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662B1 -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62B1
KR101421662B1 KR1020120133018A KR20120133018A KR101421662B1 KR 101421662 B1 KR101421662 B1 KR 101421662B1 KR 1020120133018 A KR1020120133018 A KR 1020120133018A KR 20120133018 A KR20120133018 A KR 20120133018A KR 101421662 B1 KR101421662 B1 KR 10142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card
dongle
prepaid card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930A (ko
Inventor
권희철
고석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Priority to KR102012013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POS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선불카드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을 통하여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 동글에게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및 동글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이 공개된다.

Description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error}
본 발명은 선불카드를 이용한 유통지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제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불카드'는 카드 사용자가 일정한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해당 금액이 기록된 카드를 발급받아 카드잔액범위 내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카드이다. 선불카드의 사용을 위해 '동글'과 'POS(Point of Sale)'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동글'은 원래 소프트웨어 보안용 하드웨어를 지칭하던 용어인데, 현재는 컴퓨팅 장치에 플러그(plug)되는 임의의 작은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POS(Point of Sale)'는 전자현금인출기 또는 물품이나 서비스 교환을 위한 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를 지칭한다. 선불카드는 동글과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고, POS는 동글을 통해 선불카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승인되면 선불카드에 그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선불카드, 동글, 그리고 POS 상호 간의 통신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에 의해 선불카드에 저장된 금액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 때문에 선불카드의 소지자에게 금전적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선불카드의 소지자로부터 선불카드의 발급자에 대한 클레임(claim)이 제기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공개되어 있지 않다.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에서는 아래의 3가지 사례를 포함하는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1. 오류사례 1 - 이중차감
예컨대, 편의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서 이중거래(이중차감)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잔액이 20,350원인 선불카드로 2,200원을 결제하였으나 결제 후 잔액이 15,950원으로 조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사례가 발생한 경우에, POS와 동글에서는 거래일련번호가 2회 증가하였으나 지불 거래는 1회만 발생하였고 거래총액은 2,200원만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카드데이터를 살펴보면 직전 거래의 카드잔액과 현재 거래의 직전잔액 차이가 2,200원인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POS 결제 시 두 번의 잔액차감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불 거래 요청에 의해 잔액차감이 된 상태에서 오류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오류를 보정하는 보정로직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불 재거래 요청이 다시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2. 오류사례 2 - 잔액손실
예컨대, 제과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서 이상거래(잔액손실)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잔액이 4,110원인 선불카드로 2,240원을 결제시도 하였으나 오류가 발생하여 현금 결제한 이후, 선불카드를 충전할 때 충전 전의 잔액이 1,870원으로 조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사례가 발생한 경우에, POS와 동글에서는 거래일련번호가 1회 증가하였으나 지불 거래는 0회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카드데이터를 살펴보면 직전거래의 카드잔액과 현재 거래의 직전잔액 차이가 2,240원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거래 사이에 카드거래 일련번호가 누락된 것이다. 이와 같이, POS 결제오류 시에도 잔액차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불 거래 요청에서 잔액차감 후 오류가 발생했음에도 보정로직 수행없이 거래를 종료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3. 오류사례 3 - 다중거래
예컨대, 편의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서 다중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잔액이 9,840원인 선불카드로 1,100원을 결제시도 하였으나, 동글에서 응답없이 멈춤 상태가 되어 POS에서 재시도하여 결제가 성공하였으나, 거래 후 POS에 두건의 거래가 등록되며 선불카드잔액이 7,640원으로 조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사례가 발생한 경우에, POS와 동글에서는 거래일련번호가 2회 증가하고 지불거래가 2회 발생하였으며 거래총액이 2,220원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카드데이터를 살펴보면 직전 거래의 카드잔액과 현재 거래의 직전잔액의 차이가 1,100원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거래금액이 1,100원인데, 직전 거래와 현재 거래의 카드거래 일련번호가 누락된 것이다. 즉, 1회의 거래시도 시 POS 거래가 2회 발생하고 잔액차감도 2회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해 잔액차감 후 PSAM 또는 동글의 통신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정로직 수행 없이 지불 거래 요청을 재수행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OS와 동글을 통한 선불카드의 결제과정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위와 같은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POS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선불카드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 상기 동글에게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글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류처리 보정로직은,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 및 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2 조회단계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회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상기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은, 상기 동글을 통해 상기 선불카드의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한 결과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종료하고, 상기 지불 거래가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 및 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2 조회단계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회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정로직 수행단계 이후에,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3 조회단계; 및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3 조회단계에 따른 제3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전후의 정합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선불카드의 지불 거래를 위해 상기 선불카드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과 통신하는 POS가 제공될 수 있다. 이 POS는 상기 동글과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 상기 동글에게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글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OS와 동글을 통한 선불카드의 결제과정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 및 각 과정에서 실행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순서도를 더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설명한 오류처류 보정로직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설명한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이 오류신호를 보내온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하였으나 거래는 이미 성공한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하였고 거래가 실패한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 및 각 과정에서 실행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선불카드(1)(이하, 간략히 '카드)를 소지한 고객은, 자신의 카드를 이용한 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신의 카드(1)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글(2)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동글(2)은 카드(1)를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장치로서, 펌웨어를 포함하며, 지불거래내역을 생성하고, 코드를 변환하며, 거래전문을 구성할 수 있다. POS(3)는 동글(2)과 통신하여 지불거래내역을 저장하고, 단말기정보를 구성하며, 거래전문을 맵핑할 수 있고, OCX를 제공할 수 있다. 연계서버(4)는 POS(3)와 통신하여 지불거래내역을 매입하고, 오류반송 및 재매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맹점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인증서버(5)는 연계서버(4)와 통신하여 지불거래내역을 수집하고 검증하며, 코드를 변환하고, 데이터오류를 검증하며, Sign IND를 검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HSM(H/W Security Module)(6)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로서 인증서버(5)에 적용되어 Sign IND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유통서버(7)는 인증서버(5)에 접속하여 지불거래내역을 정산하고, 반송파일을 생성하며, 오류내역을 반송하고, 거래내역을 정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거래과정에 있어서, 카드(1)는 카드 사용자가 사용관리하며, 동글(2)과 POS(3)는 제1 카드결제 유통사가 사용관리하고, 연계서버(4)는 제2 카드결제 유통사가 관리하고, 인증서버(5)와 HSM(6)과 유통서버(7)는 제3 카드결제 유통사가 사용관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내용은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3)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순서도를 더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드(1)가 동글(2)과 유/무선으로 통신을 시작하고 카드(1)가 거래를 요청하게 되면, POS(3)는 동글(2)을 통해 카드(1)로부터 카드결제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카드결제요청을 수신하면 POS(3)는 결제고유번호를 생성한다(S10). 그러면 POS(3)는 동글(2)을 통해 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한다(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1). 카드기본정보에는 거래고유번호, 카드번호, 카드잔액, 카드 최대 저장한도 금액, 카드 거래 일련번호, 카드구분코드, 카드소지자구분코드, 알고리즘ID, 이전거래의 거래유형, 이전거래의 거래금액, 이전거래의 SAM ID, 이전거래의 SAM거래일련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OS(3)는 조회된 카드기본정보를 체크하고(S12), 메모리(도 4의 12)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POS(3)는 동글(2)에게 동글(2)에게 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한다(지불 거래 요청단계)(S13). 동글(2)은 상기 지불 거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POS(3)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러면 POS(3)는 동글(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확인하여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4). 지불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졌다고 확인되면, POS(3)는 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 그 후 POS(3)는, 메모리(12)에 저장했던 거래 전의 카드기본정보와,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에 확인한 거래 후의 카드기본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거래 전후에 정합성이 있는지를 체크한다(S16). 정합성 체크 결과 정상이면 POS(3)는 거래를 생성하고(S17) 거래를 종료하고(S18), 오류가 있으면 오류종료(S40) 하며,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오류종료(S40)한다.
상술한 단계(S14)에서, POS(3)가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동글(2)이 특정 오류코드를 송신한 경우이다. 둘째, 상기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한 결과를 동글(2)로부터 수신할 수 없는 경우이다. 첫번째 경우에는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수행하게 되고, 두번째 경우에는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을 수행하게 된다. 두번째 경우에는 실제로 지불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통신장애가 발행하였을 수도 있고, 또는 통신장애가 발새하였을뿐 아니라 지불 거래도 실패하였을 수도 있다.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은 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동글(2)을 통해 다시 조회하는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그 다음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1)의 수행결과 메모리(12)에 저장되어있던 정보를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의 수행결과 얻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카드(1)로부터 카드(1)의 잔액이 차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 차감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1)로 되돌아간다(거래 재시작(S2)). 만일 차감된 경우라면 동글(2)을 통해 지불 재거래를 수행한다(S23). 이후,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24). 만일 성공한 경우에는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로 이동하지만, 실패한 경우에는 전체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한다(S40). 만일 이때 통신장애가 발생한다면 후술하는 최종거래 조회단계(S31)의 최종거래조회 단계로 이동한다.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은 지불 거래 요청단계(S13)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2)로부터 회신이 없거나(무응답) 회신이 너무 늦게 온 경우(타임아웃)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 지불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통신장애가 발행하였을 수도 있고, 다르게는 통신장애가 발생하였을뿐 아니라 지불 거래도 실패하였을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은 카드(1)의 최종거래내역을 동글(2)을 통해 조회하는 최종거래 조회단계(S3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조회결과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한 경우에는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로 이동하고, 실패한 경우에는 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동글(2)을 통해 다시 조회한다(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33). 단계(S21)의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는 단계(S33)의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한 후에, 단계(S11)의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결과 메모리(12)에 저장되어있던 정보를 단계(S33)의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결과 얻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카드(1)로부터 카드(1)의 잔액이 차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 차감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1)로 되돌아간다(거래 재시작(S2)). 만일 차감된 경우라면 동글(2)을 통해 지불 재거래를 수행한다(S35). 이후,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36). 만일 성공한 경우에는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로 이동하지만, 실패한 경우에는 전체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한다(S40).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1)가 시작되면 우선 동글(2)을 통해 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한다(S410).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API 수행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는 체크하는 단계(S411)에서, 동글(2)로부터 오류신호가 전송되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S412)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단계(S410)을 수행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하게 된다(S430). 재시도 3회 이후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면 오류종료(S40)한다. 단계(S411)에서 API 수행결과가 성공적이면 단말기 운영정보(11)를 이용하여 발행사 ID 제어정보를 체크한다(S420). 그 다음, 카드정보가 제어할 발행사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21),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S42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류종료(S40)한다. 만일 일치하지 않는다면, 카드 최대 저장한도(예컨대 50만원)를 체크하고(S440) 카드잔액이 카드 최대 저장한도를 초과하는 여부를 체크한다(S441).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S44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류종료(S40)한다. 만일 초과하지 않는다면 카드잔액과 결제금액을 체크하여(S450) 카드잔액이 결제금액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451). 많지 않다고 확인되면 단계(S45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려하고 오류종료(S40)한다. 만일 많다고 확인되면 확인된 카드기본정보를 POS(3)의 메모리(12)에 저장하고(S460) 카드정보체크(S12)를 종료한다(S470). 그 이후 POS(3)는 동글(2)을 통해 지불 거래를 요청(S13)을 하게 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 S33)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 S33)가 시작되면 우선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510)가 수행되고, 이를 위한 API 수행결과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511). 성공적이면 카드번호를 체크한다(S520). 만일 API 수행결과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통신장애가 발행하면 단계(S512)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S510)으로부터 시작되는 프로세스를 최대 3번까지 다시 시도한다(S530). 3번의 시도 동안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면 오류종료(S40)한다. 단계(S520)에서 카드번호체크를 위하여, 상술한 단계(S460)을 통해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거래 전 카드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카드번호를 체크하고 나서 거래 전과 거래 중의 카드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521). 카드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S52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510)로부터 시작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최대 3회 반복할 수 있다(S530). 3번의 시도동안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면 오류종료(S40)한다. 단계(S521)에서 카드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카드잔액을 체크하여(S530) 거래 중 카드잔액이 거래 전 카드잔액에서 결제금액을 뺀 금액과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한다(S531). 동일하면 카드잔액을 차감하고 카드정보체크를 종료하고(S532) 지불 재거래를 요청한다(S23). 만일 동일하지 않으면 카드잔액을 차감하지 않고 카드정보체크를 종료(S533)한 이후에 거래를 재시작(S2)하거나 종료한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의 수행방법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가 시작되면 우선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610)가 수행되고, 이를 위한 API 수행결과를 체크한다(S611). 체크 결과가 성공적이면 카드번호를 체크한다(S620). 만일 API 수행결과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통신장애가 발행하면 단계(S612)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S610)으로부터 시작되는 프로세스를 최대 3번까지 다시 시도한다(S630). 3번의 시도 동안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면 카드정보체크를 종료하고(S644), 거래를 저장한(S650) 이후 거래를 정상종료(S660)한다. 단계(S620)에서 카드번호체크를 위하여, 상술한 단계(S460)을 통해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카드번호체크 단계 이후에, 거래 전과 거래 후의 카드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621). 카드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S62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류종료(S622)한다. 만일 카드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카드잔액을 체크할 수 있다(S640). 이때, 카드잔액의 체크를 위해, 상술한 단계(S460)을 통해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거래 후 카드잔액이 거래 전 카드잔액에서 결제금액을 뺀 금액과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한다(S641). 동일하면 카드잔액을 정상차감하고 카드정보체크를 종료하고(S643) 거래를 저장(S650)한 이후 거래를 정상종료(S660)한다. 만일 동일하지 않다면 단계(S642)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류종료(S40)한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설명한 오류처류 보정로직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은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그 다음 상술한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1)의 수행결과 메모리(12)에 저장되어있던 정보를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21)의 수행결과 얻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카드(1)로부터 카드(1)의 잔액이 차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 차감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S11)로 되돌아간다(거래 재시작(도 3의 S2). 만일 차감된 경우라면 동글(2)을 통해 지불 재거래를 수행한다(S23). 이후,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24). 만일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S25)로 이동하여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하지만, 실패한 경우에는 전체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한다(S40). 만일 단계(S24)에서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한다면 후술하는 최종거래 조회단계(S731)로 이동한다. 최종거래 조회단계(S731)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카드(1)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32). 정상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단계(S25)로 이동하여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한다. 거래가 실패한 경우라면 또 다른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721)로 이동하여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잔액이 차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23). 잔액이 차감된 것으로 확인되면 동글(2)을 통해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게된다. 지불 재거래(S723) 결과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4).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S25)로 이동하여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하지만,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오류종료(S40)한다. 단계(S722)에서 잔액이 미차감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동글(2)로부터 오류신호가 수신되었거나 또는 동글(2)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오류종료(S20)할 수 있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설명한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은 최종거래 조회단계(S3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최종거래 조회단계(S31)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카드(1)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 정상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단계(S37)로 이동하여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한다. 거래가 실패한 경우라면 또 다른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33)로 이동하여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잔액이 차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 잔액이 차감된 것으로 확인되면 동글(2)을 통해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게 된다(S35). 지불 재거래(S35) 결과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S37)로 이동하여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하고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로 이동한다. 단계(S36)에서 재거래에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오류종료(S40) 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S32)에서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 또는 단계(S34)에서 동글(2)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였거나 오류응답을 받은 경우에도 오류종료(S40) 한다.
도 9는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이 오류신호를 보내온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카드(1)의 사용자로부터 동글(2)을 통해 카드결제요청이 발생하면 POS(3)는 거래고유번호를 생성한다(S10). POS(3)와 동글(2) 사이에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 메시지가 송수신(S11) 된 후에, POS(3)는 카드정보를 체크한다(S12). 체크된 정보는 메모리(12)에 저장된다. 도 9의 예에서는 POS(3)가 동글(2)에게 송신한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2)이 지불 오류 응답을 보내온 경우를 나타낸다(S13). 그 후 POS(3)와 동글(2) 사이에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 메시지가 송수신(S21)되면서 카드점검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512, S522). 그 후 POS(3)는 카드정보를 체크(S22)할 수 있는데, 이때 구체적으로는 카드번호, 카드잔액, 거래고유번호 및 카드 거래일련번호 등을 체크할 수 있다. 그 후 POS(3)와 동글(2) 사이에 지불 재거래 요청 및 응답 메시지가 송수신(S23)될 수 있는데, 이때 카드 잔액의 차감 및 카드 거래일련번호의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 거래 정합성 체크단계(S16), 거래생성단계(거래내역 저장단계)(S17), 거래종료단계(결제완료단계)(S18)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로서 거래가 이미 성공한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카드(1)의 사용자로부터 동글(2)을 통해 카드결제요청이 발생하면 POS(3)는 거래고유번호를 생성한다(S10). POS(3)와 동글(2) 사이에 거래 전 카드기본정보 조회 메시지가 송수신(S11) 된 후에, POS(3)는 카드정보를 체크한다(S12). 체크된 정보는 메모리(12)에 저장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POS(3)가 동글(2)에게 송신한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2)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S13).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이 수행된다. 통신장애 보정로직(30)에서 POS(3)와 동글(2) 사이에 최종거래 조회요청신호 및 이에 대한 응답신호가 송수신(S31)될 수 있고, 그 후 거래내역정보를 체크(S32)할 수 있다. 단계(S32)에서는 구체적으로 거래고유번호, 카드번호, 카드잔액, 및 카드 거래일련번호 등이 체크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이미 거래가 성공하였으나, 단지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단계(S32)에서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면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 거래 정합성 체크단계(S16), 거래생성단계(거래내역 저장단계)(S17), 및 거래종료단계(결제완료단계)(S18)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지불 거래 요청에 대하여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로서 거래가 실패한 경우에 있어서 POS와 동글 간의 API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이 수행되므로 도 10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의 거래내역정보 체크단계(S34)와 거래 후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15) 사이에,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33), 카드정보 체크단계(S34), 및 지불 재거래 단계(S35)가 추가된다. 거래 중 카드기본정보 조회단계(S33)에 의해 카드점검 안내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S512, S522). 그리고 카드정보 체크단계(S34)에서는 구체적으로 카드번호, 카드잔액, 거래고유번호 및 카드 거래일련번호가 체크될 수 있다. 그리고 지불 재거래 단계(S35)에 의해 카드(1)의 잔액이 차감되고, 카드 거래일련번호가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OS(3)에서 선불카드(1)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선불카드(1)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2)을 통하여 선불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S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동글(2)에게 선불카드(1)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13)을 포함한다, 그리고 동글(2)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수행하고, 동글(2)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은, 동글(2)을 통하여 선불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S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회단계(S11)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제2 조회단계(S21)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지불 거래 요청에 의해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22)에서,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제1 조회단계(S11)를 다시 수행하고,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동글(2)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S23)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오류처리 보정로직(20)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은, 동글(2)을 통해 선불카드(1)의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하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한 결과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32)에서,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지불 거래가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동글(2)을 통하여 선불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S33) 및 제1 조회단계(S11)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제2 조회단계(S33)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34)에서,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제1 조회단계(S11)를 다시 수행하고, 선불카드(1)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동글(2)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S35)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통신장애 보정로직(30)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보정로직 수행단계 이후에, 동글(2)을 통하여 선불카드(1)의 카드기본정보를 또 다시 조회하는 제3 조회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회단계(S11)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제3 조회단계(S15)에 따른 제3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선불카드(1)를 이용한 거래 전후의 정합성을 체크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POS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선불카드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
    상기 동글에게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글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오류의 처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수행하고, 상기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통신장애의 처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
    를 포함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처리 보정로직은,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 및 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2 조회단계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회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상기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은, 상기 동글을 통해 상기 선불카드의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거래내역을 조회한 결과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거래가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종료하고,
    상기 지불 거래가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다시 조회하는 제2 조회단계; 및 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2 조회단계에 따른 제2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조회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선불카드의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지불 재거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재거래가 실패한 경우 상기 거래 프로세스를 오류종료하고, 상기 지불 재거래가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로직 수행단계 이후에,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3 조회단계; 및상기 제1 조회단계에 따른 제1 조회결과와 상기 제3 조회단계에 따른 제3 조회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전후의 정합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10. 선불카드의 지불 거래를 위해 상기 선불카드와 직접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동글과 통신하는 POS로서,
    상기 동글과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동글을 통하여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기본정보를 조회하는 제1 조회단계, 상기 동글에게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글로부터 오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오류의 처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오류처리 보정로직을 수행하고, 상기 동글과의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통신장애의 처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통신장애 보정로직을 수행하는 보정로직 수행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선불카드에 액세스할 수 있는 POS.




KR1020120133018A 2012-11-22 2012-11-22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KR10142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018A KR101421662B1 (ko) 2012-11-22 2012-11-22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018A KR101421662B1 (ko) 2012-11-22 2012-11-22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30A KR20140065930A (ko) 2014-05-30
KR101421662B1 true KR101421662B1 (ko) 2014-07-22

Family

ID=5089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018A KR101421662B1 (ko) 2012-11-22 2012-11-22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9874B2 (ja) * 2014-09-30 2019-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230153713A (ko) * 2022-04-29 2023-11-07 쿠팡 주식회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965A (ko) * 1991-02-21 1992-09-25 정용문 퍼스날 컴퓨터를 이용한 pos시스템의 에러처리 방법
KR20000024373A (ko) * 2000-02-10 2000-05-06 차우식 무선통신망 및 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신용카드 거래승인 방법과, 유무선 인터넷용 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965A (ko) * 1991-02-21 1992-09-25 정용문 퍼스날 컴퓨터를 이용한 pos시스템의 에러처리 방법
KR20000024373A (ko) * 2000-02-10 2000-05-06 차우식 무선통신망 및 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신용카드 거래승인 방법과, 유무선 인터넷용 웹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30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177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n interaction time for a contactless transaction
US20200349534A1 (en) Secure offline approval of initiated data exchanges
WO201510392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money transfer
US8364584B2 (en) Dynamic currenc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EP3308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users, in connection with transactions using payment devices
CN104616137A (zh) 安全支付方法、服务器及系统
WO2017118306A1 (zh) 业务回退方法及装置
JP5780366B2 (ja) 決済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記録媒体、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21662B1 (ko) 유통지불오류 처리방법
CN111476554A (zh) 弱网环境下的组合支付系统及方法、收银机、存储介质
US20200160369A1 (en) Loyalty reward selection and management
KR101771487B1 (ko) 앱 기반의 전자 지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지불방법
KR101099441B1 (ko) 신용카드 결제데이터의 불법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702609A (zh) 中程读取器交互
IES980562A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repayment of a mobile telephone account
US20190066091A1 (en) System for verifying a user of a payment device
JP7221927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4827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7027287A (ja) 取引システム、icカード、店舗端末及び取引方法
KR101138965B1 (ko) 수수료 쿠폰을 이용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6206925A (ja) Icカード、店舗端末、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方法
JP2020086752A (ja) 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決済処理方法
KR20110026338A (ko) 실시간 선불카드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1573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40688A (ja) 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決済端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