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583B1 -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583B1
KR101421583B1 KR1020120011505A KR20120011505A KR101421583B1 KR 101421583 B1 KR101421583 B1 KR 101421583B1 KR 1020120011505 A KR1020120011505 A KR 1020120011505A KR 20120011505 A KR20120011505 A KR 20120011505A KR 101421583 B1 KR101421583 B1 KR 10142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mineral
juic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294A (ko
Inventor
손봉준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앤라이프
Priority to KR102012001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5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은 (a) 무와 양파를 각각 분쇄 및 압착하여 무즙 및 양파즙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무즙과 양파즙을 110 내지 130 대 1 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액에 광물성 유황을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광물성 유황이 추가된 혼합액을 상온 상태에서 36 내지 48 시간 동안 교반 및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 이후, 무독성 유황을 포함한 혼합액에 대한 관능 검사 및 소성 검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유기질 액화비료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의 중량비를 1500 내지 3500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 상기 광물성 유황의 중량비는 180 내지 45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비료 및 농약을 대체하여 농작물에 직접 적용함으로서 화학비료 및 농약의 남용에 의한 환경오염 및 생태계 혼란을 방지 또는 예방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 및 천연 무독황 액화비료로서 생산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Description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ferfilizer including agricultural product and sulfur eliminated noxious ingredient}
본 발명은 발효 숙성된 혼합 액체 비료의 주성분인 각종 분해 효소와 유효 성분들이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비료의 효율 개선하고, 광물성 무독황의 강한 항균력으로 각종 바이러스 등 미생물에 의한 감염예방, 병충해로부터의 면역력 증강 및 토양의 산성화 예방 등을 수행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유황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및 휘발성이 향상된 숙성 발효된 무즙와 양파즙의 혼합물에 첨가된 광물성 유황이 자연 반응하도록 유도하는 과정을 통하여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한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유황비료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 농산물 재배시 사용되는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량 증가로 농약 잔류 및 그에 따른 내성이 강한 각종 바이러스 등 미생물의 출현으로 농가와 농산물에 생산저하 및 중독 등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뿐 아니라 토양의 산성화로 향후의 작황에도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 소비자가 건강한 먹거리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변형 바이러스 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 및 자연 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농산물 재배시 발생하는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친환경 천연비료 등의 개발에 그 해결점을 찾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술적 문제 및 비용을 현실화하여 농산물 자체의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화학비료 및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경제성장에 따른 건강한 국민 식생활과 농가의 재배 환경의 개선이 필연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건강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정부의 정책 의지가 높은 가운데 화학비료 및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역할을 친환경 천연비료가 해결해줘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 농약 잔류물, 중금속 함유, 각종 병원균이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농산물 재배시 건강하고 면역력이 강한 농산물 생산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 건강식의 일종으로 유기농 및 친환경 농산물이 보급되고 있으나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그 가치도 완전 친환경 생산방식을 따를 수 없기 때문에 생산비용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이라 필연적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한편, 전통적으로 극소량 유황을 농법에 적용하여 실시한 예가 간혹 있으나 이는 생산자 또는 연구자의 경험에 의해 생산토양 및 농작물 작황의 상황에 따라 유황을 급여하는 방법으로서 간혹 무분별하게 제기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유황을 농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들의 상용성이 높지 않고 단지 첨가한 것에만 의미를 두어 실질적인 효과가 의심스러울 수 있다. 더불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유황의 제독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성분들을 잘 담체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한 실정인 관계로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종래문헌을 참조하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39663호에서 "유황의 독성 제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무독황"을 제공하는데, 상기 특허문헌은 무즙, 생강 및 무박가루에 가루화된 광물성 유황을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하고, 적정 온도에서 유지 및 정체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무독성 유황을 제조하는 것을 제시한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다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서 농작물의 생육을 향상하기 위하여 무독성 유황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비료 및 농약의 남용에 의한 환경오염 및 생태계 혼란을 방지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 흡수성 및 휘발성이 향상된 숙성 발효된 무즙와 양파즙의 혼합물에 첨가된 광물성 유황이 자연 반응하도록 유도하는 과정을 통하여 천연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한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유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a) 무와 양파를 각각 분쇄 및 압착하여 무즙 및 양파즙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무즙과 양파즙을 중량비로서 110 내지 130 대 1 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액에 광물성 유황을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광물성 유황이 추가된 혼합액을 상온 상태에서 36 내지 48 시간 동안 교반 및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 이후, 무독성 유황을 포함한 혼합액에 대한 관능 검사 및 소성 검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유기질 액화비료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의 중량비를 1500 내지 3500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 상기 광물성 유황의 중량비는 180 내지 45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 (e) 상기 무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박을 별도로 회수하는 단계; 상기 (c) 단계 이후, (f)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무독성 황을 별도로 회수하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에서 회수된 상기 무박과 상기 (f) 단계에서 회수된 상기 무독성 황을 혼합한 후 55도 내지 60도의 저온상태에서 36 내지 48시간 동안 멸균 건조하여 과립형 친환경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무박의 중량비를 1000 내지 1500 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 상기 광물성 유황의 중량비는 10 내지 15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은, (h) 상기 (f) 단계에서 회수된 무독성 황을 저온 건조 및 분말화하여 단미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친환경 유기질 액화비료를 생산 농가에 적용하였을 경우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면역력 증강으로 그 품질과 수확량이 향상되는 개선 효과가 탁월하며, 바이러스성 풍토병 및 병충해 예방 효과에 기능성 웰빙 농산물 생산과 토양의 산성화 예방 등 그 효과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비료 및 농약을 대체하여 농작물에 직접 적용함으로서 화학비료 및 농약의 남용에 의한 환경오염 및 생태계 혼란을 방지 또는 예방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 및 천연 무독황 액화비료로서 생산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또한, 생산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로 생산 농산물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과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한편,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에 포함된 광물성 무독황 및 다른 혼합물인 무즙와 양파즙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 간의 상용성을 높이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친환경 천연 소재를 응용한 제조기술로서 농작물의 생산 환경을 좋게 한다. 즉, 생산 토양의 산성화 방지 및 농작물의 풍토병으로부터 예방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무독황 및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물을 담체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무독황을 포함하는 과립형 유기질 비료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물성 유황의 제조에 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효과의 입증이 미비하고, 매우 많은 원료와 전처리 공정이 번거로우며, 그 제조공정 또한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무즙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황의 독성을 제거함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기작으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해명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여러 가지 성분들을 첨가하여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시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물성 유황은 무기광물로서 무미, 무취의 담황색 결정체이고, 전연체이며, 물 또는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으며, 가열 용융시 황색의 액체로 변하고, 지속적으로 더 가열하면 갈색의 점질이 된다. 상기 광물성 유황은 연소시 청색의 불꽃을 내며, 관련 화합물로서는 황화철, 황화동, 황화연 등이 있고, 성냥, 화약의 원료 및 약용, 표백용으로 사용된다. 광물성 유황의 물성으로는 113℃의 융점, 445℃의 비점, 및 2.07의 비중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최적의 방안을 도출한다. 본 발명에서 착안한 점은 무즙과 양파즙의 휘발성이 강하다는 점, 각종 분해 효소들이 존재하므로 발효 숙성과정에서 광물성 유황의 유해 물질이 가스화되어 제거된다는 점, 및 단일 원소인 유황(S)을 안정화 또는 유기화하여 광물성 무독황(S-C)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즙과 양파즙(특히, 신선한 근에서 추출한 즙)은 전통적으로 인간의 먹거리로 재배 음복해왔던 농산물로 그 유해성이나 효능에 관해서는 논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는 식품이므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농산물 및 광물성 무독황이 함유된 친환경 유기질 비료인 천연유황 액체비료는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발효숙성된 무즙과 양파즙이 에멀젼화된 NANO 유황과의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유황 액체비료를 각종 식물에 엽면시비 혹은 일반적인 살포를 하였을 때 식물에 작용하는 생육촉진 반응 등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황 액체비료는 제조시 사용되는 주성분인 무즙과 양파즙의 매운맛과 독특한 냄새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유황 화합물의 일종인 페닐에칠이소치오시아네이트(PEITC, phenylenthylisothiocya-nate), 각종 분해효소 및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부터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황 액체비료에 함유된 광물성 무독황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지구상에 존재하는 원소들 중에 연소되는 화학적 성질을 보유한 2개의 원소(탄소, 유황) 중 하나이며, 다른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매우 잘하는 독립된 단일 개체로 이루어진 원소이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천연유황 액체비료를 생산시 광물성 유황을 무와 양파의 혼합즙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과정에서 상호 물질 충돌과 반응에 의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의 화학적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 미립자화 한 유황(즉, 에멀젼화 된 Nano S+)은 빛, 온도 등 외부적인 에너지에 의한 화학반응에 의거 각종 식물 잎의 기공,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장된 영양소의 활성화를 극대화해주므로 작물의 생육 및 생장 촉진에 영향을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상의 각종 에너지에 따라 반응하는 영양학적 화학반응식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화학반응식 1은 명반응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고, 화학반응식 2는 암반응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화학반응식 1>
12H2O + 6CO2 + (PEITC - Nano S2) => C6H12O6S2-(PEITC - Nano S+) + 6O2 + 6H2O
<화학반응식 2>
6CO2 + 12NADPH2-S2(PEITC + Nano S+) => 12NADP + 6H2O + C6H12O6S2-(PEITC - Nano S+)
상기의 명반응 및 암반응에 대한 화학 반응식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연유황 액체비료가 식물에 흡수되는 경로와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물의 생육 및 생장 촉진에 유익한 반응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
천연유황 액체비료의 제조에 대한 설명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세척된 무와 양파를 준비하고 각각 분쇄를 시행한 후에 녹즙기기로 각각 압착하여 무와 양파를 혼합즙 상태를 만든다(S10).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 무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박을 별도로 회수할 수 있다(S20).
상기 S10 단계에서 제조된 무즙과 양파즙을 적정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에, 유황을 투입한다(S30). 상기 S30 단계에서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 비율은 일 예로 중량비로서 110 대 1 내지 130 대 1의 혼합 비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물이 광물성 유황과 혼합되는 경우에 그 혼합비율을 중량비로 계산하는 경우에 혼합물의 중량이 1500kg 내지 3500kg의 범위이고, 광물성 유황의 중량은 180kg 내지 450kg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의 무즙, 양파즙 및 광물성 유황의 혼합물은 교반기에 투입되어진 후 상온 상태로 숙성 및 발효된다(S40). 상기 S40 단계에서 숙성 및 발효되는 시간은 일예로서 36 내지 48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 시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 단계의 숙성 및 발효 과정에서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무독성 황은 별도로 회수할 수 있다(S50). 즉,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에 용해 가능한 광물성 유황은 그 용해도로 한정되는바, 상기의 용해도를 넘는 광물성 유황은 표면이 코팅 처리된 상태로 혼합액 하부에 침전하게 된다.
무독성 황이 제거된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관능 검사 및 소성 검사가 행해질 수 있다(S60).
상기 S40 단계 이후, 무독성 황이 제거된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물은 친환경 천연 유기질 액화비료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소분·용기 포장 후(S70), 출하하게 된다(S80).
과립화된 천연유황 비료의 제조에 대한 설명
다음으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과립화된 친환경 천연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S20 단계에서 회수된 무박과 S50 단계에서 회수된 광물성 무독황을 적정 비율로 혼합한다(S110). 무박은 수분이 잔존하는 상태로서 추가적으로 건조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한 후에 광물성 무독황을 혼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박의 중량비를 1000kg 내지 1500kg 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 상기 광물성 유황의 중량비는 10kg 내지 150kg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의 혼합된 무박 및 광물성 무독황은 저온 상태에서 건조되는 과정을 거친다(S120). 여기에서 건조 온도는 55℃ 내지 60℃의 범위일 수 있고, 건조 시간은 36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 이후, 무박 및 광물성 무독황의 혼합물은 과립형 친환경 천연 유기질 비료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소분·용기 포장 후(S130), 출하하게 된다(S140).
한편, 본 발명은 S50 단계에서 회수된 무독성 황 자체를 저온 건조 후 분말화하여 순도 98% 정도의 단미사료로 제조할 수 있다.
광물성 무독황의 유해금속의 함유여부
상기 제조한 광물성 무독황을 질산용액을 이용하여 전 처리한 다음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여 매스(mass)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납, 카드뮴, 크롬, 수은, 세레늄, 비소 등이 거의 피크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로 나타났다.
숙성 발효된 순수 무즙와 양파즙의 혼합물에 대한 유해물질의 함유여부
APHA 20th Edition 1998 시험방법에 의거 분석한 결과 As(비소)가 0.12mg/L 검출되었으나, 이는 3ppm 이하로 분석 특성상 미량으로 오차범위 내에 속하여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에 적용시 나타나는 중요한 효과
본 발명의 액화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 비료)를 일정한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농작물에 적용하여 시험 재배한 결과 적용 농산물의 성장촉진과 병충해에 강한 살균 효과 및 품질의 향상으로 맛과 영양의 정도가 확연히 변화된 점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쌀, 찹쌀 등 논작물과 고추, 부추, 상추, 배추, 무, 토마토, 참외 등 밭작물과 감, 배, 사과, 포도 등 과실수 등에 응용 적용한 시험 결과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참고로 그 동안 시험 결과 중 최근인 2008년에서 2011년 말까지 시험 재배에 적용한 사례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표 1은 켐벨포도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천연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비료)를 물로 50 배 희석하여 옆면 시비한 결과를 조사하여 평균적인 것을 나타낸다.
적용회수 포도 클러스터 무게(g) 당도(%) 산도(%)
0 311 12.0 0.96
1 319 12.3 0.95
2 325 12.9 0.87
포도과실의 전체적인 성장촉진과 당도의 일부 증가 및 산도의 일부 감소를 나타내 포도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기타 과수류 중 연질과수 즉, 사과나 복숭아 배 등에서도 본 발명의 천연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시비효과는 잘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산도는 낮아진 반면 당도는 높아졌으며, 특히 복숭아의 경우 증수 증가율이 높았다.
본 발명의 천연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비료)가 마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볏집, 퇴비, 유황액비, 소석회 등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종류 피루브산(uM/g) 인덱스
퇴비 21.86 100
볏집+소석회 23.98 110
볏집+소석회+유황액체비료 26.80 123
퇴비+소석회 23.98 110
퇴비+소석회+유황액체비료 28.06 128
마늘 특유의 매운 맛 주성분인 Allinin은 품질의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저장성에도 관여되며, 이러한 Allinin의 분해산물인 Pyruvic Acid의 함량은 유황액비의 사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yruvic Acid의 함량이 많을 경우 부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천연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 비료)가 논농사(벼/품종 황금누리)의 생육발육 및 병충해 예방 등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종의 품종을 동일한 지역 및 조건하에 기존방식과 비교 재배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의 표3과 같다.
품종: 황금누리 대조군
(기존 방식 재배)
처리군
(천연유황액비 적용)
차이점 및 효과
볏씨 발아 시기 보통, 불규칙 발아 시간 단축 Loss율이 저하
묘종(모내기) 생장율 불규칙 생장율의 균일화 생장속도의 균일화
모) 이앙기의 효율 모의 불규칙성
으로 인한 작업율 저하
이앙 효율 최적화 모의 균일화 및 뿌리와 묘종의 튼실화로 작업효율 상승
벼의 생장발육 보통 대조군보다 생장발육 속도가 효율적으로 높고, 벼 낱알의 수가 증가 우기가 지난 후 엽면 시비 2차 실시한 결과
병충해와 풍토병에 관한 비교 보통, 약 10~80% 병충해 및 풍토병
으로 생산량 잠식
면역성 증가로 병충해 예방으로 생산량 증대 풍토병인 벼잎마른병에 대한 피해가 없었다
생장, 수확기의 벼 낱알의 상태 약간 검고 낱알 수가 적다 맑고 대조군보다 낱알 수가 많음 관능검사를 하여도 확연히 차이남
도정 후 품질상태 낱알의 검고 불투명 낱알이 맑고 투명 관능검사
도정 후 향미(일반 취사 경우) 보통 대조군보다 쌀밥이 찰지고 끈기가 향상되어 보존 시간이 늘어남 관능검사
처리군은 천연유황액비(친환경 유기질 비료)는 각 시기마다 지하수에 50배수 희석하여 엽면시비 하였으며, 벼 작물에 대한 시험재배 기간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으로 위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인 농작물의 특성이 향상됨을 보여주며, 이는 농작물의 재배 환경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기타 병충해 등에 농약과 화학비료를 적극 대체 할 수 있는 천연액비로 재배 환경의 위해요소를 제거하여 주고, 작물의 신선도 상태 및 성장촉진과 병충해 등의 방지로 21세기 웰빙을 추구하는 농산물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무와 양파를 각각 분쇄 및 압착하여 무즙 및 양파즙을 생산하고, 상기의 생산된 무즙과 양파즙을 중량비로서 110 대 1 내지 130 대 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액에 광물성 유황을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광물성 유황이 추가된 혼합액을 상온 상태에서 36 내지 48 시간 동안 교반 및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 이후, 무독성 유황을 포함한 혼합액에 대한 관능 검사 및 소성 검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유기질 액화비료를 생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e) 상기 무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박을 별도로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f)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액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무독성 황을 별도로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무즙과 양파즙의 혼합물 대 상기 광물성 유황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서 1500 내지 3500의 범위 대 180 내지 4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은,
    (g) 상기 (e) 단계에서 회수된 상기 무박과 상기 (f) 단계에서 회수된 상기 무독성 황을 혼합한 후 55도 내지 60도의 저온상태에서 36 내지 48시간 동안 멸균 건조하여 과립형 친환경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무박 대 상기 광물성 유황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서 1000 내지 1500의 범위 대 10 내지 1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은,
    (h) 상기 (f) 단계에서 회수된 무독성 황을 저온 건조 및 분말화하여 단미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20120011505A 2012-02-03 2012-02-03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10142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05A KR101421583B1 (ko) 2012-02-03 2012-02-03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05A KR101421583B1 (ko) 2012-02-03 2012-02-03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94A KR20130090294A (ko) 2013-08-13
KR101421583B1 true KR101421583B1 (ko) 2014-07-24

Family

ID=4921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505A KR101421583B1 (ko) 2012-02-03 2012-02-03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11B1 (ko) 2001-10-08 2005-03-07 황보룡 마늘, 양파, 파, 산초, 매실, 고추엑기스와「후라보노이드」를 이용한 기피성 천연농약제조방법
KR20060108962A (ko) * 2005-04-14 2006-10-19 박도명 유황의 독성 제거 방법,장치 및 무독성유황
KR20090089009A (ko) * 2008-02-18 2009-08-21 박운순 무즙을 포함하는 액화유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42432B1 (ko) * 2010-12-13 2011-06-16 손봉준 유해성분이 제거된 광물성 무독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항생제 친환경 가축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11B1 (ko) 2001-10-08 2005-03-07 황보룡 마늘, 양파, 파, 산초, 매실, 고추엑기스와「후라보노이드」를 이용한 기피성 천연농약제조방법
KR20060108962A (ko) * 2005-04-14 2006-10-19 박도명 유황의 독성 제거 방법,장치 및 무독성유황
KR20090089009A (ko) * 2008-02-18 2009-08-21 박운순 무즙을 포함하는 액화유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42432B1 (ko) * 2010-12-13 2011-06-16 손봉준 유해성분이 제거된 광물성 무독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항생제 친환경 가축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94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038B1 (ko) 유황비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비료
CN106995342A (zh) 一种土壤调理剂及其制备和应用方法
CN104262017A (zh) 高粱专用复合肥
CN107056487A (zh) 一种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KR20080069953A (ko) 담배부산물을 이용한 뿌리혹병 예방 또는 치료용 비료 및그 제조방법
CN101507400A (zh) 一种控制水稻重金属镉积累的方法
Yooyen et al. Increasing yield of soybean by adding biochar
CN105123759A (zh) 耐盐碱植物生长促进剂
CN102276350B (zh) 一种甘蔗蘸种剂
CN107384429A (zh) 用于缓解苹果苦痘病的土壤调理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4892289A (zh) 一种烟草专用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11233561A (zh) 一种生物质秸秆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10105963A (zh) 一种高效多功能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461475A (zh) 一种甜菊有机肥及其制备工艺
Petek et al. Status of Fe, Mn and Zn in red beet due to fertilization and environment
Jaggi Sulphur levels and sources affecting yield and yield attributes in onion (Allium cepa)
CN104326821B (zh) 一种香蕉秆叶有机肥及制作方法
CN106007895A (zh) 一种城市污水淤泥水稻育苗基质及其生产方法及应用
KR20100024619A (ko) 유기양파 재배에 적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844380B (zh) 一种适合薯类植物的有机复合肥料
CN100486935C (zh) 甜菊有机肥及其生产方法
KR101421583B1 (ko) 농산물 및 무독황을 포함하는 친환경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CN109384605A (zh) 一种秋季菠菜化肥及其制备方法
KR101872494B1 (ko) 작물 생육 촉진용 영양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Singh et al. Effect of varying level of diversification and intensification of rice-wheat cropping system on the production potential and nutrient balance of soil in Indo-Gangetic Plain of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