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120B1 -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120B1
KR101419120B1 KR1020120086402A KR20120086402A KR101419120B1 KR 101419120 B1 KR101419120 B1 KR 101419120B1 KR 1020120086402 A KR1020120086402 A KR 1020120086402A KR 20120086402 A KR20120086402 A KR 20120086402A KR 101419120 B1 KR101419120 B1 KR 10141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ea cucumber
water tank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380A (ko
Inventor
박송범
Original Assignee
박송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범 filed Critical 박송범
Priority to KR102012008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1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육수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 시스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장치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위에서 본 형상이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홈의 측면은 중앙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의 최하단부에 상기 분사장치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양식장의 수조 바닥 형태를 개량하여 수조 바닥에 쌓이는 노폐물이나 슬러지를 에어스톤 등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부유시킴으로서, 양식장 바닥 청소가 필요 없어지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하고, 또한 양식장 내부의 사육수 교환을 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질병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사육수 교환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새로운 사육수 투입에 따른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SEA CUCUMBER CULTIVATING APPARATUS WITH FLOOR HAVING ORGANIC MATERIAL FLO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육상 수조식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식장 수조의 바닥 형상을 개량하여 바닥에 쌓이는 노폐물이나 슬러지를 줄일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양식장은 양식장 수조 내에 부착기를 설치하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바닥의 유기물을 부상시키는 공간을 확보하여 해삼을 양식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해삼 등의 수산물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어민들의 소득도 크게 증대되고 있는데, 극피 동물인 해삼은 건강 및 웰빙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등 동양권에서는 해삼이 바다의 인삼과 같은 최고의 스테미너 식품으로 인기가 날로 높아가고 있다. 특히 해삼은 중국사람들이 선호하는 수산물로써 국내보다 중국에서 가격이 휠씬 높은 편이다.
해삼은 수온 15~18℃에서 성장이 왕성하나,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다. 따라서 소화관은 퇴화되며, 수온이 25℃ 이상 되는 시기에는 소화관이 작아져서 최소로 되는데 이때가 하면기(夏眠期)이다. 해삼의 이런 생태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서는 성장기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식으로 육성하는 방법에도 한계가 있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종래에 있어서 해삼종묘 양식으로 생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육상수조식 해삼양식장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도 1의 해삼양식장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해삼양식장에 사용되는 부착기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해삼양식을 위해 내부에 사육수(물)를 수용하며 해삼양식용 사료가 투입되는 수조(10)와 상기 수조 내부의 바닥에서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부착기(20)와 상기 수조 내부로 사육수를 공급하는 주입구(30) 및 상기 수조 내부의 사육수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출구(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해삼양식용 수조는, 수조(10)의 바닥에 부착기(20)가 설치되어 있고, 새로운 물(사육수)이 주입구(30)를 통해서 수조 내부로 들어오고 배출구(40)를 통해서 사육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수식이다.
그리고, 통상 해삼은 야행성으로써 주간에는 구석진 곳에서 은둔하여 생활하다가 주로 야간에 기어다니며 먹이 활동을 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부착기(30)는 해삼이 좋아하는 구석진 형상을 가지며 동시에 투입된 사료나 사육수 중의 부유물이 부착기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대략 직육면체로 표시한 부착기(2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다. 부착기(20)는 복수개의 파판(23)과, 이들 파판(23)을 수용하는 홀더(25)로 이루어진다. 파판(23)은 서로 나란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복수개의 파판(23)이 홀더(25)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양식용 수조의 바닥에 놓여진다. 상기 파판(23)은 평평한 형상일 수도 있고,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웨이브진 형상일 수도 있다.
해삼양식용 수조 바닥에 부착기(20)가 놓여지면, 수조 내부로 투입된 사료나 사육수 내의 부유물 등이 상기 파판(23)에 부착되고, 해삼은 상기 파판(23)의 표면에 기어다니면서 먹이활동을 하며 양식되는 것이다. 즉, 해삼의 먹이가 되는 미세한 분말 사료를 수조 내에 투여하면, 분말 사료가 수중에 부유하면서 상기 부착기나 수조의 바닥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사료를 해삼이 빨아먹으면서 자라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양식장 수조의 바닥에는 해삼이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투여된 사료의 찌꺼기와 해삼의 배설물과 같은 노폐물이나 슬러지가 존재하는 등, 저면 바닥 부분은 사육 수산 생물의 배설물이나 잔여 사료 찌꺼기와 같은 오탁물이 항상 침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조 저면의 사육수 환경은 수조의 상층부에 위치한 사육수 환경에 비해 혼탁도가 심하다. 수조 바닥의 저면에서 생활하는 해삼은 이러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생장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양식용 수조를 정기적으로 청소해 주어야 한다. 이를 청소하기 위해선 수조의 사육수를 도 2에 도시된 배출구(40)를 통해서 외부로 모두 배출시킨 뒤 해삼 부착기(20)를 다른 수조에 옮겨놓고 수조 바닥의 노폐물과 슬러지를 청소하여야 한다. 이때, 배출구(40)로 배출되는 사육수와 함께 해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구(40)에는 별도의 망을 설치하여 사육수를 내보내면서 해삼은 걸러내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사육수를 완전히 배수한 후에 바닥에 존재하는 노폐물과 슬러지 등을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해삼양식용 수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양식용 수조 청소 작업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수조 청소를 위해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노폐물과 함께 투입된 사료도 역시 유실되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사육수와 함께 해삼종묘도 유출될 수도 있는 등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양식용 수조의 잦은 청소로 양식대상물이 안정되지 않게 되는 문제, 즉 양식되는 해삼이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해삼의 야행성 습성으로 양식장 내부는 가급적 어둡게 하는 것이 유리한데, 어두운 환경에서 수조 청소를 하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새로이 투입되는 사육수는 해삼양식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때 연료가 추가적으로 소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양식장 수조 청소의 횟수를 줄일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양식장의 양식환경을 개선하여 양식장 바닥의 청소가 필요없는 양식장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에 의해, 양식장 청소에 투여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육되는 어류 특히, 해삼이 받게 되는 사육에 따른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폐사율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양식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육수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 시스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장치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홈은 위에서 본 형상이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홈의 측면은 중앙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의 최하단부에 상기 분사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홈의 측면의 경사면은 곡선 또는 직선일 수 있고, 상기 분사장치는 분사노즐 또는 에어스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식장의 수조 바닥 형태를 개량하여 수조 바닥에 쌓이는 노폐물이나 슬러지를 에어스톤 등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부유시킴으로서, 양식장 바닥 청소가 필요 없어지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식장 내부의 사육수 교환을 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질병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사육수 교환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새로운 사육수 투입에 따른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식용 수조의 바닥부분으로부터 해삼이 서식하는 공간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킴으로써, 해삼의 생장에 양호한 생육 환경을 조성하며, 부착기를 수조의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분사되는 유기물이 부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해삼 양식에 양호한 환경을 조성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육상수조식 양식장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도 1의 양식장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양식장에 사용되는 부착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양식장에 사용되는 블로워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벽면과 바닥의 일부절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수조의 바닥 일부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의 수조 바닥의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조식 양식장치는 양식을 하는 각종의 어패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해삼을 양식하는 해삼양식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해삼양식장'이라는 표현은 반드시 해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서 양식가능한 모든 어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삼양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양식장에 사용되는 블로워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먼저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해삼양식장치는 해삼양식을 위해 내부에 사육수(물)를 수용하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서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부착기(설명의 편의상 미도시)와, 상기 수조 내부의 사육수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시스템(200, 210, 2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기는 상기 수조의 바닥(도 6의 120)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부착기 자체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던 부착기와 유사한 형상이므로 부착기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게 부착기를 수조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유는,
첫째, 해삼 양식용 수조(110)의 바닥(120)은 해삼의 배설물이나 사료 등으로 오탁물이 침전되어 있어서 해삼의 서식공간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해삼을 바닥면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해삼의 생장에 양호한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이며,
둘째, 이하에서 설명하는 블로워 시스템은 수조 바닥에서 공기를 분사시켜서 바닥 근처의 사료나 유기물 등을 부유시키고 이렇게 부유된 유기물 등이 상기 부착기에 부착됨으로써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삼이 이들 유기물을 먹게 되는데, 블로워 시스템이 공기를 효과적으로 분사시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착기가 바닥에서 어느 정도 이격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시스템을 보면, 블로워 시스템은 사육 수조 내부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분사시키는 장치로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급하는 블로워(200)와 상기 블로워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210)와 제2유로(22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유로(220)의 끝단에 구비되는 분사장치(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유로(220)는 상기 제1유로(210)로부터 분기되고 대략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양식장 수조의 상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는 블로워에서 공급된 공기를 수조 바닥에서 분사하여 유기물 등을 부유시키는 것으로, 에어스톤(air stone) 내지 분사 노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스톤(air stone)이란, 통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돌로서 양식장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등을 분사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바닥(120)을 보면,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원형홈(130)이 여러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홈(130)에는 상기 블로워 시스템의 분사장치(230)가 배치된다. 상기 원형홈(130)은 곡선형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원형홈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분사장치(23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원형홈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부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사장치는 공기 내지 미세기포를 수조(110)의 바닥(120)에서 분출시킴으로써 바닥 주변의 유기물을 부유시키고, 사육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사육 수조 내의 노폐물을 미세하게 분쇄시켜 항상 사육수 위쪽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유지시켜주고, 노폐물 입자의 분해를 위해 필요한 충분한 산소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고, 양식장 수조 바닥에 노폐물이나 슬러지 역시 상기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됨으로써 바닥에 쌓이지 않게 되어 양식장 바닥의 청소가 필요 없게 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도면 그림에서는 상기 원형홈(130)이 곡선형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원형홈의 최하단 아래쪽에 분사장치(230)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원형홈이 곡선형상의 경사면이 아니라 직선형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원형홈이 V자 형상(뒤집어진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V자 형상의 최하단부에 분사장치가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양식장의 바닥의 수직단면도를 보면, 원형홈과 원형홈 사이에 존재하는 바닥부에는 평평한 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위로 뾰족하게 돌기한 돌기부(135)를 형성한다. 이것은, 원형홈과 원형홈 사이에 존재하는 바닥부에 평평한 면이 있으면 이곳에 노폐물 등이 쌓일 수 있고 또한 이곳에 존재하는 노폐물 등을 상기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미칠 수 없는 곳이어서 효과적으로 부유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수조 바닥의 원형홈과 원형홈 사이에는 평평한 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의 수조 바닥의 모습이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양식장 바닥을 보면,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되되, 위에서 본 평면도의 모습이 육각형 벌집 형태인 것(도 8의 140)과 사각형상인 것(도 9의 15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홈이 아래로 경사면을 갖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의 홈 일부가 사시도 내지 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양식장 바닥에는 상기 육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홈(140, 150)이 여러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는 상기 블로워 시스템의 분사장치(230)가 배치된다. 상기 홈(140, 150) 역시 곡선형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홈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분사장치(23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원형홈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부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양식장 수조 바닥의 홈의 형상이 달라지는 외에는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은, 해삼을 양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위에서 설명한 양식장 수조의 바닥 형태는 해삼의 양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어종들의 양식에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하다. 다만, 해삼이 아닌 다른 어종일 경우에는 상기 양식장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부착기는 불필요하므로 이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될 것이다.

Claims (6)

  1. 사육수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130);
    상기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200); 및
    상기 블로워의 공기를 사육수로 안내하는 유로(220)의 끝단에 구비되는 분사장치(230);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220)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 형성된 홈(130)의 위쪽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장치(230)는 상기 홈(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위에서 본 형상이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측면은 중앙을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홈의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측면의 경사면은 곡선 또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분사노즐 또는 에어스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수조식 해삼양식장치.
  6. 삭제
KR1020120086402A 2012-08-07 2012-08-07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KR10141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02A KR101419120B1 (ko) 2012-08-07 2012-08-07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02A KR101419120B1 (ko) 2012-08-07 2012-08-07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380A KR20140020380A (ko) 2014-02-19
KR101419120B1 true KR101419120B1 (ko) 2014-07-14

Family

ID=5026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402A KR101419120B1 (ko) 2012-08-07 2012-08-07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1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217A (zh) * 2014-07-29 2014-10-08 陈水春 一种白沙参池塘养殖的方法
KR102100076B1 (ko) 2019-09-19 2020-04-13 주식회사 해전 해삼 양식장치
KR20200106672A (ko) 2019-03-05 2020-09-15 (주)광명바이오산업 육상용 해삼 양식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6831A (zh) * 2018-01-16 2018-04-20 绍兴市柯桥区永拓五金机电设备厂 一种增氧机的浮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183Y1 (ko) * 2005-02-01 2005-05-03 김용득 양식장용 사육수조
KR20060090465A (ko) * 2005-02-07 2006-08-11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20070036406A (ko) * 2005-09-29 2007-04-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KR100756624B1 (ko) * 2006-10-25 2007-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꽃게 유생 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183Y1 (ko) * 2005-02-01 2005-05-03 김용득 양식장용 사육수조
KR20060090465A (ko) * 2005-02-07 2006-08-11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20070036406A (ko) * 2005-09-29 2007-04-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KR100756624B1 (ko) * 2006-10-25 2007-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꽃게 유생 사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217A (zh) * 2014-07-29 2014-10-08 陈水春 一种白沙参池塘养殖的方法
KR20200106672A (ko) 2019-03-05 2020-09-15 (주)광명바이오산업 육상용 해삼 양식장
KR102100076B1 (ko) 2019-09-19 2020-04-13 주식회사 해전 해삼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380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673B1 (ko) T자형 굴곡을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JP6297816B2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養殖システム
KR101419120B1 (ko) 유기물 부상공간이 형성된 바닥을 가진 해삼양식장치
KR101027277B1 (ko) 해삼 및 전복 종묘 복합 양식 방법
KR101786186B1 (ko) 일체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KR101761025B1 (ko) 저서성 어류 양식을 위한 중층 에어인젝터를 형성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KR101711969B1 (ko) 해저면 복합 양식용 케이지
KR102100076B1 (ko) 해삼 양식장치
KR101547952B1 (ko) 수산종묘 배양 및 중간 육성을 위한 해면 구조물
KR101349062B1 (ko) 해삼양식용 그물망 인공어초
KR20160039412A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101356542B1 (ko) 수조식 양식장치
JP3008390B2 (ja) アワビまたはサザエの養殖方法
KR20170009407A (ko) 양식용 케이지를 이용한 수산생물의 양식장치와 양식방법
KR20200060097A (ko) 바이오플락 사육수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JP2016208890A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CN209359382U (zh) 一种水产养殖水泥地排污系统
CN104430120A (zh) 一种带有沉降池的水产养殖池系统
CN109479777B (zh) 一种工厂化克氏原螯虾养殖方法
CN203152269U (zh) 一种鱼苗养殖池排污系统
KR20130015873A (ko) 타가영양세균을 이용한 해삼양식장치
CN111820179A (zh) 基于稻田的小龙虾培育系统、小龙虾虾苗培育方法、应用
KR101948995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갯지렁이 종묘생산 시스템
CN205196725U (zh) 一种龙虾培育箱
KR101570910B1 (ko) 조개류 양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