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97B1 - 조명겸용 정온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겸용 정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97B1
KR101420497B1 KR1020120076640A KR20120076640A KR101420497B1 KR 101420497 B1 KR101420497 B1 KR 101420497B1 KR 1020120076640 A KR1020120076640 A KR 1020120076640A KR 20120076640 A KR20120076640 A KR 20120076640A KR 101420497 B1 KR101420497 B1 KR 10142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heating
light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922A (ko
Inventor
윤지훈
박정훈
Original Assignee
박정훈
윤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훈, 윤지훈 filed Critical 박정훈
Priority to KR102012007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4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88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having infrared radi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겸용 정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열을 갖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열조명부, 상기 발열조명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상기 발열조명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물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물체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체와 발열조명부의 광이 외측으로 투과되는 덮개 및 상기 전원부와 발열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물체를 거치시킨 후, 덮개로 그 외측을 덮어 공간을 폐쇄시킨 후, 상기 전원부에 의해 발열조명부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체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살균할 수 있으며, 광이 투명한 덮개를 투과하여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주변을 조명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겸용 정온장치{Apparatus for both maintaining fixed temperature and lighting}
본 발명은 정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를 일정 온도로 유지함은 물론, 그 외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을 조명할 수 있고,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겸용 정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의 수유 및 이유식을 위해서 젖병을 사용하고 있는데 뜨거운 물에 분유를 타서 적정온도로 식힌 후, 아기에게 먹이다가 보관하는 경우 분유가 식어서 다시 데워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데우는 방법으로 끓는 물에 넣어서 데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데, 적정온도로 맞추기 어려워 뜨거운 상태로 뎁힌 후 다시 식혀 적정온도로 맞추어 먹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젖병을 정온유지를 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 예로, 등록특허 제20-034149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다.
이러한 정온 유지 장치는 젖병을 장착하는 케이스에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열을 가함에 따라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온 유지 장치는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일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죽는 세균에 대한 박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젖병은 신생아와 유아가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멸균이 중요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젖병을 끓는 물에 넣어 살균하지만, 내용물이 있는 젖병의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기 어려워 살균이 어려웠다.
또한 조명이 없는 공간에서 이 정온 유지 장치를 사용할 경우, 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없어 조명등을 점등시켜 찾게 되는데, 수유를 위한 사람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까지 영향을 받아 상호 불편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특히, 새벽에 수유를 할 경우, 자주 발생되는 문제로써, 나아가 가정불화로 발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일정 온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멸균할 수 있으며,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조명 기능을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물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몸체와 거치대 및 덮개가 구비되되, 거치대 및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발열조명부에서 조사된 원적외선 광에 의해 물체와 그 주변 공간을 일정 온도로 유지함은 물론, 살균시켜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투명한 거치대와 덮개를 투과한 광에 의해 주변을 조명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겸용 정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열을 갖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열조명부, 상기 발열조명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상기 발열조명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물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물체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체와 발열조명부의 광이 외측으로 투과되는 덮개 및 상기 전원부와 발열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물체를 거치시킨 후, 덮개로 그 외측을 덮어 공간을 폐쇄시킨 후, 상기 전원부에 의해 발열조명부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체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광이 투명한 덮개를 투과하여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주변을 조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발열조명부로 선택적으로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덮개가 덮여져 접촉하는 부위에 버튼부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에 의해 버튼부가 눌러질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발열조명부로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물체가 거치되어 덮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전송받아 상기 일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희망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가 발열조명부의 발열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덮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를 희망온도로 자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발열조명부는, 원적외선램프로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상기 물체를 살균시킨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물체가 거치되는 상면에 원적외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발열조명부에 의해 발산된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부는, 맥반석과 숯, 황토 및 자수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하단에 다수의 흡착부가 더 구비되고, 이 흡착부에 의해 몸체를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겸용 정온장치에 의하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광에 의해 물체 및 그 주변을 일정 온도로 유지함은 물론, 살균시킬 수 있어 오염을 방지함에 따라 안정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투명한 재질의 거치대와 덮개를 투과된 광에 의해 조명 기능을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에 버튼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에 버튼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겸용 정온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겸용 정온장치(10)는 몸체(100)와 발열조명부(200), 전원부(300), 거치대(400), 덮개(500) 및 제어부(70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100)는 내부에 설치공간부(110)를 갖고, 거치되는 물체(2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발열조명부(200)는 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구비되어 열을 갖는 광을 조사하고, 전원부(300)는 발열조명부(20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거치대(400)는 발열조명부(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열조명부(200)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물체(20)를 거치시키게 된다.
또한 덮개(500)는 거치대(400)에 거치된 물체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몸체(100)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물체(20)와 발열조명부(200)의 광이 외측으로 투과된다.
제어부(700)는 발열조명부(200)와 전원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조명겸용 정온장치(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거치대(400)에 물체를 거치시킨 후, 덮개(500)로 그 외측을 덮어 공간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전원부(300)에 의해 발열조명부(200)에서 광을 조사하여 물체(20)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광이 투명한 덮개(500)를 투과하여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주변을 조명하게 된다.
여기서, 발열조명부(200)는 원적외선램프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것으로, 물체(20)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살균시킴에 따라 오염을 방지하게 되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열조명부(200)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파장은 3 ~ 1000㎛범위이며, 3 ~ 30㎛범위로 원적외선을 발산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열조명부(200)는 원적외선을 발산함에 따라 덮개(500) 외측으로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살균도 할 수 있어 편리함을 덮개(500) 외면과 주변을 살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불이 꺼진 공간에서도 조명겸용 정온장치(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명겸용 정온장치(10)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물체(20)는 먹다 남은 모유나 분유, 이유식 및 우유 등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담은 용기(젖병 등)로, 온도가 낮아져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하기 위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 하단에 다수의 흡착부(100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흡착부(1000)는 일정 압력이 가해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었을 경우, 원상복귀되려는 힘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몸체(100)는 테이블이나 유리판 등에 압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는 전원부(300)의 전원을 발열조명부(200)로 선택적으로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스위치(310)를 조작하여 발열조명부(200)를 작동시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덮개(500)에 덮혀진 공간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광을 조사하여 조명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는 덮개(500)가 덮여져 접촉하는 부위에 버튼부(320)가 구비되어 덮개(500)에 의해 버튼부(320)가 눌러질 경우, 제어부(700)는 전원부(300)의 전원이 발열조명부(200)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덮개(50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발열조명부(200)를 선택적으로 온시켜 정온 및 조명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겸용 정온장치(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600)가 더 구비된다.
이 온도센서(600)는 물체(20)가 거치되어 덮개(50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되고, 이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700)에서 전송받아 일정 온도가 되도록 전원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덮개(50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되는 것으로,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전원부(300)와 발열조명부(200)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를 자동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겸용 정온장치(10)는 조작부(800)와 표시부(900)가 더 구비된다.
조작부(800)는 덮개(50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희망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표시부(900)는 조작부(800)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와 온도센서(60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표시부(900)를 통해 실제온도를 확인하고, 조작부(800)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희망온도를 설정함에 따라 제어부(700)는 전원부(300)와 발열조명부(20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온도를 유지하고, 주변을 조명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부(800)와 표시부(900)는 몸체(1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전원부(300)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400)는 물체(20)가 거치되는 상면에 원적외선부(11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원적외선부(1100)는 발열조명부(200)에 의해 발산된 열이 내부를 투과함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살균시키는 것으로, 발열조명부(200)와 더불어 원적외선을 발산함에 따라 살균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부(1100)는 맥반석과 숯, 황토 및 자수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원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으며, 발열조명부(20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자수정의 경우, 광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맥반석과 숯 및 황토를 가루로 파쇄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원적외선부(1100)를 제작함에 따라 발열조명부(200)의 광을 투과시키고, 원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원적외선을 발산하지 않는 다른 투명한 재질을 맥반석과 숯, 황토 및 자수정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러한 원적외선부(1100)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의 파장은 3 ~ 1000㎛범위이며, 3 ~ 30㎛범위로 원적외선을 발산시킴이 바람직하다.
10 : 조명겸용 정온장치 20 : 물체
100 : 몸체 200 : 발열조명부
300 : 전원부 400 : 거치대
500 : 덮개 600 : 온도센서
700 : 제어부 800 : 조작부
900 : 표시부 1000 : 흡착부
1100 : 원적외선부

Claims (9)

  1.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열을 갖는 광을 조사하되, 원적외선의 파장은 3 ~ 1000㎛범위이며 3 ~ 30㎛범위로 원적외선을 발산시키는 발열조명부;
    상기 발열조명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상기 발열조명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에 의해 투명하게 형성되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물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물체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고, 그 외측을 덮어 공간을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체와 발열조명부의 광이 외측으로 투과되는 덮개; 및
    상기 전원부와 발열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물체를 거치시킨 후, 덮개로 그 외측을 덮어 공간을 폐쇄시킨 후, 상기 전원부에 의해 발열조명부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체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킴은 물론, 광이 투명한 덮개를 투과하여 외측으로 조사됨에 따라 주변을 조명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발열조명부로 선택적으로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하거나, 상기 덮개가 덮여져 접촉하는 부위에 버튼부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에 의해 버튼부가 눌러질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발열조명부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며,
    상기 물체가 거치되어 덮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전송받아 상기 일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덮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희망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덮개(50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되는 것으로,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전원부와 발열조명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희망온도를 자동으로 유지시켜주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물체가 거치되는 상면에 원적외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발열조명부에 의해 발산된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정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부는,
    맥반석과 숯, 황토 및 자수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정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단에 다수의 흡착부가 더 구비되고, 이 흡착부에 의해 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겸용 정온장치.
KR1020120076640A 2012-07-13 2012-07-13 조명겸용 정온장치 KR10142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640A KR101420497B1 (ko) 2012-07-13 2012-07-13 조명겸용 정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640A KR101420497B1 (ko) 2012-07-13 2012-07-13 조명겸용 정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922A KR20140008922A (ko) 2014-01-22
KR101420497B1 true KR101420497B1 (ko) 2014-07-16

Family

ID=5014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640A KR101420497B1 (ko) 2012-07-13 2012-07-13 조명겸용 정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150B1 (ko) * 2016-12-23 2018-10-23 주식회사 주경 고휘도 led 발열에 의한 향기 발산 꽃
WO2019216525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2130440B1 (ko) * 2019-01-30 2020-08-05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가스용기 보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12U (ko) * 1998-08-12 2000-03-06 홍원태 젖병 소독기
KR200190894Y1 (ko) 2000-02-17 2000-08-01 박진영 젖병 살균기
KR100788121B1 (ko) 2005-01-15 2008-01-16 박상래 휴대용 젖병 보온기
KR100928833B1 (ko) * 2009-07-09 2009-11-27 이용경 유아용 젓병 가열 및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12U (ko) * 1998-08-12 2000-03-06 홍원태 젖병 소독기
KR200190894Y1 (ko) 2000-02-17 2000-08-01 박진영 젖병 살균기
KR100788121B1 (ko) 2005-01-15 2008-01-16 박상래 휴대용 젖병 보온기
KR100928833B1 (ko) * 2009-07-09 2009-11-27 이용경 유아용 젓병 가열 및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922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497B1 (ko) 조명겸용 정온장치
US7482558B2 (en) Thermotherapy device
KR101648216B1 (ko) 소독기
JP2015522315A (ja) 医療用の処置室で使用するための装置
KR20130135675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뚜껑장치
KR101594851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젖병 살균기
CN110167604A (zh) 用于将微生物破坏uv光从光源传送到目标的方法和装置
KR20030092985A (ko) 유아용 젖병 및 유아용품 자외선 소독기
KR20150117810A (ko) 컵 홀더 장치
KR101853438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20180110739A (ko)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KR200487385Y1 (ko) 살균 장치
KR100942595B1 (ko) 휴대용 살균장치
KR102170967B1 (ko) 듀얼 자외선 살균 소독기
TWM357978U (en) Portable ultraviolet sterilizer
KR20160089757A (ko) 물티슈 보온장치
KR20210148631A (ko) 송풍 살균부와 광 살균부를 구비한 위생 신발 살균 장치 및 방법
CN210750397U (zh) 一种板状物消毒装置
KR20180038910A (ko) 마스크팩을 살균해주는 uv led냉장고
US20030121910A1 (en) Mail sanitizer and method
KR102352744B1 (ko) Uv led 살균기
KR20180068689A (ko) 젖병 소독 기능을 구비한 전기 포트
CA3208041A1 (en) Chemical-free dry heat and uvc decontamination unit and method
KR200388717Y1 (ko) 제독기능의 쇼케이스 장치
CN115837083A (zh) 一种台式实验动物手术器械高温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