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935B1 -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 Google Patents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935B1
KR101419935B1 KR1020070093779A KR20070093779A KR101419935B1 KR 101419935 B1 KR101419935 B1 KR 101419935B1 KR 1020070093779 A KR1020070093779 A KR 1020070093779A KR 20070093779 A KR20070093779 A KR 20070093779A KR 101419935 B1 KR101419935 B1 KR 10141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ext
text file
font information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94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9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꼴정보가 미리 작성된 글꼴테이블저장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텍스트 파일의 폰트 사이즈, 컬러 그리고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환되도록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변경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파일명변경부는 식별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파일명을 변경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폰트 사이즈, 컬러 그리고 스타일에 각각 대응되는 고유 정보이다. 또한,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미리 설정된 글꼴정보로 텍스트가 변환/표시되는 이점이 있다.
텍스트 폰트, 텍스트 파일,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

Description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A APPARATUS FOR FONT INFORMATION CONVERTING, A CONVERTING SYSTEM THEREOF AND A METHOD OF FONT INFORMATION CONVERTING}
본 발명은 텍스트 폰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파일명에서 자동 판단하여 변환/표시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기, 예컨대 MP3P(MPEG Audio Layer-3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전자사전,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등은 텍스트 뷰어(Viewer) 기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Text) 파일이 리드되면, 상기 텍스트 파일은 상기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리드되어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상기 텍스트 파일은 디폴트(Default) 값이 적용된 폰트(Font)에 따라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다. 즉, 상기 텍스트 파일은 최초 설정된 폰트 사이즈, 컬러 그리고 스타일(이하 "글꼴정보"라 함.)대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표시된 텍스트의 글꼴정보를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 뷰어 기능에 제공된 툴바(tool bar)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글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환한다. 그러면, 상기 변환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는 상기 변환된 글꼴정보를 기준설정정보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후 다른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는 상기 기준설정정보에 따라 변환/표시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텍스트 파일을 리드할 때마다 상기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예컨대, MP3P에 제공된 텍스트 뷰어 기능에서 기준설정정보로 글꼴정보의 사이즈/컬러/스타일이 각각 '10px*10px', 'Black', 'Arial'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는 상기 기준설정정보대로 화면에 표시된다. 만약, 임의의 텍스트 파일을 리드할 때,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기준설정정보와 다른 글꼴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글꼴정보의 사이즈/컬러/스타일을 변환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미리 설정된 글꼴정보로 자동 변환되어 표시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글꼴정보 변환장치는,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가 미리 작성된 글꼴테이블저장부, 상기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파일변환부,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파일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글꼴정보대로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는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변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변경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파일변환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header)부분 또는 테일(tail)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하는 글꼴정보추가부로소 구성된다.
상기 제1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상기 포함된 식별정보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글꼴정보가 두 개인 경우,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 사이즈/스타일 또는 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글꼴정보가 세 개인 경우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제2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글꼴정보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텍스트 파일 변환 시스템은,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는 PC 시스템, 그리고 상 기 PC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텍스트 파일이 전송되면, 상기 변경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C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C 시스템은, 상기 텍스트 파일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하는 글꼴정보추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는,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가 미리 작성된 글꼴테이블저장부,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 리드시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변경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는,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제2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글꼴정보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글꼴정보 변환방법은,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단계,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글꼴정보 변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명 변경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파일명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글꼴정보 변환방법은,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글꼴정보를 추가하는 글꼴정보 추가단계,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에 포함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글꼴정보 변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글꼴정보 추가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한다.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판단 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판단 단계는, 상기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를 판단한다.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가 미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변환/표시한다.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미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변환/표시한다.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에 따르면, 단지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글꼴정보를 미리 작성해주기만 하면 상기 텍스트 파일 리드시 글꼴정보로 자동 변환되어 표시되고,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글꼴정보를 추가하기만 하면 상기 텍스트 파일 리드시 글꼴정보로 자동 변환되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글꼴정보가 용이하게 변환/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 변환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는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환하기 위해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header)/테일(tail)부분을 이용할 수 있는바, 이를 각각 설명한다.
이하,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이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파일명을 이용한 경우는, PC 시스템에서 파일명을 변경하고 글꼴정보 변환장치(이하 "휴대용 단말기기"라 함.)에서 상기 변경된 파일명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경우, 또는 휴대용 단말기기에서 파일명을 변경하고 상 기 변경된 파일명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PC 시스템에서 파일명을 변경하고, 휴대용 단말기기에서 상기 변경된 파일명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경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C 시스템(100)에는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글꼴정보가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변경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파일명변경부(110)는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파일명을 변경한다. 예컨대, 도 2a에는 파일명변경 툴(tool)을 이용하여 파일명을 변경하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만약 기존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이 '엽기적인 그녀.txt'라면, 사용자는 상기 파일명변경부(110), 즉 파일명변경 툴을 이용하되 선택메뉴(A)를 이용하여 폰트 사이즈인 '10px*10px(a)', 폰트 컬러인 'Black(b)', 폰트 스타일인 '고딕체(c)'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파일명변경 툴은 상기 선택된 글꼴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로 '3(a')', 'BK(b')', 'GO(c')'를 포함하여 '엽기적인 그녀_3_BK_GO.txt'와 같이 파일명을 변경한다.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PC 시스템(100)에 구비된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도면에 미도시)을 통해서도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PC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판단하여, 그 글꼴정보로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에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따라 글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글꼴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 부(220)에는 폰트 사이즈가 저장된 사이즈테이블저장부(222)와, 폰트 컬러가 저장된 컬러테이블저장부(224)와, 폰트 스타일이 저장된 스타일테이블저장부(226)가 구비된다.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c에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가 도시되어 있는 글꼴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폰트 사이즈는 식별코드로 '1'부터 '10'까지 작성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8px*8px'부터 '18px*18px'까지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다음,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폰트 컬러는 식별코드로 'BK', 'WH', 'RE', 'GR', 'YE', 'OR', 'BL', 'PU', 'BR' 등이 작성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Black', 'White', 'Red', 'Green', 'Yellow', 'Orange', 'Blue', 'Purple', 'Brown' 등의 컬러로 표시된다. 다음,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폰트 스타일은 식별코드로 'AR', 'GO', 'GU' 등이 작성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Arial', 'Gothic', '굴림체' 등의 스타일로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2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자동 변환 가능 여부는 상기 파일명에 식별코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경우를 말한다.
상기 제1판단부(230)의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인 경우, 상기 포함된 식별코드의 배열이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형식조건은 상기 식별코드가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조건이다. 만약,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두 개인 경우, 상기 제2판단부(240)는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 사이즈/스타일 또는 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의 배열 순서가 글꼴정보가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면,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는 제어부(250)가 구비된다.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c를 다시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파일명이 '엽기적인 그녀_3_BK_GO.txt'라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테이블저장부(222),(224),(226)에 저장되어 있는 글꼴테이블에 기초하여 식별코드인 '3', 'BK', 'GO'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로 '10px*10px', 'Black', 'Gothic'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
또,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판단부(230)의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인 경우, 또는 상기 제2판단부(240)의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의 배열 순서가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1판단부(230)와 제2판단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판단부만이 동작되어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의 자동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글꼴정보 변환방법을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PC 시스템(100)에서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파일명변경부(110)는 글꼴테이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한다(S100). 만약,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이 '엽기적인 그녀.txt'라 가정하면, 상기 파일명변경부(110)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엽기적인 그녀_3.txt', '엽기적인 그녀_3_BK.txt', '엽기적인 그녀_3_BK_GO.txt' 등과 같은 파일명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글꼴정보, 즉 폰트 사이즈, 컬러 그리고 스타일에 각각 대응되는 고유 정보이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제110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기(200)의 제어부(250)는 상기 PC 시스템(100)으로부터 텍스트 파일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250)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는지 계속 감시한다(S120).
상기 감시결과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제1판단부(230)는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인지를 판단한다(S130). 즉, 상기 제1판단부(230)는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제2판단부(240)는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식별코드가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약, 상기 포함된 식별코드가 두 개인 경우, 상기 제2판단부(240)는 사이즈/컬러, 사이즈/스타일 또는 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140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 부(250)는 글꼴테이블저장부(224),(226),(228)를 액세스하여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각각의 글꼴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추출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150, S160).
한편, 상기 제130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인 경우, 또는 상기 제140단계에서 판단결과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132).
예컨대, 도 5a 및 도 5b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명을 이용하여 텍스트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기의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60) 상단에 표시된 '엽기적인 그녀.txt(C)'와 같이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거나 또는 '엽기적인 그녀_GO_3_BK(D)'와 같이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60) 하단에 표시된 글꼴정보(262), 즉 휴대용 단말기기(200)에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값, 또는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262)에 따라 텍스트를 표시한다.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60) 상단에 표시된 '엽기적인 그녀_3_BK_GO(E)'와 같이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거나 또는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파일명에 포함되어 있듯이, 식별코드인 '3', 'BK', 'GO'에 대응하여 각각 '10px*10px', 'Black', '고딕체'의 글꼴정보(264)로 텍스트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
상기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PC 시스템(100)에 구성된 상기 파일명변경부(110)가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로 다운로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파일명변경부(110a)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에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파일명을 변경한 후, 상기 텍스트 파일 리드시 글꼴정보가 변경된 텍스트로 변환/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header)/테일(tail)부분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시 예의 휴대용 단말기기의 구성과 유사하고, 다만 글꼴정보를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추가하기 위한 글꼴정보추가부만이 그 구성을 달리하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이러한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PC 시스템(100)에는 텍스트 파일 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글꼴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글꼴정보추가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글꼴정보추가부(120)는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추가한다. 예컨대, 도 2b는 글꼴정보추가 툴을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추가하는 예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존 텍스트 파일에 글꼴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글꼴정보추가부(120), 즉 글꼴정보추가 툴을 이용하되 선택메뉴(B)를 이용하여 폰트 사이즈인 '13px*13px(d)', 폰트 컬러인 'Blue(e)', 폰트 스타일인 '굴림체(f)'를 선택한 다. 그러면, 상기 글꼴정보추가 툴은 상기 선택된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로 '6(d')', 'BL(e')', 'GU(f')'를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추가한다.
그리고, 상기 PC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파일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글꼴정보로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에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인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2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판단부(230)는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식별코드가 추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결과 식별코드가 추가되어 있으면, 상기 추가된 식별코드가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240)가 구비된다.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 즉, 저장부(220)의 사이즈테이블저장부(222), 컬러테이블저장부(224) 그리고 스타일테이블저장부(226), 제어부(25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60)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꼴정보 변환방법을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를 참조하면, PC 시스템(100)에서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글꼴정보추가부(120)는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한다(S200).
제210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상기 PC 시스템(100)으로부터 텍스트 파일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240)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는지를 계속 감시한다(S220).
상기 감시결과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면, 제1판단부(230)는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1판단부(230)는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식별코드가 추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30).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제2판단부(240)는 상기 판단된 글꼴정보가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240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글꼴테이블저장부(222),(224),(226)를 액세스하여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250, S260).
한편, 상기 제230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인 경우, 또는 상기 제240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제1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에 디폴트 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232).
예컨대, 도 7a 및 도 7b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헤더(또는 테일)부분을 이용하여 텍스트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기의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거나 또는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260) 하단에 표시된 글꼴정보(266), 즉 휴대용기기(200)에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값, 또는 마지막으로 변경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표시한다. 다음,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 리드되거나 또는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텍스트 파일이 리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추가된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60) 하단에 표시된 글꼴정보(268), 즉 '10px*10px', 'Black', '고딕체'와 같이 텍스트를 변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
상기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PC 시스템(100)에 구성된 상기 글꼴정보추가부(120)가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꼴정보를 추가한 후, 상기 글꼴정보가 추가된 텍스트 파일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실시 예와 같이 제2실시 예에서도 상기 글꼴정보추가부(120a)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200)에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또는 테일)부분에 글꼴정보를 추가한 후, 그 글꼴정보대로 텍스트가 변환/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변환 툴을 이용하여 글꼴정보를 변경하는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가 도시되어 있는 글꼴테이블.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파일 변환 방법의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기의 화면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 파일 변환 방법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기의 화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C 시스템 110 : 파일명변경부
120 : 글꼴정보추가부 200 : 휴대용 단말기기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저장부
222 : 사이즈테이블저장부 224 : 컬러테이블저장부
226 : 스타일테이블저장부 230 : 제1판단부
240 : 제2판단부 250 : 제어부
260 : 디스플레이부 110a : 파일명변경부
120a : 글꼴정보추가부

Claims (34)

  1.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가 저장된 글꼴테이블저장부;
    상기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변경되는 글꼴정보를 포함하도록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변환부;
    텍스트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 변경을 위한 정보가 파일명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파일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글꼴 정보대로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는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변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 경하는 파일명변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변환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header)부분 또는 테일(tail)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하는 글꼴정보추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상기 포함된 식별정보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글꼴정보가 두 개인 경우,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사이즈/컬러, 사이즈/스타일 또는 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 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글꼴정보가 세 개인 경우 사이즈/컬러/스타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제2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택스트 파일이 자동 변환이 불가능 하거나,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장치.
  11. 제 1항, 제 2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파일 변환장치.
  12.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는 PC 시스템; 그리고
    상기 PC 시스템으로부터 텍스트 파일이 전송되면, 상기 변경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PC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텍스트파일의 글꼴정보가 미리 작성된 글꼴테이블저장부와, 텍스트파일 리드 시 글꼴테이블 저장부를 참조하여 변경된 글꼴 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PC 시스템은,
    상기 텍스트 파일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하는 글꼴정보추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는,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가 미리 작성된 글꼴테이블저장부,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 리드시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변경된 글꼴정보대로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기에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는,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형식조건에 따라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제2판단부에 의해 판단결과 파일형식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글꼴테이블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자동 변환이 불가능한 텍스트 파일이거나 또는 상기 파일형식조건과 미일치하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시스템.
  22.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파일 변환 시스템.
  23.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단계,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파일명에 포함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글꼴정보 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변경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파일명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25. 텍스트 파일의 글꼴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글꼴정보를 추가하는 글꼴정보 추가단계, 그리고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에 포함된 글꼴정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의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글꼴정보 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 추가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구조의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에 상기 글꼴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27. 제 24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자동 변환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 단계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파일명, 헤더부분 또는 테일부분을 분석하여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방법.
  29. 제 24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파일이 리드될 때 파일형식조건에 맞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 단계는,
    상기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31. 제 24항 또는 26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글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가 미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 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 변환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식별코드가 소정 순서로 미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기 리드된 텍스트 파일을 디폴트(default) 값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텍스트 뷰어 기능을 통해 마지막으로 변경 설정된 글꼴정보에 따라 텍스트를 변환/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방법.
  34.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꼴정보는 텍스트 폰트 사이즈, 폰트 컬러, 폰트 스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꼴정보 변환 방법.
KR1020070093779A 2007-09-14 2007-09-14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KR10141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79A KR101419935B1 (ko) 2007-09-14 2007-09-14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79A KR101419935B1 (ko) 2007-09-14 2007-09-14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94A KR20090028294A (ko) 2009-03-18
KR101419935B1 true KR101419935B1 (ko) 2014-07-17

Family

ID=4069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79A KR101419935B1 (ko) 2007-09-14 2007-09-14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10B1 (ko) * 2009-10-12 2010-04-13 주식회사 릭스코 컬러 폰트를 이용한 웹 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19748B1 (ko) * 2018-11-01 2020-06-0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허가되지 않은 글꼴이 사용된 문서를 수정하여 웹 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관리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9560B1 (ko) * 2018-11-20 2020-06-05 그린캣소프트(주) Svg 포맷을 이용한 폰트 편집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736A (ja) * 2001-07-12 2003-01-31 Ricoh Co Ltd フォント提供システム、フォント切替システム、文字検索システム、フォント管理サーバ、そのクライアント、フォント提供方法、フォント切替方法、文字コード変換方法、文字検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736A (ja) * 2001-07-12 2003-01-31 Ricoh Co Ltd フォント提供システム、フォント切替システム、文字検索システム、フォント管理サーバ、そのクライアント、フォント提供方法、フォント切替方法、文字コード変換方法、文字検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94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7377A1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74085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evice dependent fonts in a graphical display interface
EP1667031A2 (en) HTML-e-mail creation system
US7940273B2 (en) Determination of unicode points from glyph elements
US20060059430A1 (en) Palette-based color selection within a user interface theme
KR101419935B1 (ko) 글꼴정보 변환장치 및 이의 변환 시스템 그리고 글꼴정보변환방법
JP3642251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8928916B2 (e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program product
US20070061718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 interpretation mode
JP2004187289A (ja) 色変換の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コード
US10115374B2 (en) Variable glyph encoding
US5937086A (en) Col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6506805A (zh) 联系人头像图片生成方法及装置
KR20060036832A (ko) 휴대단말기의 mms메시지 표시방법
KR102475313B1 (ko) 키보드
CN113986024A (zh) 输入装置
JP2008039504A (ja) 分析装置
JP391237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201901798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920433A (zh) 一种文本显示方法、系统及终端
JP4999014B2 (ja) 拡大縮小可能フォントをサポートするテキストエディタを用いたオブジェクトの挿入
US891329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08596270A (zh) 图片对比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94057B1 (ko) 색 변경 처리부를 포함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CN115268915A (zh) 页面代码文件的生成方法及装置、页面的渲染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