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29B1 -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29B1
KR101421229B1 KR1020130138274A KR20130138274A KR101421229B1 KR 101421229 B1 KR101421229 B1 KR 101421229B1 KR 1020130138274 A KR1020130138274 A KR 1020130138274A KR 20130138274 A KR20130138274 A KR 20130138274A KR 101421229 B1 KR101421229 B1 KR 10142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truck
coupled
auxili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섭
Original Assignee
전병섭
주식회사 삼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섭, 주식회사 삼부 filed Critical 전병섭
Priority to KR102013013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power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wor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6Hydraul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8Power assistance, e.g. servo-motors
    • B60Y2400/4187Servo-motors, e.g. electric or fluidic with feedback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트럭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제1칼럼과; 상기 제1칼럼의 끝단에 설치되되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단에 설치된 타이어를 조향하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드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의 후방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와;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너클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는 제2칼럼과; 상기 제1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조향값을 검출하는 조향값 검출부와; 상기 제2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조향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축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값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핸들의 조향값을 상기 조향값 수신부로 전달하여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AUXILIARY AXIS STEERING SYSTEM FOR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트럭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제1칼럼과; 상기 제1칼럼의 끝단에 설치되되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단에 설치된 타이어를 조향하는 로드와; 상기 제1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와;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너클과; 상기 보조축과 웜기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칼럼과; 상기 제1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조향값을 검출하는 조향값 검출부와; 상기 제2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조향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축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값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핸들의 조향값을 상기 조향값 수신부로 전달하여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화물 내지 대용량의 화물을 전용으로 운반하는 대형차량의 경우 적재된 화물의 중량으로 인해 주행중 도로 및 교량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한 도로나 교량의 경우에는 대형차량의 운행을 통제하고 있다.
대형차량들은 통제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화물의 중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트럭의 프레임 하부양측에 구비된 에어스프링 하측과 스프링시트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시트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조인트부가 마련되며, 중간부분에 요홈이 형성된 액슬 축과, 상기 액슬 축 양단에 마련된 조인트부와 힌지 결합된 조향너클과 축결합된 액슬 드럼과, 상기 액슬 드럼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대칭형으로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스프링에 의해 상기 바퀴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며, 트럭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고르게 분포하도록 트럭 후륜축 전방 또는 후방에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 서스펜션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 서스펜션장치는 적재함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분담할 수 있도록 대부분 2축 형태의 후륜구조를 이루고 있어 좌우방향으로의 선회시 노면접지저항을 많이 받아 타이어 마모량의 증가와 함께 회전반경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진과 후진을 모두 조향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차량의 후륜 조향 에어서스펜션'이 있다.
종래의 에어서스펜션 장착 차축(이하 보조축이라 함)은 단순히 차축을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서, 차량의 전진 주행시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차축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앤드부재가 상단이 하단에 비해 차량의 전진주행방향 상에서 전방에 위치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부앤드부재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대형차량이 후진할 때에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후진시에는 보조축을 승강시켜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데, 이렇게 매 후진시마다 보조축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야 하므로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을 번갈아 시도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조축의 승강 및 하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보조축이 승강되어 있는 동안 나머지 차축에 화물의 하중이 증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에어 스프링에 의해 보조축이 지면 측으로 하강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방식(고정축 방식)은 트럭이 유턴 또는 좌우 회전시 타이어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며, 차량에 잦은 충격으로 인하여 부품의 손상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진시 운전자의 조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향되어 후진 운행이 불가하여 가변축을 장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5147호(트럭 보조 서스펜션 장치) 등록특허 제10-1085226호(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249504호(트레일러 보조차축 고정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에 구비되는 보조축을 사용할 때,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을 번갈아 시도해야 하는 경우 상기 보조축의 승강 및 하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보조축이 승강되어 있는 동안 나머지 차축에 화물의 하중이 증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고정축 방식이 트럭이 유턴 또는 좌우 회전시 타이어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며, 차량에 잦은 충격으로 인하여 부품의 손상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후진시 운전자의 조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향되어 후진 운행이 불가하여 가변축을 장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트럭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제1칼럼과; 상기 제1칼럼의 끝단에 설치되되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양단에 설치된 타이어를 조향하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에 구비되는 보조축과; 상기 상기 보조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와; 상기 보조축과 웜기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칼럼과; 상기 제1칼럼에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1실린더 로드와 연결되는 제1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의 조향값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가 이동하면서 제1피스톤을 이동시켜 제1유압실린더 내부의 유체를 이동하도록 하여 조향값을 검출하는 조향값 검출부와; 상기 제2칼럼에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2실린더 로드와 연결되는 제2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2유압실린더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드가 이동하면서 제2피스톤을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2칼럼을 회전시켜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값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핸들의 조향값을 상기 조향값 수신부로 전달하여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보조축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트럭의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이 모두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고정축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보조 타이어를 사용하기 위해 보조축을 하강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전진과 후진 주행을 번갈아 해야 하는 경우 많은 양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라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표기된 G는 웜기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칼럼(20)과 제1실린더 로드(72)가 교차하는 위치에 기재된 G는 상기 제1칼럼(20)과 제1실린더 로드(72)가 웜기어(G)를 통해 서로 맞물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차량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축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을 번갈아 시도하더라도 보조축을 승강 및 하강시킬 필요가 없고, 트럭의 유턴이나 좌우 회전시에도 타이어의 마모가 적게 발생하도록 하는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트럭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10)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제1칼럼(20)과; 상기 제1칼럼의 끝단에 설치되되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단에 설치된 타이어(31)를 조향하는 로드(30)와; 상기 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상기 핸들(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하게 되면, 상기 제1칼럼(20)의 끝단에 설치된 웜기어(G)가 상기 로드(30)를 핸들이 조향된 값만큼 이동시켜 타이어(31)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압펌프(40)는 운전자가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핸들을 돌려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로드(30)에 작동유체를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축(50)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51)와;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너클(52)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는 제2칼럼(60)과; 상기 제1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조향값을 검출하는 조향값 검출부(70)와; 상기 제2칼럼에 결합되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조향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축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값 수신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조축(50) 및 보조 타이어(51)는 상기 트럭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타이어(3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트럭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타이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너클(52)은 상기 보조 타이어(51)의 조향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조향이 이루어지는 차량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부품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축(50) 및 보조 타이어(51)는 이후 설명할 제2칼럼(60)과, 조향값 검출부(70) 및 조향값 수신부(80)를 통해 조향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바, 이는 종래의 고정축 방식 즉, 보조축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의 조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필요할 때에만 에어 스프링에 의해 보조축을 하강시켜 사용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보조축의 승하강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성요소가 필요치 않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향값 검출부(70)는 상기 제1칼럼(20)과 웜기어(G)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 로드(72)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제1유압실린더(71)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1실린더 로드(72)와 연결되는 제1피스톤(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피스톤(73)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 제1유압저장고(74) 및 제2유압저장고(75)로 칭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향값 수신부(80)는 상기 제2칼럼(60)과 웜기어(G)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실린더 로드(82)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71)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81)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2실린더 로드와 연결되는 제2피스톤(8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피스톤(83)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 제3유압저장고(84) 및 제4유압저장고(85)로 칭한다.
또한, 상기 제1유압저장고(74)는 상기 제4유압저장고(85)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제2유압저장고(75)는 제3유압저장고(84)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조축을 조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조향값 검출부 및 조향값 수신부를 통해 상기 보조축을 조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유압저장고(74)와, 제2유압저장고(75)와, 제3유압저장고(84) 및 제4유압저장고(85)에는 각각 100의 작동유체가 채워져 있다고 가정한다.
도 2의 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상기 핸들(10)을 반시계 방향으로 조향하게 되면 제1칼럼(20)의 끝단에 설치된 웜기어(G)가 회전하면서 로드(3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트럭의 타이어(3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실린더 로드(72)는 상기 제1칼럼(20)과 웜기어(G)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10)이 우측으로 회전되는 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실린더 로드(72)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유압실린더 내부의 제1피스톤(73)이 제1실린더 로드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내부의 작동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도 2의 하단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10)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실린더 로드(7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피스톤(73)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유압저장고(74) 내의 작동유체의 양이 100에서 150으로, 제2유압저장고(75) 내의 작동유체의 양이 100에서 50으로 각각 변하게 되며, 상기 제2유압저장고(75) 내부에 있던 50의 작동유체가 제3유압저장고(84)로 투입되어 제3유압저장고 내부에는 150의 작동유체가 채워진다.
상기 제3유압저장고(84) 내부에 50의 작동유체가 추가적으로 투입되면서 제2피스톤(83)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실린더 로드(8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칼럼(60)은 상기 제2실린더 로드(82)로 인해 상기 핸들과 동일한 조향값만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칼럼(60)과 웜기어(G)를 매개로 결합된 보조축(5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보조축(50) 및 보조 타이어(51)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보조축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트럭의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이 모두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고정축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보조 타이어를 사용하기 위해 보조축을 하강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전진과 후진 주행을 번갈아 해야 하는 경우 많은 양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핸들 20 : 제1칼럼
30 : 로드 31 : 타이어
40 : 유압펌프 50 : 보조축
51 : 보조 타이어 52 : 너클
60 : 제2칼럼 70 : 조향값 검출부
71 : 제1유압실린더 72 : 제1실린더 로드
73 : 제1피스톤 80 : 조향값 수신부
81 : 제2유압실린더 82 : 제2실린더 로드
83 : 제2피스톤

Claims (3)

  1.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트럭을 조향하기 위한 핸들(10)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제1칼럼(20)과;
    상기 제1칼럼의 끝단에 설치되되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양단에 설치된 타이어를 조향하는 제1로드(30)와;
    상기 제1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40)와;
    상기 트럭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트럭에 구비되는 보조축(50)과;
    상기 상기 보조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너클(52)과;
    상기 너클에 결합되는 보조 타이어(51)와;
    상기 보조축과 웜기어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칼럼(60)과;
    상기 제1칼럼에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제1유압실린더(71)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1실린더 로드와 연결되는 제1피스톤(7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의 조향값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가 이동하면서 제1피스톤을 이동시켜 제1유압실린더 내부의 유체를 이동하도록 하여 조향값을 검출하는 조향값 검출부(70)와;
    상기 제2칼럼에 웜기어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실린더 로드가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상기 제2실린더 로드와 연결되는 제2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2유압실린더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드가 이동하면서 제2피스톤을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2칼럼을 회전시켜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값 수신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값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핸들의 조향값을 상기 조향값 수신부로 전달하여 보조축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30138274A 2013-11-14 2013-11-14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KR10142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74A KR101421229B1 (ko) 2013-11-14 2013-11-14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274A KR101421229B1 (ko) 2013-11-14 2013-11-14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229B1 true KR101421229B1 (ko) 2014-07-22

Family

ID=5174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274A KR101421229B1 (ko) 2013-11-14 2013-11-14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253B1 (ko) 2019-12-26 2020-06-25 세원셀론텍(주) 유압식 보조축 조향제어 시스템
KR102513212B1 (ko) 2021-11-08 2023-03-23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상용차의 10톤급 조향 축하중을 가지는 보조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53U (ja) * 1991-08-20 1993-03-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3588820B2 (ja) * 1994-07-26 2004-11-1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操向装置
JP2008074192A (ja) 2006-09-20 2008-04-03 Hitachi Ltd 車両用後輪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53U (ja) * 1991-08-20 1993-03-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3588820B2 (ja) * 1994-07-26 2004-11-1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操向装置
JP2008074192A (ja) 2006-09-20 2008-04-03 Hitachi Ltd 車両用後輪操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253B1 (ko) 2019-12-26 2020-06-25 세원셀론텍(주) 유압식 보조축 조향제어 시스템
KR102513212B1 (ko) 2021-11-08 2023-03-23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상용차의 10톤급 조향 축하중을 가지는 보조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91968B2 (en) Axle and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axle
EP3060453B1 (en) A wheel steering system for controlling a steering angle of a second pair of steerable wheels of a vehicle
EP2944540B1 (en) Turning system and heavy-load wheeled vehicle having independent suspension
CA2869034C (en) Mechanically steered articulating dolly transport system
KR200453381Y1 (ko) 동력원 및 제동장치가 직설된 차동기어유니트를 이용한 4륜구동 운반차
US20150321695A1 (en) Steering intermediate arm
US9561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a steering stop angle for a work vehicle
CN103863390A (zh) 四轮平衡重式叉车平衡控制系统
US8262118B2 (en) Vehicle power unit and body unit system
KR101421229B1 (ko) 트럭의 보조축 조향 시스템
US5088570A (en) Steerable rear dual axle system for large trucks
US4117901A (en) Self-propelled articulated vehicle
US20190202674A1 (en) Industrial truck and drive wheel bearing device for industrial trucks
US3512802A (en) Tractor rig
US20170066636A1 (en) Single Drive Three Pivot Forklift Truck Having Power Steering
CN103496398A (zh) 一种五轮四向驱动行驶转向系统
US20220111915A1 (en) Articulated Lorry Having a Tractor and a Trailer, Tractor, Trailer and Method for Axle Load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n Articulated Lorry
CN113815725B (zh) 一种支架搬运车及其轴荷动态控制方法
KR102126253B1 (ko) 유압식 보조축 조향제어 시스템
US20170203623A1 (en) Wheel suspension device
CA2428302C (en) Multi-axle running gear for automotive trucks, tractors, trailers, and semi-trailers
CN203637940U (zh) 农用拖车轮的转向装置
Thulasiraman et al. Steering linkage optimization of articulated construction equipment
KR102100009B1 (ko) 3축 트레일러의 조향장치
KR101512266B1 (ko) 16륜 트레일러의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