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103B1 -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103B1
KR101420103B1 KR1020120151866A KR20120151866A KR101420103B1 KR 101420103 B1 KR101420103 B1 KR 101420103B1 KR 1020120151866 A KR1020120151866 A KR 1020120151866A KR 20120151866 A KR20120151866 A KR 20120151866A KR 101420103 B1 KR101420103 B1 KR 10142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attachment
groove
fixing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228A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7Blade assemblies, e.g. blade cases or inner arrangements within a bla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다리, 손잡이 등 각종 부속품의 부착에 최적인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부착 구조는 래크의 부착부(T)에 부착홈(S1)이 설치되어, 이것에 고정판(S2), 부착 부재(S3) 및 나사(S4)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부착홈(S1)은 부착부(T)에 개구되고, 개구의 양측에 플랜지를 가지는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판(S2)은 부착홈(S1)의 내측에서 각 플랜지에 걸고 빼기 가능하게 형성되고, 나사 구멍을 가진다. 부착 부재(S3)는 각종 부속품에 일체적으로 부착홈(S1)의 외측에서 각 플랜지 사이에 걸쳐서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고, 나사 구멍을 가진다. 나사(S4)는 부착 부재(S3)로부터 고정판(S2)에 각 나사 구멍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Description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ASSEMBLY HAVING FIXING STRUCTURE FOR RACK ACCESSORIES}
본 발명은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래크에 다리, 캐스터, 손잡이 등의 래크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가지는 래크-부속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통신기기, 전기기기 등 각종 기기를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기기 수납용의 래크에는 설치용으로 다리가 부착된 것이나, 이동용으로 캐스터가 부착된 것이 있다. 이들 다리나 캐스터 등의 부속품은 통상 래크의 바닥판에 부착 구멍이 뚫려, 이 구멍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6822
그러나, 상기 종래의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래크의 바닥판에 다리나 캐스터를 부착하기 위해서, 부착 구멍을 뚫어야 한다.
(2) 다리나 캐스터를 부착하면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복수의 래크를 겹쳐서 설치하는 경우나, 차량 등에 적층하는 경우에, 다리나 캐스터의 돌출분만큼 높이가 확대되어, 설치 스페이스나 적재 스페이스가 증대한다. 또, 복수의 래크를 적층하는 경우, 다리나 캐스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또는 전동 방지용의 스토퍼 등을 아울러 설치하거나, 다리나 캐스터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3) 래크에 손잡이를 부착하여 반송하는 경우, 래크의 상승 하강이나 이동은 용이해지지만, 손잡이용의 부착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손잡이가 래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래크를 적층하는 경우에 방해가 된다. 이 경우, 손잡이를 분리하면 래크의 표면에 부착 구멍이 나타나 외관상 나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다리, 캐스터, 손잡이 등의 부속품을 래크의 부착판에 구멍을 뚫지 않고 부착할 수 있고, 그 부착, 분리가 용이하며, 또 이들 부속품을 단 상태에서도 래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복수의 래크를 적층한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부속품이 다리, 캐스터인 경우,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각종 부속품의 부착에 최적인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래크에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가지는 래크-부속품 조립체로서,
이 부착 구조는 래크측 부착부와, 부속품측 부착 부재와, 고정판과, 나사를 포함하고,
래크측 부착부는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과, 이 부착면으로부터 래크 내부를 향하여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착홈과, 부착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대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부착홈은 부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의 폭은 홈 내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플랜지의 외표면은 상기 부착면을 이루고,
부속품측 부착 부재는 부속품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홈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설치 가능한 형상이며, 관통 구멍인 나사 구멍을 가지고,
고정판은 직사각형(矩形)의 평판이며, 그 폭은 상기 부착홈의 개구부의 폭보다 작고, 그 길이는 부착홈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홈 내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고, 전체를 부착홈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의 내표면에 걸고 빼기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며, 상기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나사 구멍을 가지고,
나사는 상기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상기 고정판의 나사 구멍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래크-부속품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 이 래크-부속품 조립체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부속품은
상기 고정판을 그 폭방향을 상기 부착홈의 폭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부착홈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홈 내부로 삽입하고 회전시켜 길이 방향을 부착홈의 폭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부착홈 내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를 부착홈의 외측에서, 플랜지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배치하고,
나사를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고정판의 나사 구멍으로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판과 부착 부재를 각각 부착홈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플랜지에 압접하여, 부착 부재를 부착면 상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래크에 부착된다.
(2) 래크측 부착부의 부착면은 래크의 변이 비스듬히 모따기되어 형성된 면이다.
(3) 래크측 부착부가 직사각형의 래크의 안길이 방향(奧行 方向)의 변을 이루는 안길이 방향 부재이며, 이 안길이 방향 부재는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어 접합되어 있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직부 및 수평부의 각 자유측부는 수직부와 수평부의 접합선에 대하여 평행하며, 상기 플랜지가 수직부 및 수평부의 자유측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4) 고정판의 1개의 대각선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코너가 원호형상이다.
(5) 부속품은 래크측 부착부의 수평부의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이다.
본 발명의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다리, 캐스터, 손잡이 등의 부속품을 래크의 각 면을 이루는 판에 구멍을 뚫지 않고 부착할 수 있고, 그 부착, 분리가 용이하며, 또 이들 부속품을 단 상태에서도 래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복수의 래크를 적층한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부속품이 다리, 캐스터인 경우,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각종 부속품의 최적인 부착 태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동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부착 구조를 적용한 기기 수납용 래크-래크 부속품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동 부착 구조를 적용한 래크-부속품 조립체의 래크 본체 그리고 정면 및 배면의 덮개를 구성하는 코너 블록, 프레임, 앵글 플레이트, 덮개 로크 부재, 손잡이, 다리의 각 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부착 구조를 적용한 래크-부속품 조립체의 래크의 안길이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부착 구조에 의해 래크에 다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 부착 구조에 의해 래크에 손잡이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동 부착 구조에 의해 복수의 래크 사이에 래크 접속 부품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래크에 다리, 캐스터 및 손잡이 등의 각종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나타낸다. 이 부착 구조는 부속품을 부착하는 래크(R1)측의 부착부(T)에 부착홈(S1)을 설치하고, 이것에 부속품측의 부착 부재(S3)를 고정판(S2) 및 나사(S4)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부착부(T)는 대략 직육면체의 래크(R1)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변을, 각각 비스듬히 45도로 모따기한 부착면을 가진다. 이 부착면으로부터 래크(R1) 내부를 향하여 오목형상으로 부착홈(S1)을 설치한다. 이 부착홈(S1)은 부착면에 개구하고, 래크(R1)의 안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된다. 부착부(T)는 부착홈(S1)의 래크(R1) 안길이 방향 양 가장자리부에,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대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S11)를 가진다. 플랜지(S11)의 외표면은 상기 부착면을 이루고 있다. 이 플랜지(S11)의 존재에 의해, 부착홈(S1)은 부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의 폭이 홈 내부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고정판(S2)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이며, 그 폭은 부착홈(S1)의 개구부의 폭보다 작고, 그 길이는 부착홈(S1)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홈 내부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작고, 전체를 부착홈(S1)의 내부에 삽입하여, 양 플랜지(S11)의 내표면에 걸고 빼기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대략 직사각형의 고정판(S2)의 4개의 코너 중, 1개의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코너가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S2)에는 나사 구멍(S20)으로서 2개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S3)는 래크(R1)에 부착하는 부속품측에 설치되는 부분이며, 부착홈(S1)의 외측에서, 양 플랜지(S11)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설치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부착 부재(S3)에는 고정판(S2)의 나사 구멍(S20)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S30)으로서 2개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S4)는 부착 부재(S3)의 나사 구멍(S30)으로부터 고정판(S2)의 나사 구멍(S20)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 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래크(R1)에 부착되는 다리, 캐스터, 손잡이 등의 각종 부속품은 부착홈(S1)의 수평 방향 깊이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수납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착 구조를 사용하여 래크(R1)에 부속품을 부착하여, 래크-부속품 조립체로 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조작을 행한다. 우선, 고정판(S2)의 폭방향을 부착홈(S1)의 폭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고정판(S2)을 부착홈(S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홈 내부에 삽입한다. 다음에 고정판(S2)을 90도 회전시켜, 길이 방향을 부착홈(S1)의 폭방향을 향하게 하고, 부착홈(S1) 내부에 있어서 양 플랜지(S11)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한다. 부착 부재(S3)를 부착홈(S1)의 외측에서 양 플랜지(S11)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S4)를 부착 부재(S3)의 나사 구멍(S30)으로부터 고정판(S2)의 나사 구멍(S20)으로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판(S2)과 부착 부재(S3)를 각각 부착홈(S1)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양 플랜지(S11)에 압접하여, 부착 부재(S3)를 부착부(T)의 부착면 상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부속품을 래크(R1)의 부착부(T)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에 이 부착 구조를 적용하여, 부속품으로서 다리 및 손잡이를 기기 수납용의 래크(R1)에 부착한 래크-부속품 조립체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자」는 래크(R1)의 각 부품의 위치 관계 등을 설명하기 위해서, 상자형의 래크(R1)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한다.
이 래크(R1)는 정면, 배면, 상면, 저면 및 좌우 양측면을 가지고, 전체가 상자형으로 구성되는 형식의 것으로, 상자형의 래크 본체(A)와, 정면의 덮개(B1) 및 배면의 덮개(B2)로 이루어진다. 래크 본체(A)는 상자의 각 코너(C)를 이루는 코너 블록(1)과, 상자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각 프레임(F1, F2)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부재(2)와, 프레임(F1, F2) 사이를 연결하는 안길이부(S)를 이루는 안길이 방향 부재(3)와, 상자의 상하 좌우의 각 면(P)을 이루는 패널(4)과, 프레임(F1, F2) 사이에 병설되는 보강 프레임(H)을 이루는 보강 부재(5)(도 3 참조)와, 보강 부재(5) 및/또는 프레임 구성 부재(2)의 내면 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앵글 플레이트(55)(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이들 부재는 모두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정면 및 배면의 덮개(B1, B2)는 각각 덮개(B1, B2)의 각 코너(C)를 이루는 덮개 코너 블록(71)과, 덮개(B1, B2)의 프레임(f)을 구성하는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와, 덮개(B1, B2)의 면(p)을 이루는 덮개 패널(73)과,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에 장착되고, 래크 본체(A)의 프레임 구성 부재(2)에 걸고 빼기 가능한 덮개 로크 부재(8)를 구비한다. 덮개 코너 블록(71),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 및 덮개 패널(73)은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덮개 패널(73)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코너 블록(1)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일체 성형된 블록이며, 상자의 8개의 코너(C)에 1개씩 합계 8개 사용된다. 코너 블록(1)의 외측(11)은 상자의 코너를 모따기한 비스듬한 플랫면(11)을 이루고, 내측(12)에는 상자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상면, 상자의 일측면측에 배치되는 측면, 상자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후면에, 각각 상자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가 돌출설치된다.
프레임 구성 부재(2)는 상자의 각 프레임(F1, F2)의 2개의 코너 블록(1) 사이에 연결되도록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다. 프레임 구성 부재(2)는 외면(21)이 플랫하며, 내면(22)에는 코너 블록(1)의 높이 방향의 볼록부 또는 폭방향의 볼록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의 오목부가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2세트의 상하 프레임 구성 부재 및 2세트의 좌우 프레임 구성 부재에 의해, 상자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프레임(F1, F2)이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길이 방향 부재(3)는 프레임(F1, F2)의 대향하는 코너 블록(1) 사이에 연결되도록 상자의 안길이 방향의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안길이 방향 부재(3)는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t1)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t2) 로 이루어지고, 이 수직부(t1)와 수평부(t2)는 직각을 이루고 접합되어 있다. 이 안길이 방향 부재(3)를 상자로서 조립했을 때에 외측이 되는 면(31)의 안길이 방향 양측부는 수직부(t1)와 수평부(t2)의 접합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일방의 측부로부터 타방의 측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즉 수직부(t1) 및 수평부(t2)의 각 자유측부으로부터 타방의 자유측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311)가 설치되고, 이 한 쌍의 플랜지(311)는 양측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스듬한 면을 이루고 있다. 이 비스듬한 면은, 래크(1)의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변을 각각 45도로 모따기한 면이 된다. 외측면(31)은 코너 블록(1)의 안길이 방향의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끼워맞춤 가능한 단면 대략 사다리꼴의 오목부를 안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한다. 한편, 안길이 방향 부재(3)를 조립했을 때에 내측이 되는 면(32)의 안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패널(4)을 삽입 가능한 폭의 홈(321)이 안길이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4개의 안길이 방향 부재(3)에 의해, 상자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각 프레임(F1, F2) 사이를 연결하는 안길이부(S)가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5)는 중앙부가 볼록형상이며 양측에 플랜지를 가지는 단면 모자형으로, 상자의 각 면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안길이 방향 부재(3) 사이에 걸칠 수 있는 길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보강 부재(5)는 상자의 각 면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프레임 구성 부재(2) 사이에 병설되어, 안길이 방향 부재(3) 사이에 연결된다. 또 이 보강 부재(5)에는 필요에 따라서 너트(50)가 매설되어, 후술하는 앵글 플레이트(55)를 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앵글 플레이트(55)는 필요한 길이와 면적을 가지는 가늘고 긴 알루미늄판을 단면 L자형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되고, 그 수직면의 적당한 위치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이 앵글 플레이트(55)는 좌우 쌍으로 하여 필요한 수만큼 준비되고, 수직면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 대향하는 한 쌍의 보강 부재(5)의 너트(50)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4)은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고, 코너 블록(1)과 프레임 구성 부재(2)와 안길이 방향 부재(3)에 의해 구성되는 상자의 상하 좌우의 각 면(P)에, 프레임 구성 부재(2) 및 안길이 방향 부재(3)의 각 측가장자리의 홈에 삽입하여 편입 가능하게, 적당한 크기의 직사각형형상의 플랫 패널로서 형성된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상하의 면을 이루는 2장의 패널(4)과 좌우의 면을 이루는 2장의 패널(4)에 의해, 상자의 상하 좌우의 면(P)이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코너 블록(71)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그 외측은 모따기한 비스듬한 플랫면(711)을 이루고, 내측(712)의 양단부에는 상자의 높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가 돌출설치된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8개의 덮개 코너 블록(71)에 의해, 정면 및 배면의 덮개(B1, B2)의 각 4개의 코너(c)가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는 프레임 구성 부재(2)에 연접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덮개(B1, B2)의 각 프레임(f)의 2개의 덮개 코너 블록(71) 사이에 연결되도록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는 외측 프레임 구성 부재와 내측 프레임 구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외측 프레임 구성 부재는 외측이 플랫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덮개 코너 블록(71)의 높이 방향 또는 폭방향의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내측 프레임 구성 부재는 외측 프레임 구성 부재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당해 면의 가장자리부와 평행이며 또한 당해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홈을 가진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2세트의 상하의 프레임 및 2세트의 좌우의 프레임에 의해, 상자의 정면 및 배면측의 덮개(B1, B2)의 각 프레임(f)이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패널(73)은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고, 덮개 코너 블록(71)과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에 의해 구성되는 덮개(B1, B2)의 각 프레임(f) 내의 면(p)에,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의 내측 프레임 구성 부재의 홈에 삽입하여 편입 가능하게 적당한 크기의 직사각형형상의 패널로서 형성된다. 그 패널면에는 보강용의 리브(731)가 부착된다. 또한, 이 리브(731)에는 쿠션성이 높은 보호 커버 등이 아울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래크(R1)에 대해서, 정면 및 배면측의 덮개(B1, B2)의 각 면을 이루는 2장의 덮개 패널(73)에 의해, 덮개(B1, B2)의 각 면(p)이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및 배면측의 각 덮개(B1, B2)의 복수의 덮개 로크 부재(8)가 설치된다. 덮개 로크 부재(8)는 각각 외측의 원통부와, 외측의 원통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삽입되는 내측의 원통부를 구비한다. 내측의 원통부의 기단부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외측의 원통부 내에서 내측의 원통부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이 설치된다. 내측의 원통부 내에는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진퇴 가능하게 삽입통과되고,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이 설치되고, 이 구동축의 선단측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향하여 돌출설치되고, 소정의 피걸어맞춤부에 걸 수 있는 걸음부가 설치된다. 덮개 로크 부재(8)는 또한 외측의 원통부 및 내측의 원통부와 구동축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기구는 덮개 로크 부재(8)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내측의 원통부의 일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구동축을 내측의 원통부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안내하고, 그 지점에서 구동축을 내측의 원통부의 축 상을 후퇴 방향으로 이동 안내한다. 이 상태로부터 내측의 원통부를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구동축을 내측의 원통부의 축 상을 전진 방향으로 이동 안내하고, 그 지점에서 구동축을 내측의 원통부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안내한다.
이렇게 하여 래크 본체(A) 및 덮개(B1, B2)의 구성 부품이 형성되고,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크 본체(A)는 상자의 각 코너를 이루는 8개의 코너 블록(1)과, 상자의 정면 및 배면의 각 프레임(F1, F2)을 구성하는 8개의 프레임 구성 부재(2)와, 상자의 정면 및 배면의 프레임(F1, F2)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안길이 방향 부재(3)를, 각 코너 블록(1)의 높이 방향, 폭방향, 및 안길이 방향의 각 볼록부와 프레임 구성 부재(2)의 오목부 및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오목부의 걸어맞춤, 그리고 이 걸어맞춤 부분의 나사 고정에 의해 각각 조립한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 부재(2)와 안길이 방향 부재(3)의 각 측가장자리의 홈에 패널(4)을 편입하여, 프레임 구성 부재(2)와 안길이 방향 부재(3)에 의해 구성되는 상하 좌우의 각 면을 형성하여 래크 본체(A)를 완성시킨다.
래크(R1) 내에 예를 들면 컴퓨터, 통신기기, 전기기기 등, 각종 기기를 상하로 나누어 다단적으로 수납할 필요가 있으면, 필요한 매수의 앵글 플레이트(55)를 좌우 쌍으로 하여 상하에 필요한 간격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강 부재(5)에 나사에 의해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앵글 플레이트(55)를 사용하면, 각종 기기를 다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자의 정면 및 배면측의 각 덮개(B1, B2)는 각 코너(c)를 이루는 덮개 코너 블록(71)과, 프레임(f)을 구성하는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를, 덮개 코너 블록(71)의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의 볼록부와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의 오목부의 걸어맞춤, 그리고 이 걸어맞춤 부분의 나사 고정에 의해 조립한다.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에 의해 구성되는 정면 및 배면의 각 면에 덮개 패널(73)을 편입하여, 각 덮개(B1, B2)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래크 본체(A)의 정면 및 배면에 덮개(B1, B2)를 맞추어, 각 덮개(B1, B2)의 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72)에 덮개 로크 부재(8)를 장착하고, 래크 본체(A)측에 걸어맞추어 로크하고, 래크 본체(A)와 덮개(B1, B2)를 결합하여 래크(R1)를 완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래크(R1)에는 다리, 캐스터, 손잡이 등, 각종 부속품을 부착할 수 있다. 래크 본체(A)는 이들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구비한다. 본 실시 태양에서는, 래크 본체(A)의 안길이 방향 부재(3)를 부착 구조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부속품측에 설치한 부착 구조의 일부인 부착 부재를 고정판 및 나사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래크-부속품 조립체로 한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래크측의 부착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래크 본체(A)의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래크 본체(A)측의 부착 구조를 이루는 안길이 방향 부재(3)는 도 1의 부착부(T)를 이룬다. 부착부(T)의 부착면은 안길이 방향 부재(3)의 한 쌍의 플랜지(311)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스듬한 면이다. 부착부(T)의 부착면으로부터 래크(R1) 내부를 향하여 오목형상으로 설치된 부착홈(S1)은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외측면(31)에 의해 형성되는, 안길이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오목부인 부착홈(31)이다. 부착부(T)의 부착홈(S1)의 래크(R1) 안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대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S11)는 안길이 방향 부재(3)의 한 쌍의 플랜지(311)이며, 이 플랜지(311)의 외 표면이 상기한 바와 같이 부속품의 부착면이 된다.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외측면(3)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는 부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의 폭이 오목부 내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래크(R1)측의 부착 구조인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대하여 부착하는 부속품인 손잡이 및 다리의 구조 및 부착 순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크(R1)에 부착하는 부속품인 다리(37)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정판(S2) 및 나사(S4)와 동일한 구조의 고정판(33)과 나사(35)에 의해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부착된다. 고정판(33)은 길이 방향 양단부 가까이에 각각 폭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나사 구멍(330)을 가진다. 이 실시 태양에서는 고정판(33)은 2개 사용된다.
다리(37)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구조의 부착 부재(S3)와 동일한 구조의 부착 부재(34)와, 이 부착 부재(34)와 일체로 설치된 다리 부재(371)를 구비한다. 부착 부재(34)는 안길이 방향 부재(3)의 한 쌍의 플랜지(311)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설치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부 가까이에 각각 폭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나사 구멍(340)이 고정판(33)의 나사 구멍(330)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다리 부재(371)는 래크(R1)에 부착한 상태로, 부착 부재(34)의 길이 방향 한 가장자리부로부터 래크 본체(A)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부(372)와, 이 고정부(372)와 부착 부재(34)의 교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리형상부(373)로 이루어진다. 이 다리형상부(373)는 2개의 래크(R1)를 상하에 겹치고, 위의 래크(R1)에 다리(37)로서 부착된 경우, 아래의 래크(R1)의 래크 본체(A)의 상면의 대응하는 위치의 변을 모따기한 경사면(안길이 부 재(3)의 부착면)을 따라 맞닿음 가능하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나사(35)는 합계 4개 사용된다. 또한, 이 다리(37)는 전체로서, 안길이 방향 부재(3)의 부착홈(31)의 수평 방향 깊이에 대응하는 범위 내, 즉 수평면(t2)의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다리(37)를 래크(R1)의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고정판(33)을 그 폭방향을 부착홈(31)의 폭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부착홈(31)의 개구를 통과하여 홈 내부에 삽입한다. 다음에 고정판(33)을 90도 회전시켜, 길이 방향을 부착홈(31)의 폭방향을 향하게 하고, 홈(31) 내부에 있어서 양 플랜지(311)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한다. 다리(37)의 고정부(372)를 래크 본체(A)의 바닥면을 따라 맞춤과 아울러, 부착 부재(34)를 부착홈(31)의 외측에서, 양 플랜지(311)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35)를 부착 부재(34)의 나사 구멍(340)으로부터 고정판(33)의 나사 구멍(330)으로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판(33)과 부착 부재(34)를 각각 부착홈(31)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양 플랜지(311)에 압접하여, 부착 부재(34)를 안길이 방향 부재(3)의 부착면 상에 고정한다. 이 나사 체결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고정판(33)의 1개의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코너가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33)은 부착홈(31) 내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사(35)를 조일 때에, 고정판(33)이 나사(35)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 실시 태양에서는 이 다리(37)를 래크 본체(A) 하면의 한 쌍의 안길이 방향 부재(3)의 각각 양단부 부근에 하나씩 부착한다.
이러한 다리(37)를 래크(R1)에 부착하고, 다리(37)를 통하여 래크(R1)를 설치면에 설치해도, 복수의 래크(R1)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의 래크(R1)의 다리(37)가 아래의 래크(R1)의 상면의 각 변을 따라 맞닿으므로, 이것으로 어긋남이 방지되어, 래크(R1)끼리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 위의 래크(R1)의 다리(37)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 같은 일이 있어도, 아래의 래크(R1)의 상면의 코너 블록(1)에 의해, 다리(37)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래크(R1)끼리의 어긋남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위의 래크(R1)의 다리(37)를 아래의 래크(R1)의 상면의 코너 블록(1)과, 아래의 래크(R1)의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부착한 후술하는 손잡이(36)의 부착 부재(34) 사이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다리(37)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37)가 래크(R1)의 좌우 양측에서 八자형을 이룸(도 5(b)에 나타내는 다리(37)가 우측, 좌측에는 이것과 대칭으로 다리(37)가 배치됨)으로써, 래크(R1)를 설치면 상에 안정적으로 둘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래크(R1)를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에, 위의 래크(R1)의 다리(37)가 아래의 래크(R1)의 상자의 8면 커트를 이루는 각 변에 딱맞게 피트되므로, 래크(R1)에 다소의 경사가 있거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한 경우에도, 래크(R1)가 어긋나지 않는다.
캐스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데, 이 캐스터의 부착 방법은 기본적으로 다리(37)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캐스터도 또 전체적으로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수평면(t2)의 면적 내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리(37) 대신에 캐스터를 하나씩 부착함으로써, 캐스터의 전동에 의해, 래크(R1)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손잡이(36)에 대해서 설명한다. 손잡이(36)는 대략 C자형의 손잡이 링(361)을 가지고, 부착 개소 1개소, 즉 손잡이 링(361)의 일단에 대해서, 고정판(33) 하나와 나사(35)를 사용한다. 고정판(33)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본 형상을 가지는데, 나사 구멍(330)은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34)는 상기한 다리(37)와는 상이한 구조로, 부착 개소 1개소에 대해서 하나씩 사용한다. 부착 부재(34)는 손잡이 링(361)의 양단의 각각에 위에서 피착 가능한 서로 각도를 이루는 2면과,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양 플랜지(31) 상에 걸쳐서 설치 가능한 바닥면을 가지는 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로 각도를 이루는 2면이 교차하는 정변(頂邊)의 내측은 손잡이 링(361)의 각 단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단면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2면의 각각에 고정판(33)의 나사 구멍(330)에 대응하여 나사 구멍(340)이 하나씩 형성된다. 나사(35)는 합계 4개 사용된다. 또한, 이 손잡이(36)는 전체적으로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수평면(t2)의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손잡이(36)를 래크(R1)의 안길이 방향 부재(3)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고정판(33)을 그 폭방향을 부착홈(31)의 폭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부착홈(31)의 개구를 통과하여 홈 내부에 삽입한다. 다음에 고정판(33)을 90도 회전시켜, 길이 방향을 부착홈(31)의 폭방향을 향하게 하고, 홈(31) 내부에 있어서 양 플랜지(311)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한다. 각 부착 부재(34)를 부착홈(31)의 외측에서, 양 플랜지(311)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35)를 부착 부재(34)의 나사 구멍(340)으로부터 고정판(33)의 나사 구멍(330)으로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판(33)과 부착 부재(34)를 각각 부착홈(31)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양 플랜지(311)에 압접하여, 부착 부재(34)를 안길이 방향 부재(3)의 부착면 상에 고정한다.
또한 이 손잡이(36)는 래크 본체(A)의 상면의 각 변을 이루는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안길이 방향 중앙 부근에 하나씩 부착해도 되고,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부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36)를 래크(R1)에 부착함으로써, 각종 기기를 수납한 래크(R1)의 상승 하강, 반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손잡이(36)를 넓힘으로써, 이것을 덮개(B1, B1)의 행거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 손잡이(36)를 사용하여 덮개(B1, B2)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이용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늘어놓은 2개의 래크(R1) 사이를 도 7에 나타내는 래크 접속 부품(10)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래크 접속 부품(10)은 제1 후크(103)와, 제2 후크(106)와, 손잡이 부착 너트(107)를 구비한다. 제1 후크(103)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이며, 그 일단에 일방의 래크 본체(A)의 안길이 방향 부재(3)의 플랜지(311)의 일방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발톱(101)을 가진다. 이 플레이트의 평면부 상에는 스크류 샤프트(102)가 세워져 설치된다. 제2 후크(106)도 플레이트 형상의 부품이며, 그 일단에 타방의 래크 본체(A)의 안길이 방향 부재(3)의 플랜지(311)의 일방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발톱(104)을 가진다. 이 플레이트의 평면부 상에는 양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후크(103)의 스크류 샤프트(102)를 삽입통과 가능한 긴구멍(105)이 형성된다. 손잡이 부착 너트(107)는 스크류 샤프트(102)에 나사결합 가능하며, 긴구멍(105)에 스크류 샤프트(102)를 통과시켜, 제1 후크(103) 상에 제2 후크(106)를 중첩하고, 제2 후크(106) 위로부터 스크류 샤프트(102)에 너트(107)를 나사결합하여, 제1 후크(103)를 향하여 압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래크 접속 부품(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래크(R1) 사이, 혹은 좌우로 병치된 2개의 래크(R1)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일방의 래크(R1)의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일방의 플랜지(311)에, 제1 또는 제2 후크(103, 106)의 걸음 발톱(101, 104)의 일방을 건다. 이 후크(103, 106)에 대하여 타방의 후크(106, 103)를 걸음 발톱(101, 104)이 서로 근접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제1, 제2 후크(103, 106)의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타방의 후크(106, 103)의 걸음 발톱(104, 101)을 타방의 안길이 방향 부재(3)의 일방의 플랜지(311)에 건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 샤프트(102)에 너트(107)를 조이고, 제2 후크(106)를 제1 후크(103)를 향하여 압압함으로써 2개의 후크(103, 106) 사이를 고정하여, 2개의 래크(R1) 사이를 접속 고정한다.
이와 같이 래크 접속 부품(10)을 사용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늘어놓은 2개의 래크(R1)를 접속함으로써, 래크(R1) 사이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래크(R1)측에 부착홈(S1)을 가지는 부착부(T)를 설치하고, 부속품측에 부착 부재(S3)를 설치하고, 고정판(S2) 및 나사(S4)를 사용하여, 부착 부재(S3)를 부착부(T)에 부착하는 구조로 했으므로, 부속품을 래크(R1)의 각 면을 이루는 패널에 구멍을 뚫지 않고 부착할 수 있으며, 그 부착, 분리가 용이하다. 또 부속품을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또한 강고하게, 게다가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하여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고정판(S2)의 1개의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코너를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착 부재(S3)와 고정판(S2)을 나사(S4)에 의해 체결할 때에, 고정판(S2)은 부착홈(S1) 내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사(S4)를 조일 때에, 고정판(S2)이 나사(S4)와 함께 회전해버리지 않아, 나사의 체결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부속품은 부착 부재(S3)의 수평면의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부속품을 래크(R1)의 각 변에 부착하고 있어도, 각 변으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래크(R1)를 병치하는 경우에 부속품이 인접하는 래크(R1)나 그 부속품에 닿지 않아, 복수의 래크(R1)를 간극없이 늘어놓을 수 있다. 또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적재함에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복수의 래크(R1) 사이의 충돌, 파손을 한없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속품이 다리, 캐스터인 경우,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도 없는 등, 각종 부속품의 최적인 부착 태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래크(R1)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래크 접속 부품(10)을 아울러 구비할 수 있어, 복수의 래크(R1)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병치하거나 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합시켜 설치하거나 할 경우에, 이 래크 접속 부품(10)을 사용하여 복수의 래크(R1) 사이를 접속할 수 있어, 래크(R1) 사이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고정하고, 래크(R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는 박스형의 래크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부착 구조는 이러한 래크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각종 래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부착 구조로서, 래크의 안길이 방향 부재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각종 래크에 각종 부속품을 위한 부착부를 형성하고, 부착홈을 형성하여, 부착 부재를 가지는 각종 부속품을 고정판 및 나사에 의해 마찬가지로 부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는 각종 래크의 4개의 변에 비스듬히 형성해도 되고, 또 바닥면이나 상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비스듬히 또는 평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이 경우, 부착홈의 폭이나 길이는 적어도 부속품의 부착에 필요한 치수를 채용하면 된다.
R1…기기 수납용 래크
A…래크 본체
B1…정면의 덮개
B2…배면의 덮개
C…코너
F1…정면측의 프레임
F2…배면측의 프레임
S…안길이부
S1…부착홈
S11…플랜지
S2…고정판
S20…나사 구멍
S3…부착 부재
S30…나사 구멍
S4…나사
T…부착부
t1…수직면
t2…수평면
P…면
H…보강 프레임
c…코너
f…프레임
p…면
1…코너 블록
11…외측
12…내측
2…프레임 구성 부재
21…외면
22…내면
3…안길이 방향 부재
31…외측의 면(부착홈)
311…플랜지
32…내측의 면
321…홈
33…고정판
330…나사 구멍
34…부착 부재
340…나사 구멍
35…나사
36…손잡이
361…손잡이 링
37…다리
371…다리 부재
372…고정부
373…다리형상부
4…패널
5…보강 부재
50…너트
55…앵글 플레이트
71…덮개 코너 블록
711…플랫면
712…내측
72…덮개 프레임 구성 부재
73…덮개 패널
731…보강용의 리브
8…덮개 로크 부재
10…래크 접속 부품
101…걸음 발톱
102…스크류 샤프트
103…제1 후크
104…걸음 발톱
105…긴구멍
106…제2 후크
107…손잡이 부착 너트

Claims (6)

  1. 래크에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가지는 래크-부속품 조립체로서,
    이 부착 구조는 래크측 부착부와, 부속품측 부착 부재와, 고정판과, 나사를 포함하고,
    래크측 부착부는 부속품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과, 이 부착면으로부터 래크 내부를 향하여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착홈과, 부착홈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대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부착홈은 부착면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의 폭은 홈 내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플랜지의 외표면은 상기 부착면을 이루고,
    부속품측 부착 부재는 부속품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홈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부착 가능한 형상이며, 관통 구멍인 나사 구멍을 가지고,
    고정판은 직사각형의 평판이며, 그 폭은 상기 부착홈의 개구부의 폭보다 작고, 그 길이는 부착홈의 개구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홈 내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고, 전체를 부착홈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의 내표면에 걸고 빼기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며, 상기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나사 구멍을 가지고,
    나사는 상기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상기 고정판의 나사 구멍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상기 고정판을 그 폭방향을 상기 부착홈의 폭방향에 맞추어 배치하고, 부착홈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홈 내부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길이 방향을 부착홈의 폭방향을 향하게 하고, 부착홈 내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를 부착홈의 외측에서, 플랜지 상에 걸쳐서 부착면에 배치하고,
    나사를 부착 부재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고정판의 나사 구멍으로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고정판과 부착 부재를 각각 부착홈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플랜지에 압접하여, 부착 부재를 부착면 상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래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측 부착부의 부착면은 래크의 변이 비스듬히 모따기되어 형성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측 부착부가 직사각형의 래크의 안길이 방향의 변을 이루는 안길이 방향 부재이며, 이 안길이 방향 부재는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고 접합되어 있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직부 및 수평부의 각 자유측부는 수직부와 수평부의 접합선에 대하여 평행하며, 상기 플랜지가 수직부 및 수평부의 자유측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1개의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2개의 코너가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래크측 부착부의 수평부의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부속품 조립체.
KR1020120151866A 2011-12-22 2012-12-24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 KR101420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1738 2011-12-22
JP2011281738A JP5559136B2 (ja) 2011-12-22 2011-12-22 ラック付属品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228A KR20130079228A (ko) 2013-07-10
KR101420103B1 true KR101420103B1 (ko) 2014-07-16

Family

ID=4863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866A KR101420103B1 (ko) 2011-12-22 2012-12-24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59136B2 (ko)
KR (1) KR101420103B1 (ko)
CN (1) CN1031749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7675A1 (zh) * 2016-08-10 2018-02-15 酷码科技股份有限公司 模块化计算机机箱的机架组装结构
WO2020065880A1 (ja) * 2018-09-27 2020-04-0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061A (ja) * 1997-05-15 1998-12-04 Nec Eng Ltd 電子装置用汎用ラック
KR200183341Y1 (ko) * 1997-12-05 2000-06-01 강병호 프레임 연결용 치구
KR100375063B1 (ko) * 1998-03-18 2003-03-0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부품 키트
JP2010267854A (ja) * 2009-05-15 2010-11-25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701U (ko) * 1989-08-08 1991-04-03
JP2558439Y2 (ja) * 1991-11-19 1997-12-24 株式会社東芝 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JPH06196880A (ja) * 1992-12-22 1994-07-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ラック取付用支柱
JP3011317U (ja) * 1994-07-28 1995-05-23 菱電電子機工株式会社 ラック及びラック取付装置
WO2011000432A1 (en) * 2009-07-03 2011-01-06 Modul-System Hh Ab Elongated element
US8696400B2 (en) * 2009-11-16 2014-04-15 The Boppy Company, Llc Shopping cart liner with toy attachment system
CN201934876U (zh) * 2010-12-28 2011-08-17 嘉兴美尔凯特卫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吊顶电器的吊架
CN201992301U (zh) * 2011-04-08 2011-09-28 青岛四方庞巴迪铁路运输设备有限公司 车内间壁电视安装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061A (ja) * 1997-05-15 1998-12-04 Nec Eng Ltd 電子装置用汎用ラック
KR200183341Y1 (ko) * 1997-12-05 2000-06-01 강병호 프레임 연결용 치구
KR100375063B1 (ko) * 1998-03-18 2003-03-0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부품 키트
JP2010267854A (ja) * 2009-05-15 2010-11-25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228A (ko) 2013-07-10
JP5559136B2 (ja) 2014-07-23
JP2013131708A (ja) 2013-07-04
CN103174914A (zh) 2013-06-26
CN103174914B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106B1 (ko) 기기 수납용 래크
US7293666B2 (en) Equipment enclosure kit and assembly method
US8787023B2 (en) Rail mounting clamp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US20150069888A1 (e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structure
WO2012037126A1 (en) Docking station for a video monitor
US8755178B2 (en) Frame assembly for detachably fixing an electrica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CA3038058A1 (en) Adjustable modular shelving system
US20190364688A1 (en) Sever having slide rail fastening structure
KR101420103B1 (ko) 래크 부속품의 부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체
US20110260593A1 (en) Server cabinet with dual-function side door
US20140139997A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data storage device and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US20110115347A1 (en) Locking assembly and electronic enclosure using same
CN109154466B (zh) 铰链装置及具备该铰链装置的收纳箱
JP4804939B2 (ja)
US20200083654A1 (en) Power distribution unit retention device
US20160177598A1 (en) Locking device
US11266036B2 (en) Assembly formed from a switch cabinet base and a switch cabinet rack mounted thereon, and a corresponding switch cabinet row
EP2184928A1 (en) Speaker fixing device and speaker
JP6910706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5137077B2 (ja) 部材連結構造及びこれを適用したパネルシステム
US8320116B2 (en) Multi-use removable electronic data storage device carrier module
JP5826312B2 (ja) 筐体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取付け具
KR20190000181U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US12068586B2 (en) Switch cabinet with a frame and a sidewall element mounted thereon
CN107517545B (zh) 电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