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64B1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64B1
KR101421964B1 KR1020130005137A KR20130005137A KR101421964B1 KR 101421964 B1 KR101421964 B1 KR 101421964B1 KR 1020130005137 A KR1020130005137 A KR 1020130005137A KR 20130005137 A KR20130005137 A KR 20130005137A KR 101421964 B1 KR101421964 B1 KR 10142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pattern
touch input
user terminal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2724A (en
Inventor
이범식
Original Assignee
이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식 filed Critical 이범식
Priority to KR102013000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64B1/en
Publication of KR2014009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is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which can be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comprises: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touch input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if it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신속하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control technology in which when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a touch screen is received in a locked state of a mobile terminal, The user may attempt to make a call connection quickly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by searching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dentifier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개인 업무, 금융 거래 등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모바일 단말에 대한 보안 기술이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기설정된 비밀 번호 또는 특정 패턴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Currently, a security technology for a mobile terminal is becoming an important technical problem because a user executes various task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service and financial transac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Here,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password or a specific pattern is inputt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is utilized.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비빌 번호 또는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In such a situ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fter inputting the predetermined private number or unlock pattern to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 특허들은 이와 관련된 기술을 제공한다. Various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o solve such a problem are provided. The following prior patents provide techniques related thereto.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2487호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매거진 생성 이벤트가 감지되면,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섹션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일대일로 맵핑하여 매거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거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은 각각의 섹션에 맵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배치되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92487 relates to a control techniqu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layout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ions when a magazine generation event is detected; Generating a magazine by mapping applications one-to-on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And displaying the magazine. The magazine include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mapped to each section, and displays a plurality of application execution screens at the same time.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9362호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터치 스크린이 잠김 상태일 때 수신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가리는 창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이 잠김 상태일 때 해당 정보 및 해당 정보를 가리는 창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9362 relates to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when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in a locked state and a window for intercep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rein when the touch screen is in a locked state, And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quickly and effectively to a user.

상기 선행 기술들은 잠금 상태에서도 특정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들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속하게 특정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에 대한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The prior art can provide a technique to quickl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even in the locked state. However, the prior art fails to provide a technique for enabling a user to quickl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 particular user terminal identifier (e.g., a telephone number)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24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2487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93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9362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신속하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is consistent with an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when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is received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capable of prompting a user to try to make a call connection in a locked state of a mobile terminal by searching for a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범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의 조합으로 설정된 식별자 패턴을 통하여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are determined through an identifier pattern set by a combination of a dial object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range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on a touch screen,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capable of promptly and accurately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user identifier desired by the user, and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회전 각도, 숫자의 형상 및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식별자 패턴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user terminal identifier through an identifier pattern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rotation angle, a number shape, and a consecutive arrangement with respect to a pattern object disposed on a touch screen, or a combination thereof,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capable of promptly providing a desired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performing the same.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mong the embodiments,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is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comprises: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touch input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if it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tch the identifier patter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receiving a touch input by the user in advance from the touch screen and storing the touch input as the identifier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one of a dial object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that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그룹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includes an identifier patter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ceived data matches the received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 회전 및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inuous input time, a rotation,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ouch inputs to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및 상기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otation angle for the dial object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숫자 또는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correspond to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fixed objects having a shape of numbers or consonants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 패턴에 포함된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touch input for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ssociating a rotatable range with the dial object when the touch input for the dial object included in the identifier pattern is receiv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the identifier pattern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하여 전화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comprises the steps of: communicating a phone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ssage transmiss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further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는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식별자 결정부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한다. In embodiments,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may be coupled to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comprises: a touch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 touch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roup identifier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An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when the identifier pattern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for attempting conn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may receive a touch input by a user from the touch screen in advance and store the received touch input as the identifier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one of a dial object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that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그룹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an identifier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 회전 및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inuous input time, a rotation,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ouch inputs to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및 상기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compris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otation angle for the dial object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숫자 또는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may correspond to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fixed objects having a shape of numbers or consonants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입력 수신부는 상기 식별자 패턴에 포함된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may display a rotatable range in association with the dial object when a touch input for a dial object included in the identifier pattern is recei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연결부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하여 전화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such as a telephone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ssage transmission.

실시예들 중에서,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touch input for a pattern object;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an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releasing the lock status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신속하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related 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is received in a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may attempt to establish a call connection quickly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identifiers,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범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의 조합으로 설정된 식별자 패턴을 통하여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related 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rough a group identifier And by determining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locked state, it can promptly and accuratel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user identifier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터치 스크린에 배치된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회전 각도, 숫자의 형상 및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식별자 패턴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related 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dentifier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rotation angle, a number shape,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having consonant shapes for a pattern object disposed on a touch screen By determining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through the pattern,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an be easily and quickly provided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patter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제어 시스템(100)은 터치 스크린(110) 및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 제어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터치 스크린(110)을 포함하는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nd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Here, the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100 may be embodied in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correspond to a desktop, a laptop, a smart phone, 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including the touch screen 110.

터치 스크린(110)은 모바일 단말에 포함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110)은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에 송신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10 corresponds to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sensing a touch input by a user. Here, the touch screen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and can receive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when the touch input is received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정전식 또는 감압식의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screen 110 may sense a touch input by a user in an electrostatic or pressure sensitive manner.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터치 스크린(110)에 대한 좌표 식별자와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10)이 800*480의 해상도를 가지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화면 정중앙에 감지되면 [400,240]에 해당하는 좌표 식별자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110)은 생성된 입력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에 송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screen 110 may generate input data associated with a coordinate identifier for the touch screen 110 upon sensing a touch input by a user. For example, if the touch screen 110 has a resolution of 800 * 480 and the touch input by the user is detec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input data including a coordinat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400, 240] can be generated. Here, the touch screen 110 can transmit the generated input data to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는 모바일 단말에 포함되고 터치 스크린(11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는 모바일 단말에서 구동될 수 있는 스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110. Here,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that can be run on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는 터치 입력 수신부(210), 패턴 인식부(220), 식별자 결정부(230), 통신 연결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2, the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120 includes a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a pattern recognizing unit 220, an identifier determining unit 230,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and a controller 250.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자 패턴을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mobile terminal control apparatus 120, the identifier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식별자 패턴은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어 설정된 패턴(pattern)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식별자 패턴은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는 기저장된 데이터에 해당한다. The identifier pattern may correspond to a pattern establish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That is, the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s to pre-stored data that can determine the group identifier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식별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에 해당하고, 성명,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 식별자(예: 카카오톡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s to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each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a mobile 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r identifier (e.g., KakaoTalk ID) can do.

그룹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에 해당하고, 가족, 친구, 회사 및 학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하여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는 교회, 동호회, 동아리 등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The group identifier corresponds to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predetermined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amily member, a friend, a company, and a school. Here, the group identifier can be added through the text data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the group identifier may be additionally entered by the user, such as a church, club, or club.

일 실시예에서, 그룹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는 [아버지, 어머니, 형, 누나]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들과 연관되어 모바일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roup identifier may be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identifier. For example, a group identifier corresponding to [family] may b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terminal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father, mother, brother, sister].

즉, 사용자 패턴은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설정된 패턴 데이터에 해당하고,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입력이 특정 식별자 패턴과 동일하면 해당 식별자 패턴과 연관되어 저장된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pattern corresponds to the preset pattern data that can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group identifier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and if the touch input inputted by the user is the same as the specific identifier pattern, And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a stored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그룹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 패턴은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그룹 식별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홍길동]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한 그룹 식별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For example, the identifier pattern may include a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identifying a group identifier corresponding to [family], and may include a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John Smith].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터치 스크린(1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와 연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식별자 패턴을 구성하는 객체에 해당한다. 즉, 식별자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패턴 오브젝트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be set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110. Here, the pattern object corresponds to the object constituting the identifier pattern. That is, the identifier patter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pattern object. Hereinafter, a pattern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patter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패턴 오브젝트는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of the mobile terminal.

여기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에서 설명되는 패턴 오브젝트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도 4a에서 숫자 이미지 1 내지 9)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패턴 오브젝트의 조합으로 구성된 잠금 해제 패턴을 터치 입력하여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을 활용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Here,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an object used in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pattern object described 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s to the input means (for example, numerical images 1 to 9 in FIG. 4A) . Here, the user touches an unlock pattern formed by a combination of pattern objects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pecific user terminal using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일 실시예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도형, 숫자, 사진, 이모티콘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오브젝트 각각은 터치 스크린(110)의 좌표 식별자와 연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숫자 이미지(1 내지 9) 각각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shapes, numbers, photographs, emoticons, and patter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Here, each of the pattern objects may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coordinate identifier of the touch screen 110. For example, in FIG. 4A, a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numeric images 1 to 9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ouch screen 110. FIG.

일 실시예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이얼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다이얼 오브젝트는 좌우 20°씩 단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one of a dial object that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110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Here, the dial object may be rotatable stepwise on the touch screen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in FIG. 4B, the dial object can be rotated stepwise by 20 degrees left and righ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10) 상에 다이얼 오브젝트 및 고정 오브젝트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서, 숫자 이미지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 및 숫자 이미지 [2] 내지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가 터치 스크린(110)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dial object and a fixed object may be placed together on the touch screen 110. For example, in FIG. 4C, a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image [1] and a fixe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image [2] to [9]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110.

다시 도 2에서,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 회전 및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inuous input time, a rotation,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ouch inputs to at least one pattern object.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식별자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인 입력 시간, 회전 및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식별자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identifier patter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continuous input time, rotation, and sequential arrangemen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pattern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아버지]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 패턴은 [1]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2초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dentifier pattern fo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father] can be set to [continuous touch input for 2 seconds or more] for the pattern object corresponding to [1].

다른 예를 들어, [어머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 패턴은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1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identifier pattern fo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mother] may be set to [right turn, first step] for the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또 다른 예를 들어, [여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 패턴은 [1, 5,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들에 대한 순차적 배열로 설정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identifier pattern fo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sister] can be set to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5, 7, 9].

여기에서, [남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 패턴은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1단계], [5]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2초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 및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들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잠금 상태에서 [1]을 터치 입력하여 1단계 만큼 우회전하고, [5]를 2초 이상 터치 입력한 후 연속적으로 [7] 및 [9]를 터치하면 남동생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Here, the identifier pattern for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younger brother] corresponds to [right turn, 1 step], [5] for the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Touch input], and [7, 9].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7] and [9] continuously after touching [5] for 2 seconds or more by touching [1] .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및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패턴은 회전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1단계, 좌회전 3단계. 우회전 3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comprise at least one rotation angle for the dial object and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pattern object. For example, in FIG. 4B,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family] is [the right turn 1 step, the left turn 3 step] for the rotation object. Right turn 3 step].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숫자 또는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comprise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a fixed object having a shape of numbers or consonants on the touch screen 110.

예를 들어, 도 6a에서, [어머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숫자 2의 형상을 가지는 [1, 3,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전에 단축번호 2로 설정된 [어머니]에게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고정 오브젝트들에 대하여 숫자 2의 형상을 가지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6A,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mother] is a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3, 7, 9] having the shape of the number 2 on the touch screen 110 Can be set. That is, when the user tries to make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mother] set in advance at the shortcut number 2, the touch input having the shape of the number 2 can be performed on the fixed objects to attempt communication connection.

다른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서,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패턴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자음 [ㄱ]의 형상을 가지는 [1, 3,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 및 자음 [ㅈ]의 형상을 가지는 [1, 3, 7, 5,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6C and 6D,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family] is used for the fixed object corresponding to [1, 3, 9] having the shape of the consonant [a] on the touch screen 110 Order arrangement for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3, 7, 5, 9] having a sequential arrangement and a consonant [i] shape.

즉, 사용자는 가족 그룹에 대한 통신 연결(예: 문자 메시지)을 시도하는 경우, [가족]의 초성 조합에 해당하는 [ㄱ] 및 [ㅈ]이 형상을 고정 오브젝트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tri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uch as a text message) to a family group, [a] and [i] corresponding to the primitive combination of [family] sequentially touch the fixed object To transmit a text message.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패턴은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복수의 그룹 식별자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각각에 대한 식별자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er pattern may be set to a plurality. For example, an identifier pattern for each of a plurality of group identifiers and user terminal identifi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set.

상기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조합을 통하여 식별자 패턴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a technician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derstand the identifier pattern and easily implement it by combining pattern objects.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11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식별자 패턴을 구성하는 객체에 해당하고, 일 실시에에서, 도형, 숫자, 사진, 이모티콘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arrang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on the touch screen 110. [ Here, the pattern object corresponds to an object constituting the identifier pattern, and in one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figure, a number, a photograph, an emoticon and a pattern.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 각각을 터치 스크린(110)의 좌표 식별자와 연관시켜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표 식별자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display each of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on the touch screen 110 in association with the coordinate identifier of the touch screen 110. Here, the coordinate identifier may correspond to data capable of identifying a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10 having a certain area.

일 실시예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one of a dial object that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110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에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by a user.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input data for the touch input inputted to the touch screen 110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110. [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각도 입력은 기 설정된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2단계]에 해당하는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a rotation angle input for the dial object. Here, the rotation angle input may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tep. For example, in FIG. 4C,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a rotation angle input corresponding to [right turn 2 step] for the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원형 이미지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1단계, 좌회전 3단계, 우회전 3단계]에 해당하는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at least one rotation angle input for the dial object. For example, in FIG. 4B,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a rotation angle input corresponding to [a right turn 1 step, a left turn 3 step, a right turn 3 step] for a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a circular image.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속적 배열 입력은 터치 입력의 끊김이 없이(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순차적인 배열 입력에 해당하고, 불연속적 배열 입력은 터치 입력의 끊김이 발생하는(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고) 순차적인 배열 입력에 해당한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sequential or discrete sequential array inputs to the pattern object. Here, the continuous array input corresponds to a sequential array input without disconnecting the touch input (the user does not take a finger off the touch screen), and the discrete array inpu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a disconnection of the touch input occurs This is equivalent to a sequential array input.

예를 들어, 도 5a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서 터치가 연속적인지 불연속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의 끊김이 없이(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순차적으로 [1,5,7,9]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들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1-5-7-9]에 해당하는 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5A,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can detect whether a touch is continuous or discontinuous in a touch input by a user. ) When a touch input to the pattern objects corresponding to [1, 5, 7, 9] is sequentially received, successive sequential array inputs corresponding to [1-5-7-9] can be received.

다른 예를 들어, 도 5b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후 터치 입력의 끊김이 발생한 다음, 순차적으로 [5,7,9]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들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1, 5-7-9]에 해당하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5B,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for [1] and then a touch input is interrupted. Then,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sequentially receives pattern objects corresponding to [5, 7, 9] A continuous discrete sequence input corresponding to [1, 5-7-9] can be received.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를 다른 패턴 오브젝트와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터치된 패턴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원래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can display a pattern object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from other pattern objects. For example,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enlarge a touched pattern object or change the touched pattern object to a color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lor and display the touched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잠금 해제 패턴에 포함된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서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회전 가능 범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1]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다이얼 오브젝트를 회전하는 경우 얼마만큼 다이얼 오브젝트를 회전시켰는지 인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touch input for the dial object included in the unlock pattern is received,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can display the rotatable range in association with the dial objec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a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in FIG. 5C is received, the predetermined rotatable range can be displayed stepwise and displayed at the top of [1]. Here, it is possible to know how much the dial object is rotated when the user rotates the dial objec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인 [2초] 이상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sense a touch input time with respect to the pattern object. For example, in FIG. 5B,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touch input to [1]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2 seconds] or more.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predetermined identifier pattern.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수신하여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즉,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가 식별자 패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특정 그룹 식별자에 대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receive a touch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110 in advance and store the received touch input as an identifier pattern. That is,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can allow the user to set an identifier pattern. Her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prompt input of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a specific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for a user terminal identifier.

예를 들어, 패턴 인식부(220)는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아버지]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을 입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1]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2초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아버지, 1, 2sec]에 해당하는 식별자 패턴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패턴 인식부(220)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것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설명한 식별자 패턴에 대한 다양한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arranges at least one pattern object to input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for [father] among the user terminal identifi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stores the pattern object corresponding to [1] When [continuous touch input for 2 seconds or more] is received, an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father, 1, 2 sec] can be generated and stored. Meanwhil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stores the touch input by the user as an identifier patter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various combinations of the identifier patterns described above can be set.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입력과 일치하는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input by the user.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1단계], [5]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2초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 및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들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기 저장된 식별자 패턴들 중에서 터치 입력과 일치하는 [남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2 seconds or more continuous touch input] and [7] for the fixed object corresponding to [right turn, 1 step], [5] for the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 [9],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recognizes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brother] matching the touch input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patterns, Lt; RTI ID = 0.0 > pattern < / RTI >

다른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자음 [ㄱ]의 형상을 가지는 [1, 3,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 및 자음 [ㅈ]의 형상을 가지는 [1, 3, 7, 5,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기 저장된 식별자 패턴들 중에서 [ㄱ] 및 [ㅈ]의 초성을 가지는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에 대한 그룹 식별자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sequential arrangement of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3, 9] having a shape of a consonant [a] on the touch screen 110 and a shape of a consonant [ When the touch input including the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branches [1, 3, 7, 5, 9] is received,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recognizes [A] and [ A family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a [family] having a prefix of [a] is determined.

또 다른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숫자 2의 형상을 가지는 [1, 3,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기 저장된 식별자 패턴들 중에서 단축번호 2와 일치하는 [어머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including a sequential arrangement of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3, 7, 9] having the shape of the number 2 on the touch screen 110 In this cas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determine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for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mother] that matches the abbreviated number 2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patterns.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group identifier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input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110.

예를 들어, 도 7a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1, 3, 9]에 해당하는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ㄱ]의 초성을 가지는 그룹 식별자인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7A, when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including a sequential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1, 3, 9], the pattern recognizing unit 220 recognizes the beginning of [a] The user can display the group identifier corresponding to [family], which is a group identifier of the group, on the touch screen 110.

다른 예를 들어, 도 7b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1, 3] 및 [7, 5, 9]에 해당하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ㅈ]의 초성을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7B, when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including a discrete sequential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1, 3] and [7, 5, 9] 220 may display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identifiers having a prefix [i] on the touch screen 110.

식별자 결정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한다. If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the identifier determining unit 230 determines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pattern.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숫자 2의 형상을 가지는 [1, 3, 7, 9]에 해당하는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패턴 인식부(220)는 기 저장된 식별자 패턴들 중에서 단축번호 2와 일치하는 [어머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을 결정하는 경우, 식별자 결정부(230)는 [어머니]에 해당하는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including a sequential arrangement of fixed objects corresponding to [1, 3, 7, 9] having the shape of the number 2 on the touch screen 110, When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determines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for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mother] that matches the abbreviated number 2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patterns,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mobile phone number and the e-mail address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결정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그룹 식별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dentifier included in the group identifier.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가 [1, 3, 9]에 해당하는 순차적 배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패턴 인식부(220)는 복수의 그룹 식별자들 중에서 [ㄱ]의 초성을 가지는 그룹 식별자인 [가족]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를 결정하고, 식별자 결정부(230)는 [가족] 그룹에 포함된 [아버지, 어머지, 여동생, 남동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들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touch input including a sequential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1, 3, 9], the pattern recognizing unit 220 recognizes And the identifier determining unit 230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the [father, mother, sister, younger brother] included in the [family] group .

통신 연결부(240)는 모바일 단말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식별자 결정부(230)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releases the lock state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ries to make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determined by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특정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여 식별자 결정부(230)가 식별자 패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경우, 통신 연결부(240)는 해당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ouch input by the user coincides with the specific identifier pattern and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patter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dentifier . ≪ / RTI >

일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부(240)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240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SNS message transmission to a user terminal identifier.

예를 들어, 식별자 결정부(230)에 의하여 식별자 패턴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자가 결정된 경우, 통신 연결부(240)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해당 전화 번호로 전화를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식별자 결정부(230)에 의하여 그룹 식별자 패턴에 해당하는 [가족]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자들이 결정된 경우, 통신 연결부(240)는 해당 사용자 식별자들에 대한 기설정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문자 메시지 입력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한 문자 메시지가 입력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pattern is determined by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can release the locked state and attempt to connect the telephone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dentifiers included in the [family] group corresponding to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re determined by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transmits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identifiers Alternatively, a text message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and a text message may be transmitted by a user.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 수신부(210), 패턴 인식부(220), 식별자 결정부(230) 및 통신 연결부(24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and the flow of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110) 상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310). 여기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식별자 패턴을 구성하는 객체에 해당하고, 일 실시에에서, 도형, 숫자, 사진, 이모티콘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plac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on the touch screen 110 (step S310). Here, the pattern object corresponds to an object constituting the identifier pattern, and in one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figure, a number, a photograph, an emoticon and a pattern.

일 실시예에서, 패턴 오브젝트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object may correspond to one of a dial object that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110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320).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touch input by the user (step S320).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a rotation angle input for the dial object.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at least one rotation angle input for the dial objec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속적 배열 입력은 터치 입력의 끊김이 없이(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순차적인 배열 입력에 해당하고, 불연속적 배열 입력은 터치 입력의 끊김이 발생하는(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고) 순차적인 배열 입력에 해당한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may receive sequential or discrete sequential array inputs to the pattern object. Here, the continuous array input corresponds to a sequential array input without disconnecting the touch input (the user does not take a finger off the touch screen), and the discrete array inpu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a disconnection of the touch input occurs This is equivalent to a sequential array inpu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를 다른 패턴 오브젝트와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터치된 패턴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원래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can display a pattern object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from other pattern objects. For example,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enlarge a touched pattern object or change the touched pattern object to a color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lor and display the touched pattern objec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잠금 해제 패턴에 포함된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touch input for the dial object included in the unlock pattern is received, the touch input receiver 210 can display the rotatable range in association with the dial object.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수신부(210)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ouch input receiving unit 210 may sense a touch input time with respect to the pattern object.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30).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predetermined identifier pattern (step S330).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수신하여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즉,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가 식별자 패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특정 그룹 식별자에 대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receive a touch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110 in advance and store the received touch input as an identifier pattern. That is,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can allow the user to set an identifier pattern. Her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prompt input of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a specific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for a user terminal identifier.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입력과 일치하는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input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패턴 인식부(2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2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group identifier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input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110.

식별자 결정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한다(단계 S340). If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step S340).

일 실시예에서, 식별자 결정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그룹 식별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touch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dentifier included in the group identifier.

통신 연결부(240)는 모바일 단말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식별자 결정부(230)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단계 S350).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40 cancels the lock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determined by the identifier determination unit 230 (step S350).

일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부(240)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240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SNS message transmission to a user terminal identifier.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5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은 모바일 단말이 잠금 상태인 경우 터치 스크린(110)으로 출력된 잠금 화면(잠금 패턴 해제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잠금 패턴 해제에 사용되는 객체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에서 패턴 오브젝트로서 활용할 수 있다. 5 to 7 illustrate a lock screen (a screen for touch input for unlock pattern release) output to the touch screen 110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locked state. Here, the object used for releasing the lock pattern can be utilized as a pattern object in th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패턴 오브젝트들 각각(1 내지 9에 해당하는 숫자 이미지)은 도형, 숫자, 사진, 이모티콘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 화살표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s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pattern objects (numerical images corresponding to 1 to 9)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may be configured and displayed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figure, a number, a photograph, an emoticon, and a pattern. In addition, the arrow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correspond to means for describing sequential or discontinuous sequential arrangement, and may not be display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10 by a user.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설정된 식별자 패턴을 통한 통신 연결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through variously configured identifier patterns in the context of a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 5a에서, [아버지]에 대한 식별자 패턴이 [1, 5, 7, 9]에 해당하는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인 순차적인 배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1-5-7-9]를 연속적으로(손가락을 떼지 않고) 터치하면 [아버지]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5A, if the identifier pattern for [father] is set to a sequential sequential arrangement for pattern objects corresponding to [1, 5, 7, 9] 7-9] continuously (without taking your finger off) you can connect to [Father].

도 5b에서, [가족]에 대한 그룹 식별자 패턴이 [1]에 대한 [2초 이상의 터치 입력]으로 설정되고, [여동생]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패턴이 [5, 7, 9]에 대한 연속적인 순차적 배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1]에 대한 [2초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5-7-9]를 연속적으로(손가락을 떼지 않고) 터치하면 [여동생]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5B,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family] is set to [2-second or more touch input] for [1], and the user identifier pattern for [sister] Array, the user performs [touch input for 2 seconds or more] on [1] on the touch screen 110 and touches [5-7-9] continuously (without releasing a finger) A call connection is possible.

도 5c에서, [회사]에 대한 그룹 식별자 패턴이 [1]에 해당하는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우회전, 2단계]로 설정되고, [부장님]에 대한 사용자 식별자 패턴이 [5, 7, 9]에 대한 연속적인 순차적 배열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1]에 대한 [우회전, 2단계] 회전을 수행하고, [5-7-9]를 연속적으로(손가락을 떼지 않고) 터치하면 [부장님]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5C,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for [company] is set to [right turn, second step] for the dial object corresponding to [1], and the user identifier pattern for [owner] is set to [5, 7, 9] The user performs a [right turn, two step] turn on [1] on the touch screen 110, touches [5-7-9] successively (without releasing a finger) You can make a call connection to [the manager].

도 6a에서, 단축 번호[2]에 [어머니]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자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2에 대한 숫자 형상에 해당하는 식별자 패턴을 [1, 3, 7, 9]로서 터치 입력하면, [어머니]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6A, when a us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mother] is stored in the shortcut number [2], the user selects an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hape for 2 on the touch screen 110 as [1, 3, 7, 9],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connection to [mother].

도 6b에서, 단축 번호[4]에 [부장님]에 해당하는 사용자 식별자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4에 대한 숫자 형상에 해당하는 식별자 패턴을 [1, 4, 6] 및 [2, 8]의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로서 터치 입력하면, [부장님]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6B, when a us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SUPERIOR] is stored in the shortcut number [4], the user selects an identifier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hape for 4 on the touch screen 110 as [1, 4, 6] and [2, 8],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connection to [the manager].

도 6c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자음 [ㄱ]에 해당하는 [1, 3, 9]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그룹 식별자 중 [가족] 그룹에 대한 통신 연결(예: 단체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6C, when the user performs continuous touch input for [1, 3, 9]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 on the touch screen 110,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the [family] group : Send a text message to a group).

도 6d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자음 [ㅈ]에 해당하는 [1, 3] 및 [7, 5, 9]의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을 터치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식별자들(예: 성명) 중 초성이 [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6D,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crete sequential arrangement of [1, 3] and [7, 5, 9]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 on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terminal identifiers Name) of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

도 7a에서, 사용자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자음 [ㄱ]에 해당하는 [1, 3, 9]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그룹 식별자들 중 초성이 자음 [ㄱ]에 해당하는 [가족]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7A, when the user performs continuous touch input for [1, 3, 9]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 on the touch screen 110, the first of the group identifiers is input to the consonant [a] The corresponding [family] can be confirmed on the touch screen 110.

도 7b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자음 [ㅈ]에 해당하는 [1, 3] 및 [7, 5, 9]의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을 터치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식별자들(예: 성명) 중 초성이 [ㅈ]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터치 입력하여 통화 연결할 수 있다.
7B,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crete sequential arrangement of [1, 3] and [7, 5, 9]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 on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terminal identifiers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acter among the characters [i] can be confirmed on the touch screen 110. 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identifi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can touch and input a desired user terminal identifier to make a call connection.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모바일 단말 제어 시스템 110: 터치 스크린
120: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210: 터치 입력 수신부 220: 패턴 인식부
230: 식별자 결정부 240: 통신 연결부
250: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control system 110: touch screen
120: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210: touch input receiving unit 220: pattern recognition unit
230 identifier determiner 240 communication connection
250:

Claims (21)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수신하고,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A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and corresponding to one of a dial object capable of being rotated step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And displaying a rotatable range in association with the dial object when a touch input to the dial object is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an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the identifier pattern comprising a successive input time of a touch input to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At least one rotation angle to the object and a contiguous or discrete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if the identifier pattern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nd
And releasing the locked state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the identifier patter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touch input by a user in advance from the touch screen and storing the received touch input as the identifier patter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그룹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the identifier pattern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an identifier patter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Terminal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숫자 또는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respectively,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fixed objects having a shape of numbers or consonants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the identifier pattern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하여 전화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telephone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ssage transmiss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설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이얼(dial) 오브젝트 및 회전 불가능한 고정(fixed) 오브젝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에서 수신하고,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회전 가능 범위를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입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패턴 인식부 -상기 식별자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입력 시간, 상기 다이얼 오브젝트에 대한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전 각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오브젝트에 대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순차적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식별자 패턴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는 식별자 결정부; 및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A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 touch input for at least one pattern object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and corresponding to one of a dial object capable of being rotated step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ouch screen and a non-rotatable fixed object, A touch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to the dial object and displaying a rotatable range in association with the dial object;
A pattern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is consistent with an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the identifier pattern comprising consecutive input times of a touch input to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At least one rotation angle for the dial object and a sequential or discrete sequential arrangement for the at least one pattern object;
An identifier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user terminal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pattern if the identifier pattern matches the identifier pattern; And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and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 패턴으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touch input by the user from the touch screen in advance and stores the received touch input as the identifier pattern.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그룹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자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touch input matches an identifier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 패턴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패턴 각각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숫자 또는 자음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 오브젝트에 대한 순차적 배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group identifier pattern and the user terminal identifier pattern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fixed objects having a number or consonant shape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그룹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a group identifier and a user termina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부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식별자에 대하여 전화 통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전송 중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 장치.
12.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telephone call conne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SNS (Social Network Service) message transmission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identifier.
제1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laim 1 is recorded.
KR1020130005137A 2013-01-16 2013-01-16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KR101421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37A KR101421964B1 (en) 2013-01-16 2013-01-16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37A KR101421964B1 (en) 2013-01-16 2013-01-16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24A KR20140092724A (en) 2014-07-24
KR101421964B1 true KR101421964B1 (en) 2014-07-31

Family

ID=5173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37A KR101421964B1 (en) 2013-01-16 2013-01-16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31B1 (en) * 2014-09-29 2016-08-08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Secure One Call Butt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888A (en) *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20110015958A (en) * 2009-08-10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gesture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20662A (en) * 2010-08-30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nlocking thereof
KR20120033515A (en)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888A (en) *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20110015958A (en) * 2009-08-10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gesture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20662A (en) * 2010-08-30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nlocking thereof
KR20120033515A (en)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24A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632B1 (en) User interfaces for transfer accounts
US11886695B2 (en) Notif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438458B1 (en)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2252229B1 (en)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KR1022992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lock state of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934505B2 (en) Information content viewing method and terminal
KR102471289B1 (en) A method for quickly opening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function, and a terminal
EP28540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lock screen in electronic device
US90381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of user terminal
CN104838352A (en) Action initiatiation in multi-face device
EP2869528A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inform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635879B2 (en)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related to user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20160309307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information thereof
KR102265905B1 (en) Digit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0999158B2 (en)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or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multiple cellular identifiers on an electronic device
KR201401322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Terminal Device
EP333714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421964B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media storing the same
KR20140081554A (en) Method of unlocking mobile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1000197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