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558B1 -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 Google Patents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558B1
KR101418558B1 KR1020130034653A KR20130034653A KR101418558B1 KR 101418558 B1 KR101418558 B1 KR 101418558B1 KR 1020130034653 A KR1020130034653 A KR 1020130034653A KR 20130034653 A KR20130034653 A KR 20130034653A KR 101418558 B1 KR101418558 B1 KR 10141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ventilation
socks
foo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복
Original Assignee
진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13003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558B1/ko
Priority to PCT/KR2014/002296 priority patent/WO20141578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은,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20)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덮는 발등부(21)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부(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외피(20)의 발등부(21)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기홈(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홈(40)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발등부(21)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상기 바닥부(22)와 연결되는 벽체부(60)가 형성되어 있어, 통기홈(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으며, 수용공간(30)의 앞쪽에는 통기홈(40) 둘레의 벽체부(60) 전방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11) 앞부분이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부(50)의 후방에는 벽체부(60)에 의해 각 발가락의 중간 부분이 분리 수용되는 분리수용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말의 외피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 발가락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외피의 발등부 저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통기홈을 형성하고, 통기홈의 측면은 외피와 연결되는 벽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상으로 외피의 발등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양말과 구분이 되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고, 저부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자유롭게 벌릴 수 있어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 과정에서 통기홈 측면의 벽체부가 벌어져 착용이 용이하며, 발가락 사이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하측으로 관통된 통기홈을 통해 외기의 접근이 이루어져 통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벽체부에 통기홀을 구비하여 발가락의 양 측면에서 원할한 통기가 이루어지게 되고, 나아가 서로 인접한 벽체부에 형성된 통기홀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여 무좀균의 이동 및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END PART AND UPPER PART ONE BODY STYLE TOE SOCKS}
본 발명은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각종 질병이나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점점 더 양말이나 신발을 신고 움직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습기가 많고 온도가 높은 곳에서 잘 서식하는 무좀균에 감염되어, 고통 받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서 무좀균이나 습진, 기타 발에 관한 질환을 예방하려면, 양말이나 신발을 장시간 신고 있어서 빚어지는 온도 상승 및 땀으로 인한 습도 상승을 막아주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종래에는 발가락 양말을 사용하였다.
발가락 양말은 발가락을 분리 시켜줌으로써, 상기에서 제기되었던 온도와 습도의 상승을 낮추어 주고, 궁극적으로 무좀균 서식 환경을 척박하게 하여, 무좀을 예방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상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가락 양말을 신을 시, 발가락 부분이 타인에게 노출되어, 상대방으로 하여금 혐오감을 주고, 사용자는 수치심을 느끼게 되어, 발가락 양말 신는 것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후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덮개가 있는 발가락 양말이 공개된 바 있다.
"발가락 속 양말"(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2059호, 특허문헌 1)에는 외피의 내측에 천조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칸막이가 재봉되어 발가락 삽입시 칸막이에 의해 서로 분할되며, 외부에는 외피로 인해 겉모양새가 일반 양말과 같이 시각적 거부감이 없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결과적으로는 발가락이 있는 부분에 두 개의 천이 덧대여져 있는 결과가 되어 온도 및 습도 상승으로 발가락 양말이 가지는 장점을 반감시키며, 칸막이가 보이지 않아 착용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폐식의 덮개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399호, 특허문헌 2)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원활한 환기를 위해 발가락 길이의 중간 부분까지 직조하여 트임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개폐식의 덮개를 형성하였다.
이는 미관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발가락 사이의 환기를 비교적 높여줄 수 있다.
그러나, 개폐식 덮개를 사용함에 있어서 개폐식 덮개가 뒤로 접혀질 때 발바닥에 두 천이 층을 이루는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는 발바닥에 이물질이 있는 느낌을 받아 착용감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발가락 양말이 공개된 이후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왔으나,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면서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의 기능성을 모두 만족한 양말이 아직까지 공개되지 아니한 바, 발가락 양말의 기능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착용 사례가 그다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위와 같은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발가락 양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것이다.
KR 20-0182059 (2000.03.03) KR 20-2009-0007399 (2009.07.22)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말의 외피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 발가락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외피의 발등부 저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통기홈을 형성하고, 통기홈의 측면은 외피와 연결되는 벽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상으로 외피의 발등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양말과 구분이 되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고, 저부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자유롭게 벌릴 수 있어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 과정에서 통기홈 측면의 벽체부가 벌어져 착용이 용이하며, 발가락 사이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하측으로 관통된 통기홈을 통해 외기의 접근이 이루어져 통기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특히, 벽체부에 통기홀을 구비하여 발가락의 양 측면에서 원할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서로 인접한 벽체부에 형성된 통기홀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여 무좀균의 이동 및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20)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덮는 발등부(21)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부(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외피(20)의 발등부(21)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기홈(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홈(40)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발등부(21)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상기 바닥부(22)와 연결되는 벽체부(60)가 형성되어 있어, 통기홈(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으며, 수용공간(30)의 앞쪽에는 통기홈(40) 둘레의 벽체부(60) 전방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11) 앞부분이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부(50)의 후방에는 벽체부(60)에 의해 각 발가락의 중간 부분이 분리 수용되는 분리수용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벽체부(60)에는 통기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통기홈(40) 양 측면의 벽체부(60)에 각각 형성된 통기홀(61)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 개의 통기홈(40) 중 일부는 외피(20)의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20)는 벽체부(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홈(40)은 발등부(21)까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말의 외피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 발가락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외피의 발등부 저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통기홈을 형성하고, 통기홈의 측면은 외피와 연결되는 벽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상으로 외피의 발등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양말과 구분이 되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고, 저부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자유롭게 벌릴 수 있어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 과정에서 통기홈 측면의 벽체부가 벌어져 착용이 용이하며, 발가락 사이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하측으로 관통된 통기홈을 통해 외기의 접근이 이루어져 통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벽체부에 통기홀을 구비하여 발가락의 양 측면에서 원할한 통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서로 인접한 벽체부에 형성된 통기홀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여 무좀균의 이동 및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통기홈 주변의 벽체부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통기홈 주변의 벽체부가 벌어진 상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B-B'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발가락덮개부와 발가락지지부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일측의 두 발가락 사이의 통기홈이 단부까지 연장되어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벽체부와 외피 사이에 칸막이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은 종래의 양말과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30)의 외측으로는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져 있다.
외피(20)는 일반 면으로 구성되거나 각종 합성섬유를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양말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20)는 크게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덮는 발등부(21)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발등부(21)와 바닥부(22)는 각기 제조되어 재봉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으며, 처음부터 직조기에서 일체화되어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등부(21)와 바닥부(22)가 만나는 전방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발등부(21) 저면으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다수 개의 통기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는 통기홈(40)이 외피(20)의 발등부(21) 저부에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상부가 일반 양말과 외견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게 됨이 잘 도시되어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발가락(11)측 단부에서 발꿈치(12) 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 후방측으로 통기홈(40)이 형성된 것으로, 통기홈(40)의 후방 끝단은 발가락들이 서로 분기되는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기홈(40)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발등부(21)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상기 바닥부(22)와 연결되는 벽체부(60)가 도면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벽체부(60)는 외피(2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벽체부(60)가 형성됨에 따라 통기홈(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통기홈(40)이 양말 전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30)의 앞쪽에는 통기홈(40) 둘레의 벽체부(60) 전방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된 공간인 연통부(50)가 형성되는 바, 연통부(50)에서는 인접한 발가락(11) 앞부분이 서로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연통부(50)의 후방에는 벽체부(60)에 의해 각 발가락의 중간 부분이 분리 수용되는 분리수용부(51)가 형성되어 있는 바, 분리수용부(51)에서 발가락(11)들은 서로 분리된 채 수용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벽체부(6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는 하나의 벽체부(60)에 하나의 통기홀(61)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통기홀(61)은 발가락의 양 측면에 외기의 공급에 따른 통기 및 양말 내부의 땀을 배출하는 역할을 해주게 되어 통기성을 가일층 높여주게 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통기홈(40) 양 측면의 벽체부(60)에 각각 형성된 통기홀(61)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통기홈(40)이 벌어진 상태가 아니라 오므라들어 통기홈(40)의 양 측면에 있는 벽체부(60)가 서로 접하는 위치가 될 때 각각의 벽체부(60)에 형성된 통기홀(61)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한 발가락에 서식하고 있는 무좀균이 통기홀(61)을 통해 인접한 발가락으로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다 낮춰주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발가락의 측면 통기성을 높여줌과 더불어, 통기홀(61)을 통한 무좀균의 전파는 최대한 지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벽체부(60)는 발등부(21) 및 벽체부(22)보다 실의 굵기가 가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벽체부(60)는 벽체부(60)를 제외한 외피(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실의 굵기가 가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양말 외피(20)가 전체적으로 가는 실로 이루어질 경우 벽체부(60)가 발가락(11) 사이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간섭감을 느끼지 않게 되나, 겨울용 양말, 등산 양말, 골프 양말, 축구 등의 각종 스포츠 양말, 버선, 덧버선과 같이 외피(20)가 두꺼운 재질로 구성될 경우 벽체부(60)의 두께가 두꺼워져 인접한 발가락(11)과 접한 벽체부(60)에 의해 간섭감을 느끼게 되어 착용감이 나빠지게 된다.
즉, 벽체부(60) 실을 얇게 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우수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벽체부(60)는 직조기에서 별도의 가는 실을 공급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가는 실로 원통형으로 직조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을 각각 발등부(21) 및 바닥부(22)에 박음질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의 재질은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의 종류도 달리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벽체부(60)의 구성과 연계하여, 벽체부(60)만을 가는 실로 직조하여 양말을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점과, 통기홈(40) 주변의 환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바닥부(22)는 인접한 통기홈(40) 사이 및 양측 외측의 통기홈(40)과 양측 단부 사이에 발가락지지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가락지지부(22a)는 바닥부(22)에 비해 실의 굵기가 가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등부(21)는 상기 발가락지지부(22a)의 상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발가락덮개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가락덮개부(21a)는 발등부(21)에 비해 실의 굵기가 가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가는 실로 이루어지는 발가락지지부(22a)와 발가락덮개부(21a)가 하나의 양말에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발가락지지부(22a)와 발가락덮개부(21a) 모두 가는 실로 이루어지는 바, 발가락지지부(22a)와 발가락덮개부(21a)의 전방측과 후방측 외피(20)의 연결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처럼 측단부(23) 즉, 발가락지지부(22a)와 발가락덮개부(21a)가 만나는 부분은 외피(20)와 같은 굵은 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경우 벽체부(60)와 발가락지지부(22a), 발가락덮개부(21a)을 일체의 가는 실로 한꺼번에 제조한 후, 이 부분을 외피(20)의 다른 부분과 박음질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발가락지지부(22a)와 발가락덮개부(21a)를 모두 가는 실로 형성할 경우, 이 부분이 내구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양말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발가락지지부(22a) 또는 발가락덮개부(21a)가 벽체부(22)보다 실의 굵기가 굵고, 바닥부(22) 또는 발등부(21) 보다 실의 굵기가 가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구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제공하고, 벽체부(60)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발가락 양말과 다르게 외피(20) 단부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있지 아니하고, 하나의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어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켜주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가락(11) 사이가 벌어진 종래의 발가락 양말을 착용할 경우 이를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무좀에 걸린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줘 착용자에게 창피함을 주고, 양말 끝이 벌어져 있어 시각적으로 어색한 느낌을 주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양말 단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기홈(40)이 형성된 부분도 그 상부에는 외피(20)의 발등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일반 양말과 전혀 구분되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켜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구비된 통기홈(40)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 중 양말 내부에 칸막이나 벽체를 형성한 양말과도 차별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발가락 양말 중 내부에 칸막이를 형성한 양말의 경우 양말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칸막이에 의해 분할된 각 구역에 발가락(11)을 넣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는 한쪽 발가락(11)이 어느 한 구석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발가락(11)의 크기 등에 맞추어 칸막이가 딸려 이동하거나 신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그와 인접한 구역이 함께 딸려 이동하게 되므로 발가락(11)의 삽입이 용이치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통기홈(40) 및 그 둘레의 벽체부(60)를 형성하게 되면, 양말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가락(11)의 크기나 구조 등에 따라 통기홈(40) 둘레의 벽체부(60)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임의적으로 변형되면서 발가락(11)의 삽입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칸막이형 양말의 경우 칸막이가 통상적으로 재봉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칸막이 사이의 구역에 삽입되는 발가락(11)이 해당 구역보다 큰 경우, 또는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11)을 이리 저리 움직이는 경우 불편한 착용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유롭게 발가락(11)을 놀릴 수 있고, 발가락(11) 구조에 맞게 벽체부(60)가 벌어지게 되므로 착용감 역시 종래에 비해 더 우수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통기홈(40)을 통해 발(10) 저부 및 상부의 공기가 벽체부(60)와 접촉하게 되고, 통기홀(61)을 통해 외기가 내부까지 연통되므로 무좀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발가락(11) 사이 부분의 통기성이 양호해지게 되는 바, 무좀에 걸릴 가능성도 자연스럽게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엄지와 둘째 발가락(11)에만 줄을 끼워 사용하는 쪼리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발가락(11) 사이 단부가 벌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통기홈(40) 중 일부는 외피(20)의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20)는 벽체부(60)와 연결되도록 하여 쪼리 등의 착용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기홈(40)은 발등부(21)까지 관통된 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면에는 이러한 통기홈(40) 주변의 벽체부(60)에 통기홀(61)이 형성되지 아니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부분에도 역시 통기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발가락(11)의 단부 측 보다 구체적으로 발톱이 있는 부분에 무좀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부(60)의 발가락(11) 측 선단으로부터 발가락(11)측 외피(20) 내부까지 연결하는 칸막이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부(70)는 외피(20)와 동일한 재질로 박음질로 별도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칸막이부(70)는 종래의 칸막이 구조와는 다르다 할 것인데, 본 발명에서의 칸막이부(70)는 상하로 관통된 통기홈(40)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일반 양말은 물론, 등산양말, 골프용 양말, 축구 양말 등의 두꺼운 양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덧신이나 덧버선과 같은 종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발 11 : 발가락
12 : 발꿈치 20 : 외피
21 : 발등부 21a : 발가락덮개부
22 : 바닥부 22a : 발가락지지부
23 : 측단부 30 : 수용공간
40 : 통기홈 50 : 연통부
51 : 분리수용부 60 : 벽체부
61 : 통기홀 70 : 칸막이부

Claims (4)

  1.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20)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덮는 발등부(21)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부(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외피(20)의 발등부(21)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기홈(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홈(40)의 측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발등부(21)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상기 바닥부(22)와 연결되는 벽체부(60)가 형성되어 있어, 통기홈(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으며,
    수용공간(30)의 앞쪽에는 통기홈(40) 둘레의 벽체부(60) 전방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11) 앞부분이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부(50)의 후방에는 벽체부(60)에 의해 각 발가락의 중간 부분이 분리 수용되는 분리수용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60)에는 통기홀(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40) 양 측면의 벽체부(60)에 각각 형성된 통기홀(61)은 서로 엇갈려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통기홈(40) 중 일부는 외피(20)의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20)는 벽체부(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홈(40)은 발등부(21)까지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KR1020130034653A 2013-03-29 2013-03-29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KR10141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53A KR101418558B1 (ko) 2013-03-29 2013-03-29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PCT/KR2014/002296 WO2014157870A1 (ko) 2013-03-29 2014-03-19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653A KR101418558B1 (ko) 2013-03-29 2013-03-29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558B1 true KR101418558B1 (ko) 2014-07-15

Family

ID=5162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653A KR101418558B1 (ko) 2013-03-29 2013-03-29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8558B1 (ko)
WO (1) WO20141578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999B1 (ko) * 2019-07-09 2020-10-20 김유철 기능성 발가락 양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11U (ko) * 2008-04-08 2009-10-13 김광호 에어백 또는 필터 혹은 구멍이 형성된 탈부착 가능한부재가 구비된 양말.
KR20110000166U (ko) * 2009-06-30 2011-01-06 김광호 박음질로 발가락 양말이 구비된 양말.
KR20110033814A (ko) * 2010-12-29 2011-03-31 김광호 발가락 필터백을 구비한 양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262U (ko) * 1996-11-19 1998-08-05 김기영 습진방지용 양말
KR200248185Y1 (ko) * 2001-03-02 2001-10-26 변공 칸막이양말
KR200360707Y1 (ko) * 2004-06-14 2004-09-01 서보민 칸막이가 형성된 양말
KR200422849Y1 (ko) * 2006-05-18 2006-07-31 (주)이노플래너스 돌기를 이용한 발가락 양말
KR20120006116U (ko) * 2011-02-23 2012-08-31 박동익 발가락 양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11U (ko) * 2008-04-08 2009-10-13 김광호 에어백 또는 필터 혹은 구멍이 형성된 탈부착 가능한부재가 구비된 양말.
KR20110000166U (ko) * 2009-06-30 2011-01-06 김광호 박음질로 발가락 양말이 구비된 양말.
KR20110033814A (ko) * 2010-12-29 2011-03-31 김광호 발가락 필터백을 구비한 양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999B1 (ko) * 2019-07-09 2020-10-20 김유철 기능성 발가락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870A1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122A (en) Shoe cover
US8181363B2 (en) Modular shoe system
US20090106879A1 (en) Sock for reducing footwear instep creasing
US20130263360A1 (en)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CA3081273C (en) Double structure comfortabl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KR101418558B1 (ko)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US7007309B1 (en) Dance tight stocking
US20030106171A1 (en) Comfort moccasin
JP7222717B2 (ja) 履物甲被
KR200442594Y1 (ko) 덧버선
KR101418557B1 (ko) 통기홀이 구비된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KR101452386B1 (ko)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KR101092246B1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KR200182059Y1 (ko) 발가락 속 양말
KR101418556B1 (ko) 발가락 양말
CN205848807U (zh) 一种森林灭火作战防护靴
US20180020774A1 (en) Shoe with Flexible Upper
US2831272A (en) Slipper
CN203841215U (zh) 一种双层网布透气鞋
KR200422849Y1 (ko) 돌기를 이용한 발가락 양말
KR200487575Y1 (ko) 일체형 마감구조를 갖는 덧신양말
CN211960918U (zh) 一种跑步休闲运动袜
KR20240052381A (ko) 무좀방지용 양말
KR101307130B1 (ko) 기능성 발가락 양말
KR102167999B1 (ko) 기능성 발가락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