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49B1 -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49B1
KR101419449B1 KR1020120134171A KR20120134171A KR101419449B1 KR 101419449 B1 KR101419449 B1 KR 101419449B1 KR 1020120134171 A KR1020120134171 A KR 1020120134171A KR 20120134171 A KR20120134171 A KR 20120134171A KR 101419449 B1 KR101419449 B1 KR 10141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flange
adhesive resin
concrete
tren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1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7209A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기원 filed Critical 서기원
Priority to KR102012013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49B1/en
Publication of KR2014006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트렌치 몸체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물 등이 트렌치 몸체와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물 또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트렌치에서 바닥면에 매립되는 트렌치몸체에 결합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로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preventive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reinforc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rench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 reinforc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renches, which is installed in a room or outdoor, and which is coupled to a trench body to be buried in a bottom surface of a trench for collecting water or rainwater and discharging the water or rainwater to a sewer, And a coupling part bent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so as to be coupled to the flange formed on the trench body from above.

Description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본 발명은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트렌치 몸체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물 등이 트렌치 몸체와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preventive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reinforc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rench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트렌치는 실내 및 실외의 바닥에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와 상기 트렌치 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트렌치 커버로 이루어진다.
Generally, a trench is installed to drain water to indoor and outdoor floors, and is composed of a trench bod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and a trench cover coupled to an upper opening of the trench body.

상기 트렌치 몸체는 실내의 바닥면 또는 실외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리 형성된 배수통로에 배치되며 좌,우 양측판이 상방으로 돌출된 뒤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때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 커버가 안착턱 사이에 배치된다.The trench body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r an outdoor ground of the room, and is disposed in a drainage passage formed in advance, and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re protruded upward and bent from the upper end to the outer side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a seating jaw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nd the trench cover is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jaws.

또한, 상기 안착턱의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단절곡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단절곡부는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타일의 높이 및 상기 안착턱에 배치되는 트렌치 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돌출되어 타일과 트렌치 커버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upper bent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ating jaw, and the upper bent portion is protruded to have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til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trench cover disposed on the seating jaw, And the trench cover are in the same plane.

이러한 종래 트렌치가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417433호가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을 기재된 문제점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트렌치 본체(1)를 미리 구축된 콘크리트 배수통로(H)에 길게 연결 조립하고, 양쪽 틈새에 시멘트 몰탈을 채워서 양생시킨 후 상면에 그레이팅(2)을 덮어서 사용하는 구조이다.1, a trench body 1 made of stainless steel is connected to a concrete drainage passage (not shown) formed in advance, H), cement mortar is filled in both gaps and cured, and then the grating (2)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그러나, 상기 종래 배수 트렌치는 시공현장에서 양쪽 틈새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때 플렌지(3) 내부에 깊숙이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플렌지(3) 내측에 빈공간(S)이 생기며, 시공 후 주방의 사람들이 그레이팅이나 플렌지 상단을 밟고 다니면 플렌지가 유동되어 주변 틈새에 크랙이 점차 크게 발생되고 틈새(A)가 점차 커지고 틈새를 통해 오물이나 물이 유입되어 잔류하므로 악취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drainage trench can not be deeply inserted into the flange 3 when the cement mortar is poured into both gaps in the construction site, a vacant space S is formed inside the flange 3 after the concrete curing If people in the kitchen step on the grating or the top of the flange after construction, the flange will flow, causing a large crack in the surrounding clearance. The clearance (A) will gradually increase and the dirt and water will flow through the clearance. .

상기와 같은 종래 트렌치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트렌치 주변에 타설된 시멘트 몰탈을 제거한 후 파손된 트렌치 본체를 분리한 후 새로운 트렌치 본체를 배치하고 다시 그 주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근본적으로 상기 플렌지 내부에 시멘트 몰탈이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In order to repair the conventional trench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ement mortar placed around the trench, remove the broken trench body, place a new trench body, pour a cement mortar around the trench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such a process increase, and fundamentally, the problem that the cement mortar can not be injected into the flange has not been sol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트렌치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동시에 상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material for preventing leakage of water from a trench, which is coupled to a trench body, have.

또한, 시공전 또는 시공후의 트렌치에 적용할 수 있고, 적용된 후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를 보호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플렌지가 파손되지 않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material for preventing trench leakage which can be applied to a trench before or after construction and protects a flange formed on a trench body after application, so that the flange is not damaged even for a long time of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물 또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트렌치에서 바닥면에 매립되는 트렌치몸체에 결합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로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installed in a room or an outside of a trench for collecting water or rainwater and discharging the water or rainwater to a drain, And a coupling part bent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to be coupled to the flange formed on the trench body from above.

또한, 상기 고정부는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fixing portion.

이때, 상기 고정부는, 바닥면의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와 고정부의 상면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가 상기 구멍을 통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resin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adhesive water-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렌지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flange and a vertical surface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rface.

나아가,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bent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트렌치몸체가 매립된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용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부로부터 보강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의 고정부 상부에 접착용수지를 도포하여 도포된 접착용수지가 고정부의 구멍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바닥면에 도포된 접착용수지와 상호 접합되는 단계 및 상호 접합된 접착용수지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ve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dhesive water to an upp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trench body; filling a flange formed on the trench body with a reinforcement material from above; Applying the adhesive water to the adhesive resin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and then bonding the applied adhesive resin to the adhesive resin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and drying the adhesive resin.

또한, 상기 바닥면을 파낸 후 노출된 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도포된 접착용수지에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exposed surfaces after digging the bottom surface, and disposing tiles on the adhesive resin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나아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보강재의 고정판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serting the fixing plate of the reinforcing member into the concrete before the concrete forming the bottom surface is harden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공후 또는 시공중인 트렌치에 모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후 상부로부터 습기, 물 등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은 습기유입로를 통해 배수통로로 배출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ll the trenches after the construction or the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isture, water and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concrete from the upper part after the installa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The water impregnated in the concrete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passage through the moisture inflow path, thereby being able to remove the water in the concrete.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렌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6 은 도 5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8 은 도 7에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en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in Fig. 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1)(이하 '보강재'라 한다)는, 고정부(10)와 결합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and 3, the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10 and a coupling portion 20.

상기 고정부(10)는 바닥면(200)의 배치되는 것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11)이 구비된다.The fix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11 through which the bottom surface 200 is disposed.

상기 고정부(10)는 바닥면(200)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와 고정부(10)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가 상기 구멍(11)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고정부(10)를 바닥면(200)에 고정하게 된다.The fixing part 10 is formed by bonding resin 30 to be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200 and bonding resin 30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 through the hole 11 So that the fixing portion 1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200.

이때, 사용되는 접착용수지(30)는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주재료인 콘크리트에 고정가능한 수지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보수공사 또는 방수공사 등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MMA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hesive resin 30 to be used is an epoxy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MMA resin,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repairing or waterproofing concrete, as a resin that can be fixed to concrete, Can be used.

상기 결합부(20)는,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어 플렌지(110)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110)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21)과 상기 수평면(21)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22)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개구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플렌지(110)의 상방으로부터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20 is coupled from above to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trench body 100 to protect the flange 110 and is bent at one end of the fixing part 10, And a vertical surface 22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surface 21.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0 through a lower portion, do.

이때, 상기 수직면(22)은 트렌치커버(140)와 맞닿는 내측수직면(221)과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된 외측수직면(222)으로 이루어져 플렌지(110)의 좌,우 양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플렌지(110)를 보호하게 된다.
The vertical surface 22 includes an inner vertical surface 221 contacting the trench cover 140 and an outer vertical surface 222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0 so as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flange 110 And protects the flange 110 against pressure exerted from the top.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Referring to FIG. 3,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트렌치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보강재(1)의 결합부(20)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는 바닥면(2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coupling portion 20 of the reinforcing member 1 is coupled to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nch body 100 and the fixing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ember 1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200 .

이때, 상기 바닥면(20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도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며, 고정부(1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가 고정부(10)에 천공된 구멍(11)에 유입된 후 바닥면(200)의 상부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와 상호 접합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n adhesive resin 30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200, a resin 30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 and the resin 30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 The adhesive resin 30 is introduced into the hole 11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n bonded to the adhesive resin 30 applied to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200. [

상기 결합부(20)는 플렌지(110)의 상단 및 좌,우 양측벽을 모두 감싸며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플렌지(110)를 보호하게 된다.
The engaging portion 20 surrounds both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flange 110 and protects the flange 110 from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portion.

이때, 상기 결합부(20)의 수직면(22) 중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의 높이가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되어 트렌치커버(140)가 안치되는 안치턱(12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과 안치턱(120)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rtical surface 221 of the vertical surface 22 of the coupling portion 20 is formed in the trench body 100, and the trench cover 140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lacement jaw 120 And a moisture inflow path 23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rtical surface 221 and the lower jaw 120.

상기 습기유입로(23)는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 습기 등이 콘크리트의 내부에 머물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상기 습기유입로(23)를 통해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을 배수통로(130)로 배출하는 것이다.The moisture inflow path 23 is filled with water, moisture or the like, which flows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to lower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The water infiltrated into the concrete through the moisture inflow path 23, (130).

즉, 콘크리트의 내부로 스며든 물은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물이 습기유입로(23)를 통해 트렌치몸체(100)의 배수통로(130)측으로 배출된다.
That is, the water impregnated into the concrete moves upward due to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mov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passage 130 side of the trench body 100 through the moisture inlet passage 2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을 하부로 절곡하여 형성한 고정판(12)이 포함된 것이다.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fixing plate 12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the fixing part 10 downward.

상기 고정판(12)은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보강재(1)를 동시에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고 상기 바닥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한 뒤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12)이 굳기 전의 콘크리트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fixing plate 12 is for coupling the stiffener 1 to the trench body 100 at the same time when the trench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rench body 100 is fixed before the concrete forming the bottom surface is completely hardened.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1 is bonded to the flange 110 of the trench body 100 after the adhesive resin 30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xing plate 12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before hardening.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용수지(30)에 의해 고정부(10)가 고정되어 고정부(10)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ly, since the fixing plate 12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cret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fixing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fixing portion 10 is fixed by the adhesive resin 30, And prevents rainwater, water, moisture and the like from flowing inward from the upper part while fix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5. Referring to FIGS. 5 and 6,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will be described.

트렌치몸체(100)가 매립된 바닥면(20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와,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1-2)와,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 및 상호 접합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step S1-1 of applying an adhesive resin 30 to an upp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200 in which the trench body 100 is buried and a step S1-1 of applying a resin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trench body 100 (S1-3)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 and a step (Step S1-4).

상기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에서는 바닥면(200)의 상부에 MM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등과 같이 콘크리트에 접착력을 갖고 방수기능이 포함된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콘크리트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보강재(1)의 고정부(10)가 접착용수지(30)의 상부에 배치된다.In step S1-1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an adhesive resin such as an MMA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or the like having an adhesive strength to concrete an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30, the fixed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crete from rainwater, water, moisture, etc. from the upper portion thereof.

이때 상기 접착용수지(30)는 상기 MM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이외에도 콘크리트에 접착 가능한 수지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adhesive resin 30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MMA resin, the polyurethane resin, and the epoxy resin.

또한, 상기 바닥면(200)의 높이에 따라 바닥면(200)을 파낸 후 파낸 면을 정리하는 단계(S1-1')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1 'of squeezing the bottom surface 2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200,

이 단계는 바닥면(200)에 이미 설치된 트렌치몸체(100)에 보강재(1)를 결합할 때 필요한 단계로서, 상기 바닥면(200)의 일부를 파낸 후 노출된 상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This step is a step required for joining the stiffener 1 to the trench body 100 alread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00. In this step,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200 is dug and the upper surface exposed.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트렌치몸체(100)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바닥면(200)의 일부만을 파낸 후 보강재(1)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inforcing member 1 after digging only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200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trench body 100, thereby saving time and cost due to the constru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를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결합하는 단계(S1-2)는, 보강재(1)에 형성된 결합부(20)를 상기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결합하여 플렌지(110)의 상단 및 좌,우 양측벽을 감싸도록 하여 보호하고,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는 바닥면(200)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다.The step S1-2 of joining the stiffe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trench body 100 is performed by joining the joining portion 20 formed on the stiffener 1 to the flange 110 110 of the flange 110 so as to surround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flange 110. The fixing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ember 1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200 of the adhesive resin 30).

이때 상기 결합부(20)의 내측수직면(221) 하부 끝단의 높이가 트렌치몸체(100)의 안치턱(120)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안치턱(120)과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 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되어 바닥면(200)시공시 또는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200)에 배치할 때 콘크리트 내측으로 스며든 물이 습기유입로(23)를 통하여 트렌치몸체(100)의 배수통로(130)로 배출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rtical surface 221 of the coupling portion 20 is located above the lower jaw 120 of the trench body 100, and the lower jaw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jaw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rtical surface 221 A water inflow path 23 is formed to allow water impregnated into the concrete to flow through the moisture inflow path 23 when the bottom surface 200 is constructed or when the trench body 100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200 100 to be discharged to the drainage passage 130.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는, 상기 고정부(10)를 바닥면(200)에 고정하기 위한 단계로서 고정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한 뒤 양 접착용수지(30)가 상호 접합되도록 한 것이다.The step S1-3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 is a step for fixing the fixing portion 10 to the bottom surface 200, 10, the resin 30 for bonding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resins 30 for bonding are bonded to each other.

상호 접합되는 접착용수지(30)는 상기 고정부(10)에 형성된 구멍(11) 및 고정부(10)의 테두리 외측에서 상호 접합된다.The mutually bonded adhesive resins 30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he outside of the rim of the hole 11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fixing portion 10.

이때, 상기 바닥면(200)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의 도포량이 배치된 고정부(10)가 잠기는 정도로 도포되면 상기 고정부(10)를 구멍(11)이 천공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dhesive resin 30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200 is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fixed portion 10 on which the applied fixed portion 10 is immersed is formed, the fixing portion 10 is formed in a state that the hole 11 is not perforated can do.

또한,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된 고정부(10)의 상부에 마감층(40)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층(40)은, 타일, 시멘트 몰탈, 패널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접착용수지(30)와 접합되어 보강재(1)의 유동을 방지하고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3 'of forming a finish layer 40 on the fixing portion 10 to which the adhesive resin 30 is applied, Cement mortar, panel, and the like, so that it is bonded to the adhesive resin 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inforcing material 1, and at the same time, the esthetics can be enhanced.

다음으로 건조단계(S1-4)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일정시간 노출되도록 하여 건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조기(온풍기, 냉풍기 등)를 이용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Next, in the drying step (S1-4), it may be dried in a natural state by being exp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be dried using a separate dryer (hot air fan, cooler, etc.).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트렌치몸체(100)가 바닥면(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재(1)를 결합하여 상기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바닥면(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보강재(1)가 접착용수지(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rench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bining the reinforcing member 1 with the flange 110 of the trench body 100 in a state where the trench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00 Water and moisture from the upper part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ottom surface 200 from the upper part while the reinforcing material 1 is firmly fixed by the adhesive resin 30, There is an advantage to be gained.

다음으로,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 은 도 7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7. Referring to FIGS. 6 and 7,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6 및 도 7에 따른 시공방법은 바닥면(200)을 형성할 때 트렌치몸체(100)를 동시에 시공하는 신축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되 상기 보강재(1)에 형성된 고정판(12)이 굳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 내측으로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굳음에 따라 고정판(12)이 고정되는 시공방법이다.
6 and 7, a method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trench body 100 at the same time when the bottom surface 200 is formed, in which the concrete forming the bottom surface is not completely hardened The fixing plate 12 is fixed to the trench body 100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member 1 into the trench body 100 and the fixing plate 12 formed on the reinforcing member 1 is inserted into the unconstrained concrete to solidify the concrete.

이를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2-2)와, 상기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을 도포하는 단계(S2-3)와, 상기 콘크리트가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여 보강재(1)의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계(S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2-1) of forming a bottom surface (200)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trench body (100), a step (S2-2) of placing the trench body (100) The step S2-3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member 1 into the trench body 100 before the concrete is hardened and the step S2 of inserting the fixing plate 12 of the reinforcing member 1 into the concrete -4).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1)에서는 거푸집(도면 중 미도시됨)등을 설치하여 트렌치몸체(10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며,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2-2)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In the step S2-1 of placing the concrete, a mold (not shown in the figure) is install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trench body 100 is to be disposed, and t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trench body 100, The step S2-2 of arranging the trench body 100 is a step of disposing the trench body 100 in a space formed through the poured concrete.

다음으로,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3)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접착용수지(30) 도포하는 단계(S1)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step S2-3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to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is the same as the step S1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do.

다음으로,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2-4)에서는,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에 결합하되 상기 보강재(1)에 형성된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Next, in step S2-4 of joining the stiffener 1, the reinforcing member 1 is joined to the flange 110 of the trench body 100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12)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굳음에 따라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에서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Thereafter, the fixing plate 12 is fixed at the inner side of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olidification of the concrete, so that a firm fixing force can be obtained,

다음 단계인 고정부(1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5)와,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 마감층(40)을 형성하는 단계(S2-6)와, 건조단계(S2-7)는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S1-3),(S1-3'),(S1-4)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 step S2-5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to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10 and a step S2-6 forming a finish layer 40 on the fixing part 10, And the drying step S2-7 are the same as the steps S1-3, S1-3 ', and S1-4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so tha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공후 또는 시공중인 트렌치에 모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후 상부로부터 습기, 물 등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은 습기유입로를 통해 배수통로로 배출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ll the trenches after the construction or the installation, and prevents moisture, water and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concrete from the upper part after the installa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The water impregnated inside the concrete is discharged through the moisture inflow path to the drainage channel, thereby being able to remove the water in the concret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 : 보강재 10 : 고정부 20 : 결합부
11 : 구멍 12 : 고정판
21 : 수평면 22 : 수직면 23 : 습기유입로
30 : 접착용수지 40 : 타일
100 : 트렌치몸체 110 : 플렌지 120 : 안치턱
130 : 배수통로 140 : 트렌치커버
200 : 바닥면
1: stiffener 10: fixing part 20:
11: hole 12: fixed plate
21: horizontal plane 22: vertical plane 23:
30: adhesive resin 40: tile
100: trench body 110: flange 120:
130: drain passage 140: trench cover
200: bottom surface

Claims (7)

바닥면에 매립된 트렌치몸체에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0)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0)에는 다수개의 구멍(1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200)과 고정부(10)의 하면 사이 및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재질에 고정 가능한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용수지(30)가 상기 구멍(11)을 통해 상호 접합되고,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플렌지(110)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21)과, 상기 수평면(21)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22)은 트렌치커버(140)와 맞닿는 내측수직면(221)과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된 외측수직면(222)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렌지(110)의 좌,우 양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의 높이는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커버(140)가 안치되는 안치턱(1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과 안치턱(120) 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A trench leakage preventing stiffener joined to a trench body embedded in a bottom surface to prevent leakage,
A fixing part 10 disposed and fixed on the bottom surface 200,
And a coupling portion 20 bent at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10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110 to be coupled to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trench body 100 However,
A plurality of holes 11 ar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10,
Between the bottom surface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 are coated resin 30 for bonding which can be fixed to the material forming the bottom surface 200, The adhesive resin 30 is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 11,
The coupling portion 20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21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flange 110 and a vertical surface 22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rface 21 at left and right ends,
The vertical surface 22 is formed by an inner vertical surface 221 contacting the trench cover 140 and an outer vertical surface 222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0 so as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flange 110 Bu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vertical surface 221 is formed in the trench body 100 and is higher than that of the trench 120 in which the trench cover 140 is placed, Wherein a moisture inflow path (23)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1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12) bent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렌치몸체(100)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보수시,
상기 바닥면의 일부를 파낸 후 노출된 면을 정리하는 단계(S1-1');
상기 노출된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1-2);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 및
상기 도포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n the trench body 100 is already installed,
(S1-1 ') of arranging the exposed surfaces after digg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S1-1) applying an adhesive resin (30) to an upper portion of the exposed bottom surface;
(S1-2) connecting the stiffener (1) to the flange (110) formed on the trench body (100) from above;
(S1-3) of applying an adhesive resin (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ember (1); And
(S1-4) of drying the applied adhesive resin (30).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200)과 동시에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단계(S2-1);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상기 바닥면(200)에 매립하여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3);
상기 콘크리트가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여 보강재(1)의 고정판(12)을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S2-4);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5); 및
상기 도포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rench leakage prevent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n the trench body 100 is simultaneous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200,
(S2-1) of forming a bottom surface (200) by pouring concrete;
A step S2-2 of embedding the trench body 100 in the bottom surface 200;
(S2-3) applying an adhesive resin (30) to the exposed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2-4) of inserting the fixing plate (12) of the stiffener (1) into the concrete by connecting the stiffener (1) to the trench body (100) before the concrete is hardened.
A step S2-5 of applying the adhesive resin 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member 1; And
And drying (S2-6) drying the applied adhesive resin (30).
KR1020120134171A 2012-11-26 2012-11-26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419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en) 2012-11-26 2012-11-26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en) 2012-11-26 2012-11-26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09A KR20140067209A (en) 2014-06-05
KR101419449B1 true KR101419449B1 (en) 2014-07-14

Family

ID=5112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en) 2012-11-26 2012-11-26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751B1 (en) 2021-07-22 2022-02-08 이민주 Waterproof system of tren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96B1 (en) * 2019-01-14 2019-06-13 허영호 Leakage prevention drain trap with reinforcement element of construction joi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403819B1 (en) * 2021-11-18 2022-05-30 주식회사 플러스원 Settlement prevention device near outdoor drainage ditch
KR102438183B1 (en) * 2021-12-22 2022-08-30 주식회사 플러스원 Floor connector with leak-proof construction and floor finishing structure provided with floor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831A (en) * 2010-11-11 2012-05-21 박황 Structure of drainage trench
KR101169845B1 (en) * 2009-12-03 2012-07-30 유수영 Drainage system having outflow l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845B1 (en) * 2009-12-03 2012-07-30 유수영 Drainage system having outflow line
KR20120050831A (en) * 2010-11-11 2012-05-21 박황 Structure of drainage tren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751B1 (en) 2021-07-22 2022-02-08 이민주 Waterproof system of t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09A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207B2 (en) Installation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419449B1 (en) Reinforcement for trench water leakage prevent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79480B1 (en) Drain board
KR101327378B1 (en) Drain board for base floor of construction
KR20090083661A (en) A block for constructing breast wall
KR200449740Y1 (en) Discrepancy roof drain
KR20170000255A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throom and Bathroom using the same
KR100617507B1 (en) A Concrete Manhole
KR100880022B1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pumping plant manhole
KR101366139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CN210421672U (en) Expansion joint structure for roof greening
KR101202796B1 (en) Excavation type tunel construction work method and that's structure
KR100799697B1 (en) Draining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KR10178562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he Structure using a PC Pannel
KR100617522B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between Manhole and Pipe
KR100993548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tank using unit lining panel
KR100642983B1 (en) Reclamation Type Trench and Execution Method for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90031476A (en) The complex-waterproof-sheet for connection of concrete channel and the connection process therewith
KR101545812B1 (en) A finishing sealant fo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79927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culvert
JP5547829B1 (en) Lining material
KR100975649B1 (en) Waterproof joint apparatus for building concrete
KR100370588B1 (en) Crux construction compositive wire panel
KR10115609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ucture of the manhole
JP3081572B2 (en) Construction method near the supported part of cast-in-place concrete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