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97B1 -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97B1
KR101421297B1 KR1020080003185A KR20080003185A KR101421297B1 KR 101421297 B1 KR101421297 B1 KR 101421297B1 KR 1020080003185 A KR1020080003185 A KR 1020080003185A KR 20080003185 A KR20080003185 A KR 20080003185A KR 101421297 B1 KR101421297 B1 KR 10142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ell
sequence
band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781A (ko
Inventor
김기태
오성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US12/188,159 priority Critical patent/US8204012B2/en
Publication of KR2009001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며,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며, 상기 가용 주파수 대역은 A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며, 1개의 세그먼트는 B개의 부분 대역으로 구분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C개의 채널로 구분되며,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상기 A개의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IFR 방식, 주파수 재사용 계수, 세그먼트 시퀀스, ICI, 부분 대역, 세그먼트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ING FREQUENCY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수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들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셀들을 포함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제한된 자원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채널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주파수 재사용 방식은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 구조에 특별한 변경을 주지 않고도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것은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등과 같은 간섭 측면에서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주파수 자원 효 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의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며, 상기 가용 주파수 대역은 A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며, 1개의 세그먼트는 B개의 부분 대역으로 구분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C개의 채널로 구분되며,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상기 A개의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을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에 기반하여 일련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이용하여 기준 주파수 부하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부분 대역들 중 상기 기준 주파수 부하율 이하에서는 각 셀 별로 인접하는 셀들이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는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각 셀 별로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이 먼저 할당되도록 할당 시퀀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 시퀀스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시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며, 상기 가용 주파수 대역은 A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며, 1개의 세그먼트는 B개의 부분 대역으로 구분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C개의 채널로 구분되며,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상기 A개의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을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에 기반하여 일련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이용하여 기준 주파수 부하율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대역들 중 상기 기준 주파수 부하율 이하에서는 각 셀 별로 인접하는 셀들이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는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을 정의하고, 상기 각 셀 별로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이 먼저 할당되도록 할당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 시퀀스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시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ICI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이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조정 동작만을 통해 ICI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다 양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세그먼트 시퀀스를 결정함으로써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상황에 적합하게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각 셀이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 사용 동작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사용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셀들 각각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효율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 1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감소할수록 인접 셀들로부터의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 이하 'ICI'라 칭하기로 한다)이 증가하기 때문에,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은 상기 ICI로 인해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ICI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 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계적 주파수 재사용(IFR: Incremental Frequency Reuse, 이하 'IFR'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제안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FR 방식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용어에 대해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용 주파수 대역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이 사용하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1이며, 따라서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자원은 동일하다. 여기서,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자원을 '가용 주파수 대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2) 채널(channel), 부분 대역, 세그먼트(segment)
1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1개의 부분 대역을 포함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적어도 1개의 채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부분 대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용 주파수 대역은 다수개, 일 예로 N개의 부분 대역들로 구분되며, 상기 N개의 부분 대역 각각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1개의 부분 대역이 포함하는 채널의 개수 역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1개의 부분 대역이 다수개의 채널들을 포함할 경우, 그 다수개의 채널들은 물리적으로 연속할 수도 있고,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1개의 세그먼트가 다수개의 부분 대역들을 포함할 경우, 그 다수개의 부분 대역들은 물리적으로 연속할 수도 있고,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부분 대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사용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은 모든 세그먼트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사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즉, 도 1a에서는 1개의 세그먼트가 1개의 부분 대역을 포함하고, N개의 세그먼트들, 즉 제1세그먼트 내지 제N세그먼트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다.
도 1a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b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을 사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즉, 도 1b에서는 1개의 세그먼트가 1개의 부분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2개의 부분 대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M개의 세그먼트들, 즉 제1세그먼트 내지 제M세그먼트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 일 예로, 제1세그먼트는 1개의 부분 대역을 포함하고, 제2세그먼트는 2개 의 부분 대역들을 포함하여 그 크기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각 셀에서는 부분 대역 혹은 세그먼트 단위로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c에 나타내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단위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에는 세그먼트 단위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 세그먼트별로 송신 전력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각 세그먼트별로 송신 전력이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c에서 제1세그먼트 내지 제4세그먼트는 현재 사용중인 세그먼트를 나타내며, 미사용 세그먼트는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는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이다. 즉, 각 셀에서는 각 셀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세그먼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의 길이는 각 셀에서 사용 가능한 세그먼트의 개수와 동일하게 된다.
도 2에서는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로 도시되어 있으 며, 세그먼트 시퀀스가 a1a2a3 ... aN이고,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 a1a2a3 ... aN에 상응하게 세그먼트들이 할당된다. 즉, 세그먼트 시퀀스가 a1a2a3 ... aN이므로 세그먼트 1,세그먼트 2, ... , 세그먼트 N이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각 셀에서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1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세그먼트 N이 할당되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1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각 세그먼트에서 사용하는 송신 전력이 동일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에서 사용하는 송신 전력이 상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세그먼트 시퀀스'로 칭하기로 하며, 세그먼트 시퀀스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세그먼트 시퀀스는 세그먼트 사용 순서를 나타내며, 각 셀에서는 각 셀이 사용 가능한 세그먼트 개수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고유한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한다.
(2) 인접 셀들간에 최초로 할당되는 세그먼트들은 서로 직교해야만 한다. 여기서, 각 셀에서 최초로 할당되는 세그먼트를 '기본 세그먼트(base segment)'라 칭하기로 한다.
(3) 세그먼트 시퀀스는 ICI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세그먼트 시퀀스는 ICI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 계수와 섹터화 계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첫 번째로,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고려하여 세그먼트 시퀀스를 결정할 경우,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동일할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각 셀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었기 때문에,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마치 주파수 재사용 계수 K를 사용하는 것처럼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 설명의 편의상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사용한다고 칭하기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동일할 경우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가정하였을 경우의 4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4개,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를 포함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와, 세그먼트 시퀀스 C3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C-세그먼트 ->D-세그먼트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D-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 -> A-세그먼트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두 번째로, 섹터화 계수를 고려하여 세그먼트 시퀀스를 결정할 경우,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섹터화 계수가 동일할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섹터화 계수가 동일할 경우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가정하였을 경우의 3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임의의 셀 C0가 3개, 즉 섹터 α와, 섹터 β와, 섹터 γ를 포함할 경우 각 섹터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α이며, 셀 C0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β이며, 셀 C0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γ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α와, 세그먼트 시퀀스 C0-β과, 세그먼트 시퀀스 C0-γ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α: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β: B-세그먼트 ->C-세그먼트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γ: C-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FR 방식을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과,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와,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7을 일 예로 하여 설 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3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C-세그먼트->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A-세그먼트 ->B-세그먼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 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3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B-세그먼트 + 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
여기서, 결합 세그먼트라함은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들중 기본 세그먼트를 제외한 세그먼트들중 일부 혹은 전부가 결합된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결합 세그먼트가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들중 기본 세그먼트를 제외한 세그먼트들중 전부가 결합된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 식을 사용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3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셀들 각각이 3개, 즉 섹터 α와, 섹터 β와, 섹터 γ를 포함할 경우 임의의 셀인 셀 C0의 각 섹터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α이며, 셀 C0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β이며, 셀 C0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γ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α와, 세그먼트 시퀀스 C0-β과, 세그먼트 시퀀스 C0-γ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α: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β: B-세그먼트 ->C-세그먼트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γ: C-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4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 세그먼트 시퀀스 C3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C-세그먼트 ->D-세그먼트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D-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 -> A-세그먼트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4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C3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와, 세그먼트 시퀀스 C3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 ->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 +D-세그먼트)->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C-세그먼트
상기 도 9에서는 결합 세그먼트가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들중 기본 세그먼트를 제외한 세그먼트들중 일부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4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 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C3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와, 세그먼트 시퀀스 C3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C-세그먼트 + 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D-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 ->A-세그먼트-> 결합 세그먼트(B-세그먼트 +C-세그먼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4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를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C3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와, 세그먼트 시퀀스 C3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결합 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 + 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 +B-세그먼트+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 ->결합 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 +C-세그먼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12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셀들 각각이 3개, 즉 섹터 α와, 섹터 β와, 섹터 γ를 포함할 경우 임의의 셀들인 셀 C0 내지 C3의 각 섹터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S00이며, 셀 C0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S01이며, 셀 C0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S02이고, 셀 C1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S03이며, 셀 C1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S04이며, 셀 C1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S05이며, 셀 C2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S06이며, 셀 C2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S07이며, 셀 C2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S08이며, 셀 C3의 섹터 α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S09이며, 셀 C3의 섹터 β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S10이며, 셀 C3의 섹터 γ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S11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S00와, 세그먼트 시퀀스 C0-S01과, 세그먼트 시퀀스 C0-S02와, 세그먼트 시퀀스 C1-S03와, 세그먼트 시퀀스 C1-S04와, 세그먼트 시퀀스 C1-S05와, 세그먼트 시퀀스 C2-S06와, 세그먼트 시퀀스 C2-S07과, 세그먼트 시퀀스 C2-S08과, 세그먼트 시퀀스 C3-S09와, 세그먼트 시퀀스 C3-S10과, 세그먼트 시퀀스 C3-S11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S00: 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 ->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S01: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0-S02: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S03: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S04: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S05: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S06: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S07: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S08: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S09:J-세그먼트->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S10:K-세그먼트->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S11:L-세그먼트->A-세그먼트->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H-세그먼트->I-세그먼트->J-세그먼트->K-세그먼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7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7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7개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 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일 예로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7을 사용할 경우, 즉 셀 C0와, 셀 C1과, 셀 C2와, 셀 C3과, 셀 3과, 셀 4와, 셀 5와, 셀 6을 기준으로 셀을 구성할 경우 각 셀에 할당되는 세그먼트 시퀀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셀 C0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0이며, 셀 C1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1이며, 셀 C2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2이며, 셀 C3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3이고, 셀 C4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4이며, 셀 C5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5이며, 셀 C6에 할당된 세그먼트 시퀀스가 세그먼트 시퀀스 C6이다. 여기서, 세그먼트 시퀀스 C0와, 세그먼트 시퀀스 C1과, 세그먼트 시퀀스 C2, 세그먼트 시퀀스 C3와, 세그먼트 시퀀스 C4와, 세그먼트 시퀀스 C5와, 세그먼트 시퀀스 C6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세그먼트 시퀀스 C0: A-세그먼트 ->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1: B-세그먼트 -> C-세그먼트 -> 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A-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2: C-세그먼트 -> 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3: 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C-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4: E-세그먼트->F-세그먼트->G-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5: F-세그먼트->G-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
세그먼트 시퀀스 C6: G-세그먼트-> A-세그먼트 ->B-세그먼트->C-세그먼트->D-세그먼트->E-세그먼트->F-세그먼트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일정 수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한 후, 각 셀마다 부분 대역들의 자원 이용 순서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셀간 간섭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이하 실시 예들에서는 순차적인 자원 이용을 통한 체계적인 셀간 간섭 제어를 통하여, 기존의 주파수 재사용 방식들에 비해 평균적인 성능 개선 뿐만 아니라, 신호 특성이 좋지 않은 셀-경계 사용자들에게 요구되는 SINR을 보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사용자들의 분포 특성, 자원 할당에 따른 간섭 관계, 중심 셀의 주파수 부하율 등 자원 이용에 따른 요소들을 반영하여, 부분 대역 이용 순서 뿐만 아니라 부분 대역 이용 방법도 제공한다. 이하 설명에서, 부하율은 주파수 부하율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부하율은 전체 할당된 주파수 대역 중 현재 사용자에게 할당한 주파수 대역의 비율을 말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체 주파수를 일정 수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대역 중 일부 부분 대역을 기준 부하율 이하에서는 인접하는 셀들에서 간섭이 야기되지 않도록 하는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으로서 정의하는데,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준 직교 기본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중 셀 환경에서 셀들 상호간 간섭을 체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 셀에서는 미리 정의된 시퀀스에 따라 부분 대역을 순서대로 이용하며, 할당된 부분 대역 내의 자원이 모두 소진되기 전까지 해당 대역 안에서 자원 할당이 이루어진다. 이 때, 준-직교 기본 대역은 각 셀에서 가장 먼저 자원이 할당되는 대역이며, 일정한 부하율 이하에서는 준-직교 기본 대역들에서 인접한 셀들간의 간섭이 야기되지 않으므로 인접한 셀간의 간섭이 항상 낮게 유지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은 6개의 부분 대역들(10 내지 60)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셀C1, C2 및 C3에 대한 부분 대역들의 자원 이용 순서, 즉, 세그먼트 시퀀스가 결정되어 있다. 예컨대, 셀 C1에서는 제2 부분 대역(20)이 가장 먼저 할당된다. 다음으로, 셀 C2 및 셀 C3에서는 제4 부분 대역(40) 및 제6 부분 대역(60)이 각각 가장 먼저 할당된다. 따라서, 제2, 제4 및 제6 부분 대역(20,40 및 60)은 각각 셀들 C1, C2 및 C3의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이 된다.
이러한 준 직교 기본 대역을 할당할 때, 사용자의 SINR, 사용자로부터의 높은 신호 품질 요구 등을 고려한 동적 채널 할당 (DCA: dynamic channel alloc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셀간 간섭이 상대적으로 낮은 준-직교 기본 대역을 SINR이 낮은 셀-경계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우선 할당함으로써, 셀간 간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은 셀들의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110단계에서 기지국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설정하고 120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설정된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대역 분할의 기준으로 사용 된다.  1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기반으로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을 일련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고 130단계로 진행한다.
예컨대,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정수배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이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2배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면,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은 6개의 부분 대역으로 분할되고,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4이면, 전체 가용 주파수 대역은 8개의 부분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분할 대역의 수가 증가할수록 중심-셀에서 멀리 떨어진 간섭 셀 계층으로부터의 체계적인 간섭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클수록 중심 셀로부터 영향을 받는 간섭 셀간의 거리가 멀어진다. 즉,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최초 부분 대역 할당 시에 중심-셀이 간섭을 유발하는 셀의 범위를 결정한다. 이하, 상기 중심-셀로부터 떨어진 셀의 수를 Tier-#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일 예로, Tier-1은 상기 중심-셀을 둘러싸고 있는 첫번째 셀들을 의미하고, Tier-2는 상기  첫번째 셀들 둘러싸고 있는 다음 셀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 기반의 설계에서는 먼저 Tier-2 셀들에게만 간섭이 발생하도록 중심 셀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섭이 발생하는 셀들이 Tier-1 셀들로 확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파수 재사용 계수 7 기반의 설계에서는 먼저 Tier-3 셀들에게만 간섭이 발생하며, 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차례로 Tier-2, Tier-1의 셀들에게 간섭이 발생한다.
13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 부하율을 설정하고 140단계로 진행한다. 기준 부하율이 설정된다. 모든 셀들은 기준 부하율 이하에서 동작한다면 준-직교 기본 대역들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갖는 시스템과 동일한 셀간 간섭 특성을 갖는다.
기준 부하율은 모든 부분 대역들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와 준-직교 기본 대역의 크기에 따라 분할된 부분 대역들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1) 모든 부분 대역들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정배수로 부분 대역들을 분할하는 경우, 기준 부하율은 다음 수학식 1으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2250494-pat00001
여기서, 다수의 대역 분할 기준이 되는 M은 2 이상의 정수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M = 2인 경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가 3이면 기준 부하율은 2/3가 되고,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4이면, 기준 부하율은 5/8이 되고,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7이면 8/14가 된다. 또한, M은 대역 분할시 준-직교 기본 대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가 된다.
(2) 준-직교 기본 대역의 크기에 따라 분할된 부분 대역들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분할된 부분 대역들의 수는 M×FRF로 동일하지만, 준-직교 기본 대역과 일반 부분 대역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 부하율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정의된다.
Figure 112008002250494-pat00002
여기서, M은 2인 경우, 준-직교 기본 대역의 크기가 일반 부분 대역의 2배라고 하면,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면 기준 부하율은 5/9,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4이면 2/3이고,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7이면 3/7이 된다.
14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중심 셀 준-직교 기본 대역이 기준 부하율 이하인 경우에는 준-직교 기본 대역들에게 인접한 셀들과의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도록하는 대역 할당 시퀀스를 정의한다.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은 각 셀마다 가장 먼저 할당하는 부분 대역이다. 따라서, 대역 할당 시퀀스는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이 가장 먼저 할당되고, 그 외 다른 부분 대역들이 할당되도록 설정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3, 기준 부하율 2/3의 경우의 부분 대역 할당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16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3, 기준 부하율 2/3의 경우 준-직교 대역과 나머지 일반 부분 대역들의 셀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각 셀(C1, C2 및 C3)에 있어서의 부분 대역들(제1 대역 내지 제6 대역)의 할당 순서가 나타나 있다. C1셀에서는 가장 먼저 할당되는 제2 부분 대역이 준-직교 기본 대역이 된다. 각 부분 대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전술한 기준 부하율 조건에 따라 준-직교 기본 대역은 기준 부하율≤2/3 의 조건에서는 Tier-1 셀들에게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각 셀에서 4번째 시퀀스에 해당하는 부분 대역들이 할당될 때까지는 준-직교 기본 대역에서는 셀간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여,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4, 기준 부하율 5/8의 경우의 부분 대역 할당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17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4, 기준 부하율 5/8의 경우 준-직교 대역과 나머지 일반 부분 대역들의 셀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 셀(C1, C2, C3, C4)에 있어서의 부분 대역들(제1 대역 내지 제8 대역)의 할당 순서가 나타나 있다. C1셀에서는 가장 먼저 할당되는 제1 부분 대역이 준-직교 기본 대역이 된다. C2 셀에서는 가장 먼저 할당되는 제3 부분 대역이 준-직교 기본 대역이 된다. C3 셀에서는 가장 먼저 할당되는 제5 부분 대역이 준-직교 기본 대역이 된다. C4 셀에서는 가장 먼저 할당되는 제7 부분 대역이 준-직교 기본 대역이 된다.
각 부분 대역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전술한 기준 부하율 조건에 따라 준-직 교 기본 대역은 기준 부하율, 즉 LF(Loading Factor)≤5/8 의 조건에서는 Tier-1 셀들에게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각 셀에서 5번째 시퀀스에 해당하는 부분 대역들이 할당될 때까지는 준-직교 기본 대역에서는 셀간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준-직교 기본 대역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구조에 해당하는 부하율 이하에서는 셀간 간섭이 기본 주파수 재사용 구조를 만족하기 때문에 이에 부합되는 간섭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 재사용 구조에서의 최대 수용 가능한 부하율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부분 대역 이용으로 말미암아 중심 셀이 간섭을 유발하는 셀들은 도 18에서와 같이 증가하게 된다.
도 18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고 기준 부하율이 2/3인 경우에 부하율 증가에 따른 점진적인 간섭 셀의 증가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M=2인 경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가 3이면 기준 부하율은 2/3가 된다. 도 18(a)를 참조하면, 부하율이 2/3 이하인 경우에 각 셀에서 준-직교 기본 대역(예컨대, 도 16에서 C1 셀에서는 제2 대역, C2 셀에서는 제4 대역, 및 C3 셀에서는 제6 대역)에서는 셀간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8(b)를 참조하면, 부하율이 5/6 이하인 경우에는 예컨대, C1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이 C2셀에 할당되므로, C1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에서 C2 셀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유사하게, 도 18(c)를 참조하면, 부하율이 6/6 이하인 경우에는 예컨대, C1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이 C2셀 뿐 아니라 C3 셀에 할당되므로, C1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에서 C2 셀 및 C3 셀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 대역 할당 시퀀스가 설정된 후 단계 150에서 설정된 대역 할당 시퀀스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시 부분 대역들이 각 셀에 할당된다. 예컨대, 각 셀에서 새로운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구하면, 기지국은 준-직교 기본 대역에 우선적으로 할당하며, 준-직교 기본 대역 중의 임의의 빈 부채널을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부분 대역의 할당시, SINR, 사용자의 요구 신호 품질 등이 고려될 수 있다.
SINR을 고려하면, 준-직교 기본 대역은 인접 셀간 간섭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므로 SINR이 낮은 셀-경계 사용자들에게 우선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부분 대역 할당 과정에서 사용자들을 SINR이 낮은 순서대로 정렬하고, SINR이 낮은 사용자들부터 준-직교 기본 대역에 할당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다시 SINR을 평가하여 SINR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들은 준-직교 기본 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SINR이 상대적으로 높은 준-직교 기본 대역 크기를 초과하는 사용자들은 일반 부분 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 신호 품질을 고려하면, 준-직교 기본 대역은 인접 셀간 간섭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므로 높은 신호 품질을 유지해야 하는 사용자들이나 추가적으로 성능 개선이 많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우선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 대역의 할당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요구 신호 품질과 SINR을 고려하여, 높은 신호 품질을 요구하는 사용자나 SINR이 낮은 사용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준-직교 기본 대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퀀스 설정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역 할당 시퀀스는 크게 준-직교 기본 대역 할당을 위한 시퀀스와 일반 부분 대역 할당을 위한 시퀀스로 구분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준-직교 기본 대역은 설정한 인접한 셀의 수에 따라 그 시퀀스의 길이가 달라진다. 인접한 N개 셀 사이의 준-직교 대역을 설정하면, 기준 부하율 이하에서는 해당 대역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준-직교 기본 대역 시퀀스의 길이는 N이 되며, 각 셀에 준-직교 기본 대역을 할당하기 위하여 부분 대역이 한 단계씩 이동되는 순환 시퀀스가 설정될 수 있다.
실제 구현 예(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4의 경우=인접한 4개 셀 사이의 준-직교 기본 대역 설정)
Figure 112008002250494-pat00003
이때 각 셀들을 위하여 처음으로 할당되는 부분 대역들이 해당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으로 설정되며, 준-직교 기본 대역 시퀀스의 나머지 부분 대역들은 인접한 셀들의 준-직교 기본 대역들에 상호 간섭을 유발하기 때문에 일반 부분 대역의 할당 후 마지막으로 할당된다.
한편, 분할 결과에 따른 부분 대역들의 총수는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정수배가 되기 때문에 준-직교 기본 대역 시퀀스의 길이가 N이라면 일반 부분 대역의 수는 N의 정수배가 된다. 일반 부분 대역 할당시 인접한 셀 사이의 간섭이 평균적으로 증가해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할당 시퀀스에서 부분 대역이 한 단계씩 이동된 시퀀스가 각 셀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실제 구현 예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4의 경우=4개의 일반 부분 대역이 있는 경우)
Figure 112008002250494-pat00004
전술한 준-직교 기본 대역의 할당 시퀀스 및 일반 부분 대역의 할당 시퀀스는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각 셀의 부분 대역 할당 시퀀스는 도 1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부분 대역 할당을 위한 전체 시퀀스 설계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각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 시퀀스의 맨 처음 부분 대역들이 해당 셀의 준-직교 대역으로 선택된다. 이어서, 각 셀의 일반 부분 대역 할당 시퀀스가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각 셀의 준-직교 기본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준-직교 기본 대역 시퀀스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부분 대역들의 이용 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유지하면서 인접 셀들로부터의 간섭을 최대한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준-직교 기본 대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말하면, 기준 부하율 이하에서는 중심 셀 준-직교 대역이 인접한 셀들 각각의 준-직교 기본 대역들에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이러한 준-직교 기본 대역을 신호 특성이 나쁜 셀-경계 사용자들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셀-경계 사용자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 1 기반의 유연한 자원 이용 구조이기 때문에, 부분 대역 이용 순서를 조정함으로써 전통적인 주파수 재사용 기법(예: FRF=3, 4, 7 …)으로 운용할 수 있고, 일부 대역의 할당 순서와 셀간 간섭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SFR, FFR 기법 등 다양한 주파수 재사용 방식들로의 운용도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단위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 사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동일할 경우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셀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시퀀스의 종류와 섹터화 계수가 동일할 경우의 세그먼트 시퀀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3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2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사용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의 제3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4를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섹터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주파수 재사용 계수 7을 사용하고, 제1타입 세그먼트 사용 방식을 하고, 전방향 셀 구조를 사용할 경우의 IFR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준 직교 기본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3, 기준 부하율 2/3의 경우 준-직교 대역과 나머지 일반 부분 대역들의 셀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 4, 기준 부하율 5/8의 경우 준-직교 대역과 나머지 일반 부분 대역들의 셀간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가 3이고 기준 부하율이 2/3인 경우에 부하율 증가에 따른 점진적인 간섭 셀의 증가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부분 대역 할당을 위한 전체 시퀀스 설계 원리를 나타낸 도면

Claims (30)

  1.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의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며, 상기 가용 주파수 대역은 A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며, 1개의 세그먼트는 B개의 부분 대역으로 구분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C개의 채널로 구분되며,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상기 A개의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을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에 기반하여 일련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이용하여 기준 주파수 부하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부분 대역들 중 상기 기준 주파수 부하율 이하에서는 각 셀 별로 인접하는 셀들이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는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각 셀 별로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이 먼저 할당되도록 할당 시퀀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 시퀀스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시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대역과 세그먼트의 크기는 각 셀에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가 2이상의 정수일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대역은 물리적으로 연속한 위치와 물리적으로 불연속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가 2이상의 정수일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채널은 물리적으로 연속한 위치와 물리적으로 불연속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와 섹터화 계수를 사용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에서 처음 사용하는 세그먼트는 인접한 셀들 또는 섹터들 사이에서 상호 직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셀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세그먼트 시퀀스를 사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며, 상기 가용 주파수 대역은 A개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며, 1개의 세그먼트는 B개의 부분 대역으로 구분되며, 1개의 부분 대역은 C개의 채널로 구분되며,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상기 A개의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셀이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 대역을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에 기반하여 일련의 부분 대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기본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이용하여 기준 주파수 부하율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대역들 중 상기 기준 주파수 부하율 이하에서는 각 셀 별로 인접하는 셀들이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는 준-직교 기본 (Quasi-orthogonal fundamental) 대역을 정의하고, 상기 각 셀 별로 상기 준-직교 기본 대역이 먼저 할당되도록 할당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 시퀀스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시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대역과 세그먼트의 크기는 각 셀에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가 2이상의 정수일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부분 대역은 물리적으로 연속한 위치와 물리적으로 불연속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채널은 물리적으로 연속한 위치와 물리적으로 불연속한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시퀀스는 주파수 재사용 계수와 섹터화 계수를 사용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에서 처음 사용하는 세그먼트는 인접한 셀들 또는 섹터들 사이에서 상호 직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하는 과정은,사용자들의 요구 신호 품질과 신호대 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방법.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사용자들의 요구 신호 품질과 신호대 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부분 대역들을 각 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0. 삭제
KR1020080003185A 2007-08-09 2008-01-10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42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8,159 US8204012B2 (en) 2007-08-09 2008-08-07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requency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314 2007-08-09
KR20070080314 2007-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81A KR20090015781A (ko) 2009-02-12
KR101421297B1 true KR101421297B1 (ko) 2014-07-18

Family

ID=406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185A KR101421297B1 (ko) 2007-08-09 2008-01-10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109B1 (ko) * 2009-11-27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셀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7246B2 (en) * 2001-11-20 2005-06-14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wireless multi-cell interferences through segregated channel assignments and segregated antenna beams
KR20060094435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4122A (ko) * 2005-10-07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무선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7246B2 (en) * 2001-11-20 2005-06-14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wireless multi-cell interferences through segregated channel assignments and segregated antenna beams
KR20060094435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4122A (ko) * 2005-10-07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무선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81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650B2 (en) Adaptive uplink/downlink timeslot assignment in a hybrid wireles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740267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接続システムでの帯域分散的資源割当方法及び装置
US8391877B2 (en) Measurement-assisted dynamic frequency-reuse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825071B2 (en)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021925B1 (en) Hybrid channel assignment with hopping and bearer channel allocation according to servce class (real time / non real time) in a 3g base station.
US200602054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cell communication system
US5835859A (en) Method for frequency allocation and assign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U2001297547A1 (en) Adaptive uplink/downlink timeslot assignment in a hybrid wireles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06728B1 (ko)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US9578622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JP2010226712A (ja) 周波数資源割当てのためのセル間干渉予測方法
US20050074030A1 (en) Method for increasing network throughput of cellular wireless packet network by loading control
KR101337019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800657B1 (ko) 유선 중계국을 활용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장치및 방법
US82040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requency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42129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US6845086B1 (en) Cellular congestion reduction via intracell handover providing fixed and flexible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