52)(54)는 제1,제2반원부재(42)(44)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따라서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재(56)는 제1,제2플랜지부(52)(54)에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이다.
제1플랜지부(52)와 제2플랜지부(54)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시일링부재(58)가 구비된다.
시일링부재(58)는 제1,제2플랜지부(52)(54)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끼움공(59)이 각각 형성된다.
이 끼움공(59)은 외부로 노출된 제1,제2플랜지부(52)(54)의 가장자리를 감싸줌으로써, 충격으로부터 제1,제2플랜지부(52)(54)를 보호해준다.
제1,제2플랜지부(52)(54)에는 제1,제2반원부재(42)(44)의 결합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시일링부재(58)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단착턱부(57)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시일링부재(58)의 너비는 2개의 단차턱부(57)가 이루는 너비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제1,제2플랜지부(52)(54) 결합시 공간을 완전하게 채우는 상태로 눌려지면서 제1,제2반원부재(42)(44)가 내부에 틈새를 갖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제1,제2반원부재(42)(44)가 내부에 틈새를 갖는 상태로 조립되는 경우, 메인광케이블(38)에서 공급되는 태양광이 틈새의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틈새로 인해 분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제2반원부재(42)(4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원형 공간부 내의 코팅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은 직접 또는 반사를 거쳐 다수 개의 분기광케이블(60)로 분기되어 공급됨으로써 다수개의 수요처에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분기광케이블(60)의 단부에는 태양광 또는 조명광을 분사하여 실내를 밝혀 주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지지부재 4 : 추적유닛
10 : 포집판 12 : 통과공
14 : 브리지 16 : 테두리부
18 : 태양전지판 19 : 축전지
20 : 집광판 22 : 조명부재
24 : 조도감지센서 30 : 집광부
32 : 수용부재 34 : 볼록렌즈
36 : 거울코팅부 40 : 분배부
42 : 제1반원부재 44 : 제2반원부재
50 : 결합부 52 : 제1플랜지부
54 : 제2플랜지부 56 : 조임부재
58 : 시일링부재 59 : 끼움공

Claims (8)

  1. 태양광을 포집하여 반사하고, 중심부에 통과공이 형성되는 포집판;
    상기 포집판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통과공으로 조사하는 집광판;
    상기 통과공을 거쳐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에서 공급되는 태양광을 이송하는 메인광케이블;
    상기 메인광케이블에서 공급되는 광을 모아 수요처로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에 다수 구비되고, 분기된 태양광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하는 분기광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집광부는, 상기 포집판의 통과공의 후면 둘레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수용하는 깔대기 형태의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에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과공을 거쳐 유입된 태양광을 모아주어 증폭하는 볼록렌즈; 및
    상기 수용부재의 내면에 코팅형성되는 거울코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은 상기 태양광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고,
    상기 집광판은 상기 포집판을 향한 오목홈을 갖는 오목거울이며,
    상기 집광판은 상기 포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집광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브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의 둘레에는 평면형상의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충전하며,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야간에 사용하도록 상기 집광부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집광판의 중심부 또는 상기 포집판의 통과공 후면에 조명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집광판의 후면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구비된 조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온/오프되고,
    상기 조명부재는 고휘도 엘이디이며,
    상기 조명부재의 전면은 상기 집광판의 곡률에 맞게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메인광케이블과 연결되고,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된 제1반원부재;
    상기 제1반원부재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광케이블이 구비되며,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되는 제2반원부재: 및
    상기 제1,제2반원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반원부재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2반원부재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 및
    상기 제1,제2플랜지부를 상호 관통하여 결속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1,제2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이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시일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시일링부재는 상기 제1,제2플랜지부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제2플랜지부에는 제1,제2반원부재의 결합시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상기 시일링부재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단착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KR1020120137357A 2012-11-29 2012-11-29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KR10142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57A KR101422170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57A KR101422170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718A KR20140069718A (ko) 2014-06-10
KR101422170B1 true KR101422170B1 (ko) 2014-07-22

Family

ID=5112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57A KR101422170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228A1 (en) * 2017-06-14 2018-12-20 Al Ani Maan Nassar Raja Solar illumination distribution system
KR102273948B1 (ko) * 2019-04-08 2021-07-06 강동엽 자립형 전기 및 수소가스 충전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25A (ja) * 1991-02-25 1995-01-27 Showa Device Plant Kk 集光装置、および蓄熱装置
JPH11182940A (ja) * 1997-12-22 1999-07-06 Nobuyoshi Ishida 集光送光した太陽光を用いる光熱器具
KR20110023377A (ko) * 2009-08-31 2011-03-08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광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조명 시스템
KR101042303B1 (ko) 2010-03-25 2011-06-17 (주)오티에스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25A (ja) * 1991-02-25 1995-01-27 Showa Device Plant Kk 集光装置、および蓄熱装置
JPH11182940A (ja) * 1997-12-22 1999-07-06 Nobuyoshi Ishida 集光送光した太陽光を用いる光熱器具
KR20110023377A (ko) * 2009-08-31 2011-03-08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광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조명 시스템
KR101042303B1 (ko) 2010-03-25 2011-06-17 (주)오티에스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718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10868A (en) Photoelectric system
WO2002075225A3 (en) Nonimaging solar concentrator with uniform irradiance
CN102654268A (zh) Led透镜装置、led透镜装置模组及led灯具
KR102310100B1 (ko) 솔라셀로 발광하는 집중발광 엘이디 도로표지병
CN109764280B (zh) 下穿通道自然光采光与电光源互补照明系统
US20110272002A1 (en) Sunlight collecting system for illumination
US20150092400A1 (en) Lighting group
US20140233256A1 (en) Sunny Bright Solar Lighting
CN102691972A (zh) 成矩形光斑的led二次光学系统、led光源化模组及led灯具
KR101422170B1 (ko) 태양광 집광 분배장치
KR20140030484A (ko) 등주용 태양광 발전장치
WO2017202322A1 (zh) 一种太阳能聚光光导管照明装置
CN102374486B (zh) 护栏灯及护栏灯透镜
US9920917B1 (en) House lighting device
KR20170052890A (ko) 태양광에너지로 구동되는 조명시스템
KR20100040537A (ko) 태양광 전환 채광장치
US9879842B2 (en) Sunny bright solar lighting
KR20100037912A (ko) 고효율 태양광 조명시스템
KR101722514B1 (ko) 태양광 전송 장치
KR20021323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실외용 조명기구
JPH1050114A (ja) 屋外灯
US20150077979A1 (en) Road Surface Lighting Apparatus
KR20110015182A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시스템
JP5672462B2 (ja) 集光レンズ、発光ダイオード(可視光線)、反射板を内蔵した太陽電池セル及び高階層構造を一体化し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50131415A (ko) 조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